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F-35_main_1.jpg|width=100%]] || || [[파일:F35_9251050882_0b81671ee0_k.png|width=100%]] || [[파일:F35_19287394559_b7761c9d5a_k1.png|width=100%]] || [[파일:F35_28983414812_a73d4910ff_k.png|width=100%]] || || {{{#white F-35A}}} || {{{#white F-35B}}} || {{{#white F-35C}}}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EBPzm2F4U)]}}} || || '''3차 FX 사업 당시 F-35 프로모션 비디오'''[* 위 영상은 본거지인 [[미군]]에 홍보를 위해 제작했지만, [[3차 FX 사업]]으로 인해 [[재탕|번역만 하고 다시 사용한 것이다.]]] || F-35 Lightning II, [[미국]]의 5세대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 명칭의 유래는 미국의 [[P-38 라이트닝]]과 공동개발국인 [[영국]]의 [[BAC 라이트닝]]으로서, 이 두 기종 모두를 계승하겠다는 의미에서 Lightning II가 되었다. JSF 프로그램이 시작되면서 본격적으로 개발이 착수되었다. [[1996년]] [[11월 16일]]에는 기술입증 단계에 참여한 3사 중 록히드 마틴과 노스롭 그루먼이 설계한 기체가 선정되었다. 이것은 미국의 [[록히드 마틴]][* [[노스롭 그루먼]]사와 BAE 시스템즈사가 개발에 참여.]사가 개발하고 있는 [[전투기]]/[[공격기]]이다. 미국 공군/해군/해병대와 영국 해군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도록 설계/개발되었다. 단발기라 [[엔진]]도 큰데 [[스텔스|무장창까지 안으로 구겨넣다]] 보니 크지 않은 미들급 [[비만|덩치에 비해 상당히 두꺼워진 모습]]이 특징이다. 그래서 생긴 별명이 '''라뚱이'''.[* 통통한 기체 때문에 [[참새]]를 연상하는 사람도 있는 모양이다.(...)] F-35A형은 [[미합중국 공군|미 공군]]의 [[F-16]]C/D형과 [[A-10]]을 대체, F-35C형은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의 [[F/A-18|F/A-18C/D]]을 대체하고 [[F/A-18E/F]]형을 보완, [[수직이착륙]]형인 [[F-35B]]형은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의 [[해리어 II#s-2.4|AV-8 해리어 II+]]와 F/A-18C/D [[영국]]/[[이탈리아]]/[[스페인]]의 [[AV-8|AV-8 해리어]] [[A-6#s-3.8|EA-6B]] [[전자전|전자전기]]를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F-22]] 랩터가 [[F-15]]를 대체하는 기종이라면 F-35는 [[F-16]]/[[AV-8|해리어]]/[[A-10]]/[[F/A-18]]등 로우-미들급 [[전투기]]와 [[공격기]]를 모두 대체하는 기종이다. F-22의 가격이 워낙 천문학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하이로우 믹스|좀 더 저렴하고 다양한 임무를 맡을 수 있도록]] 멀티롤 전투기/공격기로 설계되었다. 기존 F-15가 제공권 장악, F-16이 지상 공격 임무를 맡았던 것처럼 F-22가 제공권 장악, F-35가 지상 공격 임무를 맡는 식이다. 다만 F-22는 미군도 200기 내외 밖에 운용하지 못하고 있고 수출도 하지 않기 때문에, F-35는 단독으로 제공권 장악과 요격도 실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미군이 F-22를 출격시키지 않는 상황이나 F-35를 하이급 전투기로 사용하게 될 수입국 공군이나 미 해군, 미 해병대에서는 제공기로 운용하게 된다. 가격은 2018년 F-35A 기준 8,920만 달러, 2015년 기준 유지비는 연간 200시간 기준 비행시간당 42,200 달러로 비싸지만, 같은 5세대 전투기인 F-22는 더 비싸고 단종되었으며 한 세대 뒤처진 F-15E, [[유로파이터]], [[라팔]] 등이 1억 달러에서 2억 달러 가까운 가격으로 팔리는 것을 보면 의외로 비싸지는 않다. 참고로 [[F-16]]의 기준 비행시간당 비용은 22,514 달러이다. == 제원 == ||<-6>
