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FIM-43}}}'''[br]''FIM-43 Redeye''[br]''FIM-43 레드아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m-43_profile 0.jpg|width=100%]]}}}|| || '''종류''' ||[[맨패즈|휴대형 지대공 미사일]]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67년]]~[[1995년]] || || '''개발''' ||[[제너럴 다이내믹스|컨베어[br]제너럴 다이내믹스]] || || '''개발년도''' ||[[1959년]] || || '''생산''' ||[[제너럴 다이내믹스]] || || '''생산년도''' ||[[1962년]]~[[1971년]] || || '''생산수''' ||85,000정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서독]][br][[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3]] [[스웨덴]][br][[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3]] [[크로아티아]][br][[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3]] [[터키]][br][[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3]] [[이스라엘]][br][[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3]] [[사우디아라비아]][br][[파일:태국 국기.svg|width=23]] [[태국]] || || '''사용된 전쟁''' ||[[베트남 전쟁]][br][[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br][[니카라과 혁명]][br][[레바논 내전]][br][[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 ||<-2> {{{#White '''기종'''}}} || || '''파생형''' ||XMIM-43A[br]XMIM-43B[br]FIM-43C[br]FIM-43D[br]AIM-43D[br][[FIM-92 스팅어|FIM-92]][br]RBS 69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M222 폭발 파편형 (탄두)[br]M814 직격 착발형 (신관) || || '''유도방식''' ||1세대 [[적외선]] 추적식 || || '''전장''' ||1,200mm || || '''중량''' ||8.3kg || || '''탄속''' ||580m/s || || '''유효사거리''' ||4,5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3uWW71iXA0s)] FIM-43 레드아이(Redeye)는 [[미군]]의 제식 [[맨패즈|휴대형]] [[대공 미사일#s-3.1|지대공 미사일]]이다. == 역사 == [[파일:fim-43_usa 0.jpg|width=580]] 1958년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과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에서 함께 진행된 [[제트기|제트]] [[항공기]] 대응 [[맨패즈|휴대무기]] 도입 사업에 기존의 [[FFAR|FFAR(날개 접이형 공중발사 로켓, Folding-Fin Aerial Rocket)]]와 같은 2.75인치 직경으로 생산 라인 유용에 따른 예산 절감 효과까지 갖춘 컨베어(현 [[제너럴 다이내믹스]]) 사의 레드아이(Redeye) 설계안이 최종 선정되었다. 1961년에 들어서는 견착 발사가 가능할 정도의 개발 진척을 보였으나, 실험에 쓰인 MQR-16 건러너(Gunrunner) 표적 무인기도 제대로 맞추지 못하는 성능 상의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었는데도 당시의 다른 경쟁 기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적외선]] 추적 능력 덕분에 결국 XM41 레드아이 블록 I 제식명을 받아 소량 제작에 들어갈 수 있었다. [[파일:fim-43_usa 1.jpg|width=580]] 1963년의 [[미군]] 합동 발사체 명명법(Tri-Service missile and drone designation system)에 따라 XMIM-43A로 개명된 블록 I 단계부터 작전 운용 능력을 받게되는 블록 III 단계까지 명중률 향상을 위한 개량을 거듭하였으며, 1968년에는 [[보병]] 전용임을 나타내기 위해 한차례 더 개명됨과 동시에 FIM-43C의 정식 제식명을 받았다. 최초 실전 투입이 이루어진 [[베트남 전쟁]] 이후에도 낮은 단가 덕분에 많은 수가 생산되어 1995년까지 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반 [[소비에트 연방]] 성향의 동맹국은 물론,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이나 [[니카라과]]의 [[콘트라#s-2]]와 같은 반정부 저항 조직에 비공식적으로 무상 공여되기도 했다. == 특징 == [[파일:fim43c_usa 0.jpg|width=580]] 열잡음을 고려하지 않은 비냉각식 [[황(원소)|황화]][[납]](PbS) 소재의 초전형 센서(Pyroelectric sensor)로 약 1~3μm 대역의 근~단파장 [[적외선]] 정도만 감지하는 원시적인 1세대 [[적외선]] 유도(IRH) 방식을 따르므로 목표물의 배기구가 노출된 후방 만을 노려야 했으며, 3G 이하의 기동성에 [[신관#s-2]] 역시 직격형이라 급기동과 [[플레어(무기)|플레어]] 등의 기만체에 취약하여 보완 개량형인 [[FIM-92 스팅어|FIM-92]] 개발을 촉진시켰다. == 종류 == ||<-10>
