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J_KANE의 클래식 시리즈)] == 개요 == [[팝픈뮤직 peace]]의 수록곡. 작곡가는 Gaius lulius [[Akhuta]]ros[* 앞의 두 어절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같고 마지막은 [[https://twitter.com/akhutaros|아쿠타의 트위터 아이디]]와 같다.]라는 명의를 쓴 [[Akhuta]]. 제목은 라틴어로 '열두번째 축제'라는 뜻. 제목과 담당 캐릭터 등에서 미루어보아 실질적으로 기존 클래식 시리즈를 잇는 '''클래식 12''' 포지션의 곡이지만, 기존 클래식 시리즈 작곡가인 카네다 쥰이치로를 섭외하긴 힘들었는지 [[Akhuta]]가 편곡을 맡아 기존 클래식 시리즈와는 다른 느낌의 곡이 되었다. 엄밀히 따지면 정식 후속곡보다는 [[정신적 후속작]]에 가깝겠으나 이러니 저러니 해도 유저들 사이에서는 흔히 클래식12로 불린다. 가정용 13 카니발 전용 아케이드 미이식곡인 [[白鳥SAMBA ~サン=サーンス 動物の謝肉祭より]] 이후로 하마노프가 오랜만으로 담당 캐릭터로 등장했다. 곡 순서는 레퀴엠 중 [[Dies irae|진노의 날]] (베르디) - 기쁨의 섬 (드뷔시) - [[물의 유희]] (라벨) - 폴로베츠인의 춤 (보로딘) - 알레그로 바르바로 (바르톡) - 소나티네 제2악장 (라벨) - 치간느 (라벨). == [[팝픈뮤직]] == [include(틀:팝픈 타임트립)] |||||| [[파일:페스툼두오데찌뭄.png]] ||<#ffffd2> [[BPM]] || 70~200 || ||<#ffffd2> 곡명 |||||||| '''Festum Duodecimum!''' || ||<#ffffd2> 아티스트 명의 |||||||| [[BEMANI Sound Team]] "Gaius lulius [[Akhuta]]ros" || ||<#ffffd2> 담당 캐릭터 |||||||| HAMANOV[br][[하마노프]] || ||<#ffffd2> 수록된 버전 |||||||| [[팝픈뮤직 peace|pop'n music peace]] || ||<#ffffd2>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blue EASY}}} || {{{#green NORMAL}}} || {{{#orange HYPER}}} || {{{#red EX}}} || ||<#ffffd2> 50단계 || {{{#blue 11}}} || {{{#green 31}}} || {{{#orange 41}}} || {{{#red 49}}} || ||<#ffffd2> 노트 수 || {{{#blue 163(?)}}} || {{{#green 388(?)}}} || {{{#orange 771(?)}}} || {{{#red 1297(?)}}} || |BPM 변화|160 - 180 - 200 - 197 - 194 - 191 - 188 - 185 - 178 - 174 - 176 - 182 - 186 - 190 - 192 - 112 - 110 - 108 - 106 - 104 - 102 - 100 - 98 - 96 - 92 - 91 - 70 - 88 - 92 - 96 - 104 - 110 - 116 - 120 - 124 - 130 - 136 - 148 - 154 - 156 - 166 - 170 - 176 - 180 - 184 - 160 - 130 - 140 - 144 - 150 - 154 - 162 - 170 - 178 - 182 - 188 - 166 - 170 - 174 - 178 - 182 - 186 - 192 - 198 - 200 - 183 (총 65회.)|| === 채보 상세 === [youtube(Ohl-dNzxbTQ)] EX 패턴 영상 어레인지를 담당한 아티스트가 바뀐 만큼 기존 클래식 시리즈와는 제법 궤를 달리하는 패턴. 짠 판정과 아케이드에서 플레이할것을 고려하지 않은 기괴한 배치로 승부하던 기존 곡들과 달리 전반적으로 계단과 따닥이 연타를 중심으로 하는 지력 패턴에 가깝다. 노트수도 1025개를 넘어 변속만 제외하면 패턴은 일반 곡들과 비슷한 편. 변속 역시 기존처럼 곡 단위의 큰 폭의 변속을 통해 당황스럽게 만드는 대신, 서든을 켜고 끌 틈을 주지 않고 초단위로 계속해서 이루어지는 미세 변속을 통해 박자감을 혼란시키는 것이 주가 된다. 클리어의 가장 큰 고비는 역시 원곡의 변속을 그대로 가져온 후반부의 미세변속구간.[* 이 파트의 변속은 게임성을 위해 넣은게 아니라 실제 라벨의 치간느에서 존재하는 변속[[https://youtu.be/aZtduwiP30c|(8분 30초부터)]]이다. 악보에 Accel.(점점 빠르게)이 붙어있다.] 상당한 수준의 변속 장난질을 하는데다 이 이후에는 회복구간도 없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보더 아래로 떨어지면 클리어는 힘들다. 공개 이틀 째인 6월 7일 [[TATSU]]가 [[https://youtu.be/EchDSEwOqtQ|퍼펙트를 달성했다.]] [[분류:팝픈뮤직 peace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