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신만이 아는 세계의 오프닝 테마, rd1=신만이 아는 세계/애니메이션, anchor1=주제가)]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9D94A '''God Only Knows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1 ~ 30위))]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1 ~ 30위))]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1위 ~ 30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연도=2010, 순위=25, 연도2=2021, 순위2=11)]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1)]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형성한 500곡)]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명곡)]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2)] ---- }}} || ||<-2><#386f15> '''{{{#F9D94A {{{+1 God Only Knows}}}}}}'''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0lj3WX_5ps, width=100%, height=200)]}}}|| || '''앨범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1966년]] [[6월 16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86f15; font-size: .9em" [[Pet Sounds|{{{#fff '''Pet Sounds'''}}}]]}}} || || '''싱글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1966년]] [[7월 18일]] || || '''싱글 A면''' ||[[Wouldn't It Be Nice]] || || '''장르''' ||[[바로크 팝]], [[아트 팝]] || || '''작사/작곡''' ||[[브라이언 윌슨]], 토니 애셔 || || '''프로듀서''' ||브라이언 윌슨 || || '''러닝 타임''' ||2:55 || || '''레이블''' ||[[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uldn't It Be Nice.jpg|width=100%]]}}}|| }}}}}}}}} || [목차][clearfix] == 개요 == ||<#386f15>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ADx3-qRxek,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8qZMFFDYa0, height=200)]}}} || || '''공식 뮤직비디오''' || '''1980년 넵워스 라이브 버전''' || [[비치 보이스]]의 노래. [[1966년]] 발매된 [[Pet Sounds]] 앨범에 수록되어 이후 [[Wouldn't It Be Nice]]의 B사이드로 발표되었다. B사이드 곡임에도 '''[[Good Vibrations]]와 함께 비치 보이스 최고의 곡 중 하나'''로 꼽히며, 나아가 지금까지도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명곡들 중 하나로 여겨진다. == 설명 == [[브라이언 윌슨]]이 작곡, 토니 애셔와 브라이언 윌슨이 함께 작사하였다. 당시 종교에 심취해있던 브라이언의 영향을 받아 영적인 느낌이 가사에 반영되어 있으며, [* 현재 가사가 쓰여진 원본 용지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보관되어 있다.] [[칼 윌슨]]의 아름다운 보컬이 더욱 종교적인 색채를 강하게 한다.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서 11위에 랭크되고 [[피치포크]] 선정 위대한 팝송 1위로 꼽힐 정도의 명곡이지만, 정작 이 노래는 브라이언에 의하면 45분 정도 만에 금방 쓰였다고 한다. (다만 쓰는 게 쉬웠다는 뜻은 아니라고 한다.) 또한 [[폴 매카트니]]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곡으로 이 곡을 꼽았다. 실제로 폴매카트니는 Silly Love Songs에서 유사한 보컬 대위법을 사용했다. 여러 매체에서 비치 보이스를 상징하는 곡으로 보통 [[Surfin' U.S.A.]]와 [[Good Vibrations]]를 내어놓는 경우가 많지만, 음악가들 사이에서는 이 곡이 더 좋은 평가를 받는다. 특히 후반부 [[대위법]]을 사용한 코러스가 매우 높은 평가를 받는다. 한 예로 [[조지 마틴]]은 '[[Good Vibrations]]는 하모니 위주의 평범한 곡일 뿐이지만 God Only Knows는 정말로 훌륭한 곡이며 비틀즈 멤버들도 그와 비슷하거나 위대한 곡을 쓰는 걸 목표로 했다'고 회상했으며 의외로 [[루 리드]]가 자신이 영향받은 곡들 중 하나로 제시하기도 했을 정도다. 곡의 제목이자 가사에서 반복되는 'God only knows'는 풀이하면 '말로 형언하기 어렵다(it is impossible to say)', 즉 '쉽게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정도의 의미를 가진 영어 관용구이다. 이 표현을 '오직 신만이 안다'라고 직역한다면 어색한 번역문이 된다. 그러나 이 관용구 역시 따지고 보면 기독교 문화 특유의 신에 의한 운명론과 섭리론을 나타내는 표현에서 유래한 것이므로,[* 영어를 비롯한 유럽 언어에는 이런 표현이 많은데, 섭리론적 어감이 잘 드러나는 영어 어휘로 법조동사 'shall' 등이 있다.] 