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Fnatic/리그 오브 레전드)] [include(틀:Fnatic/리그 오브 레전드/역대 시즌)] ||<-5> '''{{{#fff Fnatic의 역대 시즌}}}''' || || 창단 ||<:> ← || {{{#fff '''2011 시즌'''}}} || →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2012 시즌|2012 시즌]] || [목차] [clearfix] == 개요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의 2011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 === 2011년 === ||<-7> '''{{{#fff Fnatic}}}'''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a9Z1rYXkAIAOsU.jpg|width=100%]]}}} || ||<-7> '''{{{#fff 로스터}}}'''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5]][br]'''{{{#ffffff TOP}}}''' ||<-3>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엔리케 세데뇨 마르티네스|엔리케 세데뇨 마르티네스 [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9e33; font-size: 1.0em" {{{#fff xPeke}}}}}}]] ||<-3>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브람 드 윈터 [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9e33; font-size: 1.0em" {{{#fff wewillfailer}}}}}}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5]][br]'''{{{#fff JGL}}}''' ||<-3> [[핀란드|[[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s-5.2|라우리 하포넨 [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9e33; font-size: 1.0em" {{{#fff Cyanide}}}}}}]] ||<-3>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5]][br]'''{{{#ffffff MID}}}''' ||<-3>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리그 오브 레전드/유명인/유럽#s-2.5|마셰 라투스냑 [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9e33; font-size: 1.0em" {{{#fff Shushei}}}}}}]] ||<-3>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5]][br]'''{{{#ffffff BOT}}}''' ||<-3>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리그 오브 레전드/유명인/유럽#s-2.6|마뉴엘 밀덴버거 [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9e33; font-size: 1.0em" {{{#fff LaMiaZeaLoT}}}}}}]] ||<-3>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5]][br]'''{{{#ffffff SPT}}}''' ||<-3>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피터 레이스미렐[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9e33; font-size: 1.0em" {{{#fff Mellisan}}}}}} ||<-3> || 이전 2011 IEM 월즈에서 우승을 차지했던 Myrevenger의 선수들이 결성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에서의 우승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역사를 통틀어 최초의 우승팀이자 [[로얄로더]] 달성 팀이며, [[EU 스타일]]을 창시하고 태동시킨 명실상부한 팀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이 당시엔 현 정글러의 갱킹을 담당하는 '로머'가 있었고 원거리 딜러를 단독으로 라인에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도타 등에서 캐리 영웅을 솔로 라인을 보내던 것에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Fnatic이 현재의 5포지션을 기반으로 한 EU 스타일로 시즌 1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면서 이것이 지금에 들어서는 여러 다변화가 이뤄졌으나 여전히 정석의 골자로써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분류:Fnatic/리그 오브 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