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3_rb_04.jpg]] [목차] == 개요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TOMOSUKE]]로, [[인도네시아]]의 전통 음악인 [[가믈란]](타악기 합주)을 소재로 한 [[트랜스(음악)|트랜스]]로, 같은 악기를 사용한 다른 노래로는 [[DJ SIMON]] 작곡의 [[Klungkung 1655]]이 있다. == [[맘보 아 고고]] == [youtube(3DiIzS1Eg1w)] 2인용 전용 곡. 따로 2크레딧을 넣어야 고를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채보 자체가 혼자서는 굉장히 플레이하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 아티스트 코멘트 === ||제작도 막바지에 접어들었을 무렵에, 세 개의 콩가를 각각 독립된 민족악기로 보고 여러 명이서 퍼쿠션 세션을 하게 만든다면 재미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해서, 가믈란을 소재로 이 곡을 썼습니다. 콩가 1개마다 각각 독립된 프레이즈를 연주하기 때문에, 두 명이서 연주하는 것이 재밌으리라 생각합니다. 가운데 콩가는 러브러브존으로 만들자고 생각해서, 손이 겹칠 수 있는 배치를 다양하게 고려해보았습니다만 사양의 한계로 인해 취소했습니다. 러브러브작전 실패입니다. (웃음) 가믈란의 프레이즈는 테크노에도 자주 사용되는데, 이 곡도 유행에 편승해서 테크노풍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가믈란의 음계는 오키나와 음계와 비슷하네요. 발리에서 오키나와로 전해진 것일까요? (TOMOSUKE)|| == [[beatmania]] & [[beatmania III]] == [include(틀:beatmania THE FINAL의 EXPERT+)] [youtube(Kh7TvZJhL5o)] |||||||||||||||||||||||||| [[비트매니아]], [[비트매니아 III]] 난이도 체계 || || [[BPM]] |||||||||||| 싱글 플레이 |||||||||||| [[더블 플레이]] || ||<|4><:> --138--[br]150 |||| {{{#orange 노멀}}} |||| {{{#red 하드}}} |||| {{{#green 어나더}}} |||| {{{#orange 노멀}}} |||| {{{#red 하드}}} |||| {{{#green 어나더}}} || || {{{#orange 6}}} || {{{#orange 479}}} || {{{#red 7}}} || {{{#red 555}}} || {{{#green 9}}} || {{{#green 656}}} || {{{#orange 7}}} || {{{#orange 543}}} || {{{#red 8}}} || {{{#red 617}}} || {{{#green 9}}} || {{{#green 656}}} || * [[비트매니아|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THE FINAL THE FINAL에 이식되었는데, 당작의 [[비트매니아/EXPERT+|EXPERT+ 코스]] 후반부에 수록될 정도로 난이도가 매우 높다. 제작상의 실수인지는 몰라도 선곡 및 로딩 화면 내의 표기 BPM은 150이 아닌 138로 나온다. 연주시에는 150으로 제대로 표기되어 있다. == [[댄스 댄스 레볼루션]] == [youtube(pN_N8r4BsfE)] |||||||||||| [[댄스 댄스 레볼루션]] 난이도 체계 || ||<|3> [[BPM]] |||||||||||||||| 싱글 플레이 || || {{{#blue BEGINNER}}}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 {{{#blue 3}}} || {{{#orange 4}}} || {{{#red 7}}} || {{{#green 12}}} || ||<|3> 150 |||||||||||||| [[더블 플레이]] || ||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 || {{{#orange 5}}} || {{{#red 7}}} || {{{#green 13}}} || DDR EXTREME에 이식되었다. 여기에선 독특한 박자감때문에 클리어가 힘든 특이한 포지션. BGA는 EXTREME 당시의 전용 BGA를 편집한 버전으로, 2013년판에 부활했다. == [[팝픈뮤직]] == [youtube(6U5iyGgrCAg)] |||||| [[파일:external/remywiki.com/15_GAMELAN_TRANCE.png]] ||<#FFFFD2> [[BPM]] || 150 || ||<#FFFFD2> 곡명 |||||||| '''Gamelan de Couple''' || |||||||||| 感じろプリミティヴサウンドを!そして踊れ!僕はガムランが大好きです。 느껴라, 프리미티브 사운드를! 그리고 춤춰라! 