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Garden International School Kuala Lumpur의 약자 GIS, rd1=Garden International School Kuala Lumpur)] [목차] == 개요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인간생활에 필요한 지리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으로 한국어로는 [[지리 정보 체계]]라고 한다. [[정보시스템]]이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반 과정으로서 정보를 수집, 관측, 측정하고 [[컴퓨터]]에 입력하여 저장, 관리하며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GIS는 지리적 위치를 갖고 있는 대상에 대한 위치자료(spatial data)와 속성자료(attribute data), 시간자료(temporal data)를 통합·관리하여 [[지도]], 도표 및 [[그림]]들과 같은 여러 형태의 정보를 제공한다. 즉, GIS란 넓은 의미에서 인간의 의사결정능력 지원에 필요한 지리정보의 관측과 수집에서부터 보존과 분석, 출력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조작을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 역사 == GIS의 역사의 시작은 주제도(Thematic Mapping)의 제작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854년 영국의 [[존 스노우]] 교수가 만든 런던 [[콜레라]] 사망자 수 지도가 그 예이다[* 지도에 각 사망자의 주거위치를 표시해 특정 지역에 사망자들이 몰려있는 것을 파악, 콜레라 전염의 원인이 한 우물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주제도는 지도에 특정 정보를 표시함으로서, 특정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GIS의 조상 격으로 볼 수 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컴퓨터 기술이 발달되자, 컴퓨터를 이용한 모델링과 공간분석이 가능해졌다. 1963년에는 캐나다 정부 산하 연구기관의 로저 톰린슨 박사의 주도로 세계 최초의 전산화 GIS[* 엄밀히 따지면 GIS 자체가 컴퓨터 기반을 전제로 하는 분야인 만큼 그냥 최초의 GIS라고 해도 상관없다.]인 '캐나다 GIS(Canad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가 구축되었는데, 북쪽의 동토를 제외한 [[캐나다]] 전역의 토지를 7가지 등급으로 나눠 수집, 관리, 분석하는 시스템이었다[* 이 시스템의 결과물이 CLI (Canada Land Inventory). 말 그대로 캐나다 땅 목록]. 이 덕분에 토지 관련 법이 체계적으로 제정될 수 있었고 토지 자원 또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컴퓨터의 본격적 보급으로 대학교에서 GIS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GIS는 자원, 환경, 공공시설 관리 등의 분야에 중점적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1972년 발사된 LANDSAT 1 위성은 GIS 데이터 획득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LANDSAT 9 가 현지시각 2021년 9월 21일에 발사되었다. LANDSAT 프로그램의 취지는 수집되는 데이터의 일관성이기에 LANDSAT 1 에 달려있던 센서처럼 LANDSAT 9 도 RGB 30m 해상도 센서를 탑재했다. 군사/첩보 위성들 중 cm급 해상도를 자랑하는 센서들이 수두룩한 것과는 정반대. 물론 필요에 따라 특정 지역만 고해상도로 촬영하는 군사 위성들에 비해 LANDSAT 은 지구 표면을 16일마다 통째로 촬영하기에 30m도 절대 낮은 해상도는 아니다. [[https://earthexplorer.usgs.gov/|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무료로 배포하는 것도 큰 장점.]]]. 이후 [[PC]]의 확산으로 GIS는 대중화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GIS 서버의 등장으로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해서도 GIS 분석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의 GIS의 목적은 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있었으나, 현재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으로 관점이 전환되었다. == 활용 == GIS는 인간의 현실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모든 자료를 취급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활용분야를 가지고 있다. GIS의 활용분야는 [[토지]], [[자원]], [[도시]], [[환경]], [[교통]], [[농업]], [[해양]] 및 국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전반에 걸쳐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상업용 드론이 개발됨에 따라 원하는 데이터가 없을 수도 있는 위성 사진이나, 비싼 금액 들여서 촬영 전용 비행기를 고용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싼 드론을 구매해 직접 촬영하는 비율도 늘었다[* [[DJI#s-3.3.2|DJI Mavic 2 Enterprise]] 같은 작지만 고성능 드론으로도 충분히 쓸만한 고해상도 사진을 찍는게 가능하다. 