직역과 의역 사이에서 곡의 가사를 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 가사 == || ---- {{{+2 '''God Only Knows'''}}} ---- I may not always love you 내가 언제까지나 당신을 사랑하지 않을 수도 있겠죠 But long as there are stars above you 하지만 하늘 위에 별들이 빛나는 한은 You never need to doubt it 절대로 의심할 필요 없어요 I'll make you so sure about it 당신이 이것만은 절대로 확신할 수 있게 해 줄게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If you should ever leave me 만일 당신이 나를 떠나게 된다면 Though life would still go on believe me 그래도 삶은 계속 흘러가겠지만, 나를 믿으세요 The world could show nothing to me 세상은 더 이상 나에게 아무것도 보여주지 못할 거예요 So what good would living do me? 그렇게 사는 게 나한테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Ooh, ooh Do, do, do, do, do, do, do Bow, buh-bow, buh-bow, buh-bow (Do, do, do, do) Buh-bow, buh-bow, buh-bow (Do, do, do, do, do, do) Buh-bow, buh-bow, buh-bow, buh-bow (Do, do, do, do, do, do, do, do)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If you should ever leave me 만일 당신이 나를 떠나게 된다면 Though life would still go on believe me 그래도 삶은 계속 흘러가겠지만, 나를 믿으세요 The world could show nothing to me 세상은 더 이상 나에게 아무것도 보여주지 못할 거예요 So what good would living do me? 그렇게 사는 게 나한테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What I'd be)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당신이 없는 나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God only knows)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상상할 수도 없어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What I'd be)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당신이 없는 나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God only knows)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상상할 수도 없어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What I'd be)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당신이 없는 나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God only knows)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상상할 수도 없어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What I'd be)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당신이 없는 나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God only knows)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상상할 수도 없어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What I'd be)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당신이 없는 나는) God only knows what I'd be without you (God only knows) 당신이 없는 나는 상상할 수도 없어요 (상상할 수도 없어요) ---- [[파일:beachboys_logo.png|width=100]] || == 기타 == 영화 [[러브 액츄얼리]]와 [[부기 나이트]]의 후반부에 삽입되었다. [youtube(XqLTe8h0-jo)] [[BBC]]의 라디오 채널 홍보용으로 [[엘튼 존]], [[브라이언 메이]], [[스티비 원더]]를 비롯하여 [[크리스 마틴]], [[데이브 그롤]], [[카일리 미노그]], [[퍼렐 윌리엄스]], [[플로렌스 앤 더 머신|플로렌스 웰치]], [[로드(가수)|로드]], [[샘 스미스]], [[원 디렉션]], [[팔로마 페이스]], [[제이크 버그]] 등 화려한 면면의 가수들과 원작자인 브라이언 윌슨이 함께 부른 버전이 싱글 발매되기도 했다.[* 다만 영국 록음악의 거장인 [[비틀즈]]의 [[폴 매카트니]]와 [[링고 스타]]가 없는 것에 대한 의문이 많은데, 이는 비틀즈가 비치 보이스와 라이벌 관계여서 출연하지 않은 것이란 추측이 있다.] 여기 등장한 모든 아티스트의 이름을 알고싶다면 [[https://youtu.be/gLEHB4dlqFc|이영상]]을 참조 [[바이오쇼크 인피니트]]에는 [[https://www.youtube.com/watch?v=x7ogV49WGco4|4인조 아카펠라 버전]]이 삽입되었다 게임 초반부와 엔딩 크레딧에서 나온다. [[토이 스토리 4]]의 [[https://youtu.be/u8GQibRXVHg|메인 예고편]]에 삽입되었다. [[분류:1966년 싱글]][[분류:1966년 노래]][[분류:비치 보이스 노래]][[분류:바로크 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