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FIFA 클럽 월드컵)] [include(틀:관련 문서,top1=FIFA 클럽 월드컵/역대 대회)] [include(틀:역대 FIFA 클럽 월드컵)]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4 '''{{{#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 ''' 2020'''[br]'''FIFA Club World Cup Qatar 2020™'''}}}}}} || ||<-3> [[파일:2020_FIFA_Club_World_Cup.svg.png|width=5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fcw_image.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대회 기간'''}}}}}} ||<-2> [[2021년]] [[2월 1일]] ~ [[2021년]] [[2월 1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개최국'''}}}}}} ||<-2> [include(틀:국기, 국명=카타르, 출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공인구'''}}}}}} ||<-2> 커넥스트2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본선 진출팀'''}}}}}} ||<-2> 6개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1 대회 결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우승'''}}}}}} || [[FC 바이에른 뮌헨|[[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FC 바이에른 뮌헨]][br]{{{#!wiki style="font-size: 11px" (2번째 우승)}}} || [[FC 바이에른 뮌헨|[[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height=3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준우승'''}}}}}} || [[티그레스 UANL|[[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티그레스 UANL]] || [[티그레스 UANL|[[파일:티그레스 UANL 로고.svg|height=3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3위'''}}}}}} || [[알 아흘리 SC(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30]] 알 아흘리 SC]] || [[알 아흘리 SC(이집트)|[[파일:알 아흘리 SC(이집트) 로고.svg|height=3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4위'''}}}}}} || [[SE 파우메이라스|[[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5]] SE 파우메이라스]] || [[SE 파우메이라스|[[파일:SE 파우메이라스 로고.svg|height=35]]]]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1 수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골든볼'''}}}}}} ||<-2>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height=25]]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실버볼'''}}}}}} ||<-2> [[앙드레피에르 지냑|[[파일:티그레스 UANL 로고.svg|height=25]] 앙드레피에르 지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브론즈볼'''}}}}}} ||<-2> [[요주아 키미히|[[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height=25]] 요주하 키미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페어플레이상'''}}}}}} ||<-2> [[파일:알 두하일 SC 로고.svg|height=35]] [[알 두하일 SC]]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 {{{+1 이전·이후 대회 }}} }}}'''}}} || || [[FIFA 클럽 월드컵/역대 대회#s-17|2019년[br]카타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 '''2020년[br]카타르'''}}}}}} || [[FIFA 클럽 월드컵 아랍에미리트 2021|2021년[br]아랍에미리트]]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0년]]에 개최된 17번째 [[FIFA 클럽 월드컵]]으로, 직전 대회인 [[FIFA 클럽 월드컵/역대 대회#s-17|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19]]에 이어 [[카타르]]에서 개최된 클럽 월드컵 대회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개최가 2달 정도 미뤄졌다. == 상징 및 경기장 == === TV 오프닝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1 {{{#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 - 공식 TV 