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FC 디나모 트빌리시]] [include(틀:에로브눌리리가)] ||<-2> [[파일:FC 디나모 트빌리시 로고.svg|width=250]] || ||<-2><#fff> '''{{{+1 FC 디나모 트빌리시}}}''' || ||<-2><#0b344f> '''{{{#fff {{{+1 FC Dinamo Tbilisi}}}}}}''' || || '''정식 명칭''' ||საფეხბურთო კლუბი „დინამო“ თბილისი[br](Football Club Dinamo Tbilisi) || || '''[[축구단 별명|{{{#fff __별칭__}}}]]''' ||Blue-White || || '''창단''' ||[[1925년|{{{#000,#ddd 1925년}}}]] [[9월 1일|{{{#000,#ddd 9월 1일}}}]] '''^^([age(1925-09-01)]주년)^^'''[* [[https://fcdinamo.ge/ge/club/history#12|#]]] || || '''소속 리그''' ||[[에로브눌리리가]] (Erovnuli Liga) || || '''연고지''' ||[[트빌리시]] (Tbilisi) || || '''홈구장''' ||[[보리스 파이차제 디나모 아레나]] (Boris Paichadze Dinamo Arena) [br] (54,549명 수용) || || '''회장''' ||로만 피피아 (Roman Pipia) || || '''감독''' ||카카베르 트스카다제 (Kakhaber Tskhadadze,,კახაბერ ცხადაძე,,) || || '''주장''' ||기오르기 파파바 (Giorgi Papava,,გიორგი პაპავა,,) || || '''공식 웹사이트''' ||[[http://www.fcdinamo.ge/|[[파일:FC 디나모 트빌리시 로고.svg|width=30]]]] [[https://www.facebook.com/DINAMOTB|[[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30]]]] [[https://twitter.com/fcdinamotbilisi|[[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3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30&theme=dark]]]] [[https://instagram.com/fcdinamotbilis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30]]]] [[https://www.youtube.com/user/FCDinamo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2><#fff> '''우승 기록''' || || '''__조지아 에로브눌리리가__'''[br](19회 / 최다 우승) ||1990, 19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br] 2002-03, 2004-05, 2007-08, 2012-13, 2013-14, 2015-16, 2019, 2020, 2022 || || '''[[소비에트 톱 리그|{{{#fff __소비에트 톱 리그__ }}}]]'''[br](2회) ||1964, 1978 || || '''__소련컵__'''[br](2회) ||1976, 1979 || || '''__조지아컵__'''[br](13회 / 최다 우승)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2003, 2004, 2009, 2013, 2014, 2015, 2016 || || '''__조지아 슈퍼컵__'''[br](8회 / 최다 우승) ||1996, 1997, 1999, 2005, 2008, 2014, 2015, 2021 || || '''[[UEFA 컵위너스컵|{{{#fff __UEFA 컵위너스컵__}}}]]'''[br](1회) ||1980–81 || [목차] == 개요 == [[조지아]]의 축구단으로 수도인 [[트빌리시]]에 연고를 두고 있다. 디나모 트빌리시는 1981년에 [[UEFA 컵위너스컵]]을 우승하였고, [[소련]] 톱 리그에서 한 번도 강등당하지 않은 3팀[* [[FC 디나모 키이우|FC 디나모 키예프]], [[FC 디나모 모스크바]], FC 디나모 트빌리시.] 중 하나였다. 소비에트 연방 시절에 강력한 팀 중 하나로 손꼽혔었다. == 역사 == 1925년에 디나모 FC에 의해 창단되었다. 첫 경기는 [[1926년]] [[1월 26일]] [[아제르바이잔]]의 디나모 바쿠와 치렀으며, 소비에트 퍼스트 리그부터 참가하여 소비에트 톱 리그까지 올라간다. 팀의 최전성기는 1960년대부터 70년대 말까지며 1964년과 1978년 소비에트 톱 리그에서 우승하였고, 1979-80 시즌 [[유러피언컵]] 1라운드에서는 전전시즌 챔피언이자 다음 시즌 챔피언이 될 [[리버풀 FC]]를 상대로 승리하는 이변까지 연출해낸다. 1980-81 시즌 UEFA 컵 위너스 컵에서 [[동독]]의 [[FC 카를 차이스 예나|칼 차이스 예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는 파란을 일으킨다. 이에 대해 [[헬무트 쇤]]은 디나모 트빌리시에 대해 승리할 자격이 있었다며 호평을 하였다. 그러다 격동의 1980년대 후반으로 들어서자 팀에 새로운 사건이 들이닥쳤다. [[소련 해체|소련의 붕괴]]로 인해 조지아 축구 연맹은 산하 팀들이 소련 톱 리그에 참가하길 거부하였고, 디나모 트빌리시도 이에 맞춰 이베리아 트빌리시로 구단명을 변경했으나 1992년 다시 현재의 이름으로 돌아온다. 1990 시즌에 첫 대회가 시작한 조지아 리그에서 초대 우승팀이 되었지만, 조지아에서의 독주와는 별개로 유럽에서의 활약은 전보다 형편없어지게 되었다. === 최근 시즌 === 2021 시즌 리그 준우승을 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 예선에 진출했다. 상대는 에스토니아의 [[파이데 린나메스콘드]]. 1차전에서는 3-2로 패배했다. 2차전에서는 2-1로 승리했지만 페널티에서 패배하며 탈락했다. 2022 시즌 리그 우승을 하며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 예선에 진출했다. 상대는 카자흐스탄의 [[FC 아스타나]]. 1차전에서는 1-1로 비겼다. 2차전에서는 2-1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이후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상대는 몰타의 [[함룬 스파르탄스 FC]]. 1차전에서는 2-1로 패배했다. 2차전에서도 1-0으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 그 외 == 구단의 레전드 선수로 [[미헤일 메스히]]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조지아 축구 선수인 [[카카베르 칼라제]]의 친정 팀이기도 하다. [[대전 시티즌]]에서 뛰던 [[레반 셴겔리아]]가 여기서 뛰다가 그 활약을 바탕으로 터키 리그에 진출을 했다.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유망주였던 [[자노 아나니제]]가 현재 여기서 뛰고 있다. [[발렌시아 CF]]의 골키퍼인 [[기오르기 마마르다슈빌리]]가 이곳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라리가]]에 진출했다. [[SSC 나폴리]]에서 센세이셔널한 활약을 펼쳐 스타가 된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가 이곳 유스 출신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UEFA 컵위너스컵 우승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