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10101,#010101 '''{{{+1 Fate/Grand Order -절대마수전선 바빌로니아-}}}''' (2019~2020)[br]Fate/Grand Order -絶対魔獣戦線バビロニア-}}}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페그오7장_애니키비주얼2(수정본).jpg|width=100%]]}}} || ||<-2> {{{#010101,#01010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쿨 키 비주얼 ▼ [[파일:페그오7장_애니2쿨키비주얼.jpg|width=100%]]}}}}}}}}} || ||<-2> {{{#010101,#01010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010101,#010101 장르}}}''' ||[[판타지]] || || '''{{{#010101,#010101 원작}}}''' ||[[나스 키노코]] / [[TYPE-MOON]] || || '''{{{#010101,#010101 리드 캐릭터 디자이너}}}''' ||[[타케우치 타카시]] || || '''{{{#010101,#010101 감독}}}''' ||[[아카이 토시후미]] || || '''{{{#010101,#010101 부감독}}}''' ||[[쿠로키 미유키]] || || '''{{{#010101,#010101 캐릭터 디자인}}}''' ||[[타카세 토모아키]] || || '''{{{#010101,#010101 서브 캐릭터 디자인}}}''' ||[[이와사키 쇼타]] || || '''{{{#010101,#010101 총 작화감독}}}''' ||타카세 토모아키[br][[오카 유이치]] || || '''{{{#010101,#010101 크리처 디자인}}}''' ||[[코노 메구미]] || || '''{{{#010101,#010101 프롭 디자인}}}''' ||미치시타 코타(道下康太) || || '''{{{#010101,#010101 디자인 웍스}}}''' ||미치시타 코타[br]타키야마 마사아키(滝山真哲) || || '''{{{#010101,#010101 액션 디렉터}}}''' ||[[코노 메구미]][br][[오오시마 토야]][br][[하야시 이사오]] || || '''{{{#010101,#010101 테크니컬 디렉터}}}''' ||[[미야하라 요헤이]] || || '''{{{#010101,#010101 미술 감독}}}''' ||우스이 히사요(薄井久代)[br]히라야나기 사토루(平柳 悟) || || '''{{{#010101,#010101 미술 설정}}}''' ||시오자와 요시노리(塩澤良憲) || || '''{{{#010101,#010101 색채 설계}}}''' ||나카시마 카즈코(中島和子) || || '''{{{#010101,#010101 촬영 감독}}}''' ||[[사쿠마 유야]] || || '''{{{#010101,#010101 3D CGI}}}''' ||GEMBA || || '''{{{#010101,#010101 3D 디렉터}}}''' ||에가와 히사시(江川久志)[br]시노자키 토오루(篠崎 亨) || || '''{{{#010101,#010101 모니터 그래픽 디자이너}}}''' ||세키 카오리(関 香織) || || '''{{{#010101,#010101 편집}}}''' ||미시마 아키노리(三嶋章紀) || || '''{{{#010101,#010101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 || '''{{{#010101,#010101 음악}}}''' ||하가 케이타(芳賀敬太)[br]카와사키 료(川崎 龍) || || '''{{{#010101,#010101 제작총괄}}}''' ||시미즈 히로유키(清水博之)[br]시미즈 아키라(清水 暁) || || '''{{{#010101,#010101 프로듀서}}}''' ||쿠로사키 시즈카(黒﨑静佳) || || '''{{{#010101,#010101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후쿠시마 유이치]] || || '''{{{#010101,#010101 애니메이션 제작}}}''' ||[[CloverWorks]] || || '''{{{#010101,#010101 제작}}}''' ||[[애니플렉스]][br][[TYPE-MOON|노츠]][br][[DELiGHTWORKS]] || || '''{{{#010101,#010101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9년 7월|2019. 08. 04.]]^^0화^^[br][[애니메이션/2019년 10월|2019. 10. 05.]] ~ 2020. 03. 21.^^TVA^^ || || '''{{{#010101,#01010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토) 23: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8월 12일에 0화를 방송하면서 방영이 확정되었다.] / (월) 23:00 || || '''{{{#010101,#010101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aniplustv.com/items/2192|▶]][br][[Laftel]] [[https://laftel.net/item/39429|▶]][br][[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title/81186100|▶]][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358776|▶]] || || '''{{{#010101,#010101 편당 러닝타임}}}''' ||24분 || || '''{{{#010101,#010101 화수}}}''' ||0화 + 전21화 || || '''{{{#010101,#010101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폭력성, 주제)}}}}}} || || '''{{{#010101,#010101 관련 사이트}}}''' ||[[https://anime.fate-go.jp/ep7-tv/|[[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FGOAP_ep7)]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Fate Grand Order 절대마수전선 바빌로니아.png]] [[Fate/Grand Order/애니메이션|Fate/Grand Order 애니메이션]]의 [[TVA]]. [[Fate/Grand Order/스토리/바빌로니아|메인 스토리의 제7특이점]]을 다룬다. [[애니메이션/2019년 10월|2019년 10월]]부터 2쿨 분량으로 방영되었다. 감독은 [[아카이 토시후미]]. [[Fate/Grand Order]]의 세 번째 영상화이자 첫 번째 TVA 시리즈 작품이다. 3월 21일. 최종화인 21화의 엔딩 직후, 후속작인 [[Fate/Grand Order -종국특이점 관위시간신전 솔로몬-]]을 위한 내용이 추가되었으며, 본작의 제작 스태프가 그대로 이어서 제작한다. == 등장인물 == ## 정식 방영 이전까진 설정화 및 PV를 통해 공개된 캐릭터만 작성할 것. === [[인리계속보장기관 피니스 칼데아]] === * '''[[후지마루 리츠카]]''' {{{-1 - 성우: [[시마자키 노부나가]]}}} * '''[[마슈 키리에라이트]]''' {{{-1 - 성우: [[타카하시 리에]]}}} * '''[[포우]]''' {{{-1 - 성우: [[카와스미 아야코]]}}} * '''[[로마니 아키만]]''' {{{-1 - 성우: [[스즈무라 켄이치]]}}} * '''[[레오나르도 다 빈치(Fate 시리즈)|레오나르도 다 빈치]]''' {{{-1 - 성우: [[사카모토 마아야]]}}} * '''[[징글 아벨 뫼니에르]]''' {{{-1 - 성우: [[지조도 타케히로]]}}} * '''실비아''' {{{-1 - 성우: [[호카제 치하루]]}}} * '''더스턴''' {{{-1 - 성우: [[후지이 하야토]]}}} * '''[[마리스빌리 아니무스피어]]''' {{{-1 - 성우: [[노지마 켄지]]}}} * '''[[올가마리 아니무스피어]]''' {{{-1 - 성우: [[요네자와 마도카]]}}} * '''[[레프 라이놀]]''' {{{-1 - 성우: [[스기타 토모카즈]]}}} === [[우루크]] === * '''[[길가메시(Fate/Grand Order)|길가메시]]''' {{{-1 - 성우: [[세키 토모카즈]]}}} * '''[[멀린(Fate 시리즈)|멀린]]''' {{{-1 - 성우: [[사쿠라이 타카히로]]}}} * '''[[메두사(Fate/Grand Order)|아나]]''' {{{-1 - 성우: [[아사카와 유우]]}}} * '''[[우시와카마루(Fate 시리즈)|우시와카마루]]''' {{{-1 - 성우: [[하야미 사오리]]}}} * '''[[무사시보 벤케이(Fate 시리즈)|무사시보 벤케이]]''' {{{-1 - 성우: [[이나다 테츠]]}}} * '''[[레오니다스 1세(Fate 시리즈)|레오니다스 1세]]''' {{{-1 - 성우: [[미키 신이치로]]}}} * '''[[시두리|제사장 시두리]]''' {{{-1 - 성우: [[우치야마 유미]]}}} * '''[[엘키두]]''' {{{-1 - 성우: [[코바야시 유우]]}}} * '''[["산의 노인"|지우수드라]]''' {{{-1 - 성우: [[나카타 조지]]}}} === 삼여신 동맹 === * '''[[이슈타르(Fate/Grand Order)|이슈타르]]''' / '''[[에레쉬키갈(Fate 시리즈)|에레쉬키갈]]''' {{{-1 - 성우: [[우에다 카나]]}}} * '''[[케찰코아틀(Fate 시리즈)|케찰코아틀]]''' {{{-1 - 성우: [[엔도 아야]]}}} * '''[[재규어맨]]''' {{{-1 - 성우: [[이토 미키]]}}} ---- * '''[[고르곤(Fate 시리즈)|고르곤]]''' {{{-1 - 성우: [[아사카와 유우]]}}} * '''[[킨구(Fate/Grand Order)|킨구]]''' {{{-1 - 성우: [[코바야시 유우]]}}} * '''[[티아마트(Fate 시리즈)|티아마트]]''' {{{-1 - 성우: [[유우키 아오이]]}}} === [[크립터(Fate 시리즈)|크립터]] === {{{-1 0화에서 살짝 지나가듯 나오기에 대사는 없다.}}} * '''[[카독 젬루푸스]]''' * '''[[오필리아 팜르솔로네]]''' * '''[[아쿠타 히나코]]''' * '''[[스칸디나비아 페페론치노]]''' * '''[[키르슈타리아 보다임]]''' * '''[[베릴 거트]]''' * '''[[데이비트 젬 보이드]]''' === 각 특이점 인물 === 0화가 끝나기 전에 각 특이점의 주요 인물들이 나와서 마슈와 리츠카에게 조언을 해줄 때 짤막하게 목소리가 등장한다. 이후에도 과거회상 형식으로 짤막하게 등장한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Fate 시리즈)|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 - 성우: [[세키 토모카즈]]}}} * '''[[네로 클라우디우스(Fate 시리즈)|네로 클라우디우스]]''' {{{-1 - 성우: [[탄게 사쿠라]]}}} * '''[[프랜시스 드레이크(Fate 시리즈)|프랜시스 드레이크]]''' {{{-1 - 성우: [[타카노 우라라]]}}} * '''[[마신왕 게티아|솔로몬]]''' {{{-1 - 성우: [[스기타 토모카즈]]}}}[* [[Fate/Grand Order/스토리/런던|사계마무도시 런던]]의 조력자는 [[모드레드(Fate 시리즈)|모드레드]]인데 모드레드는 영상으로만 짤막하게만 나온다. 아무래도 다음에 나오는 나이팅게일과 성우가 같아서 혼동을 줄 것 같기에 스토리의 또 다른 중심인물인 솔로몬으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 '''[[나이팅게일(Fate 시리즈)|나이팅게일]]''' {{{-1 - 성우: [[사와시로 미유키]]}}} * '''[[현장 삼장(Fate 시리즈)|현장삼장]]''' {{{-1 - 성우: [[코마츠 미카코]]}}} === 기타 인물 === * '''[[메두사(Fate 시리즈)|메두사]]'''[* [[아나(Fate 시리즈)|작중에서는....]]] * '''[[스테노(Fate 시리즈)|스테노]]''' * ''' [[에우리알레(Fate 시리즈)|에우리알레]]''' 위의 고르곤 자매는 직접적인 등장은 하지 않고 설명을 할 때 짤막하게 모습을 비춘다. * '''[[셜록 홈즈(Fate 시리즈)|셜록 홈즈]]''' {{{-1 - 성우: [[미즈시마 타카히로]]}}}[* 본작에선 [[Fate/Grand Order -신성원탁영역 카멜롯-|6장에서]]의 회상으로만 등장. ] == 음악 == === 주제가 === ==== [[Phantom Joke|OP]] ==== ||<-2>
'''{{{#010101,#010101 OP[br][[Phantom Joke|{{{#010101,#010101 Phantom Jok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vimeo(560655363)]}}} || ||<-2> '''{{{#010101,#010101 1쿨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WMLS_JC-So, width=100%)]}}} || ||<-2> '''{{{#010101,#010101 2쿨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KGjAw0fGX0, width=100%)]}}} || ||<-2> '''{{{#010101,#010101 Full ver.}}}''' || || '''노래''' ||<|2> [[UNISON SQUARE GARDEN]] || || '''편곡''' || || '''작사''' ||<|2> 타부치 토모야(田淵智也) || || '''작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아카이 토시후미]][br][[카미야 유키|uki]]^^2쿨^^ || || '''연출''' || [[아카이 토시후미]][br]아라마키 야스하루(荒牧康治)^^2쿨^^[br]센고 요스케(千合洋輔)^^2쿨^^[br][[카미야 유키|uki]]^^2쿨^^ || || '''작화감독''' || [[타카세 토모아키]] || }}}}}}}}} || ==== [[星が降るユメ|ED1]] ==== ||<-2>
'''{{{#010101,#010101 ED1[br][[星が降るユメ|{{{#010101,#010101 星が降るユメ}}}]][br]별이 내리는 꿈}}}'''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fH8L38I5uc, width=100%)]}}} || ||<-2> '''{{{#010101,#0101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a0fGAYDQLE, width=100%)]}}} || ||<-2> '''{{{#010101,#010101 Full ver.}}}''' || || '''노래''' || [[아오이 에일]] || || '''작사''' || [[아오이 에일|Eir]] || || '''작곡''' || TAMATE BOX || || '''편곡''' || TAMATE BOX[br]미타니 히데우라(三谷秀甫)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쿠로키 미유키]] || || '''연출''' || || '''작화감독''' || [[오카 유이치]] || }}}}}}}}} || ==== [[Prover|ED2]] ==== ||<-2>
'''{{{#010101,#010101 ED2[br][[Prover|{{{#010101,#010101 Pro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J1nf0Bd0Sg, width=100%)]}}} || ||<-2> '''{{{#010101,#0101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_5UcnQueFaE, width=100%)]}}} || ||<-2> '''{{{#010101,#010101 Full ver.}}}''' || || '''노래''' ||<|2> [[milet]] || || '''작사''' || || '''작곡''' || [[milet]][br]TomoLow || || '''편곡''' || TomoLow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3> [[타나카 마사요시]] || || '''연출''' || || '''작화''' || || '''총 작화감독''' || [[타카세 토모아키]] || }}}}}}}}} || ==== [[色彩|0화 ED]] ==== ||<-2>
'''{{{#010101,#010101 EP0 ED[br][[色彩|{{{#010101,#010101 色彩}}}]][br]색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qgculuTh2I, width=100%)]}}} || ||<-2> '''{{{#010101,#010101 Full ver.}}}''' || || '''노래''' ||<|2> [[사카모토 마아야]] || || '''작사''' || || '''작곡''' || -la la larks || ==== 16화 ED ==== ||<-2>