오프닝'''}}}}}}}}} || [[https://www.youtube.com/watch?v=M31zKAWQ_K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엠블럼 === || [[파일:2020_FIFA_Club_World_Cup.svg.png|width=7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 엠블럼'''}}}}}} || 직전 대회 엠블럼과 동일하다. === 공인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fifa-club-world-cup-adidas-conext21-official-match-ball-small.png|width=5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커넥스트21(Conext21)'''}}}}}} || [[2020 도쿄 올림픽/축구|2020 도쿄 올림픽 축구]]의 공인구 커넥스트21와 이름과 구조가 동일하며 디자인 또한 유사하다. === 경기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파일:2020_FIFA_Club_World_Cup.svg.png|width=100]]]][br][[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 경기장'''}}}]]}}}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 [[알라이얀|{{{#fff '''알라이얀'''}}}]] || ||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br](45,032명)[br][[파일:ahmad.webp|width=50%]]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br](44,667명)[br][[파일:educationstadium.webp|width=50%]] || }}}}}}}}}}}}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은 다가오는 월드컵을 위해 아예 새로 지은 구장이고,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은 원래 있던 구장을 보수해서 새로이 개장한 구장이다. 즉 어떻게 보면 두 경기장 모두 월드컵을 앞두고 클럽 월드컵을 본격적인 시험 무대로 삼는다고 볼 수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틀:2022 FIFA 월드컵 카타르/경기장,version=75)] == 진출 팀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1 {{{#ffffff '''1라운드[* 6강] 자동 진출 팀'''}}}}}}}}} || || '''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일''' || '''진출 횟수''' || '''최근 출전''' || '''최고 성적''' || || [[알 두하일 SC|[[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5]] 알 두하일 SC]] || [[카타르 스타스 리그]] 우승[br]{{{-1 (개최국 리그 우승)}}} || [[2020년]] [[8월 21일]] || 1회 || 첫 진출 || - || || ~~~[[오클랜드 시티 FC|[[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오클랜드 시티 FC]]~~~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선정 || [[2020년]] [[11월 19일]] || 9회 || [[FIFA 클럽 월드컵/역대 대회#s-15|2017]] || 3위[br](2014)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1 {{{#ffffff '''5강 자동 진출 팀'''}}}}}}}}} || || '''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일''' || '''진출 횟수''' || '''최근 진출''' || '''최고 성적''' || || [[알 아흘리 SC(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5]] 알 아흘리 SC]] ||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 [[2020년]] [[11월 27일]] || 6회 || [[FIFA 클럽 월드컵/역대 대회#s-11|2013]] || 3위[br](2006) || || [[울산 현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울산 현대]] ||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 [[2020년]] [[12월 19일]] || 2회 || [[FIFA 클럽 월드컵/역대 대회#s-10|2012]] || 6위[br](2012) || || [[티그레스 UANL|[[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티그레스 UANL]] ||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 [[2020년]] [[12월 22일]] || 1회 || 첫 진출 || -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1 {{{#ffffff '''4강 자동 진출 팀'''}}}}}}}}} || || '''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일''' || '''진출 횟수''' || '''최근 진출''' || '''최고 성적''' || || [[FC 바이에른 뮌헨|[[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FC 바이에른 뮌헨]] ||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 [[2020년]] [[8월 24일]] || 2회 || [[FIFA 클럽 월드컵/역대 대회#s-11|2013]] || 우승[br](2013) || || [[SE 파우메이라스|[[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SE 파우메이라스]]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 [[2021년]] [[1월 30일]] || 1회 || 첫 진출 || - || * 오세아니아 대표로[* OFC 챔피언스 리그 우승자 자격이 아닌 선정, 사유는 후술.] 