[[https://en.wikipedia.org/wiki/1963_United_States_Tri-Service_missile_and_drone_designation_system| ]]'''[[미군/장비/명명규칙#s-4|미합중국 국군 합동 발사체 제식명 명명법]][br]United States Tri-Service missile and drone designation system''' || || '''상태''' || '''위치''' || '''주임무''' || '''유형''' || '''하이픈''' || '''번호''' || '''계열''' || '''하이픈''' || '''구성''' || '''속명''' || || [[실험|X]] || [[자동차|M]] || [[대공 미사일|I]] || [[미사일|M]] || - || 43 || A || || ||<|4> 레드아이 || || X || M || I || M || - || 43 || B || || || || || [[보병|F]] || I || M || - || 43 || C || || || || || F || I || M || - || 43 || D || || || * XM41(XMIM-43A): 블록 I 단계의 실험형 * XM41E1(XMIM-43B): 블록 II 단계의 실험형 * XFEM-43B: 데이터 기록용 실험형 * XM41E2(XFIM-43C) - 블록 III 단계의 실험형 * M41(FIM-43C) - 블록 III 단계의 양산형 * XFEM-43C: 데이터 기록용 실험형 * FIM-43D: 자세한 사양이 밝혀지지 않은 실험형 * AIM-43D: 발주 취소로 생산되지 않은 공대공형 * [[FIM-92 스팅어|FIM-92]]: 전방 추적 능력과 [[iff#s-2|피아식별장치(IFF)]] 탑재에 중점을 둔 레드아이 II(Redeye II) 기반 후계형 == 등장매체 == [[http://www.imfdb.org/wiki/FIM-43_Redeye|레드아이가 등장하는 작품목록.]] === [[영화]] === * [[배트맨 리턴즈]] - 서커스 갱단의 일원이 사용한다. [[http://www.imfdb.org/wiki/Batman_Returns#FIM-43_Redeye|#]] * [[코만도(영화)|코만도]] - 총포상의 비밀금고에서 등장한다. 거기서 온갖 무기를 쓸어가던 매트릭스가 이 무기를 보자마자 묘한 표정을 지으면서 집으려는 순간 경찰이 도착하고. 매트릭스는 잡혀간다. *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 [[인류 저항군]]이 사용한다. [[http://www.imfdb.org/wiki/Terminator_2:_Judgement_Day#FIM-43_Redeye|#]] * [[트루 라이즈]] - 핵폭탄을 운반하는 핵 테러리스트 들이 다리를 부수려는 [[AV-8]]을 향해 발사하지만 빗나간다. === [[게임]] === * [[메탈기어 솔리드 피스 워커]] - 랭크 3 대공 미사일로 등장한다. [[크리사리스]]전의 필수품. 구형이라 록온 시간이 엄청나게 오래걸리지만 [[FIM-92 스팅어|XFIM-92]]의 요구 기술레벨이 꽤 높아 1주차엔 얻기가 힘들어서 어쩔 수 없이 이거라도 써야한다. 전작의 스팅어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생물이건 전차건 잘만 록온되는 괴이한 물건으로 나온다.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블루포 국가들 대공보병의 장비로 등장한다. 해당 유닛은 적은 비용으로 다수를 불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거리, 명중률, 제압력 등이 고루 낮아 거의 쓰이지 않는다. 그냥 스팅어나 미스트랄 같은거 쓰자.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 - [[Rules.ini]]를 뜯어보면 연합군의 대공 무기 [[패트리어트 미사일]]이 쓰는 무기가 레드아이로 되어 있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 시그마 2라는 이름으로 등장. 본작에 나오는 유일한 맨패즈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호주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서독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스웨덴 보병장비)] [include(틀:아프간전/무자헤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엘살바도르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레드아이, version=91)] [[분류:맨패즈]][[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제너럴 다이내믹스]][[분류:1962년 출시]][[분류:197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