'''{{{#010101,#010101 EP16 ED[br]Tell 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qxkpaFo6bc, width=100%)]}}} || ||<-2> '''{{{#010101,#0101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ncAGpFuEMM, width=100%)]}}} || ||<-2> '''{{{#010101,#010101 Full ver.}}}''' || || '''노래''' || [[milet]] || || '''작사''' ||<|2> [[milet]][br]Ryosuke "Dr.R" Sakai || || '''작곡''' || || '''편곡''' || Ryosuke "Dr.R" Sakai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쿠로키 미유키]] || || '''연출''' || || '''작화''' || 오카자키 오카(おかざきおか) || }}}}}}}}} || TJ노래방에 68279로 수록되었다. === [[/OST|OS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ate/Grand Order -절대마수전선 바빌로니아-/OST)] == 회차 목록 == * 12월 21일 방송은 [[총집편]] 1 「旅の始まり(여행의 시작)」, 12월 28일 방송은 총집편 2 「魂の闘い(혼의 투쟁)」, 2월 1일 방송은 총집편 3 「決戦(결전)」, 으로 대체되었다.[[https://anime.fate-go.jp/ep7-tv/news/?id=52484|#]] * 2월 29일 방송은 '페이트 프로젝트 2020 영국 영령기행 특별편'로 대체되어 결방된다.[[https://twitter.com/FGOAP_ep7/status/1216226801036324866?s=19|#]]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8> '''Episode 0 Initium Iter''' || || {{{-3 Episode 0}}} || {{{-3 Initium Iter}}} || {{{-3 타케이 후타[br](武井風太)}}} || {{{-3 [[타카오 노리코]]}}} || {{{-3 [[하라다 타카히로]][br]타카오 노리코}}} || {{{-3 [[이와사키 쇼타]]}}} || {{{-3 [[타카세 토모아키]]}}} || {{{-3 日: 2019.08.04.[br]韓: 2019.08.12.}}} || ||<-8> '''TVA''' || || {{{-3 Episode 1}}} || {{{-3 絶対魔獣戦線バビロニア[br][[절대마수전선 바빌로니아]]}}} ||<|3> {{{-3 타케이 후타}}} ||<-2> {{{-3 [[아카이 토시후미]]}}} || {{{-3 타카세 토모아키}}} || - || {{{-3 日: 2019.10.05.[br]韓: 2019.10.07.[br][[https://youtu.be/NJkrjyT9Hm4|하이라이트]]}}} || || {{{-3 Episode 2}}} || {{{-3 城塞都市ウルク[br]성채도시 우루크}}} || {{{-3 [[쿠로키 미유키]]}}} || {{{-3 쿠로키 미유키[br]후루하시 사토시[br](古橋 聡)}}} || {{{-3 타키야마 마사아키[br](滝山真哲)[br][[코노 메구미]][*A 액션]}}} ||<|4> {{{-3 타카세 토모아키}}} || {{{-3 日: 2019.10.12.[br]韓: 2019.10.14.[br][[https://youtu.be/eF9qT2VNqk0|하이라이트]]}}} || || {{{-3 Episode 3}}} || {{{-3 王と民[br]왕과 백성}}} ||<-2> {{{-3 [[하야시 이사오]]}}} || {{{-3 타나카 유스케[br](田中裕介)[br]하야시 이사오[*A]}}} || {{{-3 日: 2019.10.19.[br]韓: 2019.10.21.[br][[https://youtu.be/intl1ID5se8|하이라이트]]}}} || || {{{-3 Episode 4}}} || {{{-3 密林の呼び声[br]밀림이 부르는 소리}}} || {{{-3 [[코다치 우쿄]]}}} ||<-2> {{{-3 [[나가마치 히데키]]}}} || {{{-3 [[사이토 켄고]]}}} || {{{-3 日: 2019.10.26.[br]韓: 2019.10.28.[br][[https://youtu.be/0_gL-vO4df4|하이라이트]]}}} || || {{{-3 Episode 5}}} || {{{-3 ギルガメッシュ紀行[br][[길가메시(Fate/Grand Order)|길가메시]] 기행}}} || {{{-3 나가이 치아키[br](永井千晶)}}} ||<-2> {{{-3 [[야마자키 유타]]}}} || {{{-3 [[코바야시 마이코]]}}} || {{{-3 日: 2019.11.02.[br]韓: 2019.11.04.}}} || || {{{-3 Episode 6}}} || {{{-3 天命の粘土板[br]천명의 점토판}}} ||<|3> {{{-3 코다치 우쿄}}} ||<-2> {{{-3 쿠라타 아야코[br](倉田綾子)}}} || {{{-3 코마츠 아사미[br](小松麻美)[br]코바야시 신페이[br](小林真平)}}} || {{{-3 [[오카 유이치]]}}} || {{{-3 日: 2019.11.09.[br]韓: 2019.11.11.[br][[https://youtu.be/F-lQ2OZRoiI|하이라이트]]}}} || || {{{-3 Episode 7}}} || {{{-3 陽動作戦[br]양동 작전}}} || {{{-3 [[마스나리 코지]]}}} || {{{-3 [[코무로 유이치로]]}}} || {{{-3 [[타카후지 아야]][br][[이레이 에리]][br][[오오시마 토야]][*A]}}} || {{{-3 이와사키 쇼타[br]코노 메구미}}} || {{{-3 日: 2019.11.16.[br]韓: 2019.11.18.[br][[https://youtu.be/aYfQj6mSUvM|하이라이트]]}}} || || {{{-3 Episode 8}}} || {{{-3 魔獣母神[br][[고르곤(Fate 시리즈)|마수모신]]}}} || {{{-3 아카이 토시후미[br]오오시마 토야[*A]}}} || {{{-3 하라다 타카히로}}} || {{{-3 코마츠바라 키요시[br](小松原 聖)[br][[카와카미 타이시]][br]오오시마 토야[*A]}}} || {{{-3 타카세 토모아키[br]코노 메구미}}} || {{{-3 日: 2019.11.23.[br]韓: 2019.11.25.[br][[https://youtu.be/gIu7ILSXOf4|하이라이트]]}}} || || {{{-3 Episode 9}}} || {{{-3 おはよう、金星の女神[br]안녕하세요, [[이슈타르(Fate/Grand Order)|금성의 여신]]}}} || {{{-3 나가이 치아키}}} || {{{-3 쿠로키 미유키}}} || {{{-3 스즈키 모에[br](鈴木 萌)}}} || {{{-3 이토 유지[br](伊藤裕次)[br]효도 마사루[br](兵藤 勝)[br]오가타 켄이치로[br](尾形健一郎)[br]코노 메구미[*A]}}} || {{{-3 타카세 토모아키[br][[시마다 카즈아키]]}}} || {{{-3 日: 2019.11.30.[br]韓: 2019.12.02.[br][[https://youtu.be/q8XpAEAdQY0|하이라이트]]}}} || || {{{-3 Episode 10}}} || {{{-3 こんにちは、太陽の女神[br]반갑습니다, [[케찰코아틀(Fate 시리즈)|태양의 여신]]}}} || {{{-3 타케이 후타}}} ||<-2> {{{-3 [[이시이 토시마사]]}}} || {{{-3 [[야마구치 사토시]]}}} || {{{-3 오카 유이치}}} || {{{-3 日: 2019.12.07.[br]韓: 2019.12.09.[br][[https://youtu.be/0Y1RrP7LQIU|하이라이트]]}}} || || {{{-3 Episode 11}}} || {{{-3 太陽の神殿[br]태양의 신전}}} || {{{-3 코다치 우쿄}}} ||<-2> {{{-3 [[시게하라 카츠야]]}}} || {{{-3 시마다 카즈아키[br][[야마모토 켄]][*A]}}} || {{{-3 타카세 토모아키}}} || {{{-3 日: 2019.12.14.[br]韓: 2019.12.16.[br][[https://youtu.be/0S2_vs1K_sQ|하이라이트]]}}} || || {{{-3 Episode 12}}} || {{{-3 王の死[br][[길가메쉬(Fate/Grand Order)|왕]]의 [[에레쉬키갈(Fate 시리즈)|죽음]]}}} ||<|2> {{{-3 나가이 치아키}}} ||<-2> {{{-3 후루하시 사토시}}} || {{{-3 [[콘노 타이키(애니메이터)|콘노 타이키]][br]후루하시 사토시}}} || {{{-3 오카 유이치}}} || {{{-3 日: 2020.01.04.[br]韓: 2020.01.06.