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레코드c.jpg|width=700]] || ||<#0771d8> '''{{{#fff 최초 적용 차량인}}} [[오펠 레코드|{{{#000 오펠 레코드 C}}}]]''' || '''G'''eneral '''M'''otors '''V-Platform''' [목차] == 개요 == GM V-바디 플랫폼은 [[제너럴 모터스]]가 개발한 자동차 플랫폼으로, 1966년에 개발한 [[FR(자동차)|후륜구동]]형과, 1987년에 개발된 [[FF(자동차)|전륜구동]]형이 있다. == 후륜구동형 == 1966년에 개발된 유럽형 [[FR(자동차)|후륜구동]] 플랫폼이다. 중형급부터 대형급의 승용차에 적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도 따라 가공하거나, 연식 따라 새로 개발하는 차체를 플랫폼 규격에 맞춰 개발한 셈이다. 유럽과 호주에서는 준대형 및 대형차 플랫폼으로 썼다. === 유럽(오펠) (1966~2003, 총 37년 사용) === ||[[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opel_rekord_sedan_4.jpg|width=100%]]||[[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opel_rekord_20.jpg|width=100%]]||[[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opel_rekord_15_.jpg|width=100%]]|| || [[오펠 레코드]] C || [[오펠 레코드]] D || [[오펠 레코드]] E || ||[[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opel_senator_2.jpg|width=100%]]||[[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opel_senator_26.jpg|width=100%]]|| || [[오펠 제나토어]] A || [[오펠 제나토어]] B || ||[[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opel_omega_59.jpg|width=100%]]||[[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opel_omega_54.jpg|width=100%]]|| || [[오펠 오메가]] A. 개중엔 [[로터스(자동차)|로터스]][* 이 시기에는 제너럴 모터스와 협력관계이었다. 지금은 말레이시아 국영 기업인 프로톤이 인수해서 혼란을 겪고 있지만.]에서 튜닝한 버전도 있다.[* 당시 오펠 로터스 오메가 라는 이름으로 팔렸으며 영국에서 복스홀 브랜드로 리뱃지될땐 복스홀 로터스 칼튼이라고 했는데 과거 BBC 탑기어도 이 차를 취재한 바 있었다. 세단이면서도 스포츠카 성능을 내는지라 벤츠의 AMG버전 세단이나 BMW의 M버전 세단들을 생각하면 되겠다.] || [[오펠 오메가]] B/[[캐딜락 카테라]] || 1966년에 개발된 후륜구동 V-바디 플랫폼은 1967년에 나온 [[오펠 레코드]](레코르트) 3세대인 레코르트 C에서 먼저 이용되었다. 레코르트를 기반으로 한 6기통 제원인 오펠 코모도어도 3세대에 걸쳐서, 대형차인 [[오펠 제나토어]]도 2세대에 걸쳐서 들어갔다. 이후 레코르트 D형과 E형도 계속 사용했으며, 레코르트 후속인 [[오펠 오메가|오메가]]도 2세대에 걸쳐서 2003년까지 이용했다. 또한 오메가 B 뱃지 엔지니어링 버전인 [[캐딜락 카테라]]도 사용했다.[* 다만 카테라는 시망... 자세한 건 [[캐딜락 카테라]]를 참고하자.] 따라서 유럽에서는 '''1966년부터 2003년까지 총 37년간''' [[오펠]]의 중/대형 승용차 개발에 이용되었다. === 호주(홀덴) (1978~2007, 총 29년 사용) === ||[[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holden_vb_commodore_2.jpg|width=100%]]||[[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holden_vn_commodore_2.jpg|width=100%]]||[[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holden_vy_commodore_executive_2.jpg|width=100%]]|| || [[홀덴 코모도어]] 1세대, VB형 || [[홀덴 코모도어]] 2세대, VN형 || [[홀덴 코모도어]] 3세대, VY형 || ||[[파일:attachment/대우 로얄/hsv_sv90_1.jpg|width=100%]]||[[파일:holwl1.jpg|width=100%]]|| || [[홀덴 카프리스|홀덴 스테이츠맨/카프리스]] 1세대, HSV SV90 모델 || [[홀덴 카프리스|홀덴 스테이츠맨/카프리스]] 2세대, WL형 || 호주에서는 1978년에 [[홀덴 코모도어]]부터 이용했으며, 1989년에 나온 대형차인 [[홀덴 카프리스|스테이츠맨/카프리스]]도 이 플랫폼이 깔렸고 2007년까지 이용했다. 또한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생산한 [[홀덴 모나로]]도 들어갔고, 모나로가 미국으로 건너가서 [[폰티악 GTO]] 4세대 모델이 되었다. 