'''{{{#white '''Lockheed Martin F-35 Lightning II'''}}}''' [[https://www.tinker.af.mil/Portals/106/F35%20Facts.pdf|#]] [[https://en.wikipedia.org/wiki/Pratt_%26_Whitney_F135#General_characteristics|#]] || ||<-3> '''형식''' || F-35A || F-35B || F-35C || ||<-3> '''분류''' || 다목적 [[전투기]] || [[STOVL]] 다목적 전투기 || [[함재기|함재]] 다목적 전투기 || ||<-3> '''주 운용 플랫폼''' || 육상 공군기지 || 강습상륙함 및 항공모함 || 항공모함 || ||<-3> '''승무원''' ||<-3> 1명 || ||<-3> '''길이''' || 15.7 m (51.4 ft) || 15.6 m (51.2 ft) || 15.7 m (51.5 ft) || ||<-3> '''높이''' || 4.38 m (14.1 ft) || 4.36 m (14.3 ft) || 4.48 m (14.7 ft) || ||<-3> '''날개 길이''' ||<-2> 10.7 m (35 ft) || 13.1 m (43 ft) || ||<-3> '''꼬리 날개 너비''' || 6.86 m (22.5 ft) || 6.65 m (21.8 ft) || 8.02 m (26.3 ft) || ||<-3> '''날개 면적''' ||<-2> 42.7 ㎡ (460 ft²) || 62.1 ㎡ (668 ft²) || ||<-3> '''자체 중량''' || 13,290 kg (29,300 lb) || 14,651 kg (32,300 lb) || 15,785 kg (34,800 lb) || ||<-3> '''내부 연료 중량''' || 8,278 kg (18,250 lb) || 6,125 kg (13,500 lb) || 8,960 kg (19,750 lb) || ||<-3> '''무장 탑재량''' || 8,160 kg (18,000 lb) || 6,800 kg (15,000 lb) || 8,160 kg (18,000 lb) || ||<-3> '''기본 내부 무장''' || 25 mm [[GAU-12 이퀄라이져|GAU-22/A]] 4열 기관포 x1[br][[AIM-120]] AMRAAM x2[br]2,000 lb GBU-31 [[JDAM]] x2 || [[AIM-120]] AMRAAM x2[br]1,000 lb GBU-32 [[JDAM]] x2 || [[AIM-120]] AMRAAM x2[br]2,000 lb GBU-31 [[JDAM]] x2 || ||<-3> '''최대 이륙 중량''' || 31,751 kg (70,000 lb) 급 || 27,215 kg (60,000 lb) 급 || 31,751 kg (70,000 lb) 급 || ||<-3> '''엔진''' || [[프랫&휘트니|P&W]] [[F135]]-PW-100 [[터보팬]] x1 || [[프랫&휘트니|P&W]] [[F135]]-PW-600[* 수직 이착륙용 리프트 팬 포함] [[터보팬]] x1 || [[프랫&휘트니|P&W]] [[F135]]-PW-400 [[터보팬]] x1[* 기존의 P&W F135-PW-100의 개량형] || ||<-3> '''최대 추력''' || 28,000 lbf (128 kN) x1 || 27,000 lbf (120 kN) x1 || 28,000 lbf (128 kN) x1 || ||<-3> '''재연소 추력''' || 43,000 lbf (191 kN) x1 || 41,000 lbf (182 kN) x1 || 43,000 lbf (191 kN) x1 || ||<-3> '''호버링 추력''' || - || 40,650 lbf (181 kN) x1 || - || ||<-3> '''최고 속도'''[* 기본 내부 무장 포함 시] ||<-3> 마하 1.6 || ||<-3> '''전투 행동 반경'''[*B 공중 급유 시 무제한] || 1,093 km (>590 nm) || 833 km (>450 nm) || 1,100 km (>600 nm) || ||<-3> '''항속 거리'''[*B 공중 급유 시 무제한] || 2,200 km (>1,200 nm) || 1,667 km (>900 nm) || 2,200 km (>1,200 nm) || ||<-3> '''상승 한도''' ||<-3> 15,000 m (50,000 ft) 이상 || ||<-3> '''중력 가속도 한계'''[* 기체 내구 한계가 아닌 형식별 주 운용 주체인 미군의 각 군종별 규정상 한계 기준] || 9.0 G || 7.0 G || 7.5 G || ||<|5> '''항전장비''' ||<-2> '''레이더''' ||<-3> [[AN/APG-81]] || ||<-2> '''TGP''' ||<-3> AN/AAQ-40 EOTS || ||<-2> '''MAW''' ||<-3> AN/AAQ-37 DAS || ||<-2> '''전자전 체계''' ||<-3> AN/ASQ-239 Barracuda || ||<-2> '''통신''' ||<-3> AN/ASQ-242 CNI 복합 체계 || ||<|4> '''장착 가능 무장'''[*전체][* [[https://en.wikipedia.org/wiki/Lockheed_Martin_F-35_Lightning_II#Specifications_(F-35A)|#]],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12/annual_psr/WERTH.pdf|#]]] ||<-2> '''폭탄''' ||<-3> [[JDAM|GBU-31/32/38/54 JDAM]] [br] [[페이브웨이|GBU-10/12/16 페이브웨이]] [br] [[SDB|GBU-39 SDB]] [br] [[SDB#s-1.2|GBU-53/B 스톰브레이커]][*블록4] [br] [[AGM-154 JSOW]] [br] [[Mark 80 시리즈]] [br] Mk 20 록아이 II [br] [[Mk 77]] [br] CBU-105 WCMD [br] [[B61|B61 Mod12]] || ||<|3> '''미사일''' || '''공대공''' ||<-3> [[AIM-9 