||<-2>
{{{#white '''{{{+3 G28}}}'''[br]''Gewehr 28[br]28호 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28_re_01.png|width=100%]]}}}|| || '''종류''' ||[[저격소총]][br][[지정사수소총]] || || '''원산지'''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독일]]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11년]]~현재 || || '''개발''' ||<|2>[[헤클러 운트 코흐]] || || '''생산''' || || '''사용국'''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독일]][br][[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3]] [[튀르키예]][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3]] [[대한민국]][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등 || ||<-2><#353535> {{{#white '''기종'''}}} || || '''원형''' ||[[H&K HK417|MR308]] || || '''파생형''' ||[[M110A1 SDMR|M110A1]] || ||<-2><#353535> {{{#white '''제원'''}}} || || '''탄약''' ||[[7.62×51mm NATO]] || || '''급탄''' ||10, 2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br]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421mm || || '''전장''' ||1,082mm(개머리판 연장)[br]965mm(개머리판 수축) || || '''중량''' ||5.8kg || || '''유효사거리''' ||6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pTXfsPEzfA)] [youtube(F6_YJwHJD9Y)]}}} || || 독일 연방군의 훈련 영상 || [[독일]]의 [[지정사수소총]]. == 상세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H&K HK417|HK417]]의 민수용인 MR308을 기반으로 한 지정사수소총으로, 2011년 [[독일연방군]] 육군에 기존의 [[H&K G3#저격용|G3/SG-1]]을 대체하기 위해 채용되었다. 채용된 일화가 좀 기묘한데 원형인 HK417을 독일군에서 테스트했는데 성능이 밀려서 채용에는 실패했다. 그 후 H&K는 HK417의 민간 버전인 MR308을 가져와서 테스트했는데 무슨 일인지 이번에는 '''합격''', 결국 G28이란 제식명으로 채용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untainDMRG28H&K.jpg|width=100%]]}}} || || [[단조(금속 가공)#s-2.1|냉간 단조]] [[프리플로팅 배럴|유동총열]] 덕분에 1.5 [[MOA]] 이내의 정확도와, [[H&K HK417]]과 75%의 부품이 호환된다. || 기존 MR308에서 보조 야간투시 조준경 및 열화상 조준경 부착을 위한 연장형 [[총열덮개]] 등의 [[IdZ]] ES 구성품이 장착되었으며, 총몸의 재질이 알루미늄에서 철제로 변경되었다. 버전이 2개가 있는데, 일반형(Standard)과 순찰대용(Patrol)으로 나뉜다. 둘의 차이는 장착된 조준경을 제외하면 대동소이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zKm94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kMY_ksW-660x519.jpg|width=100%]]}}} || || 러시아군의 사용 사진 || 튀르키예군의 사용 사진 || 현재 사용국가 및 조직은 [[독일 연방군]]과 한국의 [[제707특수임무단]][* 2017년 12월 평창올림픽 대테러훈련에서 사용이 확인되었다.], 튀르키예군 마룬 베레, 러시아 [[스페츠나츠|SSO]], 미 육군(M110A1), 일본 [[육상자위대]]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nipercentral.com/csas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10a1_ausa2017 0.jpg|width=100%]]}}} || 2016년 4월, [[미 육군]]에서는 단축형 반자동저격소총(CSASS, Compact Semi-Automatic Sniper System) 사업을 통해 수출형인 G28E를 최대 3,643정[* 도입 예산이 4,500만달러 가량으로, 기술 지원과 보조장비 제공을 포함하여 1정 당 12,000달러(한화로 약 1,300만원)로 보고 있다.]을 도입하여 그동안 사용해오던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나이츠(KAC)]] 사의 [[M110 SASS]]를 대체할 예정이었으나 명중률 및 소음기와의 궁합, 독자규격 부품으로 인한 확장성 한계 등의 문제로 인해 현재는 분대 [[지정사수소총]]인 [[M110A1 SDMR]]로 선회하였으며, 기존의 M110은 KAC사의 개량형인 M110A2와 M110A3[* 6.5mm 크리드무어 탄약 컨버전 키트이다.]을 사용하기로 했다. 2017년 10월에는 미 육군협회 주최의 방산전시회(AUSA)에 참가한 M110A1이 공개되기도 하였으나, 현재 [[미 육군]]은 얼마 전 취소시킨 임시제식형 전투소총(ICBR) 사업의 영향과 정치적 혹은 재정적인 문제로 인해 본격적인 도입을 지연시키고 있었다. [[http://taskandpurpose.com/army-csass-sniper-rifle/|참조]]. 그러다가 2018년 3월에 정식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https://www.military.com/kitup/2018/03/06/army-plans-field-hk-g28-new-squad-marksman-rifle.html|참고]]. 