진출 예정이었던 [[오클랜드 시티 FC]]는 [[뉴질랜드]]의 [[코로나19]] 지침에 따라 참가 불가 통보를 받아 1라운드를 건너뛰고 2라운드부터 대회가 진행된다.[* 2020 OFC 챔피언스 리그는 조별리그까지 마무리가 됐지만 8강 토너먼트를 하지도 못하고 대회를 몇 차례 미루다 결국 취소 선언을 하였다. 그 관계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은 조별리그 성적이 가장 좋은팀을 선정했는데 오클랜드 시티가 3전 전승, 골득실 +9로 선정이 된것이다.] == 대회 전 == ===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참가팀 정보|참가팀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참가팀 정보)] === 심판진 === || '''대륙''' || '''주심''' || '''부심''' || '''VAR''' || || AFC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모하메드 압둘라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모하메드 알함마디[br][[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하산 알마흐리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30]] 카미스 알마리 || || CAF ||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30]] 마게테 은디아예 ||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30]] 지브릴 카마라[br][[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30]] 엘 하드지 말릭 삼바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레도안 지예드 || || CONCACAF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 마리오 에스코바르 || [[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30]] 니콜라스 앤더슨[br][[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 움베르토 판조이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드루 피셔 || || CONMEBOL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에스테반 오스토이치[br][[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에디나 아우베스 바티스타[* FIFA 주관 메이저 남자 대회에서 처음 발탁된 여성 심판이다.]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네우자 백[br][[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마리아나 데 알메이다[br][[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니콜라스 타란[br][[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리차트 트리니다드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훌리오 바스쿠냔[br][[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니콜라스 갈로 || || OFC ||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width=30]] 압델카데르 지투니[* 튀니지 국적이지만 출신 국가가 타히티이다.] ||<-2> - || || UEFA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다니 마켈리에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마리오 디크스[br][[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헤셀 스티그스트라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케빈 블롬[br][[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요험 캄파위스 || == 경기 일정 == === 토너먼트 대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10119_Klub-WM.webp|width=100%]]}}}||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fffff {{{+2 '''토너먼트'''}}}}}}}}} || || {{{#ffffff ''' 순번 ''' }}} || {{{#ffffff ''' 대진표 ''' }}} || {{{#ffffff ''' 순번 ''' }}} || {{{#ffffff ''' 대진표 ''' }}} || {{{#ffffff ''' 순번 ''' }}} || {{{#ffffff ''' 대진표 ''' }}} || {{{#ffffff ''' 순번 ''' }}} || {{{#ffffff ''' 대진표 ''' }}} || || {{{#ffffff ''' 2 ''' }}} || 2라운드 1경기[br]'''[[티그레스 UANL|티그레스]]''' VS [[울산 현대|울산]][br][[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 ||<|2> {{{#ffffff ''' 4 ''' }}} ||<|2> 5위 결정전[br]울산 VS '''알 두하일'''[br][[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 || {{{#ffffff ''' 5 ''' }}} || 4강 1경기[br][[파우메이라스]] VS '''티그레스'''[br][[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 {{{#ffffff ''' 8 ''' }}} || 결승[br]티그레스 VS 바이에른 뮌헨[br][[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 || {{{#ffffff ''' 3 ''' }}} || 2라운드 2경기[br][[알 두하일]] VS '''[[알 아흘리 SC|알 아흘리]]'''[br][[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 {{{#ffffff ''' 6 ''' }}} || 4강 2경기[br]알 아흘리 VS [[바이에른 뮌헨]][br][[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 || {{{#ffffff ''' 7 ''' }}} || 3위 결정전[br]알 아흘리 VS 파우메이라스[br][[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 * [[오클랜드 시티 FC]]의 출전 불발로 인해 [[알 두하일 SC]], [[울산 현대]], [[티그레스 UANL]], [[알 아흘리 SC]]까지 4팀이 2라운드 추첨을 통해 대진을 결정한다. === 2라운드 === ==== 2라운드 1경기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경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 rd1=울산 현대/2020 시즌, paragraph1=7.1)]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svg|height=60]]]][br]{{{-1 {{{#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br]2라운드 1경기'''}}}}}}[br]{{{-1 {{{#FFF '''2021.02.04.(목) 23:00 (UTC+9)'''}}}}}}}}} || ||<-3> '''{{{#fff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아라얀|{{{#fff 아라얀}}}]], [[카타르|{{{#fff 카타르}}}]])}}}''' || ||<-3> '''{{{#621a32 주심: 에스테반 오스토이치}}} [[우루과이|{{{#621a32 (우루과이)}}}]]''' || || [[파일:티그레스 UANL 로고.svg|height=100]] ||<|2> '''{{{+5 {{{#000 2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4ea0 15%, #feb913 15%, #feb913 16%, #1d2d5c 16%, #1d2d5c 38%, #feb913 38%, #feb913 39%, #014ea0 39%, #014ea0 61%, #feb913 61%, #feb913 62%, #1d2d5c 62%, #1d2d5c 84%, #feb913 84%, #feb913 85%, #014ea0 85%)" [[파일:_1607477869127497.png|height=100]]}}}|| || '''[[티그레스 UANL|{{{#015daa 티그레스 UANL}}}]]''' ||<:> '''[[울산 현대|{{{#fff 울산 현대}}}]]''' || || '''38', 45+5'(PK) [[앙드레피에르 지냑]]'''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4' [[김기희]]''' || ||<-3> '''{{{#621a32 Player of the Match: [[앙드레피에르 지냑]]}}}''' || ||<-2> [[SPOTV|[[파일:SPOTV 로고.svg|width=40]]]][*A 뉴미디어 유료중계, [[SPOTV NOW]] 가입 필요.] || 윤장현 || [[한준희]] || ||<-1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4ea0 15%, #feb913 15%, #feb913 16%, #1d2d5c 16%, #1d2d5c 38%, #feb913 38%, #feb913 39%, #014ea0 39%, #014ea0 61%, #feb913 61%, #feb913 62%, #1d2d5c 62%, #1d2d5c 84%, #feb913 84%, #feb913 85%, #014ea0 85%)" [[울산 현대|[[파일:_1607477869127497.png|height=110]]]] }}} || ||<-12><:>'''{{{#feb913 2020 FIFA 클럽 월드컵 2라운드 [br] 울산 현대 선발 라인업(4-2-3-1) }}}'''|| ||<-12> CF [br] [[김지현(축구선수)|김지현]] [br] (73' [[루카스 힌터제어|힌터제어]]) || ||<-4> LW [br] [[김인성]] [br] (66' [[김성준(축구선수)|김성준]]) ||<-4> CAM [br] [[윤빛가람]] ||<-4> RW [br] [[이동준(1997)|이동준]] || ||<-6> CDM [br] [[신형민]] [br] (79' [[강윤구(2002)|강윤구]]) ||<-6> CDM [br] [[원두재]] || ||<-3> LB [br] [[설영우]] ||<-3> CB [br] [[불투이스]] ||<-3> CB [br] [[김기희]] ||<-3> RB [br] [[김태환(1989)|김태환]] || ||<-12> GK [br] [[조현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jukQ6bF5PY)]}}} || [[홍명보]]가 울산 감독으로 치르는 첫 대회인만큼 기대를 모았던 경기였지만, 하필이면 만날 수 있는 가장 강한 상대인 북중미 챔피언 티그레스를 만나버렸다. 