따라서 호주에서는 '''1978년부터 2007년까지 총 29년 동안''' [[홀덴]]의 중/대형 승용차 개발에 이용되었다. === 대한민국(대우) (1972~1999, 2005~2006, 총 28년 사용) === ||[[파일:attachment/대우 임페리얼/autowp_ru_daewoo_imperial_3.jpg|width=100%]]||[[파일:uDBfSKI.jpg|width=100%]]|| || [[대우 임페리얼]] || [[대우 프린스]] || ||[[파일:attachment/대우 로얄/autowp_ru_daewoo_royale_salon_1.jpg|width=100%]]||[[파일:GM대우 스테이츠맨.jpg|width=100%]]|| || [[대우 로얄|새한 레코드 로얄]] || [[GM대우 스테이츠맨]] || 대한민국은 [[대우자동차]]에서 한동안 오래 쓰였다. '''[[대우 로얄]] 모든 라인업'''에 깔렸고, 잠시 생산된 로얄 시리즈 최상위급인 [[대우 임페리얼]]도 활용했다. 이후 로얄 프린스 마이너체인지 [[대우 프린스]]와, 수퍼 살롱 마이너체인지 [[대우 브로엄]]에 이어져 장장 '''1972년부터 1999년까지 총 27년을 쓰이게 되었다.'''[* 비슷한 사례로 [[현대자동차]]가 쓴 [[포드 코티나]] 플랫폼이 있는데, 1971년에 뉴 코티나가 국내에 나온 이래 코티나 마크 IV, 코티나 마크 V로 2차례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것도 모자라 1983년에 나온 [[현대 스텔라]]도 그 플랫폼이 답습하면서 1997년까지 생산, 26년간 장수했다.] [[대우 레간자]]부터 [[GM대우 토스카]]까지는 전륜구동형인 [[대우 V 플랫폼]]을 쓰게 되었으며, 사명이 [[GM대우]]로 바뀐 후 [[GM대우 스테이츠맨|스테이츠맨]]이 출시돼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쓰이게 되었다. === 미국 (캐딜락, 폰티악) (1997~2001, 2004~2006, 총 6년 사용) === ||[[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cadillac_catera_3.jpg|width=100%]]||[[파일:폰티악 GTO 4세대.jpg|width=100%]]|| || [[캐딜락 카테라]] || [[폰티악 GTO]] || 미국은 다른 지역에 비하면 짧게 사용되었다. 1997년에 캐딜락에서 [[오펠 오메가]]를 [[뱃지 엔지니어링]] 해서 들여온 [[캐딜락 카테라]]를 출시했으나 저조한 판매량으로 인해 2001년 단종된다. 그 후 [[폰티악 GTO]]에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되었다. === 결론: 장수만세 플랫폼 === 후륜구동 GM V-플랫폼은 1966년부터 2007년까지 [[오펠]], [[홀덴]], [[대우자동차]]를 비롯한 [[제너럴 모터스]] 주요 [[FR(자동차)|FR]] 차종에 쓰였다. 그리고 '''40년 동안 [[대한민국]], [[유럽]], [[호주]], [[미국]] 4대륙을 달린 진정한 [[장수만세]]''' 플랫폼이다. --물론 '''1926년부터 1996년까지 70년'''을 우려먹은 미국산 [[GM B-플랫폼|B-바디]] 앞에서는 한 수 접어야 하지만-- 다음 타자는 같은 후륜구동 기반인 GM 제타(Zeta) 플랫폼인데 이 플랫폼으로 제작된 신형 [[홀덴 카프리스|홀덴 카프리스/스테이츠맨]]은 GM대우에서 [[GM대우 베리타스|베리타스]]로 들여왔었다. --그리고는 스테이츠맨과 같이 망했다.-- 여담으로 배기량이 가장 작은 차는 직렬 4기통 1,492cc(1.5L) 엔진이 들어간 [[오펠 레코드]] C와 [[대우 로얄]] XQ이고, 큰 차는 V8 5,967cc(6.0L) LS2/L76 엔진이 들어간 [[홀덴 코모도어]]와 [[홀덴 모나로|모나로]] VZ이다. [[http://en.wikipedia.org/wiki/GM_V_platform_(1966)|영문 위키백과]]에 후륜구동 V-플랫폼에 대해 자세하게 정리되어 있다. === 적용 차량 === * [[대우 로얄]] 시리즈 모든 라인업 * [[대우 임페리얼]] * [[대우 프린스]] * [[대우 브로엄]] * [[GM대우 스테이츠맨]](홀덴 WL형 스테이츠맨/카프리스) * [[오펠 레코드]] C/D/E 및 오펠 코모도어 A/B/C * [[오펠 제나토어]] * [[오펠 오메가]] * [[캐딜락 카테라]] * [[홀덴 코모도어]] 1~3세대 * [[홀덴 카프리스|홀덴 스테이츠맨/카프리스]] 1~2세대 * [[홀덴 모나로]] * [[폰티악 GTO]] 4세대(홀덴 모나로 리뱃징) == 전륜구동형 == 이쪽은 1987년에 개발된 플랫폼으로, [[GM E 플랫폼|E-바디]] 플랫폼을 줄인 형태이다. [[캐딜락 알랑테]]에만 적용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너럴 모터스의 플랫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대우 로얄,version=230)] [[분류:제너럴 모터스/플랫폼]][[분류:대우자동차/플랫폼]][[분류:1966년 출시]][[분류:2007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