그러나 상업 모델은 상업 모델인지라 기본 악세사리 포함 이거 하나만으로도 천만원에 근접해서 개인이 구매하기엔...]. GIS를 사용하는 사람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바로 GIS 데이터의 열람자(Data Viewer)와, GIS 데이터 분석가 및 지도 제작자 (Data Editor), 그리고 GIS 플랫폼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전문가(Administrator/Developer) 집단이다[* 밖에 나가 직접 데이터를 수집, 수집후 쓸 수 있게 변환하는 작업도 GIS의 일환이다. 보통은 한두가지 업무에 집중하지만 자신이 근무하는 단체의 규모가 작을 경우 이 모든 작업을 혼자 도맡을 수도 있다.].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에서 개발한 엔진의 경우 서드파티(3rd party) GIS 엔진이며, 탄탄하면서도 개인에 중점을 뒀다. 다만, 기업에서 사용하기에는 무거우면서도 비용이 늘어나 국내 기업에서는 기업 중심의 GIS 엔진을 개발했다. [[현대오토에버]]의 경우 업무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능만 모아서, 단순한 형태의 GIS 정보를 시각화 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고 최적화한 HAE-GIS 엔진을 개발했다. HAE-GIS 엔진은 공간 내 좌표와 지도를 구성하고 운용하는 기능, 공간을 분석하는 기능, 인덱싱과 검색 등 업무에 필요한 기능을 갖췄다. === 예시 === * 숲 한가운데 있는 벌목장에서 근처 제재소로 자재를 수송해야할 때 가장 효율적인 길을 찾을 수 있다. 각종 초목, 고도차, 수송차량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토양 데이터를 조합해 최대한 고효율 길을 자동으로 찾을 수 있다. 각종 장애물로 인해 최단거리가 오히려 훨씬 비싸게 먹힐 경우가 흔하기 때문. * 50년간 축적된 위성 사진을 통해 특정 지역이 그 동안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어느 방향으로 뻗어갔는지 한눈에 보고 이해할 수 있다. 홍수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지역의 피해도 손쉽게 시각적으로 파악이 가능하다.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 구조 작업과 피해 복구 작업등을 보조하기 위해 세계 곳곳의 GIS 종사자들이 온라인으로 재능기부를 했다. * 프랜차이즈 회사가 새로운 매점 위치를 선정할 때 각종 데이터를 조합해 가장 좋은 위치를 선정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생각지도 못한 변수도 선정 단계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 소프트웨어 === ESRI사의 '''ArcGIS''' 가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Mapinfo의 MapX등이 있다. 오픈소스 GIS 프로그램으로는 '''QGIS''', '''GeoAPI''', '''UMN Mapserver''', 미 육군 공병대 건설기술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GRASS''' 등이 있다. [* QGIS를 깔면 GRASS가 함께 들어있다. 애초에 같은 곳에서 만든 것이니.] ==== ESRI ArcGIS ==== 사실상 업계 표준으로 일컬어지는 ArcGIS의 경우 사용이 쉽고 기능이 많으며, 유명세 덕에 웬만한 작업 중 생기는 질문이나 문제점은 ESRI 인터넷 커뮤니티에 이미 답이 나와있을 정도로 이슈 대응도 편하다. 또한 [[AutoCAD]] 등 다양한 타사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호환성이나 특수 파일 형식에 대해 공식 지원을 잘 해주고, 문제 해결이 안될 경우 이에 대한 고객지원도 잘해준다. 하지만 개인이 아닌 기업이나 정부, 대학의 경우 수천만원, 심하게는 억대에 달하는 라이센스, 복잡한 라이센스 관리, 심하면 몇년씩 끌고가는 버그들 등 단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심각한 버그일 경우 즉각 발표, 해결책이 나온다.] ===== ArcGIS Desktop ===== 마지막 공식 버전 v10.8.1. 고객 서포트는 2026년 3월 1일까지 지원한다고 한다. 버전에서 예측할 수 있듯 ESRI사의 역사 그 자체인 PC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수십년동안 꾸준히 업데이트 해오며 추가 업그레이드가 중지된 2022년에도 대부분의 유저들이 쓰는 소프트웨어인 만큼 GIS 분야의 원탑. 하지만 32-bit 인데다가 새로운 기능이 애드온 형식으로 계속 추가됨에 따라 엄청 무거운 소프트웨어가 되버렸고 밑의 동생에게 점유율을 뺏기는 중. 그만큼 에러도 자주 나는건 덤.[* GIS나 ESRI 관련 유머/밈도 전부 이 프로그램을 풍자하는게 현실.] 