사이드와인더#s-4.8|AIM-9X 사이드와인더]] [br] [[AIM-120|AIM-120C AMRAAM]] [br] [[ASRAAM|AIM-132 ASRAAM]] [br] [[MBDA 미티어]][*블록4] || || '''공대지''' ||<-3> [[AGM-88|AGM-88G AARGM-ER]][*블록4] [br] [[AGM-158 JASSM]] [br] [[브림스톤|SPEAR 3]][*블록4] [br] [[AGM-179 JAGM]] [br] [[NSM 대함미사일#s-5|JSM]][*블록4] [br] [[스톰 쉐도우 미사일|Storm Shadow]] [br] --SOM--[* 2020년 터키의 F-35 프로그램 퇴출로 통합 취소.] || || '''공대함''' ||<-3> [[AGM-158C LRASM]] || == 종류 == || [[파일:external/farm4.staticflickr.com/12835130624_0f4d5c9dc3_o_d.jpg|width=100%]] || || 왼쪽부터 C형, B형, A형 || 미국 외에도 [[영국]]이 두 번째로 돈을 많이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 공동개발이다. 지분 차이는 많이 나지만.] 영국의 요구도 많이 반영되는 편이고, 그 밖에 [[이탈리아]], [[네덜란드]], --[[튀르키예]]--[* 공동개발 참가국이었으나 제명됨], [[캐나다]], [[호주]], [[덴마크]], [[노르웨이]] 등이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JSF 사업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F-35는 3가지 버전이 있다. === F-35A === [[파일:attachment/f35_variant_ctolA-2.jpg|width=550]] [[파일:J159.jpg|width=550]] 공군형이며 가장 표준적인 F-35이다. 유일하게 [[기관포]]를 고정 장착한 버전. 나머지 B/C형은 내부 공간이 부족하여 기관포를 고정 장착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기체 하부에 건포드를 장착한다. [[대한민국 공군]]에서 2014년 [[3차 FX 사업]]을 통해 도입을 확정하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35/도입/대한민국)] === F-35B === [[파일:attachment/f35_variant_stovlB-2.jpg|width=550]] 단거리 이륙/[[VTOL|수직 착륙형]]([[VTOL|STOVL]])이다. 이를 위해 조종석 바로 뒤쪽에 리프트 팬이라는 장치가 붙어있다. 이것은 엔진에서 뻗어 나온 구동축으로 돌아가는 팬으로, 수직 착륙 시 노즐 방향이 90도 아래로 돌아가며[* 60년대 미군이 재해함의 함재기에 쓸려고 연구하던 3BSN의 후계 쯤 되는 물건이다.] 엔진과 함께 수직으로 뜨는 힘을 만들어낸다. 또한 별도의 공기흡입구가 있어서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가스가 앞의 흡입구로 들어가는걸 막아준다. [youtube(zW28Mb1YvwY)] 단거리 이륙/수직 착륙이 원칙이지만 이렇게 수직 이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즐의 움직임이 너무 자연스러워 낯설다는 평도 있다. [[파일:F-35-Lightning-weapons-bay.jpg|width=640]] B형의 내부무장창. A형/C형과 달리 조종석 후방의 리프트 팬이 눈에 띄는 모습이다. 한편 F-35B형은 리프트 팬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다 보니 [[기관포]]도 내장하지 못하며, 폭장 능력도 A/C형의 절반인 1,000파운드급 2발이다. 내장 기관포가 없기 때문에 [[CAS]] 등의 대지 공격 임무를 수행할 때에는 [[해리어 II|AV-8B 해리어 II]]와 마찬가지로 외장 기관포 포드를 장착한다. 또한 B형의 리프트 팬 운용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F-35는 캐노피와 기체의 연결 부위가 동체 쪽에 달려 있는 대부분의 전투기들과 달리 기수 쪽에 캐노피의 연결 부위가 달려 있다. [[파일:external/i.kinja-img.com/oml0ffwyojzqrle5vqko.jpg|width=550]] 기체 하부 중앙에 장착된 유선형 장착물이 외장 기관포이다. 미 국방부에 제출한 최종적인 일정에 따르면 해병대에서 2015년 12월 초기 운용 능력을 획득한다고 한다. 이는 모든 F-35 시리즈를 통틀어 가장 빠른 것이다. 3군 통합기 중 가장 말이 많았다라는 것을 생각하면 참 신묘한 일이다. 사실 공군과 해군에 비해 강습상륙함이나 경항모에서의 운용을 전제한 B형은 상황이 더 절박한 편이고 이를 원하는 국가들이 많다. 미 해병 항공대와 영국, 이탈리아 해군이 여기에 포함된 것을 생각하면, 이들로서는 가장 절박한 일이기에 가장 관심 받기 좋은 것이다. 게다가 해병대가 보유한 [[해리어 II|AV-8B 해리어 II]]는 이미 한계 수명이 임박한 기체로 간주되고 있어서[* 부품 조달용으로 영국의 해리어 GR.9와 FA2 비축분을 구입하기까지 했다.] 