허나 [[김기희]]가 선제골을 넣으며 아시아 챔피언의 자존심을 지키나 했으나, [[앙드레피에르 지냑]]에게 두 골을 내리 허용하며 준결승 진출에 실패한 울산이었다. ==== 2라운드 2경기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svg|height=60]]]][br]{{{-1 {{{#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br]2라운드 2경기'''}}}}}}[br]{{{-1 {{{#FFF '''2021.02.05.(금) 02:30 (UTC+9)'''}}}}}}}}} || ||<-3> '''{{{#fff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아라얀|{{{#fff 아라얀}}}]], [[카타르|{{{#fff 카타르}}}]])}}}''' || ||<-3> '''{{{#621a32 주심:}}}''' {{{#621a32 '''마리오 에스코바르'''}}} '''[[|{{{#621a32 (과테말라)}}}]]''' || || [[파일:알 두하일 SC 로고.svg|height=100]] ||<|2> '''{{{+5 {{{#000 0 : 1}}}}}}''' || [[파일:알 아흘리 SC(이집트) 로고.svg|height=100]] || || '''[[알 두하일 SC|{{{#fff 알 두하일 SC}}}]]''' || '''[[알 아흘리 SC|{{{#fff 알 아흘리 SC}}}]]'''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0' 후세인 엘샤하트''' || ||<-3> '''{{{#621a32 Player of the Match: 아이만 아슈라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zjQ5IWofkw)]}}} || 아프리카 챔피언 알 아흘리가 개최국의 알 두하일을 무난히(?) 꺾고 준결승에 올랐다. 알 아흘리는 이로써 클럽 역사상 세번째로 준결승에 오르게 되었다. --하지만 상대가 [[FC 바이에른 뮌헨|대마왕]]이다-- === 5위 결정전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경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 rd1=울산 현대/2020 시즌, paragraph1=7.2)]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svg|height=60]]]][br]{{{-1 {{{#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br]5위 결정전'''}}}}}}[br]{{{-1 {{{#fff '''2021.02.08.(월) 00:00 (UTC+9)'''}}}}}}}}} || ||<-3> '''{{{#fff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아라얀|{{{#fff 아라얀}}}]], [[카타르|{{{#fff 카타르}}}]])}}}''' || ||<-3> '''{{{#621a32 주심: 에디나 아우베스 바티스타}}} [[브라질|{{{#621a32 (브라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D0D0 3%, #FFF 3%, #FFF 19.4%, #D0D0D0 19.4%, #D0D0D0 22.4%, #FFF 22.4%, #FFF 38.8%, #D0D0D0 38.8%, #D0D0D0 41.8%, #FFF 41.8%, #FFF 58.2%, #D0D0D0 58.2%, #D0D0D0 61.2%, #FFF 61.2%, #FFF 77.6%, #D0D0D0 77.6%, #D0D0D0 80.6%, #FFF 80.6%, #FFF 97% , #D0D0D0 97%)" [[파일:_1607477869127497.png|height=100]]}}} ||<|2> '''{{{+5 {{{#000 1 : 3}}}}}}''' || [[파일:알 두하일 SC 로고.svg|height=100]] || ||<:>'''{{{#1d2d5c 울산 현대}}}''' || '''[[알 두하일 SC|{{{#fff 알 두하일 SC}}}]]''' || || '''62' [[윤빛가람]]'''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1' 에드밀손 주니오르[br]66' 모하메드 문타리[br]82' [[알모에즈 알리]]''' || ||<-3> '''{{{#621a32 Man Of the Match: [[알모에즈 알리]]}}}''' || ||<-2> [[SPOTV2|[[파일:SPOTV2 로고.svg|width=50]]]][*A] || [[홍석현(아나운서)|홍석현]] || [[임형철]] || ||<-12> [[울산 현대|{{{#!