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셀린 디옹]][[분류:1996년 음반]][[분류:캐나다의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팝]][[분류: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 [include(틀:셀린 디옹)]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fff, #fff)" {{{#7E6A6B '''Falling into You의 주요 수상 및 선정'''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1980년~1999년))] ---- [include(틀:빌보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앨범)]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97)] ----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 [include(틀: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1위 이하), 순위=28, 판매량=2800)]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126)]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Falling into You)] ---- ||<-5>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 Home Again '' [[뉴 에디션|{{{-2 {{{#8086a0 New Edition}}}}}}]] || {{{+1 →}}} || ''[[Falling into You]]'' [br]^^{{{-2 (2주)}}}^^ '''[[셀린 디옹|{{{-2 {{{#8086a0 Celine Dion}}}}}}]]''' || {{{+1 →}}} || ''From the Muddy Banks of the Wishkah'' [br] [[너바나(밴드)|{{{-2 {{{#8086a0 Nirvana}}}}}}]] || ---- ||<-5>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From the Muddy Banks of the Wishkah'' [[너바나(밴드)|{{{-2 {{{#8086a0 Nirvana}}}}}}]] || {{{+1 →}}} || ''[[Falling into You]]'' [br]^^{{{-2 (1주, 도합 3주)}}}^^ '''[[셀린 디옹|{{{-2 {{{#8086a0 Celine Dion}}}}}}]]''' || {{{+1 →}}} || ''Recovering the Satellites'' {{{-2 {{{#8086a0 Counting Crow}}}}}} || }}} || ||||<:> '''{{{+1 {{{#7E6A6B Falling into You }}}}}}''' || ||<-2>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폴인투유.jpg|width=100%]]}}} || || '''발매일''' ||[[1996년]] [[3월 11일]] || || '''녹음''' ||[[1995년]] ~ [[1996년]] || || '''스튜디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캘리포니아 캐피톨 스튜디오[br]컴퍼스 포인트 스튜디오[br]코브 시티 사운드 스튜디오[br]메가 스튜디오[br]드림 팩토리[br]히트 팩토리[br]파워 스테이션[br]레코드 플렌트[br]웨스트레이크 스튜티오 }}} || || '''장르''' ||[[팝 음악|팝]] || || '''재생 시간''' ||67분 00초 || || '''레이블''' ||[[컬럼비아 레코드|[[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width=110]]]], [[에픽 레코드|[[파일:에픽 레코드 로고.svg|width=40]]]] || || '''트랙 수''' ||14개 || || '''프로듀서''' ||로이 비탄, 제프 보바, 데이비드 포스터 || || '''싱글 발매곡''' ||Falling into You ,,(1996년 2월 19일),,[br][[Because You Loved Me]] ,,(1996년 2월 20일),,[br][[It's All Coming Back to Me Now]] ,,(1996년 7월 30일),,[br][[All By Myself]] ,,(1996년 10월 7일),,[br]Call the Man ,,(1997년 6월 16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Falling into You'''는 1996년 3월 11일에 발매된 [[셀린 디옹]]의 네 번째 영어 스튜디오 앨범이다.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고, [[그래미]] 올해의 앨범상을 포함해 여러 상을 휩쓸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3200만 장[* 다이아몬드 앨범]이 팔린 앨범이다. 이 앨범으로 인해 그녀의 인기는 절정에 달하고 음악적으로도 한층 더 발전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또한 이 앨범과 다음 앨범 [[Let's Talk About Love]][* 이 앨범은 무려 3000만장이나 넘게 팔았다.][* 또한 Let's talk about love가 My Heart Will Go On에 집중된 인기라 했음 이 앨범에선 한곡 한곡 고루고루 인기를 얻었다.]그리고 [[My Heart Will Go On]]의 초대박으로 90년대 초중반을 지배했던 휘트니 휴스턴, 머라이어 캐리 두 디바를 제치고 90년대말 부터는 그녀가 최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휘트니 휴스턴은 영화 보디가드의 대성공으로(OST포함) 월드투어, 영화에 집중하다 보니 가수 커리어가 전보다 많이 빈약해졌다.][* 머라이어 캐리는 1997년도 부터 토미 머톨라와 이혼하면서 소니뮤직의 지원이 줄어들기 시작했고, 음악스타일도 변화되며 음반판매량이 급감하기 시작했다.] 