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https://www.gns3.com/| 홈페이지]] == 개요 == '''Graphical Network Simulator'''의 약자. 이름의 맞게 [[GUI]]를 가지고 있으며 제러미 그로스먼(Jeremy Grossman)이 개발했다. 제작언어는 [[Python]]이다. 2008년부터 세상에 선보였고 결과는 엄청났다. 가상 디바이스 를 이용하여 매우 복잡한 네트워크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는 크나큰 장점이 있고 이를 자기가 가상 컴퓨터를 돌리든지 하여 자기가 직접 서버를 구성하고 연결하고 작업을 한다는 매력적인 기능 덕분에 ~~CPU 도 그만큼 잡아먹겠지~~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하면 대표격인 프로그램이다. 2015년에 1,100만 번 다운로드 되었다. == 단점 == 장점이 많지만 기능이 많아지면 시스템 자원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 [[CPU]] 사용량이 극악이다. 시스코 IOS 이미지를 [[https://en.wikipedia.org/wiki/Dynamips|Dynamips]]라는 기술로 돌리는데, 실제 디바이스와 가상 디바이스가 같은 용량의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CPU와 메모리 사용량이 많다. 특히 램은 최소한 8GB는 되어야하며, 제대로 공부하려면 16GB는 필요하다. 실사용 시 최적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라우터 하나 당 i7급 CPU 자원을 10‰ 이상 잡아먹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시뮬레이션 할 장비를 대여섯 개밖에 꺼내놓지 못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꼭 idle pc value를 할당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초심자에게 GNS3 사용의 첫번째 난관이 된다. 이후엔 여러 대의 라우터를 돌려도 총 점유율 10~20% 근처에서 안정화된 CPU 사용량을 볼 수 있다. 이후 IOU(Cisco IOS on UNIX)가 도입되어서 시스템 자원을 갉아먹는 현상은 극적으로 줄어들었다. [[분류:네트워크]][[분류:소프트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