해병대는 하루 빨리 이 기종들을 대체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편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 항공대에게 또 다른 고민거리를 안겨주기도 했다. 미 해병 항공대에서는 [[F/A-18]] 또한 운용하고 있는데 이 중 [[항모전단|항공모함전단]]에 파견된 F/A-18 운용 비행[[대대]]들이 문제였다. 해병 항공대에서는 [[해리어 II|AV-8B 해리어 II]]와 F/A-18을 F-35로 대체시키려 하려 하는데 이 중 해리어는 [[강습상륙함]]에서 운용되는 단거리 이륙/수직 착륙형으로 역시 강습상륙함에서 운용되는 F-35B와 운용 방식이 비슷하므로 크게 문제될 것이 없지만,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 [[해군 항공대|항공대]]는 이미 F-35C를 도입하기 때문에 F/A-18을 F-35B로 전부 대체하면 이미 C형을 배치된 [[항공모함]]에서는 운용이 크게 불리해진다. 이런 사정 때문에 미 해병 항공대는 마침 B형의 개발이 지지부진한 점도 매우 크게 작용해서 C형 도입을 결정했다. 다만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 항공대의 C형은 어디까지나 [[항모전단|항공모함전단]]에 파견되는 [[F/A-18]] 운용 비행[[대대]]들이 쓰던 기존의 F/A-18을 대신하기 위해서 비교적 소수의 수량만이 도입되기 때문에, 미 해병항공대의 F-35 전력은 상당수가 [[강습상륙함]]에서 [[해리어 II|AV-8B 해리어 II]]를 대신하여 운용될 B형으로 채워질 예정이다. 실제로 B형은 AV-8B 해리어 II의 후계로서 340대가 도입되지만, C형은 F/A-18의 후계로서 80대를 도입하는 데에 그친다. 물론 80대도 사실 그렇게까지 적은 수량은 아니지만, 340대를 도입하는 B형에 비하면 많다고는 할 수 없는 양이다. 장착되는 엔진은 F135-PW-600을 장착하고 있고. 본래 F135 엔진은 1986년에 시작한 신형 수직 이착륙기에 탑재할 목적으로 개발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F135-PW-600이 F135 엔진 시리즈의 시초이다. 고정익기가 활주로 영향을 받는 것에 비해 F-35B는 이러한 문제에서 상당히 자유로운 편에 속하며 이는 전략적인 다양성을 확보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활주로 영향에서 자유롭다고는 하나 수직으로 이착륙 하는 것은 평범하게 이착륙하는 것에 비해 연료 소모량이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정말 급박한 상황이 아니고서야 수직으로 이착륙하는 경우는 드물다. 다만 특유의 수직이착륙을 위한 엔진 덕분에 다른 전투기들에 비해서 이륙에 필요한 활주로 길이가 짧은 편이다.] 또한 이러한 유연한 운용 능력은 지금까지 거의 시도되지 않았던 동맹국 간 함재기 및 항모 공유가 가능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한 CSG21 순방 작전 당시 영국 공군의 F-35B 뿐만 아니라, 미 해병대의 F-35B 역시 함께 항모에서 주둔하며 동맹국 간 기체 공유의 가능성을 증명했다. 이는 STOVL 이착함 방식이 CATOBAR 방식에 비해 각국 항모 별 특성과 설계 구조에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장점이기도 하다.[* CATOBAR 방식으로 캐터펄트를 통해 이륙하는 기체도 간혹 타국 항모에 방문하여 훈련하기도 한다. [[라팔|라팔 M]]이 1척 뿐인 [[샤를 드골급 항공모함]]이 장기간 창정비에 들어가는 경우 미 해군의 [[니미츠급 항공모함]]을 이용하여 이착함 연습 및 운용 훈련을 하기도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https://youtu.be/f_tyeCszjYc|#]] 슈퍼 호넷 역시 샤를 드골급에 [[https://www.reddit.com/r/aviation/comments/fgdxb4/quite_the_crowd_us_navy_fa18e_makes_first_ever/|착함하는 연습]]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매번 큰 위험을 감수해야 하고 철저한 연습이 필요한 작업이다. 라팔 M에 비해 대형 기체인 반면 프랑스의 샤를 드골 함은 간신히 4만톤을 넘기는 상대적으로 소형 항모이기 때문에 기체는 물론 항모 요원들의 행동 방식까지 차이가 존재하며, 무엇보다 어레스팅 와이어를 이용한 강제착함 자체가 매우 정교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F-35B의 존재 덕분에 각국의 항모 보유의 허들은 대폭 낮아졌으며, 이전 세대의 함재기들인 [[AV-8]], [[F/A-18]]보다 훨씬 월등한 성능으로 대부분의 전투기들을 압도할 수 있으며, 미국 역시 유사시 F-35B를 운용하는 항모가 많으면 많을 수록 작전의 유연성과 거점 확보가 매우 용이해지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동맹국들의 항모 보유를 권하고, 돕고 있기도 하다.