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D0D0 3%, #FFF 3%, #FFF 19.4%, #D0D0D0 19.4%, #D0D0D0 22.4%, #FFF 22.4%, #FFF 38.8%, #D0D0D0 38.8%, #D0D0D0 41.8%, #FFF 41.8%, #FFF 58.2%, #D0D0D0 58.2%, #D0D0D0 61.2%, #FFF 61.2%, #FFF 77.6%, #D0D0D0 77.6%, #D0D0D0 80.6%, #FFF 80.6%, #FFF 97% , #D0D0D0 97%)" [[파일:_1607477869127497.png|height=100]]}}}]] || ||<-12><:>'''{{{#feb913 2020 FIFA 클럽 월드컵 5/6위전 [br] 울산 현대 선발 라인업(4-2-3-1) }}}'''|| ||<-12> CF [br] [[힌터제어]] [br] (46' [[김지현(축구선수)|김지현]]) || ||<-4> LW [br] [[데이비슨]] [br] (46' [[김인성]]) ||<-4> CAM [br] [[윤빛가람]] ||<-4> RW [br] [[이동준(1997)|이동준]] [br] (76' [[김민준(2000년 2월)|김민준]]) || ||<-6> CDM [br] [[김성준(축구선수)|김성준]] [br] (66' [[신형민]]) ||<-6> CDM [br] [[원두재]] || ||<-3> LB [br] [[설영우]] ||<-3> CB [br] [[불투이스]] ||<-3> CB [br] [[김기희]] ||<-3> RB [br] [[김태환(1989)|김태환]] || ||<-12> GK [br] [[조현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poR6iwG0go)]}}} || 티그레스를 상대로 나름 잘 싸워준 울산이 이번에는 의외로 한 수 아래로 평가받는 알 두하일을 상대로 무기력한 경기 끝에 1대3으로 완패했다. 결국 울산은 이번 클럽 월드컵에 출전한 6개팀 중 6위, 즉 꼴찌로 대회를 마감하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 준결승 === ==== 준결승 1경기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svg|height=60]]]][br]{{{-1 {{{#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br]준결승 1경기'''}}}}}}[br]{{{-1 {{{#FFF '''2021.02.08.(월) 03:00 (UTC+9)'''}}}}}}}}} || ||<-3> '''{{{#fff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아라얀|{{{#fff 아라얀}}}]], [[카타르|{{{#fff 카타르}}}]])}}}''' || ||<-3> '''{{{#621a32 주심: 다니 마켈리에}}} [[네덜란드|{{{#621a32 (네덜란드)}}}]]''' || || [[파일:SE 파우메이라스 로고.svg|height=100]] ||<|2> '''{{{+5 {{{#000 0 : 1}}}}}}''' || [[파일:티그레스 UANL 로고.svg|height=100]] || || '''[[SE 파우메이라스|{{{#006434 SE 파우메이라스}}}]]''' || '''[[티그레스 UANL|{{{#015daa 티그레스 UANL}}}]]'''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54' [[앙드레피에르 지냑]] (PK)''' || ||<-3> '''{{{#621a32 Player of the Match: 루이스 키뇨네스}}}''' || ||<-2> [[SPOTV|[[파일:SPOTV 로고.svg|width=40]]]][*A] || 윤장현 || [[임형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O11LmYMQ-o)]}}} || 울산이 알 두하일에 패하는 작은 이변 다음에 다소 큰 이변이 일어났는데, 남미 챔피언 파우메이라스가 북중미 챔피언 티그레스에 패한 것. 티그레스는 지냑의 페널티킥 골을 끝끝내 지켜 1대0으로 승리, 클럽 역사상 최초로 클럽 월드컵 결승에 진출했다. 이는 북중미 클럽이 클럽 월드컵 결승에 진출한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 지냑은 이번 경기에서 넣은 골로 대회 3득점째를 기록, 득점 단독 선두로 치고 나갔다. ==== 준결승 2경기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svg|height=60]]]][br]{{{-1 {{{#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br]준결승 2경기'''}}}}}}[br]{{{-1 {{{#FFF '''2021.02.09.(화) 03:00 (UTC+9)'''}}}}}}}}} || ||<-3> '''{{{#fff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아라얀|{{{#fff 아라얀}}}]], [[카타르|{{{#fff 카타르}}}]])}}}''' || ||<-3> '''{{{#621a32 주심: 모하메드 압둘라}}} [[아랍에미리트|{{{#621a32 (UAE)}}}]]''' || || [[파일:알 아흘리 SC(이집트) 로고.svg|height=100]] ||<|2> '''{{{+5 {{{#000 0 : 2}}}}}}''' ||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height=100]] || || '''[[알 아흘리 SC|{{{#fff 알 아흘리 SC}}}]]''' || '''[[바이에른 뮌헨|{{{#dd0129 바이에른 뮌헨}}}]]'''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17', 86'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3> '''{{{#621a32 Player of the Match:}}}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2> [[SPOTV|[[파일:SPOTV 로고.svg|width=40]]]][*A] || 윤장현 || 차상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fgdlf0OrrQ)]}}} || 이쪽 준결승은 이변이 없었다. 