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ed Zeppelin)] ||<#FF4500> '''Good Times Bad Times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4147)]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레드 제플린 40대 명곡)]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1960년대 명곡, 순위=746)] ---- }}} || ||<-2><#FF4500> '''{{{#fff {{{+1 Good Times Bad Tim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A9Rec1qAFQ,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1969년]] [[3월 10일]] || || '''싱글 B면''' ||[[Communication Breakdown]] || || '''앨범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1969년]] [[3월 2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Led Zeppelin(앨범)|{{{#ED6533 '''Led Zeppelin'''}}}]]}}} || || '''스튜디오''' ||올림픽 || || '''장르''' ||[[하드 록]], [[:분류:프로토 메탈|프로토 메탈]] || || '''작곡/작곡''' ||[[지미 페이지]], [[존 폴 존스]], [[존 본햄]]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러닝 타임''' ||2:43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oodtimesbadtimes.jpg|width=100%]]}}}|| || '''서독 싱글 커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FF45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sZG7n7ries,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Xna3ny6KY, height=200)]}}} || || '''음원''' || '''2007년 라이브''' || [[영국]]의 하드 록 밴드 [[레드 제플린]]의 역사적인 첫 싱글 곡이다. == 상세 == [[Led Zeppelin(앨범)|Led Zeppelin]]에는 블루스, 사이키델릭, 포크 계통 노래가 많지만 이 곡과 [[Communication Breakdown]]은 앨범 내에서 하드 록 성향이 강한 곡으로, 긴 기타 솔로와 곡 구성 때문에 세계 최초의 헤비 메탈 곡으로도 불린다. 흔히 "세계 최초의 헤비 메탈 송"을 꼽을 때 [[You Really Got Me]], [[Purple Haze]], [[Sunshine of Your Love]], [[Helter Skelter]], [[Communication Breakdown]]과 함께 빠지지 않고 언급된다.[* 곡 그 자체라기 보다는 1집 앨범 전체로 묶이는 편이지만, 1집 내에서 이 곡과 [[Communication Breakdown]]이 가장 메탈의 색체를 강하게 띄는 것은 사실이다.] 여러모로 역사적인 첫 곡이자, 최초의 헤비 메탈곡 중 하나로서 메탈 덕후들 사이에서는 유명한 곡이지만, 어려운 기타 리프로 인해 라이브 콘서트에서는 잘 불리지 않는 곡이다. 다만 2007년 재결성 공연 당시에는 라이브로 불렸다. 중간에 셋잇단음표 베이스 드럼 연주를 들을 수 있는데, 다른 드러머들이 베이스 드럼 2개를 갖다 놓고 하거나 손과 발을 이용해 하는 반면에, [[존 본햄]]은 '''하나의 베이스 드럼에 단지 킥만으로''' 연주했다. 후대에도 꽤나 리메이크 되었는데 요즘엔 [[뉴메탈]] 밴드 [[갓스맥]]의 연주로 유명하다. 이 노래에선 갓스맥의 보컬인 설리가 직접 드럼도 쳤다. 빌보드 차트에서는 80위까지 올랐고, 일본 오리콘 차트에서는 84위까지 올랐다. 네덜란드 싱글 100에서는 17위까지 오르면서 흥행했다. 최고음은 '''2옥타브 시(B4)'''로 레드 제플린 노래 중에선 쉬운 편이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레드 제플린 치고는''' 쉬운 노래라는 뜻이기에[* [[Whole Lotta Love]]나 [[Stairway to Heaven]] 같은 노래들은 3옥타브 중반대 정도는 찍어주고 시작한다.] 결코 쉽지만은 않다. == 가사 == ||<:> ---- '''{{{#fff {{{+2 Good Times Bad Times}}}}}}''' ---- In the days of my youth 내가 어렸을 때에는 I was told what it means to be a man 어른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들었어 Now I've reached the age 그리고 난 지금 어른이 되었지 I've tried to do all those things the best I can 지금까지 그 모든 것을 이루려고 노력했지만 No matter how I try 내가 어떻게 도전하던간에 I find my way to do the same old jam 항상 같은 짓만을 반복하는 것 같아 Good times, bad times 좋은 시절, 나쁜 시절 You know I had my share 난 겪을만큼 겪었어 When my woman left home 내 여자 친구가 With a brown eyed man 갈색 눈을 가진 남자와 바람났을때도 Well, I still don't seem to care 글쎄, 난 별로 신경쓰지 않았다고 Sixteen I fell in love 16살에 난 사랑에 빠졌어 With a girl as sweet as could be 더없이 사랑스러운 여자와 말이야 Only took a couple of days 하지만 사랑은 이틀밖에 못갔어 Till she was rid of me 그녀가 날 차버리기 전까지 말이야 She swore that she would be all mine 언제나 죽을때까지 나의 여자라고 And love me till the end 맹세한 그녀였지만 When I whispered in her ear 내가 그녀의 귀에 속삭이자마자 I lost another friend 나는 다른 친구를 잃고 말았지 Good times, bad times 좋은 시절, 나쁜 시절 You know I had my share 난 겪을만큼 겪었어 When my woman left home 내 여자 친구가 With a brown eyed man 갈색 눈을 가진 남자와 바람났을때도 Well, I still don't seem to care 글쎄, 난 별로 신경쓰지 않았다고 ---- ''(기타 솔로)'' ---- Good times, bad times 좋은 시절, 나쁜 시절 You know I had my share 난 겪을만큼 겪었어 When my woman left home 내 여자 친구가 With a brown eyed man 갈색 눈을 가진 남자와 바람났을때도 Well, I still don't seem to care 글쎄, 난 별로 신경쓰지 않았다고 I know what it means to be alone 난 혼자 지낸다는게 무슨 뜻인지 알아 I sure do wish I was at home 집에 있었으면 하고 얼마나 바라는지 I don't care what the neighbors say 난 내 이웃들이 뭐라 하는지는 신경 안 써 I'm gonna love you each and every day 난 매일 매일 너를 사랑해 줄거니까 You can feel the beat within my heart 내 마음의 비트를 들어봐 Realize, sweet babe, we ain't ever gonna part 알아줘, 자기, 우리는 절대 이별하지 않을 거라는 것을 ----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 로고.png|width=100]]]] ---- || == 여담 == * [[존 폴 존스]]가 자신이 가장 치기 어려운 기타 리프 곡으로 꼽은 바 있다. --님 베이스잖아요-- [[분류:Led Zeppelin]][[분류:1968년 노래]][[분류:1969년 싱글]][[분류:하드 록]][[분류:프로토 메탈]][[분류:헤비메탈]][[분류:레드 제플린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