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IFA 주관 대회)] [include(틀:Gamers8 2023 경기 종목)] ||<-2><:>'''{{{#7FFF00 FIFAe 클럽 월드컵}}}'''||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FAe Club World Cup Logo.jpg|width=100%]]}}} || || '''{{{#7FFF00 정식 명칭}}}''' ||FIFAe 클럽 월드컵 || || '''{{{#7FFF00 영문 명칭}}}''' ||FIFAe Club World Cup || ||<|3> '''{{{#7FFF00 창설 연도}}}''' ||FIFA 인터랙티브 클럽 월드컵^^(2017)^^ || ||FIFA e클럽 월드컵^^(2018)^^ || ||'''FIFAe 클럽 월드컵^^(2021)^^''' || || '''{{{#7FFF00 참가 자격}}}''' ||[[플레이스테이션 4]]과 [[엑스박스 원]] 유저 각 1명씩 2인 1조로 구성된 클럽 || || '''{{{#7FFF00 웹사이트}}}''' ||[[https://www.fifa.com/fifae|FIFAe]] [[https://www.fifa.gg/|FIFA.gg]]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swQbXjIsVjI)] >'''Fame Your Game''' >----- >FIFAe 브랜드 출범 슬로건 [[FIFA]]와 [[일렉트로닉 아츠]]가 공동 주최하는 [[e스포츠]] 클럽대항전. 대회 종목은 [[FIFA 시리즈]]이며 2017년 런던에서 초대 대회가 열렸다. 2020년까지는 [[FIFAe 월드컵]]으로 가기 위한 글로벌 시리즈 플레이오프의 예선 대회 중 하나였다. 우승 시 2000포인트가 주어지며 글로벌 시리즈 플레이오프 진출이 상대적으로 유리했다. FIFA에서 [[FIFA 21]] 대회에 대한 청사진을 발표하며 FIFA 주관 e스포츠 대회의 총괄브랜드를 FIFAe로 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는데, 기존에 글로벌시리즈 플레이오프의 예선전이었던 e클럽 월드컵과 e네이션스컵이 각각 FIFAe 클럽 월드컵과 FIFAe 네이션스컵으로 개칭되었으며 총상금을 안내하며 클럽 시리즈와 네이션스 시리즈의 존재를 밝혀 기존 글로벌시리즈를 개인전으로 삼고 클럽대항전과 국가대항전을 신설, 각 대회를 최상위 대회로 규정하였다. == 대회 규정 == 각 대륙별로 별도의 토너먼트로 치러지고 각 매치는 모두 [[홈 앤 어웨이]]가 존재한다. 조별리그는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주어진다. Zone 1(오세아니아), Zone 2(아시아), Zone 3(중동-아프리카), Zone 4(유럽), Zone 5(남미), Zone 6(북중미) 등 모두 6개 Zone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유럽과 남미는 8강 토너먼트가 존재한다. 8강과 준결승은 3전제, 결승은 5전제로 치러진다. == 대회 역사 == === 2017 런던 === [youtube(uWSHw-B3Ztk)] * [[https://youtu.be/YVcGbELM4IU|조별리그]], [[https://youtu.be/mEnZyQXb1us|결승 라운드]] * 2017년 8월 5일 런던의 [[Sky Plc]]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우승은 [[브뢴뷔 IF]]의 마르쿠스 욘센이 차지했다. === 2018 파리 === [youtube(OUFYEEiHAQc)] * Commentator Language * English: [[https://youtu.be/t7cBYX11ClU|조별리그]]([[https://youtu.be/bS00AkUFqdk|A조 전경기]], [[https://youtu.be/KRQRzzXGdIc|B조 전경기]]), [[https://youtu.be/VEPaSOTH_XI|8강~준결승]], [[https://youtu.be/ZUFbBzL3uvI|결승]] * French: [[https://youtu.be/Xd-V1GovGpg|조별리그]], [[https://youtu.be/0qGfXfGO9S4|8강~준결승]], [[https://youtu.be/uC_cnr6Iumk|결승]] * 2018년 5월 19일~20일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AMP 스튜디오에서 개최되었으며 이 대회부터 2인 1팀제로 진행되었다. 