2020년 6월 17일, 대한민국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군사경찰단(수도방위사령부)|군사경찰단]] 특임대에서 G28E를 사용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https://youtu.be/wnyQJ3fU60g?t=56|#]][* 다만 [[경찰특공대]]에서 빌려준 것이기 때문에 G28을 도입한 것이 아니다. ~~웬일인가 했다.~~] 2023년, 일본 [[육상자위대]]가 차기 지정사수용 저격소총으로 선정했다.[[https://www.mod.go.jp/j/press/news/2023/01/23e.html|#]] == 종류 == === [[H&K HK417|MR308]] === [[파일:hk-mr308_2.jpg|width=600]] HK417 기반의 민수용으로 16인치 총열 버전과 20인치 총열 버전으로 나뉜다. 현재 [[러시아]]의 [[스페츠나츠]]와 [[알파 그룹]]에서 [[지정사수소총]]으로 사용 중이다. === G28 === [[파일:G28_re_01.png|width=6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CIMIC_Joint_Training%2C_GER_and_ITA_Army%2C_Capo_Teulada%2C_Trident_Juncture_15_%2822678987186%29.jpg|width=500]] 2011년 [[독일]] [[독일연방군|육군]]에 채택된 민수용 [[H&K HK417|MR308]] 기반의 개량형. 전용 조준경으로 슈미트 운트 벤더(Schmidt & Bender) 사의 3-20x50mm PM II 조준경이 장착된다. 조준경 위에는 조그마한 마이크로 T-1 도트사이트를 부착하여 근접 교전에 대응한다. ==== G28E ==== G28의 수출용 모델인데, 일반 G28과 거의 동일하다. 미 육군의 CSASS 사업에서는 자사의 HKey 시스템을 장착하고 나왔다. 그리고 M110A1으로 채택되었는데, 장착된 부품이 약간 바뀌였다. 자세한 건 [[M110A1 SDMR|M110A1]] 문단으로. [[707특임대]]와 [[경찰특공대]]에서도 운용하고 있다.[[https://youtu.be/T2HU88pOpsY|#]][[https://www.instagram.com/p/CErFFAfsO-y/|#]] ==== G28Z ==== [[파일:G28Z_re_ZB.png|width=580]] G28의 민수용 모델. 총열과 노리쇠가 민수용 탄약인 .308 윈체스터 탄에 맞춰진 걸 제외하면 거의 모든 사양이 동일하다. 군용 G28처럼 1.5MOA 정확도를 보장한다. === [[M110A1 SDMR|M110A1]] === [[파일:m110a1_profile 0.jpg|width=600]] [[미 육군]]의 [[M110 SASS]]를 대체하기 위한 단축형 반자동 저격소총(CSASS)으로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분대지정사수소총(SDMR)이란 제식명으로 도입된 G28E 기반 지정사수소총. 0.3인치 정도 짧아진 총열과 [[가이슬리 오토매틱스]] 사의 [[M-LOK]] 총열덮개가 장착되어 무게가 3.98kg까지 감소했다. 전용 부가장비로 [[SIG|시그 옵틱스]] 사의 TANGO6 1-6x24mm 저배율 가변배율조준경(LPVO)과 OSS 사의 HX-QD 762 소음기 등을 장착한다. 현재 [[미 육군]]에서 [[M110 SASS]]를, [[미 공군]]에서 [[M14SE 크레이지 호스|Mk.14 Mod.0 SEI]][* 미 공군에는 M110을 비롯한 [[KAC SR-25|SR-25]] 계열이 도입된 적이 없다. 공군에서는 DMR로 계속 [[M14 소총|M14]] 계열을 사용해왔고, 그래서 M110A1이 M110의 대체재라는 것은 미 공군에선 해당되지 않는다.]를 대체하여 사용중이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게임 === [youtube(g7rYsbhPVTM)] * [[고스트 리콘 시리즈]] * [[고스트 리콘 팬텀]] M28로 등장한다. * [[고스트 리콘 와일드랜드]] 광클 시 자동소총급의 연사력을 자랑하지만 반동이 매우 크다. * [[블랙스쿼드]] G28E가 등장. 반자동 저격소총 3정 중 하나이며, 성능은 [[M110 SASS|M110K1]]의 상향형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G28E가 [[M110A1 SDMR|M110A1]]이라 그런가보다-- * [[소녀전선]] 일반 제조에서는 안나오고 중형 제조 혹은 임무 랜덤 보상에서만 나오는 몸인지라 보기가 다소 귀하신 편이다. 성능은 4성 값을 하는 정도. 자세한 건 [[G28(소녀전선)]] 문서 참고. * [[오퍼레이션7]] 2013년 9월 17일에 업데이트 되었다. 2012년 이후 업데이트 되는 총들 중 가장 개조폭이 많다는 장점에 비해 모든 정확도를 투자해도 다른 DMR과 비교할 때 조금 딸리는 정확도를 가지고 있어 그렇게 좋은 총이 아니다. 거기다 반자동소총이라 연발이 되지 않아 근접전에도 대응이 어렵다는 것이 큰 단점.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MR-28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톰 클랜시의 디비전 2]] 3월 3일 추가되는 뉴욕의 지배자들 패치로 추가되는 총기이다. SVD,MK17 과 더불어 반자동 지정사수총 3정중 하나이다. * [[AVA]] G28 Assaulter라는 이름으로 등장. 실총과는 달리 여기서는 연사가 가능하며 라이플맨 총기로 나온다. G28 Assaulter이후로는 G28E Swamp Man / G28E BlueGreen이라는 총기를 출시하여 아바의 전투소총의 한축에 해당하는 메타 총기로 불리며 지금도 1티어 총기로 군림하고 있다. * [[Escape from Tarkov]] 피스키퍼가 블루 마킹 키카드 교환, 예거가 20만루블이라는 고가에 판매하고 있다. === 그 외 ===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독일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포르투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한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스토너 계열 총기)] == 관련 문서 == * [[H&K HK417]] [[분류:저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AR-10]][[분류:H&K]][[분류:2011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