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GS)] ||<-2> {{{+1 '''GS리테일'''}}} [br] '''GS Retail''' || ||<-2> [[파일:GS리테일 로고.svg|width=50%]] || || '''기업명'''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br]GS Retail Co., Ltd.^^([[영어]])^^ || || '''설립일''' ||[[1971년]] [[2월 13일]] || || '''본사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508 ([[역삼동(강남구)|역삼동]]) || || '''상장유무''' ||상장기업 || ||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2011년]] ~ 현재) || || '''종목코드''' ||007070 || || '''업종명''' ||체인화 편의점 || || '''기업규모''' ||[[대기업]] || || '''대표이사''' ||허연수, 김호성 || || '''직원 수''' ||8,024명 ^^(2022년 3월 31일 기준.)^^ || || '''자본금''' ||1,047억 1,792만 2,000원 ^^(2021년 기준)^^ || || '''매출액''' ||연결: 9조 7,656억 9,533만 3,837원 ^^(2021)^^[br]별도: 9조 3,349억 8,691만 3,816원 ^^(2021)^^ || || '''영업이익''' ||연결: 2,084억 6,908만 4,873원 ^^(2021)^^[br]별도: 2,239억 5,277만 230원 ^^(2021)^^ || || '''순이익''' ||연결: 8,012억 7,555만 3,361원 ^^(2021)^^[br]별도: 8,492억 1,632만 7,484원 ^^(2021)^^ || || '''자산총액''' ||연결: 9조 4,559억 7,298만 2,478원 ^^(2021)^^[br]별도: 7조 6,789억 3,025만 4,664원 ^^(2021)^^ || || '''부채총액''' ||연결: 5조 415억 8,693만 7,987원 ^^(2021)^^[br]별도: 3조 5,676억 5,775만 2,579원 ^^(2021)^^ || || '''부채비율''' ||연결: '''114.21%''' ^^(2021년 기준)^^[br]별도: 86.78% ^^(2021년 기준)^^ || ||<|2> '''자회사''' ||[[GS네트웍스]] || ||{{{#!folding 그 외 자회사 목록 보기 후레쉬서브[br]GS넷비전[br]GS Retail Vietnam Co., Ltd.[br]PT.GS Retail Indonesia[br]파르나스호텔[br]피앤에쓰[br]어바웃펫[br]후레쉬미트[br]GS텔레서비스[br]텐바이텐[br]GSLL, Inc[br]퍼스프[br]레버런트-신한 비스타 신기술 투자조합[br]이지스제415호전문사모부동산투자신탁[br]쿠캣[br]{{{-2 (2021년 12월 31일 기준)}}}}}} || || '''관련 링크''' ||[[http://www.gsretail.com| [[파일:GS그룹 아이콘.svg|height=20px]] 공식 홈페이지]] || [목차][clearfix] == 개요 == [[GS|GS그룹]] 자회사이자 유통업체. 현재 국내 매출 1위[* 1위는 [[BGF리테일]]이 [[CU]]로 가져갔다.] [[편의점]] 브랜드인 [[GS25]], [[SSM]] 체인 [[GS THE FRESH]]를 운영하고 있다. [[홍콩]]의 [[드러그스토어]] 체인 [[왓슨스]]와 제휴하여 국내에 운영하기도 했으나, 왓슨스 홍콩 본사의 지분을 인수한 후 왓슨스코리아를 완전히 흡수합병하고 [[랄라블라]] 브랜드로 전환했다. [[케이뱅크]]의 주주사 중 하나다. 이 영향 때문인지 케이뱅크의 모든 [[체크카드]] 라인업은 [[팝카드|팝]] 체크카드로 나온다. == 역사 == 1971년 전기공사업체 금성전공으로 설립되어 1975년 경남 창원군 구룡광산을 인수해 광산업에도 손을 뻗었다. 같은 해 희성산업으로 사명 변경 후 1978년 전기공사업을 포기하고 [[금성사]]로부터 광고업무를 이관받았다. 