[*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과 [[카보우르(항공모함)|카보우르급 항공모함]], 그리고 [[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 모두 미 해병대의 지원 하에 항모의 기술시험 및 실 기체 배치 운영 훈련을 했다.] 다만 기체 설계 당시의 예상보다 전고가 높았던 데다가 기존의 해리어 기에 비해 배기열이 강해지면서 여러 나라에서 미리 건조한 경항모들에서 실제로 사용하기가 사실상 어려워지거나, 낮은 작전 효율성을 감수하고 운용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후안 카를로스 1세급]]은 맨 뒤 중앙에 있는 엘리베이터 때문에 F-35B를 제대로 운용할 수 없으며, 해당 함선을 채택한 스페인과 호주는 사실상 헬기모함으로 전락했다.[* F-35B 운용 자체는 가능하나 착륙할 때 수칙 착륙만 가능해 착륙 전 탑재한 무장을 다 버리고 착륙해야한다.] 이탈리아의 [[카보우르(항공모함)|카보우르급]] 역시 F-35B 운용이 제한되는 것이 확인되면서 이탈리아는 뒤늦게 F-35B의 운용 특성을 반영한 [[트리에스테급 강습상륙함]]을 새로 건조하고, 기존 카보우르급에 대해서는 대규모 개수 작업에 착수해야 했었다. 심지어 4만톤대인 [[와스프급 강습상륙함|와스프급]]과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아메리카급]]도 운용 방식 때문에[* 수직 착륙 방식만 사용한다. 이 때문에 탑재한 무장을 전부 다 버린다..] F-35B를 효율적으로 운용하지 못한다고 한다. 현재 F-35B를 제대로 운용하고 있는 국가는 7만톤대인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퀸 엘리자베스급]]을 운용하고 있는 영국 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F-35C === [[파일:attachment/f35_variant_cvC-2.jpg|width=550]] [[파일:An_F-35C_Lightning_II_displays_its_internal_weapons_bay._(8390303370).png|width=550]] 해군용 [[함재기]]로 현재까지 유일한 스텔스 함재기. 시재기를 포함해도 이 전투기의 짭퉁이라고 할수있는 [[FC-31]]을 제외하면 전무하다. CATOBAR(캐터펄트/어레스팅 와이어) 방식의 중대형 [[항공모함]]에서 뜨고 내릴 때 필요한 저속 비행 능력을 위하여 다른 버전에 비하여 접기가 가능한 큰 주날개와 수평 꼬리날개를 가지고 있다.[* 주익 폭이 약 3 미터 긴 13.1 미터이며, 날개를 접는 기능도 있어서 접을시 9.1 미터가 된다.] 연료 탑재량 역시 타 버전에 비하여 가장 많지만, 항공모함은 이착함 시 대기 시간이 길기 때문에[* 육상의 공군 기지나 비행장에서는 활주로 크기와 개수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이착륙에 배당할 수 있는 활주로가 많고, 여차하면 1개 활주로에서 편대 단위로 이착륙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공간에 제약이 심한 항모에서는 한번에 이착함 가능한 항공기 숫자가 제한되기 때문에 여러 대가 이착함을 하기 위해서는 항모 상공에서 배회하며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연료를 더 많이 소모해야 하는 건 당연지사.] 여유 연료를 많이 가지고 귀환해야 하므로 실질적인 체공 시간 및 항속 거리는 다른 버전과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물론 C형을 항모가 아닌 육상 기지에서 운용하게 된다면 A, B형보다 더 오랜 시간 체공이 가능하겠지만) 한편 이렇게 많은 연료를 탑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하여 F-35C형도 기관포를 내장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B형과 C형은 외장 기관포 포드를 장착한다. 또한 스텔스 성능을 위해 평소 테일후크는 기체 내부에 수납되게끔 설계가 됐다. 항공모함에 이함이나 착함을 할 때 가해지는 충격 때문에 A형, B형보다 기체 골조가 훨신 단단하게 설계되어있고 여러 면에서 내구성도 좋다. 장착 엔진은 F135-PW-400으로 해병대용과 해군용은 공군형과 비교할 때 해당 군종과 이용되는 장소 등이 고려되어 같은 엔진을 공유하기 어렵다.[* 해군용은 항공모함에서 이용되고, 해병대용은 활주로가 없거나 이륙거리가 짧은 강습함에서 이용되기 때문에 달라야 한다.] [youtube(cstKQY-8aVM)] [[니미츠급 항공모함|니미츠급]] [[항공모함]] CVN-70 칼 빈슨 함(USS Carl Vinson)에 이착함하는 F-35C 미 국방부에 제출한 최종적인 일정에 따르면 미 해군에서는 2019년 2월에 되어서야 초기 운용 능력을 획득한다고 한다. 이는 3군 통합기 중 가장 늦게 운용된다는 것이다. 이는 C형을 구입하는 나라가 미국뿐이기 때문인데 미 해군으로서는 [[F/A-18E/F]] 슈퍼호넷의 운영에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기에 F-35C형의 도입이 시급했던 상황은 아니었다. 