훗날 [[빌보드]] 편집자인 폴 베르나는 '''[[셀린 디옹]]이 진정한 [[팝 음악|팝]] 디바 중 한 명으로 뽑힌 것이 이 [[Falling into You|앨범]]의 명성이 자자해서이다.''' 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 상세 == 이 앨범은 화려한 오케스트라 프릴, 아프리카 음악, 스페인 기타, [[바이올린]] 등과 같은 다양한 음악과 악기로 새로운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싱글 또한 음악 스타일이 다양했는데 Falling into You 와 River Deep, Mountain High[* 원곡자 [[티나 터너]]]는 타악기를 눈의 띄게 사용했고, [[It's All Coming Back to Me Now]]와 [[All By Myself]]는 [[소프트 록]]과 [[클래식(음악)|클래식]] 한 사운드와 결합되었다. == 성공 == Falling into You 는 28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한 역대 배스트앨범 중 하나이다. 또한 여러 나라에서 많은 판매고를 올리고 1위를 차지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다이아몬드, 멀티 플래티넘, 플래티넘 및 골드 인증을 받았다. 제39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상과 최우수 팝 앨범을 수상했으며, Because You Loved Me 는 올해의 레코드상, 최고의 여성 팝 보컬 공연, 올해의 노래상으로 후보에 올랐다. 빌보드에서도 역사상 가장 성공한 200 앨범 중 하나이다. == 트랙 리스트 == === [[It's All Coming Back to Me Now]] === [youtube(j8fHNdrZTSI)] === [[Because You Loved Me]] === ||||<#fff,#191919><-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곡'''}}}}}} || || ''[[One Sweet Day]]'' [[Mariah Carey & Boyz ll men|{{{-2 {{{#8086a0 Mariah Carey & Boyz ll men}}}}}}]] || {{{+1 →}}} || '''Because You Loved Me'''[br]'''[[Celine Dion|{{{-2 {{{#8086a0 Celine Dion}}}}}}]]'''[br]{{{-2 (6주 연속)}}} || {{{+1 →}}} || ''[[Always Be My Baby]]'' [[Mariah Carey|{{{-2 {{{#8086a0 Mariah Carey}}}}}}]] || [youtube(dxQrwl1rC9A)] 영화 "up close&personal" OST 로 사용되었으며, 머라이어 캐리(&보이즈 투 맨)의 '''One Sweet Day'''를 꺽고 빌보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머라이어 캐리의 장기집권을 끝냈다.--그녀의 후속곡 [[Always Be My Baby]]의 5주 연속 2위는 덤-- === Falling into You === [youtube(8tWMCGRWr-Y)] === Make You Happy === [youtube(AbZDKQtRebo)] === Seduces Me === [youtube(NNT6B39oO_s)] === [[All By Myself]] === [youtube(NGrLb6W5YOM)] 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 1위 === Declaration of Love === [youtube(C8pQeHdn-OU)] === Dreamin' of You === [youtube(UxQcJNwoJw0)] === I Love You === [youtube(rri790yZ84s)] === If That's What It Takes === [youtube(B7sG8s4C5EQ)] === I Don't Know === [youtube(sevkjVyprUY)] === River Deep, Mountain High === [youtube(dFsaEl-DFLE)] === Call the Man === [youtube(TsDoAPPQtw0)] === Fly === [youtube(298BSVJvkQM)] === To Love You More (아시아판 보너스 트랙) === [youtube(ZIwLMDcREnI)] 1995년 후지TV에서 방영됐던 일본 드라마 '코이비토요(My Dear Lover)'의 주제곡으로, 1995년 10월 일본에서 싱글 발매되어 150만장이 팔렸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1위에 오르는 등 대히트했다.[* 이로서 셀린 디온은 1983년 아이린 카라(Irene Cara)에 이어 두번째로 오리콘 싱글 1위를 달성한 글로벌 아티스트가 되었다.] 이 곡은 지역별로 다르긴 해도 셀린 디온의 세 정규 앨범에 연달아 수록되었는데, 먼저 일본에서 3집인 'The Color of My Love'의 재발매판에 추가 수록되었고, 이후 4집 'Falling into You'의 아시아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된다. 이어 5집 'Let's Talk About Love'의 북미/남미 버전에 수록되었으며, 이 앨범의 세번째 싱글[* 참고로 이전 싱글이 그 유명한 [[My Heart Will Go On]]이었다.]로 발매되어 빌보드 어덜트 컨템포러리 차트 1위에 오르는 등 일본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또한 '''셀린이 1995년을 시작으로 라이브에서 가장 많이 선보이는 곡이기도 하다.''' 이 곡의 특징으로는 셀린의 곡 중에서도 난이도가 극한으로 높기로 유명하다.[* 아무래도 고음이 많이 있고 여러 기술적 요인이 포함됐으니 그런 거 같다.]셀린이 1997년 멤피스에서 라이브에서 선사한 것을 보면 알수있듯이 클라이맥스 부분이다. 스튜디오에선 고음을 1분이상 유지하지만 셀린도 멤피스 라이브를 포함한 모든 라이브에선 이 고음을 30초 이내로밖에 유지 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