바이에른 뮌헨이 전반 초반과 후반 막판에 나온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의 멀티골을 앞세워 무난히 2대0으로 승리, 결승전에 안착했다. === 3위 결정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svg|height=60]]]][br]{{{-1 {{{#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br]3위 결정전'''}}}}}}[br]{{{-1 {{{#FFF '''2021.02.12.(금) 00:00 (UTC+9)'''}}}}}}}}} || ||<-3> '''{{{#fff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아라얀|{{{#fff 아라얀}}}]], [[카타르|{{{#fff 카타르}}}]])}}}''' || ||<-3> '''{{{#621a32 주심: 마게테 은디아예}}} [[세네갈|{{{#621a32 (세네갈)}}}]]''' || || [[파일:알 아흘리 SC(이집트) 로고.svg|height=100]] ||<|2> '''{{{+5 {{{#000 0 : 0}}}}}}[br]{{{+1 PSO 3 : 2}}}''' || [[파일:SE 파우메이라스 로고.svg|height=100]] || || '''[[알 아흘리 SC|{{{#fff 알 아흘리 SC}}}]]''' || '''[[SE 파우메이라스|{{{#006434 SE 파우메이라스}}}]]'''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 '''{{{#621a32 Player of the Match: 모하메드 엘샤나위}}}'''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1 {{{#FFF '''승부차기'''}}}}}}}}} || ||<-2> '''[[알 아흘리 SC|{{{#fff 알 아흘리 SC}}}]]''' ||<|2> '''{{{+5 3 : 2}}}''' ||<-2> '''[[SE 파우메이라스|{{{#006434 SE 파우메이라스}}}]]''' || ||<-2> '''선축'''[br]{{{-1 (GK: 모하메드 엘샤나위)}}} ||<-2> '''후축'''[br]{{{-1 (GK: [[웨베르통]])}}} || || 바드르 바눈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fff 1}}}'''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 || 호니에우송 다시우바 바르보사 || || 아므르 알술라야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 || '''{{{#fff 2}}}'''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 || [[루이스 아드리아누]] || || 마르완 모센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 || '''{{{#fff 3}}}'''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구스타부 스카르파 || || 모하메드 하니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fff 4}}}'''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구스타보 고메즈 || || 주니어 아자이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fff 5}}}'''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 || [[펠리피 멜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R1Xr0JDivo)]}}} || 준결승에서 뮌헨에 패한 알 아흘리는 3/4위전에서 파우메이라스라는 대어를 낚으며 당당히 3위에 입상했고, 2006년 클럽 월드컵 이후로 구단의 공동 최고 성적을 내며 기분 좋게 대회를 마무리했다. 반면 파우메이라스는 극적으로 출전한 클럽월드컵에서 2전 1무 1패, 그리고 '''무득점'''이라는 성적을 거둬 남미 챔피언의 자존심을 제대로 구겼다. === 결승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svg|height=60]]]][br]{{{-1 {{{#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br]결승전'''}}}}}}[br]{{{-1 {{{#FFF '''2021.02.12.(금) 03:00 (UTC+9)'''}}}}}}}}} || ||<-3> '''{{{#fff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아라얀|{{{#fff 아라얀}}}]], [[카타르|{{{#fff 카타르}}}]])}}}''' || ||<-3> '''{{{#621a32 주심:}}}''' {{{#621a32 '''에스테반 오스토이치'''}}} '''[[우루과이|{{{#621a32 (우루과이)}}}]]''' || ||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height=100]] ||<|2> '''{{{+5 {{{#000 1 : 0}}}}}}''' || [[파일:티그레스 UANL 로고.svg|height=100]] || || '''[[FC 바이에른 뮌헨|{{{#fff 바이에른 뮌헨}}}]]''' || '''[[티그레스 UANL|{{{#015daa 티그레스 UANL}}}]]''' || || '''59' [[뱅자맹 파바르]]'''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 '''{{{#621a32 Player of the Match:}}}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2> [[SPOTV|[[파일:SPOTV 로고.svg|width=40]]]][*A] || 윤장현 || 차상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XiYYQ8KYC8)]}}} || 뮌헨은 경기 전에 [[토마스 뮐러]]와 [[제롬 보아텡]]이 각각 [[코로나 19]]와 개인 사정으로 명단에서 빠지는 악재를 맞았다. 