우승은 [[브뢴뷔 IF]]가 2년 연속으로 차지했다. === 2019 런던 === [youtube(I3hxvNWeH9E)] * [[https://youtu.be/CGzMxRMMIC4|A조 & C조]], [[https://youtu.be/bVdbhbc-6lc|B조 & D조]], [[https://youtu.be/ZAqaDtHqOjQ|8강~준결승]], [[https://youtu.be/IGQ2FJYlfrY|결승]] * 2019년 2월 9~10일 런던 [[Sky Plc]] 스튜디오에서 개최되었다. 우승은 KiNG eSports(도노반 헌트(Tekkz), 니콜라스 빌알바(Nicolas99fc))가 차지했다. === 2020 밀라노 === [youtube(iQ3rNjOZ6Ns)] * [[https://youtu.be/Wtj5DZwdJRc|조별리그 1~3차전]], [[https://youtu.be/wup0GHoA1og|조별리그 4~5차전 & 16강]], [[https://youtu.be/vzVUQZZ1yls|8강~준결승]], [[https://youtu.be/n40lTrNg8qI|결승]] * 2020년 2월 7~9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되었다. 우승은 컴플렉시티 게이밍(족산 레도나(Joksan), 맥스 포포프(MaXe vip))이 차지했다. 2020 FIFA 주관 대회 중 유일하게 대면으로 정상 개최된 대회이다.[* 대회가 끝나고 약 한달 뒤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비대면으로 하는 것들이 늘어났고 스포츠 대회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해 개최 예정이었던 클럽월드컵과 풋살월드컵은 1년 연기되었고 여자 U20과 여자 U17은 아예 취소되었다. [[FIFAe 콘티넨탈컵]]도 어느 한곳에 모여서 개최된 것이 아니라 한국과 중국, 베트남, 태국 등을 연결하는 4원 생방송 대회였기 때문에 완전히 정상적으로 개최된 대회는 이 대회가 유일하다.] === 2021 온라인 === [youtube(1Nf4JfoOz4I)] * 우승팀 * Zone 1(오세아니아): 다이어 울브스 - 딜런 캠벨(Dylan), 조슈아 킹(Envy) * Zone 2(아시아): 블루 유나이티드 eFC - 나카시마 쇼(Agu), 사토 쇼타(Tsakt) * Zone 3(중동-아프리카): 25eSports - 압둘라지즈 알사뱌니(abo3zza10), 지아드 알가마디(vZiad9) * Zone 4(유럽): Mkers - 다니엘 파올로치(IcePrinsipe), 올리버 우트그렌(Oliboli7) * Zone 5(남미): ELS Torneios Online - 파울로 엔리케 차베스(PHzin), 마테우스 엔리케(mh7) * Zone 6(북중미): 컴플렉시티 게이밍 - 맥스 포포프(MaXe vip), 족산 레도나(Joksan) * 영상 * [[https://youtu.be/DxT4_r31RV8|프리뷰 쇼]] * [[https://youtu.be/2A95sL-Gfpo|유럽 8강~준결승]], [[https://youtu.be/c2mUd7u_WPA|남미 8강~준결승]] * [[https://youtu.be/3QkpJ5UuAMY|오세아니아 결승]], [[https://youtu.be/TsaKcpzRKCA|아시아 결승]], [[https://youtu.be/cVJTUf-uLJ4|중동-아프리카 결승]], [[https://youtu.be/rVITGSVR-rc|유럽 결승]], [[https://youtu.be/aaGz7ESjUYo|남미 결승]], [[https://youtu.be/anUG_DNGUE8|북중미 결승]] * FIFA의 e스포츠 브랜딩 정책에 따라 FIFAe로 대개편되고 맞이하는 첫 대회. 이 대회부터 FIFAe 월드컵으로 가기 위한 글로벌 시리즈 플레이오프 예선 대회로 가는 대신 최상위 클럽대항전으로 격상시켰다.[* e월드컵은 최상위 개인전, e클럽 월드컵은 2인 1팀의 최상위 클럽대항전, e네이션스컵은 2인 1팀의 최상위 국가대항전으로 격상시키면서 최상위 대회가 e월드컵 단일 대회에서 3개로 늘어났다.] 또 개편으로 각 대륙별로 6팀의 우승팀이 가려졌다. 가장 유저가 많은 유럽과 남미는 8강 토너먼트가 존재했으며[* 유럽 14팀, 남미 12팀 참가.] 나머지 대륙은 온라인 예선을 통해 올라온 4팀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결승 진출 2팀을 가렸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대륙별 결승 횟수가 늘어나면서 대회 진행만 스튜디오에서 하고 경기는 온라인으로 하는 방식이었다. [[분류:FIF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