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m0AFaM0oP0)]}}} || || {{{-1 '''수록 정보'''}}} ||{{{-1 [[DJMAX TECHNIKA Q]]}}} {{{-3 (2013)}}} || || {{{-1 '''장르'''}}} ||{{{-1 Tropical Jazz}}} || || {{{-1 '''BPM'''}}} ||{{{-1 188 ~ 264}}} || || {{{-1 '''작곡'''}}} ||{{{-1 [[Mycin.T|TerraMycin]]}}} || || {{{-1 '''BGA'''}}} ||{{{-1 [[DumpingLIFE]]}}} || == 개요 == 2013년 11월 21일 테크니카 Q 2차 업데이트를 통해 정식 공개된 테큐의 5번째 신곡으로, 그 존재 자체는 vneld 작곡의 [[별빛정원]]과 함께 2013년 11월 7일 1차 업데이트 직후 게임내에 잠시 업데이트 예정곡으로 등장함으로 인해 알려지게 되었다.[* 이때 공개된 예정곡들은 [[Fate(DJMAX)|Fate]], [[Brandnew Days]], [[Cherokee]], [[Desperado]], [[Ruti'n]], [[STOP]], [[Supersonic 2011]], [[별빛정원]], Festa Nova 이상 9곡으로, 다음날 패치를 통해 비공개 처리되어서 현재는 볼 수 없으며, 그중 Fate, Brandnew Days와 이 곡이 다음 업데이트에 등장하였다.] 작곡가인 TerraMycin이 최초로 [[DJMAX 시리즈]]에 투고한 플레이어블 곡으로, 해당 작곡가는 테크니카 Q의 시스템 음악인 Counter Q와 Electro-ade 또한 담당하였고 4년 후 [[DJMAX RESPECT]]부터 명의를 [[Mycin.T]]로 변경, 본격적으로 DJMAX 시리즈에 참가하게 되었다. BGA는 메트로 프로젝트 시절부터 DJMAX 시리즈의 그래픽 파트에 참여한 DumpingLIFE의 작품으로, 주로 모션그래픽을 담당했었으나 이 곡은 [[Silent Clarity]]처럼 그가 원화까지 담당한 케이스. 스토리는 형사[* 이 형사의 신발 밑창을 잘 보면 [[fuck|FXXK]]라고 쓰여 있으며, RESPECT V 시즌 9 클리어 패스 보상에서 밝혀지길 이름이 Kaiho라고 한다.]가 은행강도로 보이는 악당과 총격전을 벌이다가 악당이 날아서 도주하자 전투기를 호출하여 때려잡는(?) 내용으로 보인다. 때문에 페이데이를 연상시킨다는 의견이 있다. 후반에 등장하는 전투기와 미사일은 전작이라고 할 수 있는 [[Back to Life]]의 패러디.[* 잘 보면 전투기에 Back to Life라고 쓰여 있다.] == [[DJMAX TECHNIKA Q]] == ||<-4> [[DJMAX TECHNIKA Q]]의 뮤직팩 15 수록곡 || || [[Fate(DJMAX)|Fate]] || [[Brandnew Days]] || [[Fermion]] || '''Festa Nova''' || ||<-4> [[DJMAX TECHNIKA Q|{{{#7df12a '''DJMAX TECHNIKA Q'''}}}]] || || {{{#7df12a '''라인/난이도'''}}} || '''NM''' || '''{{{#white HD}}}''' || '''{{{#white EX}}}''' || || {{{#7df12a '''2 LINE'''}}} || 3 || 6 || 7 || || {{{#7df12a '''3 LINE'''}}} || 4 || 6 || '''8''' || [youtube(Yg2XWvl9O_0)] 3L EX 영상 곡의 BPM이 빠르고, 중반에 변속이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으로 이 변박과 키음 자체의 난해한 박자 때문에 판정 내기가 동레벨대의 다른 곡들에 비해 꽤 어려운 편이다. 변속에 따라 스크롤 속도 역시 변하는데, 2&3 라인 공통으로 노멀 패턴과 하드 패턴은 BPM만 느려질 뿐 4박 스크롤을 유지하는 반면, 익스퍼트 패턴의 경우는 이 부분이 2박 스크롤로 변해서 오히려 엄청나게 빨라지므로 대량 미스의 위험이 있다. 특히 노트가 작은 3라인의 경우, 스크롤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위치 미스가 나기 매우 쉽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TECHNIKA TUNE Q)]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sta Nova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deg, #FFFFFF 0%, #acacac 69%,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56deg, #808080 75%,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to top, #0ad900 100%, transparent 50%)" '''{{{#000 TECHNIKA T&Q}}}'''}}} || ||<-4>'''{{{+5 Festa Nova}}}'''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1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3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5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102}}}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2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2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6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204}}}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2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4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5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274}}}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3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90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30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376}}} || ||<-5> {{{#fff 특수 패턴}}} || || TB SP ||<-4> [[DJMAX RESPECT V/미션/DLC#s-11.2.6|Dark Abyss SET]]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64b48, #606462, #999999)" {{{-3 {{{#cfcfc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2022년 7월 26일 진행된 TUNE & Q 라이브 방송에서 제작진들이 대놓고 '''복병'''으로 등장할 것이라고 언급한 만큼 [[Black Swan(DJMAX)|Black Swan]]만큼이나 까다로운 변속을 갖고 있는 곡이다. 