또한 미 해군의 F-35C 도입수량은 미 공군이 도입하는 F-35A의 6분의 1 수준이며, 또한 미 해군과 미 해병대가 도입하는 C형의 전체 수량은 미 해병대와 영국과 이탈리아, 일본이 도입하기로 한 B형의 전체 수량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수량이기도 하고 C형보다는 해리어 대체가 시급했던 미 해병대와 영국, 이탈리아 같은 동맹국에 보급해야 할 B형의 개발이 더욱 우선시되던 상황이었다 .더욱이 미 해군 항공대를 상대할 전력을 지닌 공군력을 가진 적대국도 드물며, 굳이 스텔스로 쓰는 타격보다는 장거리 미사일을 이용한 수상 전력과 수중 전력이 탄탄해서, 항공 전력은 말 그대로 공군이나 해병대처럼 육상 전력 지원 및 공세적 임무보다는 함대 제공권 장악 임무 비중이 크기에 도입을 서두를 이유가 없다. 기존에 [[F/A-18]] 같은 전투기를 써본 경험이 있는 캐나다에서는 C형이 아니라 A형에 C형의 성능을 적절히 섞은 기종으로 도입하고자 했다. 결빙이 잦은 활주로에서 A형을 운용하기 곤란하지만 C형을 도입하기엔 예산이 부족하여 궁여지책으로 A형에다 감속용 낙하산을 달고 급유구도 붐 방식이 아닌 프로브 & 드래그 방식 급유구를 장착한 형태로 도입할 의사를 내비치기도 했다. 그러나 [[쥐스탱 트뤼도|새로 부임한 총리]]가 이를 백지화해버려 더이상 CF-35가 거론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youtube(-2rTu6nE0fw)]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에서도 기존의 [[F/A-18]] 레거시 호넷을 F-35C로 대체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지난 2020년 1월에는 제314해병전투공격비행대대(VMFA-314)에 첫 인도가 이루어졌다. 2019년 F-35C가 초음속으로 오래 비행하면 꼬리날개가 파손되는 문제점[* 이는 F-35C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전투기들이 가진 문제점이다. 초음속으로 오래 날아다니는 게 전투기나 조종사한테 좋을 리도 없고 항속거리와 기체 수명을 깎아먹는다. 굳이 문제가 된다면 다른 기체들에 비해 안전한 초음속 비행시간이 심하게 짧을 경우일 것이다.]이 발견되어 이를 해결하려 노력하였으나 비용이 너무 들어서 2020년 4월 '''초음속으로 오래 비행하지 않으면 괜찮다''' 라는 괴상한 해결책을 내놓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https://www.defensenews.com/air/2020/04/24/the-pentagon-will-have-to-live-with-limits-on-f-35s-supersonic-flights/|#]] ~~[[A-12]]~~ 오랜 시간 끝에, 드디어 2021년 8월 3일 미 해군이 제1 항모타격그룹(CSG)에 속한 VFA-147 아르고너츠 소속 F-35C가 항모 USS 칼빈슨(CVN 70)에 합류하면서 처음으로 전진 배치를 실시했다. [[https://www.janes.com/defence-news/news-detail/us-navy-embarks-f-35c-on-first-operational-deployment|#]] == 성능 == === 공중전 능력 종합 평가 === 카운터 스텔스 기술에 대한 고려가 없는 대부분의 4세대 전투기들은 원거리에서 압살해버릴 수 있는 수준이며, [[전자전]] 장비를 보강하고 스텔스 / 카운터 스텔스 능력을 제한적으로 구현한 4.5세대기들도 격추당할 가능성이 높다. 사실 4.5세대기들이 선전하는 카운터 스텔스 능력마저도 F-35가 한 세대는 앞서 있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F-35의 기동성이, 특히 가속성능이 상대적으로 약하기는 하지만, [[도그파이트]]에서도 전 세대 전투기들에게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조치들이 구석구석 적용되어 있다. F-35와 맞붙은 4.5세대기들은 F-35를 찾지도 못하고 요기를 잃은 후 이탈하거나, 수가 줄어든 상태에서 WVR에 돌입하지만 고전을 면치 못할 가능성이 높다. F-35는 유리한 상황에서만 WVR에 참가할 게 뻔하기 때문. 동세대 전투기들 간의 싸움을 가정할 경우, 맞수로 개발이 진행 중인 [[Su-57]]이 멀티밴드 레이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자신의 위치를 드러내는 위험을 감수하면서라도 스텔스기를 찾아내겠다는 컨셉이라면, F-35의 카운터 스텔스는 진보된 ESM과 은엄폐가 가능한 데이터 링크 기능으로 자신을 찾기 위해 위치를 드러내는 Su-57을 은밀하게 찾아내는데 특화되어 있어서 컨셉으로는 가히 창과 방패의 대결이라 할만하다. 