[br][[https://youtu.be/3KjJF0UvVw0|하이라이트]]}}} || || {{{-3 Episode 13}}} || {{{-3 さよなら、冥界の女神[br]안녕히 계세요, [[에레쉬키갈(Fate 시리즈)|명계의 여신]]}}} || {{{-3 아카이 토시후미}}} || {{{-3 나가마치 히데키}}} || {{{-3 [[안노 마사토]][br]타나카 유스케[br]코노 메구미[*A]}}} || {{{-3 타카세 토모아키}}} || {{{-3 日: 2020.01.11.[br]韓: 2020.01.13.}}} || || {{{-3 Episode 14}}} || {{{-3 決戦[br]결전}}} || {{{-3 타케이 후타}}} || {{{-3 [[우시지마 신이치로]]}}} || {{{-3 키무라 히로시[br](木村 寛)}}} || {{{-3 카나마루 아야코[br](金丸綾子)[br]하마츠 타케히로[br](浜津武広)[br]타카하시 켄[*A][br](高橋 賢)}}} || {{{-3 오카 유이치[br]코노 메구미}}} || {{{-3 日: 2020.01.18.[br]韓: 2020.01.20.[br][[https://youtu.be/UjulPfHpuX8|하이라이트]]}}} || || {{{-3 Episode 15}}} || {{{-3 新しいヒトのカタチ[br]새로운 인간의 모습}}} || {{{-3 [[히가시데 유이치로]]}}} ||<-2> {{{-3 하라다 세이지[br](原田征爾)}}} || {{{-3 타키야마 마사아키[br][[타카다 아키라]][br]코바야시 신페이[br]코마츠 아사미[br]하야시 이사오[*A]}}} || {{{-3 타카세 토모아키}}} || {{{-3 日: 2020.01.25.[br]韓: 2020.01.27.}}} || || {{{-3 Episode 16}}} || {{{-3 目覚め[br][[티아마트(Fate 시리즈)|각성]]}}} || {{{-3 [[사쿠라이 히카루]]}}} ||<-2> {{{-3 [[나카야마 류]]}}} || {{{-3 이와사키 쇼타[br]코바야시 신페이[br]코마츠바라 키요시[br]노노시타 이오리[br](野々下いおり)[br]나카야마 류[*A]}}} || {{{-3 타카세 토모아키[br]이와사키 쇼타}}} || {{{-3 日: 2020.02.08.[br]韓: 2020.02.10.[br][[https://youtu.be/CLN7MN6I3yU|하이라이트]]}}} || || {{{-3 Episode 17}}} || {{{-3 会議は踊る[br]회의는 춤춘다}}} || {{{-3 나가이 치아키}}} ||<-2> {{{-3 이시이 토시마사}}} || {{{-3 타카후지 아야[br]코마츠 아사미[br]하마 유리에[br](浜 友里恵)}}} || {{{-3 오카 유이치}}} || {{{-3 日: 2020.02.15.[br]韓: 2020.02.17.}}} || || {{{-3 Episode 18}}} || {{{-3 原初の星、見上げる空[br]원초의 별, 올려다 본 하늘}}} || {{{-3 사쿠라이 히카루}}} ||<-2> {{{-3 [[온센 나카야]]}}} || {{{-3 [[Moaang]][br]카와카미 타이시[br]온센 나카야[*A]}}} || {{{-3 타카세 토모아키}}} || {{{-3 日: 2020.02.22.[br]韓: 2020.02.24.[br][[https://youtu.be/ZX_DI2fFDVk|하이라이트]]}}} || || {{{-3 Episode 19}}} || {{{-3 絶対魔獣戦線メソポタミア Ⅰ[br]절대마수전선, 메소포타미아 Ⅰ}}} || {{{-3 히가시데 유이치로}}} ||<-2> {{{-3 쿠로키 미유키}}} || {{{-3 야마구치 사토시[br]타나카 유스케[br]코노 메구미[*A]}}} || {{{-3 오카 유이치}}} || {{{-3 日: 2020.03.07.[br]韓: 2020.03.09.[br][[https://youtu.be/qc0quy8Yhbg|하이라이트]]}}} || || {{{-3 Episode 20}}} || {{{-3 絶対魔獣戦線メソポタミア Ⅱ[br]절대마수전선, 메소포타미아 Ⅱ}}} ||<|2> {{{-3 타케이 후타}}} ||<-2> {{{-3 아카이 토시후미}}} || {{{-3 타키야마 마사아키[br]안노 마사토[br]하야시 이사오[*A]}}} || {{{-3 타카세 토모아키}}} || {{{-3 日: 2020.03.14.[br]韓: 2020.03.16.[br][[https://youtu.be/u2WW6NlTjqM|하이라이트]]}}} || || {{{-3 Episode 21}}} || {{{-3 Grand Order}}} || {{{-3 타카오 노리코}}} || {{{-3 하라다 타카히로}}} || {{{-3 코마츠바라 키요시[br]코바야시 신페이}}} || {{{-3 타카세 토모아키[br]오카 유이치}}} || {{{-3 日: 2020.03.21.[br]韓: 2020.03.23.[br][[https://youtu.be/goPJ-IJhYXs|하이라이트]]}}} || ==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후쿠시마 유이치]], 감독 [[아카이 토시후미]], 제작진행 [[우메하라 쇼타]]의 인맥이 총동원 되어 실력있는 원화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한 작품이며, 그래서 작화를 볼 때 [[작화감독]]만 따져서는 안 되는 작품이다. 콘티, 연출, 작화감독은 회차 목록 참조. ||<-3>
[[파일:Fate Grand Order 절대마수전선 바빌로니아.png|height=70]] || ||<-3> '''{{{#010101,#010101 Episode 0 Initium Iter}}}''' || || '''{{{#010101,#010101 0화}}}''' || [[카와카미 타이시]], [[카와카미 유스케]], [[타카후지 아야]], 미치시타 코타(道下康太), 타케모토 다이스케(武本大介), 하마 유리에(浜 友里恵), [[이와사키 쇼타]], [[이레이 에리]], [[코노 메구미]] 등 || ||<-3> '''{{{#010101,#010101 본편}}}''' || || '''{{{#010101,#010101 1화}}}''' || [[이레이 에리]], [[아카이 토시후미]], [[니시이 료스케]], [[타카하시 나오야]], [[오오시마 토야]], [[카와카미 타이시]], 미치시타 코타, 타나카 유스케(田中裕介), [[코노 메구미]], [[타카후지 아야]], [[콘노 타이키]], [[미야지마 나오키]], 후루하시 사토시(古橋 聡) 등 || ||<-3> || || '''{{{#010101,#010101 2화}}}''' || 오오야마 진(大山 神), [[카와카미 타이시]], [[코노 메구미]], [[사와다 켄지(애니메이터)|사와다 켄지]], 타키야마 마사아키(滝山真哲), [[사이토 켄고]], [[쿠로키 미유키]] 등 || ||<-3> || || '''{{{#010101,#010101 3화}}}''' || [[하야시 이사오]], [[미야지마 나오키]], 타나카 유스케, [[타카하시 나오야]], [[히라야마 칸나]] 등 || ||<-3> || || '''{{{#010101,#010101 4화}}}''' || [[나가마치 히데키]], 하마 유리에, [[타카후지 아야]], [[이레이 에리]], [[고쇼조노 쇼타]], [[카토 코스케]] 등 || ||<-3> || || '''{{{#010101,#010101 5화}}}''' || [[케로리라]], [[코바야시 마이코]], 오오야마 진, [[미야자키 소]], [[카토 코스케]], [[고쇼조노 쇼타]], [[야마모토 켄]], [[코바야시 케이스케]] 등 || ||<-3> || || '''{{{#010101,#010101 6화}}}''' || 세키구치 료스케(関口亮輔), [[나가타 노부히로]], 하마 유리에, 미치시타 코타, 코마츠 아사미(小松麻美) 등 || ||<-3> || || '''{{{#010101,#010101 7화}}}''' || [[코무로 유이치로]], 시미즈 요이치(清水陽一), 하마 유리에, [[카와카미 유스케]], [[치나(애니메이터)|치나]], 세키구치 료스케 등 || ||<-3> || || '''{{{#010101,#010101 8화}}}''' || [[카토 코스케]], [[야마모토 켄]], [[이와자와 토오루]], 오오야마 진, [[미야지마 나오키]], [[케로리라]], [[오가사와라 신]], [[야마모토 유스케(山本ゆうすけ)]], 세키구치 료스케, [[아사노 겐]], [[타카하시 나오야]], [[Moaang]], [[요네모리 유키]], [[미키 타츠야]], [[카와카미 유스케]], [[고쇼조노 쇼타]], [[사와다 켄지(애니메이터)|사와다 켄지]], [[오오하시 아이토]], [[모리 히사시]]^^논 크레딧^^, [[이카라시 카이]]^^논크레딧^^ 등 || ||<-3> || || '''{{{#010101,#010101 9화}}}''' || 코토부키 츠카사(ことぶきつかさ), 아사이 아키토(浅井昭人) 등 || ||<-3> || || '''{{{#010101,#010101 10화}}}''' || 이이다 타케시(飯田剛士), 츠즈키 하루카(都築 遥), [[콘노 타이키]], [[야마모토 켄]], [[이토 카나]], [[안노 마사토]], [[야마구치 사토시]] 등 || ||<-3> || || '''{{{#010101,#010101 11화}}}''' || [[야마모토 켄]], [[스도 아키히토|카센]][* 애니메이터 [[스도 아키히토]]의 필명.], [[니시마키 하야토|스고로쿠]][* 애니메이터 [[니시마키 하야토]]의 필명.], 하마나카 토모코(濱中朋子), 노노시타 이오리(野々下いおり), [[시게하라 카츠야]] 등 || ||<-3> || || '''{{{#010101,#010101 12화}}}''' || [[TOMATO(애니메이터)|TOMATO]], [[이마무라 료]], 후루하시 사토시, [[니시이 료스케]], [[사쿠(애니메이터)|사쿠]], [[Maring Song]] 등 || ||<-3> || || '''{{{#010101,#010101 13화}}}''' || 이모토 카즈아키(井元一彰), 츠즈키 하루카, [[코노 메구미]], [[사와다 켄지(애니메이터)|사와다 켄지]], [[TOMATO(애니메이터)|TOMATO]], 하마 유리에 등 || ||<-3> || || '''{{{#010101,#010101 14화}}}''' || [[Chansard Vincent]], [[산노미야 쇼타]], [[엔도 마사아키(애니메이터)|엔도 마사아키]] 등 || ||<-3> || || '''{{{#010101,#010101 15화}}}''' || 타키야마 마사아키, [[코노 메구미]], [[하야시 이사오]], 나카자와 유이치(中澤勇一), 츠즈키 하루카, [[아사카 카즈유키]] 등 || ||<-3> || || '''{{{#010101,#010101 16화}}}''' || [[아사카 카즈유키]], [[사와다 켄지(애니메이터)|사와다 켄지]], 세키구치 료스케, [[카와카미 유스케]], [[Rondeseo]], [[Hero(애니메이터)|Hero]], [[고쇼조노 쇼타]], 미치시타 코타, [[나카야마 류]], [[Chris(애니메이터)|Chris]] 등 || ||<-3> || || '''{{{#010101,#010101 17화}}}''' || [[고쇼조노 쇼타]], [[추지아허]], [[사와다 켄지(애니메이터)|사와다 켄지]], 노노시타 이오리, [[야마모토 켄]], 하마 유리에, [[타카후지 아야]] 등 || ||<-3> || || '''{{{#010101,#010101 18화}}}''' || [[타카하시 나오야]], [[츠치가미 이츠키]], [[미야지마 나오키]], [[카토 코스케]], [[Weilin Zhang]], [[아라이 카즈토]], [[카와카미 타이시]], [[이레이 에리]], [[사토 토시유키]], [[온센 나카야]], [[타나카 히로노리]], [[케로리라]], [[이와사키 쇼타]], [[Moaang]] 등 || ||<-3> || || '''{{{#010101,#010101 19화}}}''' || 미치시타 코타, [[타케우치 시호]], [[니이 마나부]], [[사와다 켄지(애니메이터)|사와다 켄지]], 타나카 유스케, [[시게하라 카츠야]], [[키소 유타]], 하마 유리에, 세키구치 료스케, [[카와카미 유스케]], [[아사카 카즈유키]], [[토미오카 카이토]], [[야마구치 사토시]], [[쿠로키 미유키]], [[TOMATO(애니메이터)|TOMATO]] 등 || ||<-3> || || '''{{{#010101,#010101 20화}}}''' || [[Hero(애니메이터)|Hero]], [[콘노 타이키]], [[하야시 이사오]], [[타카하시 나오야]], [[시게하라 카츠야]], 이이다 타케시, 후루하시 사토시, [[Rondeseo]], [[아카이 토시후미]], [[야마모토 켄]], [[안노 마사토]], [[이토 카나]], [[이레이 에리]], [[미와 카즈히로]], [[고쇼조노 쇼타]] 등 || ||<-3> || || '''{{{#010101,#010101 21화}}}''' || 미치시타 코타, 우에무라 준(植村 淳). [[요시다 유코(애니메이터)|요시다 유코]] 등 || ||<-3> || == [[/에피소드 가이드|에피소드 가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ate/Grand Order -절대마수전선 바빌로니아-/에피소드 가이드)] == 평가 == 2017년의 [[Fate/Apocrypha/애니메이션|Fate/Apocrypha]]도 비판을 받았고 2018년의 [[Fate/EXTRA Last Encore]] 역시 이해하기 힘든 괴작 취급을 받았다면, Fate 팬들에게는 2년만에 좋은 TV 애니화로 호평을 받았다. 페이트 그랜드 오더의 스토리 중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7장의 TVA화로, '''20화 전까지는''' 간만에 나온 명작 페이트 TVA 시리즈라는 평가가 우세를 이루고 있었다[* 자세한 이유는 후술.]. 작화의 경우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후쿠시마 유이치]], 제작진행 [[우메하라 쇼타]]가 인맥을 부르고 [[아카이 토시후미]] 감독이 인터넷까지 뒤져가며 애니메이터를 캐스팅해 작화와 액션으로 유명한 애니메이터가 다수 참여하여 작화 매니아의 주목을 끌었다. 고정된 원화의 질 및 액션 작화의 동세도 모두 수준급. 총작화감독 [[타카세 토모아키]]가 트위터에서 한 말로는 '참여 애니메이터 모두 굉장한 분들이라 내가 수정할 게 없다.'라고. 작화로 유명한 에피소드는 [[오오시마 토야]]가 액션 신을 연출, 작화한 8화, [[야마모토 켄]]이 액션 작화를 한 11화, [[온센 나카야]] 연출에 [[사토 토시유키]]와 [[타나카 히로노리]]가 액션 작화를 한 18화가 있다. 연출은 [[이시이 토시마사]], [[타카오 노리코]] 연출 에피소드가 호평이다. 배경 묘사도 매우 뛰어나며, 2019년 전체 애니 중에서도 제작비가 많이 들어간 흔적이 보인다. 원화 애니메이터가 다른 애니보다 2배 정도 많으며 일부 에피소드는 한 화에 40명을 썼다.[* 보통 일반적인 TV 애니가 8 ~ 10명, 제작비 많이 쓴 애니가 20 ~ 30명 정도이다.] 성우들의 연기도 뛰어나고 특히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액션 시퀸스가 호평을 받았다. 다만 캐릭터 디자인이 [[타케우치 타카시]] 화풍으로 통일되면서 일부 캐릭터들이 어색 혹은 밋밋하다는 감상도 있다.[* 후지마루나 마슈처럼 원래 원안이 타케우치인 경우엔 어색하지 않으나, 다 빈치나 멀린처럼 원안의 디테일이 뛰어난 캐릭터들이 이런 감상을 받았다.] 또한 광선이 직격하는데 뿌슝빠슝 소리가 나는 등 전투신의 음향이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이와나미 요시카즈|같은 음향 감독]]이 같은 [[원펀맨(애니메이션 2기)|원펀맨 2기]]도 똑같이 전투씬 음향이 밋밋하다는 문제를 겪었던 적이 있다.] 더불어 예산절감을 위해 마물 무리나 고르곤은 대부분 3D CG를 쓰는데 가끔 퀄리티가 확 떨어져서 높은 2D 퀄리티와 괴리를 일으킨다. 2D는 엄청난데 3D가 눈갱이란 소리가 많다. 스토리 적으로 보았을 때 원작에서 게임이기에 어쩔 수 없는 연출들도 애니에서 보완되었다. 특히 이슈타르와 에레쉬키갈의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들이 복선으로 나오는데, 게임에서는 연출상 어색한 부분들이 있었지만 애니에서는 교묘하게 시선을 다르게 가져가는 시퀀스를 보여주는 등 호평을 받는다. 그외 페이트 시리즈를 영상물로만 접했다면 설명이 적은 길가메쉬와 엘키두의 관계연출도 소소하게 추가했다. 거기에 높은 인지도에 수반하는 퀄리티도 보장하는 중. 간혹 음향과 CG에서 흠을 보이기는 하지만 가장 중요한 전투신에서는 작화와 연출이 호평을 받고있다. 초반에 엘키두, 길가메시, 이슈타르 등의 전투신을 그린 1~3화까지는 어색함도 있었지만, 4화 이후로 음향적인 부분 역시 점점 해소하더니 5화의 '''길가메시와 엘키두의 전투신''', 8화의 '''복합신성 고르곤과 레오니다스&우시와카마루의 전투신'''등은 캐릭터의 감정선과 분위기, 전투 자체의 퀄리티 높은 작화와 연출로 대호평을 받고 있다. 특히 길가메시의 감정선 묘사는 원작초월 수준이라고 평하는 이들도 많다. 복합신성 고르곤 vs 레오니다스 1세&우시와카마루 전투신의 경우 [[Fate/Apocrypha/애니메이션|Fate/Apocrypha]] 22화 전투신의 퀄리티에 비견된다는 반응도 찾아볼 수 있다. 반면 성우 연기는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데, 특히 주인공인 후지마루 리츠카의 성우 연기에 대한 비판이 많다.