중반 변속 구간에서 BPM이 188에서 순간적으로 '''264'''까지 올라가 변속폭 자체도 상당히 높을 뿐만 아니라, 속도를 조절할 타이밍을 제공하는 다른 변속곡들[* [[NB Ranger : Nonstop Remix]], [[Misty Er'A]] 등.]과는 다르게 속도를 조절할 틈도 없이 갑자기 빨라지기 때문에 처리에 있어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또한 초반과 후반의 메인 멜로디가 박자를 읽기 힘든 엇박으로 진행되는데, 이것이 그대로 패턴에 반영되었다. MX나 SC와 같은 상위 난이도에선 그 엇박이 드럼 음과 합쳐져 [[즈레]]로 나타나는데, 변속과 더불어 퍼펙트 난이도를 한층 더 끌어올린다. 우선 변속의 폭이 크고, 퍼즈 시 피버가 끊기는 패치가 이루어진만큼 속도 조절 키를 자신에게 편한 위치에 할당해 플레이 도중에 속도를 바꿔주는 플레이가 권장된다. 50초 부근 롱노트가 등장하는 부분이 있는데,[* 5B SC의 경우 이 타이밍에 노트가 빈다.] 이 때 재빨리 속도를 낮춰주고, 이후 고속 파트가 끝나면 서서히 속도를 높이면서 원래 속도로 돌아오는 플레이를 권장한다. 다만 롱노트 부분이 길지는 않기에 감속이 편하도록 시작을 아예 기존 배속보다 낮게 해주는 것도 방법이고, 처리에 자신이 있다면 아예 처음부터 느리게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 않으며, 판정을 내기 힘든 극초반의 즈레 파트를 넘기고 나서 서서히 속도를 낮춰주는 것 또한 방법이다. 5버튼 SC는 사이드 키가 아예 등장하지 않고, 6버튼과 8버튼 SC는 사이드 키가 왼쪽에서만 등장한다. 이때문에 사이드 키든, 피버 버튼이든 각자 손가락이 비는 위치에 속도 조절 키를 할당해주면 된다. 상술된 변속의 특징 때문에, 시즌7 인포그래픽의 래더 매치 밴 순위에서 [[Marry me, Nightmare]]를 제치고 새로운 1위가 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9McCrgVe5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G0G3VgOki0)]}}}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yCQvGoUc7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j1EwPctOTM)]}}} || 4B SC는 1-23-4 등 저레벨 러너가 실수하기 쉬운 패턴이 즈레로 나온다. 가속 구간 직전은 빅장 롱노트로 잠시 쉬는 구간이 있기 때문에 배속 컨트롤에 익숙하다면 여기서 감속하면 된다. 레벨 자체는 8이고 패턴도 아주 어렵다고는 볼 수 없지만 4B SC 난이도는 변속곡이 그다지 많지 않다는 점에서 변속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나마 같은 8레벨에 배속 컨트롤, 패턴 구성 모두 더 쉬운 변속곡인 [[Fentanest]]이 존재해 연습곡 역할을 해 줄수는 있다. 개인차를 배제한 체감 난이도는 9레벨 상~최상위권 정도로 평가받으나 개인차가 끝도 없는 변속곡 특성상 상승~하향폭 차이가 훨씬 크게 날 수 있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9oU3_eIlI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NWszmxn870)]}}}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LjS_mL1W0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sicLuJtJg)]}}} || 5B SC는 가속 직전 몇 초는 노트가 아예 안 나오고 가속 구간 끝에도 아주 조금씩 쉬는 구간을 준다. 배속 컨트롤에 익숙하다면 어떻게든 배속을 낮춰서 넘어갈 수 있으나 그게 힘들다면 [[Royal Clown]]이나 4, 6B에 있는 [[Fentanest]] 등 배속 컨트롤이 쉬운 곡으로 연습해보는 수밖에 없다. 패턴 구성 면에서는 3/3 가변 요소가 적고 사이드 트랙이 아예 나오지 않는다. 변속의 폭이 매우 크고 8이라는 중저레벨이라는 걸 감안해 패턴 난이도를 상당히 낮춘 것으로 보이나 저레벨 러너는 변속곡 자체가 큰 벽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유저들의 평가는 불렙.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Xn8molpzJ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uABH8Ad6-o)]}}}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lLVWNb_2y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mpdzMRyYzE)]}}} || 변속이 까다로운 것과는 별개로 6B SC의 경우 패턴 난이도만 떼놓고 보면 12는 아니라는 의견이 많다. 물론 당연하게도 변속이 난이도에 영향을 끼쳤겠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12치고는 쉽다는 평.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0Fn82Z4IP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tWoG_TjluE)]}}}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EhlzwnItn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dD6fSK3Juw)]}}} || 8B SC는 [[Black Swan]]과 같은 레벨인 13으로 등장했다. Black Swan이 변속을 제외한 패턴 자체의 난이도는 13레벨에 미치지 못하는 것과 다르게, 이 곡은 중반부 변속이 없어도 SC 13에 위치할 정도로 패턴 자체가 상당히 까다롭다. 특히 고속 구간이 끝나고 등장하는 동시치기 구간이 최고 난관으로 꼽힌다. 그나마 하프 랜덤을 걸면 난이도를 좀 줄일 수 있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