나는 가믈란을 정말 좋아합니다. || ||<#FFFFD2> 아티스트 명의 |||||||| [[TOMOSUKE]] || ||<#FFFFD2> 장르명 |||| GAMELAN TRANCE |||| 가믈란 트랜스 || ||<#FFFFD2> 담당 캐릭터 |||| shalah |||| 샤라 || ||<#FFFFD2> 수록된 버전 |||||||| pop'n music 15 ADVENTURE || ||<#FFFFD2>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blue EASY}}} || {{{#green NORMAL}}} || {{{#orange HYPER}}} || {{{#red EX}}} || ||<#FFFFD2> 43단계 || {{{#blue 15}}} || {{{#green 23}}} || {{{#orange 34}}} || {{{#red 39}}} || ||<#FFFFD2> 50단계 || {{{#blue --}}} || {{{#green 29}}} || {{{#orange 40}}} || {{{#red 45}}} || ||<#FFFFD2> 노트 수 || {{{#blue 321}}} || {{{#green 373}}} || {{{#orange 640}}} || {{{#red 848}}}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15 어드벤처의 해금 이벤트 해금곡으로 이식되었다. 여기서도 EX 보면은 적은 노트수에도 1분 30초도 안 되는 짧은 곡 길이와 나선계단, 원핸드 배치 때문에 상당히 까다롭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민족적이라고나 할까 혈통에서 나오는 고양감을 중점으로 놓고 만든 곡입니다. 동남아시아의 음악은 테크노 등의 반복음악과 정말 상성이 좋아서 더욱이 가믈람 음계는 [[류큐]] 음계에 가까워서 우리들에게 친근감이 있습니다. - [[TOMOSUKE]], BEMANI MUSIC FOCUS 아티스트 코멘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150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FF0090 S}}}{{{#FFAA08 P}}}{{{#08AFDB E}}}{{{#FF0090 C}}}{{{#08AFDB I}}}{{{#FFAA08 A}}}{{{#08AFDB L}}} || || {{{#green 4}}} || {{{#orange 7}}} || {{{#red 10}}} || {{{#08AFDB 12}}} || || 오브젝트 || {{{#green 164}}} || {{{#orange 271}}} || {{{#red 471}}} || {{{#08AFDB 653}}} || || 수록버전 ||||||||<#F6EC01>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 || ||||||||||<#ffffff>{{{#FF0090 S}}}{{{#FFAA08 P}}}{{{#08AFDB E}}}{{{#FF0090 C}}}{{{#08AFDB I}}}{{{#FFAA08 A}}}{{{#08AFDB L}}} : 난이도 1 증가 (볼짜) || |||||||||| [[유구의 리플레시아|리플레시아]] 이후의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150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Magenta White Hard}}} || || {{{#green 6}}} || {{{#orange 9}}} || {{{#red 12}}} || {{{#Magenta 14}}} || || SKILL RATE || {{{#green }}} || {{{#orange }}} || {{{#red }}} || {{{#Magenta }}} || || 오브젝트 || {{{#green 164}}} || {{{#orange 271}}} || {{{#red 471}}} || {{{#Magenta 653}}} || || MAX COMBO || {{{#green 164}}} || {{{#orange 271}}} || {{{#red 498}}} || {{{#Magenta 653}}} || || JUST REFLEC || {{{#green 7}}} || {{{#orange 10}}} || {{{#red 13}}} || {{{#Magenta 19}}} || [youtube(8Tn1qaDtDLI)] HARD 양사이드 EXC+AJR 영상 [youtube(If9xgP_MRDQ)] WHITE HARD EXC+AJR 영상 [[BEMANI MUSIC FOCUS]] 제6회의 최종 해금곡으로 이식수록 되었다. 하드 보면의 경우 스페셜처럼 체인이 풀린다거나 박자를 꼬았다거나 하지는 않지만 빡빡한 밀도는 여전하기 때문에 까다로울 수 있다. 스페셜 보면 같은 경우엔 [[Vermilion|곡의 절반을 차지하는 무체인 폭타]] 사이에 탑노트가 끼어들어가서 손이 꼬이는데다 사람에 따라 알고도 치기 힘들 수 있는 중반의 [[ARACHNE]]와 유사한 3톱 한줄정박이나 버티컬 축연타 패턴 때문에 10+에서 중~상 정도로 넓은 범위의 체감난이도를 보여주는 개인차 곡이다. 후반부 버티컬 노트의 박자는 규칙적이긴 하나, 정박이 아닌 엇박이다. 덧붙여 이 박자는 beatmania THE FINAL 수록 어나더 보면의 동부분 스크래치 박자와 동일하므로 참조. 여담이지만 12레벨 중에서는 유일하게 [[WONDER WALKER|롱노트가 단 1개도 안 나온다.]] 종합적으로 [[天空の夜明け]]과 [[STELLAR WIND]]의 혼합판의 강화판이라고 볼 수 있겠다.[* BPM도 150으로 天空の夜明け과 동일.] [[분류:DanceDanceRevolution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15 ADVENTURE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