[* 담당 성우 [[시마자키 노부나가]]의 어조가 2019년부터 너무나 유약해졌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인류 최후의 마스터라는 위치에서 인간적인 연기라는 호평이 있는 반면, 이를 감안해도 연기 감정선이 불안정하고 특히 소리를 지를 때마다 목소리가 너무 갈라진다는 혹평도 있다.[* [[아사카와 유우]] 같은 경우는 아나와 고르곤이라는 전혀 다른 목소리, 톤으로 완벽하게 1인 2역을 하고 있으며, 15화에서 아나vs고르곤에서 연기력이 폭발하면서 더 비교당하고 있다.] 전반기 종료 시 평가는 오랜 기다림 끝에 등장한 재대로된 애니화. 애초에 평가가 높지 않았던 이전 스토리들[* 정확히는 1, 3, 5장은 무난했지만 그 사이에 있는 2, 4장의 평이 안 좋았다. 때문에 1~5장을 거칠 경우 스토리의 기복이 심하게 느껴질 수 있다.]을 배제하고 바로 7장을 애니화시킨 타입문과 제작진들의 판단이 최선의 수로 작용했다. 기본적으로 탄탄한 스토리에 회차가 지날수록 좋아지는 작화와 음향, 거기에 5화 전후를 중심으로 터져나온 수준급의 전투신들과 캐릭터들의 감정선 조절이 상당한 호평으로 작용하는 상황. 마지막까지 연출의 힘이 빠지지 않는다면 현 분기 애니 중에 좋은 평가받을 만한 애니로 손꼽히고 있다. 다만 24화가 아닌 21화라는 구성과 총집편의 방영 여부를 사전에 예고하긴 했다지만 사이사이에 모자란 3회가 총집편이라는 구성이라서 사전지식 없이 평범하게 작품을 보던 사람들은 11회와 12회 사이에 두 편, 그리고 15회가 끝나고 나서 곧바로 또 총집편인 것 때문에 크게 당황하는 경우도 있는 듯하다. 1쿨 끝나고 2쿨 시작 전에 총집편을 가지는 건 작품의 퀄리티 유지를 위한 것이라 쉽게 떠올릴 수 있더라도[* 21화로 구성을 잡으면서 늘어지는 스토리가 없게끔 조율하는 한 편 크게 힘을 줘야하는 부분을 적절히 선정해서 중간중간 여유시간(분기당 방영 횟수가 남는 만큼)을 총집편으로 활용하면 작화연출에 힘이 빠지는 경우를 최소화하면서 작품 전체 스토리의 완급조절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어찌보면 제작사의 전략적인 행동이라 할 수 있겠다.] 2쿨로 넘어오고 단 4화 만에 또 총집편이라는 건 확실히 별로인 부분이긴 하다. 후반부에 들어서 작화의 수준은 괜찮게 유지되고 있으나 부분부분 맥빠지는 연출이나 엉성한 3D 모델이 등장해 몰입을 해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16화의 흑화한 우시와카마루가 분열하는 장면과 17화의 여신 티아마트가 등장하는 장면이 꼽히는데, 흑화 우시와카마루는 완전 측면 구도에 정자세로 선 모습에서 한 걸음 걸어나갈때마다 복붙을 한게 티가 날 정도로 완전히 동일한 우시와카마루가 동일한 간격으로 나타나는데 많은 이들이 실소를 금치 못했으며, 그 직후에도 복붙된 정면 자세의 뭉개진 우시와카마루가 듬성듬성 서 있는 정지씬이 나왔다. 그나마 우시와카마루는 이어지는 전투씬이 역동적이고 준수한 퀄리티로 묘사되었으나, 17화에서 거대한 티아마트의 등장 장면은 광원과 마감처리도 제대로 되지 않은 듯한, 차라리 MMD 쓰는게 훨씬 나아보일 정도의 3D 모델의 찰흙같은 질감으로 한국과 해외를 가리지 않고 혹평이 많다. 심하면 [[오버로드 3기]]의 악몽이 떠오른다는 평. 직전 16화부터 등장했던 두뇌체 팜므 파탈은 괜찮은 퀄리티로 묘사되었기 때문에 더욱 대비되어 보이기까지 했는데, CG 디렉터가 이전 [[베르세르크(2016)|베르세르크 신애니]]에서 혹평을 받은 에가와 히사시였다. 18화에서는 제작진이 티아마트의 3D에 대한 혹평이 많단 것을 신경 썼는지 어둡고 섬뜩하게 변한 전혀 달라진 티아마트가 등장했으며, 작화나 전투씬 또한 전편과는 달리 엄청 좋아졌다. 아무래도 점점 최종화에 가까워지고 있다 보니 제작진에서 라스트 스퍼트를 시작했다. 한편, 해당 화의 콘티, 연출, 작화감독을 온센 나카야가 담당했는데 [[Fate/Apocrypha/애니메이션|Fate/Apocrypha]]의 22화에 원화 스태프로 참가했었으며 2019년에는 [[아주르 레인 THE ANIMATION]]을 대놓고 보이콧했다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전적이 있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런데 [[온센 나카야]]는 본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는 와중에도 F/GO에 대해 '''"솔직히 지루하다. 아니, 재미없잖아. 병신임?"''', '''"실제로 재미없다, FGO는. 애초에 주인공이 없잖아. 주인공이 없는데 재밌다니, 그런 게 가능할 리가 없다."'''고 발언한 적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5843XKB734&t=200|링크]] 종장으로 들어서는 19화에서는 마찬가지로 훌륭한 작화와 CG, 비참하고 아련한 분위기를 굉장히 잘 표현해냈다. 길가메쉬가 딘기르로 티아마트를 포격하는 모습은 마치 영화와 같이 웅장하며, 다 죽어버린 우루크 시민들의 흔적과 불바다가 된 마을, 킨구의 보구연출과 감정표현, 명계에서의 신벌, 신대회귀한 티아마트, 마지막을 장식한 산의 노인 등장씬까지 어느 것 하나 부족함 없다는 평. 다만 각본 완급조절의 미흡함이 다소 아쉽다는 반응도 있다. 시간이 약간 모자랐는지, 최후반의 멀린의 대사가 랩을 읊는것마냥(...)빨라졌고 산의 노인의 등장 대사도 조금 빠르다. 그래도 못 알아들을 정도는 아니고, 분위기가 깨진다거나 하진 않았다. 여기까지는 좋았었는데... 자세한 건 후술. === 문제의 20화 === [include(틀:스포일러)] 먼저 전개가 대폭 변경되었는데, 이를 위해 기대받던 원작의 하이라이트 장면이었던 아즈라엘과 에누마 엘리시(길가메시)의 연출이 삭제되거나 크게 간략화되었다.[* 아즈라엘은 삭제되었고, 에누마 엘리시는 특유의 붉은 소용돌이나 다른 이팩트 없이 굵은 빔으로 연출되었다.] 기존 팬덤이 사실상 가장 기대하던 하이라이트 장면들이 굉장히 아쉬운 연출을 보이면서 반응이 좋지 않고, 아즈라엘이 삭제된 것에 대해서는 담당 성우인 [[나카타 조지]]도 트위터에 페그오 보구 영상을 보여주며 아쉬운 마음을 에둘러서 표현했다.[[https://twitter.com/joujinakata123/status/1238979395689185280|#]] 오리지널 장면의 경우 에레쉬키갈이 소멸하는 장면이 추가되었으며,[* 원래는 마지막 절에서 이슈타르의 회상으로 소멸을 암시하는 연출이 간략하게 등장한다. 다만 이후 설정으로 거기서 소멸한 것이 아니라고 나왔으니 똑같이 암시 정도면 모를까 빼도박도 못하게 소멸하는 장면을 넣는 것은 설붕이 맞다. 게다가 원작도 엄밀히 말해 소멸 관련 이펙트는 전혀 없었고, '''이별'''을 암시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특이점에서의 이별=소멸이라 서술트릭이 이뤄졌지만 빛가루도, 소멸 SE도 전혀 없었으니 원작을 꼼꼼히 살피지 않은 것이다. 참고로 비슷한 케이스였지만 확실히 소멸한 5장의 네로는 SE가 출력된다.] 원작에 비해 주인공 후지마루 리츠카의 비중이 명백히 이상한 방향으로 상승해 직접적으로 전투에 참가한다. 애니화 초기에 구다오의 역할을 문제삼던 일부 비판을 의식한 듯하나 최종전에 와서야 생겨난 갑작스러운 개변인데다, 그 활약이라는 것조차 무슨 삼류 중2병 [[세카이계]] 주인공 식의 값싸고 개연성을 밥말아먹은 수준이라 당황하는 분위기가 많다.[* 이게 자연스럽게 작품에 녹아들었으면 그나마 이해해주는 시청자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설정을 깊게 의식하지 않아도 뻔히 보이는 설정 붕괴가 잇따라 일어나 이해의 여지가 전혀 없어졌다. 대표적으로 살아있는 존재인 후지마루 리츠카가 아니면 들어갈 수 없다고 하는 설정으로, 저번 화에서 분명 멀린은 아발론에서 달려와 서번트가 아닌, 살아있는 상태라고 이야기했다. 대체 멀린은 왜 들어갈 수 없는지 작중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그러면서 서번트인 산의 노인은 왜 들어갈 수 있는 건지도 설명되지 않는다. 굳이 실드를 쳐 주자면, 산의 노인같은 경우 '서번트인지 살아있는 건지 애매하다'는 식의 언급이 있긴 하다.] 특히 [["산의 노인"|킹 하산]]의 경우 기존 분량이 크게 잘려나가고 전투씬의 작화마저 미묘한데다 벨 라흐무를 문자 그대로 '''씹어먹는 연출 등''' 이해하기 어려운 원작 개악이 많이 일어나 관련된 비판이 굉장히 많다.[* 벤케이도 산의 노인처럼 기존 분량이 크게 잘려나가고 보구 개방 장면이 삭제됐으나, 이쪽은 그나마 흑화한 우시와카마루를 집념으로 붙잡는 등 보구 개방 장면을 대신할 비장한 최후를 제대로 묘사해서 "보구 개방 장면이 없어진 게 아쉽다" 정도의 말밖에 안 나왔다. 