하지만 밑의 ArcGIS Pro보다 더 안정적인 기능들도 존재하기에 삭제하지 않고 둘다 같이 쓰는 유저들도 많이 남아있다. ===== ArcGIS Pro ===== 위 ArcGIS Desktop을 대체하기 위해 바닥부터 새로 짜여진 소프트웨어. 기존 ArcGIS Desktop이 여러 개별 프로그램을 묶은 패키지였지만 이건 한개의 프로그램으로 통합되었고, [[Python]] 2.x 를 쓰던 전작의 기능들도 전부 3.x 버전으로 포팅 되었다. 64-bit 지원 덕분에 크게 증가한 최적화와 [[Microsoft Office]]를 닮은 UI 디자인으로 인해 초보들이 입문하기 많이 쉬워졌다. ==== QGIS ==== [[https://qgis.org/ko/site/|QGIS 프로젝트 한국어 홈페이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유럽에선 ArcGIS만큼 많이 쓰인다. 별도의 기업용 라이센스도 없는 완전한 오픈소스라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국토교통부에서도 공공데이터를 배포할 때 설치 파일을 제공하고 있고, 현업에서도 단순 편집 등 기본적인 작업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만큼 일반인들도 자신의 컴퓨터에 이 소프트웨어를 돈 내지 않고 깔아서 독학할 수 있다. 특히 학교처럼 수많은 학생을 상대해야 하는 곳에서는 라이센스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ArcGIS와 QGIS를 병행 사용하거나 처음부터 QGIS만을 사용하는 곳이 늘고 있다. === 공간정보제공 플랫폼 === 지도 데이터, 위성 및 항공사진, 위치정보 등을 개방형으로 제공하는 플랫폼. 자주 사용하는 [[구글 지도]]나 [[구글 어스]], [[네이버 지도]] 및 [[카카오맵]]와 같은 것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내비게이션]] 역시 이러한 공간 정보 플랫폼의 예시로 볼 수 있다. == 기타 이슈 == GIS 데이터의 소유권을 두고 국가기관이 가져야 하는지 기업이 자율적으로 관리하게 두어야 하는지 논란이 있다. 이는 데이터를 공공재로 볼지, 아니면 특허권 및 저작권이 있는 상품으로 볼 지에 따라 갈린다. 또한 민감한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나,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보관하는 서버 하드웨어의 경우 실질적인 위치가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비용 문제로 캐나다 지자체 정부의 데이터베이스와 GIS 서버를 [[아마존 웹 서비스|AWS]]에 구축할 경우, 자국민의 세금 정보가 타국인 미국의 관할권에 들어간다.[* 최근에 서버의 위치를 고를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됐다.] == GIS 관련 학과 == 주로 [[지리학]], [[도시공학]], [[토목공학]], 측량학(지적학) 등의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다룬다. [[도시학과]], [[지리학과]], [[토목공학과]], [[지리교육과]] 등에서도 GIS를 다룬다. 학과뿐만 아니라, 교양/전문 과목으로 GIS 에 관련된 내용을 넣기도 한다. 최근엔 거의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분야 중에 하나로 자리잡았다. GIS에 특성화된 학과도 몇 개 있는데, 이들 학과의 이름에는 주로 공간정보나 GIS가 학과 이름에 들어가 있다. 다음은 GIS 특성화 학과의 목록이다. *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공학부 항공위성시스템전공 * [[경일대학교]] [[경일대학교#s-3.4|공과대학]] 공간정보공학과 *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남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s-2|공과대학]] 드론공간정보공학과 *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부동산지적GIS학과 *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상명대학교]] 공간환경학부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서울시립대학교/학부#s-3.8|공간정보공학과]] - 지적정보학과에서 출발한 곳으로, 측량이나 지적 관련 수업이 많은 곳이다. * [[세종대학교]]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 [[신성대학교]] 항공지리정보과 * [[신한대학교]] 토지행정학과[* 전공 필수 과목 중 GIS를 공부하는 과목이 있다.] * [[유원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인하대학교/학부#s-6.14|공간정보공학과]] - 국내 최초 공간정보 분야의 특성화학과 * [[인하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공학과 [[인하대학교/학부#s-8.3|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 * [[인하공업전문대학]] 지구환경공학부 전(항공지리정보과) 현 공간정보빅데이터과 - 22년도 3년제 변경 * [[전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분류:지리]][[분류:정보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