비행 성능은 으레 Su-57쪽이 더 우수할 것이라고들 보고 있지만, 정작 스텔스기 운용의 핵심인 전자전 역량이나 실전 경험이 미국에 비해 훨씬 뒤처져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일반적으로는 F-35가 Su-57을 먼저 발견하고 우세를 점할 것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미국의 스텔스 관련 기술이나 운용 경험은 그야말로 독보적으로, 최초의 스텔스기 [[F-117]]을 '''1989년''' [[파나마 침공]] 시 실전 투입했으며, 최초의 5세대 전투기인 [[F-22]]를 2005년에 실전 배치한 바 있다. F-35는 그 노하우의 결정체이며, 첫 5세대 전투기인 Su-57이나 J-20이 그 노하우 차이를 따라잡는 데에는 많은 시행착오가 뒤따를 것이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공개된 컨셉을 놓고 봤을 때 Su-57이 교전 전에 어떤 식으로든 자신(이나 다른 연계된 방공자산들)의 존재를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먼저 드러내게 된다는 불리함은 덤. 동세대의 스텔스 전투기에 맞설 '카운터 스텔스'를 위한 항공 전자 장비 분야에서는 F-35가 오히려 F-22보다 앞서 있는 상태다. F-22의 경우 개발 당시 맞상대할 스텔스기가 없었기 때문에 카운터 스텔스에 상대적으로 신경을 덜 썼지만, 최신 기종인 F-35는 러시아와 중국이 개발 중인 5세대 전투기들에 대항하기 위해 對스텔스기 전투를 고려한 시스템도 두루두루 갖추고 있다. 근미래 5세대 전투기의 기본 패러다임인 '카운터 스텔스가 가능한 스텔스'에 현재 가장 걸맞는 방향의 기종이라고 할 수 있다. 미 공군은 2016년 6월 F-35가 F-15를 상대로 한 모의 공중전에서 [[http://alert5.com/2016/06/24/f-35as-80-kill-ratio-against-f-15e/#more-54491|8:0의 우위를 보였다고 밝혔다.]] === 상황인식능력 (센서 퓨전) === F-35는 [[F-22]]의 기술을 최대한 활용한 간략화 버전이라고 할 수 있어서, 장착하는 [[레이더]]인 APG-81은 F-22가 장착하는 APG-77에 비해 하드웨어 상으로는 [[AESA]] 소자(레이더 소자)의 개수만 600-700개 정도 뒤떨어지는 수준이고, 소프트웨어는 F-35의 대지공격 및 전자전 소프트웨어를 F-22에 재이식할 정도로 앞서는 수준이다[* APG-81과 APG-77(v)1의 소자의 출력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소자 면에서는 APG-81과 APG-77(v)1이 동등한 성능일 가능성이 있다. 다만 냉각능력 면에서는 APG-81이 다소 뒤처지는 것이 사실이라 단순 출력 면에서는 APG-77(v)1이 아직까지는 더 우수할 것으로 보인다.]. SAR 기능은 그 어떤 레이더와 비견할 수 없을 정도다. 자세한 건 [[AN/APG-81]] 문서 참조. [[파일:external/www.f35.com/cockpit__main.jpg|width=650]] ||F-35 MFD의 EOTS 운용|| 또한 비용 문제로 F-22에는 IRST(적외선 감지 추적장치)가 탑재되지 않은데 비해 F-35는 EOTS (전자광학 추적장치) 및 DAS (분산개구 적외선 시스템)을 탑재하여 F-22에 비해 부족한 레이더 성능을 만회하였다. 또한 레이더가 RCS 증가의 주 요소라는 점을 생각해볼 때[* 물론 이젠 4.5세대기에서도 표준이 되어버린 AESA 레이더는 보통의 평면 개구면 레이더에 비하면 VLO에 유리하다.], 카운터 스텔스 전력이 극히 발달하게 될 미래 공중전장에서 (레이더를 배제한 전파 침묵 상태하의) 센서 융합 교전 능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F-35는 F-15E 개량형의 DEWS, [[라팔]]의 스펙트라를 능가하는 수준의 통합 전자전 체계와, 제한적인 탐색-추적 능력만을 제공하는 Su-35S 및 라팔의 IRST에 비해 장거리 Stand-off image 구현 및 표적 획득까지 가능한 EOTS/EO-DAS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거기에 DAS에는 일반적인 방공 미사일의 탐지/경보 수준을 넘어서서 '''미사일의 발사 원점까지 추적'''할 수 있다.] 압도적인 VLO 및 상황 인식 능력을 갖춘 기체이기 때문에 일부 측면에선 F-22보다도 뛰어나다. 거기에 VLO를 위해 일반적인 LINK-16 데이터 링크 체계도 뜯어고쳐서 지향성 데이터 링크 체계까지 만들었으니, 괜히 미 공군과 한국 공군이 다 때려치우고 F-35 하나에만 목 매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 광학 장비들은 기존 전투기들이 대지 공격 시 장비하던 외장 타게팅 포드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EOTS는 스나이퍼 XR 타게팅 포드를 기반으로 제작된 물건이다. 물론 타겟팅 포드라서 공대지 모드밖에 없는 스나이퍼 XR 체계와는 달리 공대공 모드도 운용 가능.] 더욱 향상된 추적 능력을 갖고 있다. 별도의 외장 장비가 필요없다는 점은 스텔스 성능에 플러스 요인이기도 하다.[* EOTS는 RCS 감소를 위해 다각형 모양의 스텔스 캡으로 씌워져서 기수 하단에 매입되어 있다. [[https://www.deagel.com/Sensor%20Systems/EOTS/a001541|#]]] [[https://www.youtube.com/watch?v=qF29GBSpRF4|AESA 레이더와 연계하여 지상 발사 미사일을 하나 하나 추적하는 DAS 시스템 동영상.]] 