무엇보다 벤케이의 경우에는 보구가 '''유행승의 무리에 저항 실패할 때마다 조금씩 성불한다'''라는 특수한 개념적인 보구인지라 이걸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도 있고 분량 문제로 어쩔 수 없이 뒷전으로 밀어냈다고 이해는 할 수 있는데 산의 노인의 경우에는 이러한 이해조차 불가능하다.] 비교적 20화에 관대한 평가를 내리는 해외 팬덤에서도 킹 하산의 뜬금없는 행동에 대해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많을 정도. 이게 가장 문제가 되는 이유는 본 애니의 주 시청자가 원작 게임을 해본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본작은 페그오를 안 한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게 최소한의 설명을 해주기는 했으나, 역시 배경이나 설정 관련으로는 설명이 부족해 몰입하기 힘든 작품이기 때문에 자연스레 원작 게임 유저들이 주된 시청자가 되고 따라서 그들에게 잘 어필해야 했다. 정작 사람들이 가장 기대할 명장면은 배제하고 오리지널 장면을 넣어버리는 행위는 호응을 얻을래야 얻을 수 없는 행위다. 두 번째로 거론되는 문제점은 바로 주인공 후지마루 리츠카의 활용이다. 작품 초기부터 주인공의 불안정한 모습을 근거로, 제작진이 애초에 '''[[후지마루 리츠카]]라는 주인공을 어떻게 써먹을지 합의가 안 된 게 아닌가'''하는 추측이 있다. 물론 게임 원작에서의 리츠카의 역할은 "직접 전투 능력은 매우 부족하지만, 지휘 능력과 친화력은 매우 뛰어난 지휘관" 정도이기에 직접적으로 전투나 마술을 보여줄 수 없으며 플레이어의 대변인이란 위치상 성격도 선하지만 개성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일단 애니메이션에서 묘사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편. 하지만 어렵다 뿐이지 불가능한 것은 아니고, 염화를 통한 침착한 작전지시, 영주를 통한 적절한 버프, 마스터로써 예장을 이용한 지원 등을 통해 이 매력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었다. 영주야 3획이라는 한계가 있으니 어쩔 수 없지만[* 그런데 페그오는 설정상 칼데아의 지원으로 하루 1획의 영주 충전이 있다. 즉 마구잡이 남발까진 무리라도 적절히 사용한다면+연전이 예상되지 않을 시 전투당 1~2번 정도는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고 보는 게 자연스럽다...만 2부에서 드러난 설정으로는, 실제로는 1일에 1개씩 충전되는 건 아니다. 실제로는 령주를 보충하는 건 칼데아에 돌아가서 패스를 다중으로 이어야 가능한 거라고. 다만 충분히 준비하면 3획정도 여분을 갖추는 건 가능하다. 즉, 1일에 령주 1획충전은 게임상의 요소라는 것.] 지휘관으로나 하다못해 가장 많이 사용할 수 있을 예장 지원 역시 전투중에 쓸모있게 쓰이는 등의 장면이 없어서 부각되지 못하는 편. 전투 중에 마력을 공급한다는 언급이나 마슈에게 강화나 순간이동 등을 걸어주는 장면 등이 있지만 '주인공의 활약'이라기엔 부족한지라... [[시산혈하무대 시모사노쿠니]] 코믹스처럼 칼데아 서번트들의 그림자로 보구를 쓴다거나 하는 건 그렇게 되면 전투신이 복잡해지고 작화가 늘어난다는 작품 외적 문제로 힘들다곤 하더라도 최소한 [[간드]] 같은 마술예장 스킬이라도 사용하게 해줘도 됐지 않았겠냐는 말이 많다.[* 이런 의견을 수용했는지 15화에서 라흐무를 상대로 여러 번 간드를 쏘는 장면이 나오면서 일단 사용이 가능하다는 게 확인되었다. 다만 상대가 라흐무쯤 되면 별 소용은 없는지 유의미한 타격은 전혀 주지 못하고 서번트도 버거워 하는 등 철저하게 쓸모없다는 인상을 심어주었다.--아니 [[쿠즈키 소이치로|서번트 상대로]] [[사죠 마나카|마스터가 유의미한 전력]]인게 [[에미야 시로|이상한 거지]]-- 취소선 쳐져 있긴 하지만 딱히 틀린 말은 아닌것이, 애초에 서번트는 한 개체 한 개체가 '국가전력'급이다. 그랜드(멀린같은 관위의 서번트 말고, 시계탑의 계위에서의 그랜드)클래스의 마술사가 충분히 준비하면 소국의 국가전력에 맞서는 게 가능한 수준인데, 서번트는(앙리나 셰익스피어, 안데르센같은 예외를 제외하면) 이것보다 더 강하다. 마스터주제에 서번트랑 맞서 싸우는 에미야 시로나 쿠즈키 소이치로가 이상한 것. 이 마저도 소이치로는 '초전 한정 대응 불가'라는 사기적인 기술+캐스터의 강화마술+(설마 마스터가 서번트와 맞서 싸우는 전위를 맡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한 심리적인)기습의 복합적인 요소로 세이버를 쓰러트리긴 했지만, 이것도 초전이라 먹힌 거고 두번은 안 먹힌다고 언급이 되어있고, 에미야 시로는 [[무한의 검제]]라는 치트를 가지고 있었고 이 마저도 길가메쉬가 끝까지 자존심 챙기려다 에아를 늦게 꺼내는 바람에 일어난 일이다. 이런 치트같은 것도 없는데다, 떨어지는 마스터 적성(패스가 너무 약해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면 패스가 끊어지기에, 전장에 함께 서 있어야 한다. '''하다못해 카리야도 원거리에서 버슬롯을 운용할 수 있었는데''', 리츠카는 이것도 안 된다.)+마술적성(예장 없으면 마력 짜내지도 못하는 수준)이 다인 리츠카가 맞서 싸울 수 있으면 그게 이상한 거다.] 결국 리츠카의 비중, 매력은 거의 보여주지 못하고 그냥 이름만 부르는 장식품으로 전락했다. 싫어하는 사람들은 고함충이라고까지 부를 정도. 그래도 후반부로 와서는 원작과 마찬가지로 아무리 상황이 절망적이어도 주저하지 않는 강철멘탈과 빠른 판단력, 영주 지원 등으로 시청자들의 평가도 그럭저럭 올라갔지만 20화에서 해당 화 담당이었던 감독의 냅다 달려들어서 교감이라는 시대착오적인 [[세카이계]] 연출을 시키는 악수를 두는 바람에 덩달아 이미지가 폭락했다. === 총평 === 최종화인 21화는 깔끔하게 마무리 지었고, 많은 팬들이 은근히 고대하고 있던 [[Fate/Grand Order -종국특이점 관위시간신전 솔로몬-|종장 애니화]] 가능성까지 열려서 원래대로라면 한창 축제 분위기여야 했으나 아무래도 팬덤에서 가장 기대하고 있던 최종 전투씬을 그런 식으로 만든 바람에 여전히 아쉽다는 평이 많다.[* 이런 점 때문인지 종장 애니화가 결정되었는데도 팬덤에서는 마냥 반갑게 여기기보다는 같은 제작진이 담당한다는 사실에 우려하는 의견이 많다. 이미 20화로 인해 제작진의 원작 이해도가 의심가는 상황에서 종장의 그 감동을 과연 있는 그대로 충실히 재현해낼 수 있을지 팬덤에서 신뢰하지 못하고 있는 것.] 전반적인 팬들의 평가는 [[다 좋은데 말야 자네만 없으면 좋겟군|다 좋은데 [ruby(감독, ruby=20화)]만 없으면 좋겠군]] 정도. 사실 전체적인 퀄리티는 상술한대로 [[ufotable]] 판 못지 않게 고퀄리티로 뽑혀 나왔다. 그러나 이해할 수 없는 20화의 각색 때문에 빌드업이 수포로 돌아가버린 [[용두사미]] 작품이 되어버린 것. 후에 출시된 BD에서도 20화는 시각 효과만 개선하고 근본적인 비판점들은 수정하지 않아 팬들의 아쉬움은 더욱 배가 되었다. 팬덤에서 2017년의 [[Fate/Apocrypha/애니메이션|Fate/Apocrypha]]와 2018년의 [[Fate/EXTRA Last Encore]]가 만든 '페이트 시리즈 애니화는 역시 유포가 아니면 안 된다', '페이트 시리즈 외전 애니화는 반드시 망한다'란 징크스를 깨줄 거라고 믿었던 작품이기 때문에 이 작품의 이러한 마무리는 안타깝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실제로 본작 종영 후 5개월 뒤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 시리즈가 호평 속에 막을 내리면서 이러한 반응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다만, 2020년 하반기에 나온 6장 극장판 전편의 평가가 그닥 좋지 않아서 바빌로니아가 재평가받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비록 20화의 평가가 낮긴 하지만, 객관적으로 전반적인 연출이나 작화를 봤을때 퀄리티가 좋은건 부정할수 없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후 개봉된 6장 극장판 후편은 평가가 좋아서 징크스를 어느정도 깨는데 성공했다. == 기타 == * 바빌로니아 TVA 키비주얼 공개 당시에 구다오가 머플러를 착용한 걸 보고 나서야 '아 그러고 보니까 저런 것도 있었지'한 마스터들이 많았다. 7장 초반에 다빈치가 리츠카에게 6장에서 만든 마력 차단 마스크의 발전형을 건네줬었는데, 스토리상 중요한 아이템이 아니기에 그 뒤로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인게임에서는 [[Fate/Grand Order/마술예장|마술예장]]으로 애니메이션 캠페인 3탄에 추가. * [[Fate/Grand Order Fes. 2019 ~4th Anniversary~|FGO 4주년 행사장]]에서 0화를 선행 공개를 했고, 2019년 8월 4일 19부터 8월 11일 13시까지 기간한정으로 FGO 게임 내에서도 감상할 수 있도록 공개되었다. 