또한 전반전에 나온 [[요주아 키미히]]의 골이 석연찮은 오프사이드 판정으로 취소되는 등 경기를 완벽히 주도하지는 못했지만, 후반전에 레반도프스키와 골키퍼의 경합 상황에서 흘러나온 공을 [[뱅자맹 파바르]]가 집어넣으며 결승골을 기록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 골은 오심이었다. 레반도프스키가 경합 도중에 공이 손에 맞아 원래는 핸드볼 파울이 선언됐어야 했다. --전반에 취소된 키미히 골 돌려받았다 생각하자--] 결국 추가 득점은 나오지 않았고, 뮌헨은 통산 두 번째 클럽 월드컵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 우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61B40, #F26F63, #F2A172)" {{{+4 '''{{{#ffffff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 [br]우승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0%, #FFFFFF)"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width=200]][br]'''[[FC 바이에른 뮌헨|{{{#dd0129 {{{+2 바이에른 뮌헨}}}}}}]]'''}}} || || {{{#A60842 '''2번째 우승'''}}}[br]{{{#c8ab37 {{{+2 ★★}}}}}}[br] || == 이야깃거리 == * 나름대로 진기록이 나온 대회였다. 상술했듯 티그레스의 결승 진출은 사상 첫 북중미 클럽의 클럽 월드컵 결승 진출이었고, 알 아흘리도 파우메이라스를 잡아내며 저력을 드러냈다. 남미 챔피언 파우메이라스는 단 1골도 득점하지 못한 채 4위로 무기력하게 대회를 마무리했는데, 이는 클럽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남미 클럽이 3위 안에 들지 못한 사례이다. * 바이에른 뮌헨은 [[분데스리가]], [[DFB-포칼]], [[UEFA 챔피언스 리그]], [[UEFA 슈퍼컵]], [[DFL-슈퍼컵]]에 이어 클럽 월드컵까지 우승하며 축구 역사상 두번째로[* 첫번째는 2009년의 [[FC 바르셀로나]].] 한 해에 들 수 있는 모든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전관왕'''을 달성했다. * 여담이지만 뮌헨은 상술한 여섯 대회의 우승 결정전에서 모두 같은 유니폼을 입고 나와 우승하며 그야말로 역사에 길이 남을 유니폼을 가지게 되었다.[* 원래 뮌헨은 차기 시즌 유니폼을 시즌 마지막 경기에 착용하는데, 이번 시즌은 유니폼이 시즌 종료 두 달 전에 일찍 출시되어 분데스리가 우승 결정전에서도 입을 수 있었다.][* 준결승 알 아흘리전에서는 흰색 어웨이 유니폼을 입었다.] * 뮌헨은 클럽 월드컵에 참가하기까지 상당한 우여곡절을 겪어야 했다. 사건의 발단은 대회 참가 직전에 펼쳐진 [[헤르타 BSC]]와의 분데스리가 원정 경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경기를 치르고 바로 카타르로 이동하기로 했던 뮌헨은 경기가 끝나고 난 밤에 베를린에서 카타르행 직항 항공편에 올랐다. 허나 하필이면 그날 베를린에 엄청난 폭설이 내려 공항에서 제설 작업을 하느라 비행기 이륙이 지연되었다. 여기서 끝났으면 별 문제가 없었겠지만, 제설 작업을 하느라 시간이 공항의 커퓨타임을[* 공항에서 활주로의 운영 시간에 제한을 두는 것이다. 주 원인은 인근 주거 지역에서 오는 소음 민원. 한국의 김포공항도 커퓨타임을 시행하고 있다.] 넘겨버리고 말았던 것. 이 때문에 뮌헨의 비행기는 이륙할 준비를 마쳤는데도 이륙하지 못하고 꼼짝없이 동이 틀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결국 뮌헨 선수단은 예정보다 무려 9시간이나 늦게 카타르로 출발했고, 당연히 카타르에서 진행하기로 했던 훈련 스케줄에 차질이 생겼다.[* 훈련을 단 한 차례밖에 못하고 바로 4강전을 치러야 했다. 적응 훈련? 당연히 그런 거 없다.] 게다가 선수들은 베를린에서의 그날 밤을 호텔도 아니고 비행기에서 지새웠다고 하니 컨디션이 얼마나 바닥을 쳤을지는...다행히 뮌헨은 이러한 악재에도 불구하고 클럽 월드컵에서 우승하며 이 사건은 작은 해프닝으로만 남게 되었다. 허나 대회 직후 치른 분데스리가 경기에서는 피로가 누적됐는지 1무 1패에 그치며 살짝 슬럼프를 탔지만, 분데스리가에서도 결국 우승하며 이 역시도 해프닝으로 끝났다. * 울산 현대가 아시아 대표로 출전하며 관심을 모았으나, 2경기 2패를 하며 6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참고로 이 성적은 클럽 월드컵에 출전한 K리그 팀들의 성적 중 최악의 성적이다. 정확히는 2012년 대회와 동일한 성적인데, 그 당시 성적의 주인공 역시 울산이었다(...). --팀과 대회가 상성이 안 맞나보다-- 허나 굳이 따지면 2012년보다 더 안 좋은 성적인데, 그 때는 7팀이 참가하여 밑에 한 팀이라도 있던 반면, 이번에는 오세아니아 팀의 불참으로 6팀만 참가한 대회인데 그 중 꼴찌를 기록했기 때문. [[분류:FIFA 클럽 월드컵]][[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연기된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