1980년 럭키체인을 합병 후 유통업까지 확장했다. 1984년 광고사업부문을 LG애드로 분리시켰고, 희성제지도 합병했다. 1987년 푸드서비스 사업을 개시 후 1990년 편의점 'LG25'를 오픈했다. 1991년 LG유통으로 사명 변경 후 1992년 경기 안산에 'LG마키' 1호점을 오픈시키고 1994년 백화점사업부문을 분사해 'LG백화점'을 세웠다. 1996년 경기 고양시에 LG마트 1호점도 오픈시켰다. 1997년 제지사업 철수 후 마트사업을 [[LG상사]]로 넘겼고, 1998년 연쇄점까지 철수했다.[* 해당 사업부의 일부 직원들은 'CS유통'을 세웠는데, 2011년 [[롯데쇼핑]]에 매각되었다.] 1999년 LG레저를 합병한 후 2000년 푸드서비스부문을 '[[아워홈]]'으로 분사시켰으며[* 구인회 창업주의 3남인 [[구자학]] 가계 분가 목적이었다.] 2002년에 곤지암골프장 사업을 '곤지암레저'로, MRO 및 별정통신 등 3개 사업을 'LG MRO'로 각각 분할시킨 뒤, LG백화점 및 LG슈퍼센터를 합병했다. 2004년 신규지주사 GS홀딩스에 합류해 자회사 GS왓슨스를 세웠고, 2005년 계열분리 후 코오롱마트 점포들을 인수하며 현 명칭으로 변경했다. 2007년 미스터도넛 1호점을 열고 후레쉬서브를 세웠으며, 2010년 GS스퀘어 및 GS마트를 롯데스퀘어 및 롯데쇼핑에 각각 팔았다. 2015년 파르나스 호텔을 인수하고 2016년 3월부터 '''유어스'''를 PB상품 브랜드로 밀어 주고 있으나, [[GS THE FRESH]]에는 '''리얼 프라이스'''(구 [[1974]])라는 브랜드도 존재한다. 2017년 2월에 [[홍콩]] [[왓슨스]]와 50:50 합작 법인으로 운영되던 왓슨스코리아의 홍콩 본사 측 지분, 50% 전체를 인수해 완전 자회사화 시켰고, 그해 6월 1일에는 흡수합병(소규모합병)했다. 이에 따라 2017년 말부터 [[랄라블라]] 브랜드 전환 작업에 들어갔다. 2021년 5월 12일, [[MSCI 지수|MSCI 코리아 지수]]에서 퇴출되었지만[[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5125154i|#]], 7월 [[GS SHOP]]을 합병하였다. 다만 같은 해 손가락 남혐 논란에 대응하여 성차별 논란에 휩싸였으며, BBC에도 성차별 하는 기업으로 언급된 바가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690230?sid=104|#]]) 2021년 8월 13일 GS리테일과 사모펀드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 '퍼미라'가 구성한 컨소시엄이 [[요기요]] 운영사인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의 지분 100%를 인수하면서 요기요 서비스 역시 운영을 하게 될 예정이다. == 지배구조 == 2023년 4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GS]] || 57.90%||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국민연금공단]] || 9.95%||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자기주식]] || 2.42%|| == 역대 임원 == * 명예회장 * 허신구 (2004~2017) * 부회장 * 구자두 (1988~1998) * 대표이사 부회장 * 강말길 (2002~2003) * 허승조 (2008~2015) * 허연수 (2020~ ) * 대표이사 사장 * 김용승 (1971~1975) * [[구두회]] (1975~1976) * 이재연 (1976~1978) * 이헌조 (1978~1983) * 이정기 (1983~1988) * 구자윤 (1988~1990) * 하태봉 (1990~1995) * 강말길 (1995~2002) * 허승조 (2002~2008) * 허연수 (2015~2019) * 김호성 (2021~ ) == 역대 로고 == || 금성전공 || 희성산업 || [[파일:LG유통.png|width=100%]] || [[파일:LG 로고(1995-2015).svg|width=100%]] || [[파일:GS리테일 로고.svg|width=100%]] || || {{{#white '''1971년'''}}} || {{{#white '''1975년'''}}} || {{{#white '''1991년'''}}} || {{{#white '''1995년'''}}} || {{{#white '''2005년 ~ 현재'''}}} || == 사업 현황 == 각 문서 참고. === 현재 사업 영역 === * [[GS25]] * [[GS SHOP]] * [[GS THE FRESH]] * GS Fresh Mall * 파르나스호텔 * [[요기요]] - 운영사인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 지분 100% 매입. === 과거 사업 영역 === * LG수퍼렛: 구 럭키연쇄점-럭키수퍼렛. 점포들은 1997년 사업 철수 후 CS유통[* 2011년 롯데쇼핑에 매각되었다.]으로 넘어갔다. * [[아워홈]]: 1997년에 런칭한 급식브랜드로, 2000년 독립법인으로 분사되었다. * [[GS마트]]: 2010년 롯데쇼핑에 매각되었다. * GS스퀘어: 2010년 신규 특수목적법인 롯데스퀘어[* 2012년 롯데쇼핑으로 합병되었다.]에 매각되어 브랜드명이 '롯데백화점'으로 통일됐다. * [[미스터 도넛]]: 2014년 7월 (주)SDK2에 사업권이 매각됐다. * [[랄라블라]] - [[드러그스토어]]. 구 왓슨스 == 사건 사고 == === 납품업체 상대 [[갑질]]로 과징금 54억 === GS수퍼마켓을 운영하는 GS리테일이 한우 납품업자에게 줄 대금을 5%씩 떼어먹고, 납품업체를 상대로 각종 '갑질'을 해 54억원에 달하는 과징금을 물게 되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GS리테일의 대규모유통업법 위반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과징금 53억 9,700만원을 부과한다고 2021년 4월 14일 밝혔다. 이는 [[SSM]] 업체가 받은 과징금 중 역대 최고액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329319|#]]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GS25, version=999, paragraph=6.6)] === [[GS25 남성혐오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S25 남성혐오 논란)] === 하청업체들로부터 356억원의 불법이익 수수 논란 === [[https://www.spo.go.kr/preview/skin/doc.html?fn=5dacb326-3441-446f-b9d9-2c26c92dc4df.pdf&rs=/preview/result/board/1403/|230727_보도자료(신선식품_하청업체들로부터_356억원의_불법이익_수수한_국내_최대_편의점_운영사_기소)-서울중앙지검.pdf]] 2016년 11월부터 2022년 4월 사이 도시락, 김밥 등을 제조하는 9개 신선식품 생산업체로부터 성과장려금 87억3400만 원, 판촉비 201억5300만 원, 정보제공료 66억7200만 원 등 총 356억 원 상당의 부당한 경제적 이득을 수취한 혐의로 법인과 전 대표가 기소되었다. [[https://www.lawtimes.co.kr/news/189790|검찰, '하청업체 갑질·350억 부당이득 혐의' GS리테일 기소]] ==== 1심 [[서울중앙지방법원]] ==== * 사건번호 : 서울중앙지방법원 2023고단?? * 재판부: 서울중앙지법 형사5단독 박병곤 판사 재판이 서울중앙지법 형사5단독 재판부에 배당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297112?sid=101|#]] == 참고 문헌 == * [[https://nl.go.kr/NL/contents/search.do?srchTarget=total&pageNum=1&pageSize=10&kwd=Lg%EC%9C%A0%ED%86%B5#viewKey=341350&viewType=AH1&category=%EB%8F%84%EC%84%9C&pageIdx=1|LG유통 25년사: 1971~1996]] [[분류:GS리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