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G-포스: 기니피그 특공대 }}}''' (2009)[br]''G-Forc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포스_ 기니피그 특공대.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g-force poster.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SF, 스파이/첩보, 가족, 코미디, 액션 어드벤처}}}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호이트 예이트만}}}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맥 위벌리[br]마리안 위벌리[br]테드 엘리엇[br]테리 로시오[br]팀 퍼스}}}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제리 브룩하이머]]}}} || ||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샘 록웰]][br]트레이시 모건[br][[페넬로페 크루즈]][br][[존 패브로]][br][[니콜라스 케이지]][br][[스티브 부세미]][br][[빌 나이(배우)|빌 나이]][br][[윌 아넷]]}}}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보잔 바젤리}}}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크 골드블랫[br]제이슨 헬만}}}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트레버 래빈}}} || ||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데보라 에반스[br]램지 에이버리[br]찰스 다붑 쥬니어[br]다니엘 R. 제닝스[br]레슬리 E. 롤린스}}} || ||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엘렌 미로즈닉}}}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픽처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제리 브룩하이머|제리 브룩하이머 필름스]]}}}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한국 소니 픽쳐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한국 소니 픽쳐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9년]] [[7월 2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4월 22일]]}}}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0분}}} || ||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50,000,000}}} || ||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292,817,841}}} || ||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19,436,770}}}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40,161 명}}} || ||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https://www.disneyplus.com/ko-kr/movies/g-force/7mqyMYclm0Iw|▶]]}}}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width=4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ddd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디즈니]]에서 제작한 [[기니피그]]들을 주인공으로 한 2009년 영화이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AMUfDvAQeo)]}}}|| || '''예고편''' || == 시놉시스 == 하이테크 스파이 장비로 무장한 기니피그(몰모트)들을 주멤버로 구성한 미국정부 소속 G-포스 팀. 팀의 리더로 임무 수행의 사명감에 불타는 다윈을 중심으로, 난폭한 무기 전문가로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는 블래스터, 섹시한 무술 고수 후아레즈, 이들과 더불어 파리인 정찰 전문가 무크, 그리고 컴퓨터 및 정보 전문가인 두더지 스페클스까지 다양한 개성을 가진 멤버들로 구성된 G-포스 팀은 지구의 평화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 이번에 주어진 그들의 임무는 세계를 집어삼키려는 흉악한 억만장자 레오나드 세이버의 음모를 막는 것이다.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정부는 그들의 임무를 중단시키고, G-포스 멤버들은 애완동물 센터로 보내지는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하지만 이에 굴할 G-포스가 아니다. G-포스 5인조는 그곳에서 새로 사귄 친구들인 기니피그 헐리와 햄스터 벅키와 함께 애완동물 센터 탈출을 강행, 세계를 구하기 위한 모험에 다시 뛰어드는데..... == 줄거리 == 미국 [[FBI]] 산하의 비밀 특수 조직인 G-포스의 대원들은 팀 해체의 위기를 앞두고 세계적인 가전제품 업체의 회장 세이버의 집에 침투한다. 그곳에서 그들은 세이버사의 제품에 가전제품을 살인 병기로 전환하는 칩이 달려 있으며, 곧 원격으로 발동되어 사람들은 학살하려는 계획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경악한다. 이에 팀의 리더인 다윈 요원([[샘 록웰]])의 지휘 하에 블래스터(트레이시 모건), 후아레즈([[페넬로페 크루스]])와 정탐병인 파리 무치([[디 브래들리 베이커]]), 암호해독 전문가인 두더지 스페클스([[니콜라스 케이지]]) 등 위기에 닥친 지구의 운명을 등에 업은 G-포스 대원들이 목숨을 건 대 작전에 돌입한다. 하지만 정작 세이버의 저택에서 가져온 자료는 엉뚱한 것이었고, G-포스는 진짜로 해체. 블래스터 일행은 도살처분하려는 FBI의 눈을 피해 애완동물 가게로 도망쳐서 나중에 각자 탈출해 다시 합류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바깥으로 탈출하려던 스페클스가 쓰레기차에 들어가 분쇄기에 갈려 비참하게 죽는다. 어쨌든 우여곡절끝에 세이버의 음모를 알게 된 G-포스는 세이버의 집에 다시 침투하는데... [Include(틀:스포일러)] '''세이버는 흑막이 아니었다.''' 세이버는 그저 나쁜 의도 없이 좋은 의도로 일을 진행했다가 진짜 흑막인 '얀슈'에게 이용당한거였고, 진짜 흑막은 다름아닌 분쇄기에 갈려 죽은 줄 알았던 '''두더지 스페클스'''.[* 스페클스의 말에 의하면 얀슈(鼴鼠)는 중국어로 '''두더지'''라는 뜻이라고 한다.] 그는 어렸을 때 인간들에 의해 부모님이 도살당했으며, 그 때 부모님이 인간에게 복수를 하라고 신신당부했기에 이 일을 저질렀다고 말하고는 모든 인간을 박살내기 위해 거대 로봇을 움직인다. 하지만 다윈의 설득 끝에 스페클스는 마음을 고쳐먹고 로봇을 멈추려 하지만 자신조차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되자 이에 G-포스가 힘을 합쳐 로봇을 멈추면서 세계를 구하는데 성공한다. 에필로그에서 세이버사는 악성 칩을 제거하는 리콜을 실시하게 되고, 스페클스는 리콜 공장에서 칩을 하나하나 제거하는 일을 하며 회개한다. 그리고 G-포스를 체포하려 했던 FBI 요원은 남극 기지로 좌천된다. == 게임 == [[파일:gforcegame.jpg|width=300]] [youtube(LhmKQUOii80)] 공식 비디오 게임도 나왔다. 발매 플랫폼은 PC, [[PS2]], [[PS3]], [[Xbox 360]], [[Wii]], [[PSP]], [[NDS]]. PC를 비롯한 거치 콘솔 버전은 Eurocom, PSP와 NDS 버전은 Keen Games에서 제작하였다. PC판은 원래 패키지로만 발매되었으나 [[디즈니]]의 스팀 입점 이후로는 [[Steam|스팀]]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19170/Disney_GForce/|스토어 링크]] 세이버사의 계획을 알게 되고 저지하려는 전반적인 스토리는 그대로지만 세세한 부분들에서 다르다. 스페클스는 애완동물 가게에서 탈출에 성공하고, 영화에는 나오지 않은 생산 공장 등 새로운 장소들이 등장한다. 또한 마지막 장면에서 스페클스가 마음을 바꾸지 않으며, 결국 무치에 의해 기계가 비활성화되고 잔해 속에서 스페클스의 손이 튀어 나오면서 생존을 암시하는 것으로 끝난다. [[분류:월트 디즈니 픽처스]][[분류:2009년 영화]][[분류:미국의 SF 영화]][[분류:미국의 첩보 영화]][[분류:미국의 가족 영화]][[분류:미국의 코미디 영화]][[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미국의 모험 영화]][[분류:실사와 애니메이션이 혼합된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