내용은 FGO가 시작하기 전까지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마지막에 1~6장의 다이제스트를 보여주고 끝난다. 마테리얼에는 추가되지 않기 때문에 기간이 끝나면 게임 앱으로는 감상 불가능하다. * 애니플러스에서 8월 12일에 0화를 방영했는데, 감독명을 [[신보 아키유키]]로 기재하는 오류를 내버렸다. 그리고 연령 고지에는 15세로 설정되었으나, 본편과 같이 나오는 로고 밑에는 19세로 잘못 표기되어 송출되었다. * 21화라는 화수가 시즌제로 방영하는 일본에서 드문 화수이기에[* 1쿨에 12~13화가 기본이고 드물게 노이타미나처럼 11화로 방영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2017년부터 [[Dies irae(게임)/애니메이션|Dies irae]], [[살육의 천사/애니메이션|살육의 천사]],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애니메이션)|부기팝은 웃지 않는다]]처럼 16, 18화 등의 변칙 화수도 나오고 있다.] 22화부터 절대마수전선 메소포타미아로 이름을 바꿔서 방영하는거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으나 블루레이 수록 정보가 뜨고 나서 부정되었다.[[https://anime.fate-go.jp/ep7-tv/bddvd/?no=5|#]] 애매한 분량이 오히려 시나리오 구성이 제대로 된게 아니냐는 기대도 있는데, 원작의 분량으로 보면 1쿨은 모자라고 정규 2쿨은 분량이 남기 때문에 늘어지는 구간이 생기지 않게 잘 조절한게 아니냐는 것. * 원작 게임의 [[Fate/Grand Order/OST|OST]]를 어레인지한 곡이 배경 음악으로 자주 나오는 편이다. 원작 팬들에겐 반갑게 느껴질 만한 팬 서비스. * 차회 예고는 트위터에 올라오는데 게임에 나오는 가챠 화면에서 구슬이 돌아가면서 클래스 카드가 나오면서 거기서 소환된 서번트가 예고를 해주는 형식이다. * 원작과 동일하게 현지에서 실제로 만난 서번트 외의 서번트는 일체 나오지 않는다.[* 실제 원작 게임에서도 1부에서의 정규 특이점에는 칼데아 측 서번트는 마슈 외에는 동행할 수 없다는 설정이다. 이벤트에서 나오는 미소특이점이나 1.5부에서 나온 아종특이점, 2부에서 나오는 이문대는 정규 특이점이 아니라서 동행이 가능한 것. 이는 후에 [[Fate/Grand Order/스토리/헤이안쿄|지옥계만다라 헤이안쿄]]에서 자세하게 설명이 되었는데 정규 특이점은 현 시대의 존재가 아닌 이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칼데아 측 서번트가 동행하지 않은 건 원작 반영이지만 리츠카가 전투 시에만 한정해서 칼데아 측의 서번트를 그림자처럼 일시적으로 소환해서 싸운다는 마스터로서의 진정한 전투 능력은 반영되지 않았으며 칼데아가 특이점에 오기 전에 길가메시가 소환했다가 소멸했다고 언급되고 실제로 이후 막간에서도 그런 스토리가 드러난 다른 4기(이바라키, 토모에, 아마쿠사, 코타로)도 애니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다. 해당 서번트들도 그나마 2기 엔딩에서 짤막하게 그려지는 수준.] * 애니플러스의 자막에서 레오니다스 1세의 보구 진명 개방 장면에서 자막은 [[로드 엘멜로이 2세의 사건부: {레일 체펠린} 그레이스 노트]], [[데이트 어 라이브 Ⅲ]]처럼 루비로 달지 않고 "테르모퓔라이 에노모타이아(염문의 수호자)"로 괄호 형식으로 달았다. 단, 그후로는 보구 진명 개방 장면에선 괄호를 달지 않고 "로드 칼데아스", "쿠르 키갈 이르칼라" 등으로 달다가 15화에서 백수모태의 권능을 "[ruby(백수모태의 권능, ruby=포트니아 테론)]"이라고 루비 자막 형태로 다는 식으로 자막 형식이 통일되지 않는다. 17화에서는 이슈타르의 보구 진명 개방 장면에서 자막을 15화처럼 "[ruby(산맥을 뒤흔, ruby=앙 갈 타)]드는 [ruby(샛별의 장작, ruby=키 갈 슈)]", 루비 자막으로 달았다. 18화에서는 케찰코아틀의 각기 다른 보구 개방이 3번이나 나오는데 "피에드라 델 솔"과 "울티모 토페 파타다"는 해설 없이, 마지막의 "슈 코아틀"은 "[ruby(불꽃이여, ruby=슈)], 신[ruby(마저도 불태워, ruby=코 아 틀)]라"로 루비 자막 형식으로 달았다.[* 인게임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보구는 슈 코아틀이기 때문에 나머지 두 보구의 진명은 확인하지 못 했을 수도 있다. 참고로 [ruby(태양역석, ruby=피에드라 델 솔)]은 인연예장 이름이다.] 이후로는 쭉 루비 자막으로 달았다. 데어라 3기의 경우에는 다시 나오는 기술은 루비 자막으로 달지 않았는데 이쪽은 2번째 "앙갈타 키갈슈"에도 루비 자막을 달았다. * 애니플러스 유튜브 채널에서 페그오 하이라이트 영상을 올리는 담당자는 13화 하이라이트 영상 제목에 현왕 길가메시의 옛날 별명인 '길가메시 브라이드'란 표현을 쓴 것 때문에 상당한 페그오 덕후로 추정되고 있다. * 애니메이션 방영하기 전에 애니 홍보대사로 성우 두 명이 뽑혔는데 [[타나카 미나미]]와 [[아카바네 켄지]]이지만 두 명 모두 애니메이션[* 단, 타나가 미나미의 경우 여기서만 참여하지 않는것일뿐 [[Fate/Grand Order -신성원탁영역 카멜롯-|극장판]]에서는 [[니토크리스(Fate 시리즈)|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에 참여하지는 않는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ypemoon&no=6039905|#]][* 타나카 미나미는 [[니토크리스(Fate 시리즈)|니토크리스]]. [[발키리(Fate 시리즈)|발키리 오르트린데]]의 성우이며 아카카베 켄지는 [[카독 젬루푸스]]의 성우로 두 명 모두 페그오에 참여한 적이 있으며 페이트에 대한 애정도 크게 보여주는 성우이기에 홍보대사로 뽑힌 것으로 보인다.] 아카바네 켄지는 애니메이션을 보고 매 화마다 트위터로 감상문을 올리고 있다.[* 다만 20화는 상술한대로 문제가 너무 많은 모양인지, 감상문이 없다. 다만 21화가 방영되기 전, 공식 트위터에서 아카바네 켄지에게 감상문을 받아서 업로드했다.[[https://tokyo.whatsin.jp/590361|#]]] * 북미에서는 수많은 여타 애니들처럼 [[퍼니메이션]]에서 더빙되어 방송되었다. 이슈타르, 재규어맨처럼 원본이 있거나 길가메시나 리츠카 일행처럼 이미 타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한 적 있는 캐릭터들은 유포터블 Fate 시리즈나 First Order에서 출연한 기존의 성우진을 모조리 채워넣은데다 출연 분량이 극히 미미한 드레이크, 네로와 같은 캐릭터들도 [[커샌드라 리]], [[제시카 지]] 등 이전에 해당 캐릭터를 연기한 성우를 캐스팅했다. 또한 이전에 등장이 없던 [[나이팅게일(Fate 시리즈)|나이팅게일]]이나 [["산의 노인"|산의 노인]]은 아예 북미에서 [[모드레드(Fate 시리즈)|모드레드]]의 성우를 담당한 [[에리카 린드벡]]과 [[코토미네 키레이]]의 성우를 맡은 [[크리스핀 프리먼]]을 캐스팅됐으며 케찰코아틀의 경우엔 멕시코 지역의 설화가 원전이라는 점에서 착안해 히스패닉 억양을 쓰는 등 엄청나게 빵빵한 성우진이 인상적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타입문 애니메이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ate/Grand Order/애니메이션, version=66, paragraph=3)] [[분류:Fate/Grand Order/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9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20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모바일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분류:Clover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