또한 조종사의 상황 인식 능력에서는 [[AIM-9]]X에 연동되는 [[HMD]](헬멧 시인 조준 장치)와 완전 디지털 조종석의 채용으로 조종석에서 아날로그 기기를 찾기가 어렵고, '''EO-DAS'''라는 시스템의 채용으로 [[COFFIN|360도 전방향의 적외선 화상]]을 [[HMD]]에 연동, '''목표하는 성능대로라면''' 조종사는 뒤를 돌아보는 것만으로도 후방의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증강현실]]의 형태로 바로 볼 수 있다. 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옛부터 전투기가 가진 전통적인 사각 지대인 동체 하부, 특히 취약지대인 후하방으로부터의 공격을 미리 감지하여 무력화''' 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다. 거기에다 [[근접전]] 시에는 적기와 아군기를 각각 적색과 녹색으로 덧입혀서 보여줌으로써 근접전 중에 벌어질 [[피아식별]]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공중전]]의 승패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바로 상황 인식 능력이란 점을 생각할 때 사각 지대가 없고, 피아식별이 용이하다는 것은 큰 메리트를 가진다. [[https://www.youtube.com/watch?v=9fm5vfGW5RY|EO-DAS의 개념을 설명하는 동영상 참고.]] [[파일:Lockheed-picks-Raytheon-for-F-35-NextGen-DAS.jpg|width=650]] EO-DAS는 이후 개발 및 공급사가 [[노스롭 그루먼]]에서 [[레이시온]]으로 바뀌면서 신뢰성이 5배, 성능이 2배 향상되고, 획득 가격 및 운영 비용은 45-50% 낮추어지도록 업그레이드되었다. [[https://breakingdefense.com/2018/06/major-upset-as-lockheed-ditches-northrop-for-f-35-das-sensor/|#]] === 저피탐성 === [[스텔스]] 성능에 있어서는 정면에서는 F-22와 거의 동급이지만 후면과 측면 스텔스는 F-22에 비해 많이 떨어지며[* 기체 특성상, High급의 스텔스 성능은 필요하지 않다. 이는 단가 상승의 주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다양한 주파수 영역에 대한 스텔스[* 그런데 F-35는 I밴드, J밴드 사이 영역의 RF에 대해 VLO인데, SAM과 전투기의 화력 통제 체계가 쓰는 RF 영역이 I 밴드, J밴드 사이 영역에 포함되는 X밴드라서 L밴드나 UHF 밴드를 쓰는 조기 경보 체계는 탐지 가능할 수 있어도(사실 이들에게까지 VLO를 갖추기는 F-22조차도 제한적이다. 그래도 기체 형상 면에서, F-35는 이들에 대해서도 LO는 가능하다.) 정작 이들을 요격해야 할 요격 체계는 탐지-추적을 못한다(...) 조기 경보기나 지상의 대형 장파장 레이더가 대충 저기쯤에 스텔스기(F-35)가 있다고 알려줘도 정작 그 스텔스기를 잡으러 출격한 요격기의 레이더(또는 미사일을 조준하기 위한 X밴드 레이더)가 찾질 못해서 눈 뜨고 당한다는 것이다. 거기에 F-35의 센서 융합은 조기 경보 체계가 F-35를 탐지할 수 있는 영역을 도출하여 HMD에 시현, '''가장 효과적인 진입 경로를 제시하는 수준'''까지 발전했다.]와 적외선 스텔스에 대해서도 F-22에 대해 열세다. 하지만, 기존의 4세대, 4.5세대기에 비해서는 월등한 수준이며 특허 자료를 통해 평균 RCS 목표치를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팍파보다도 우수한 스텔스 성능으로 보여진다. 6월 당시 미공군 사령관은 '''스텔스에 있어서만큼은 F-22 랩터를 능가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좀 지켜봐야 할 일. 스텔스 형상 설계 자체는 F-22가 더 우수하지만 스텔스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사용 가능한 항전 장비 등과 같이 첨단기술이 적용된 F-35가 미래 스텔스 전장에서는 더 우수할 것이라는 의미로 추정된다. 하지만 세계에서 F22를 제외하면 세계 최강의 전투기다. 위 이야기는 추론이며 록히드 마틴은 측하방 영역에서 F-22보다 F-35가 더 우수한 스텔스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록히드 마틴 사에서 미래에 F-35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되는 탄소 나노튜브(CNT)를 이용한 새로운 RAM을 개발하는 등, F-35의 스텔스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 항공 전자 시스템 및 네트워크 통합 === [[파일:lT3EAnm.jpg|width=650]] F-35는 노스롭 그루먼이 개발한 통신, 내비게이션, IFF 통합 시스템인 CNI(Communications, Navigation and Identification)를 사용하며, 이는 지금까지 설계된 가장 진보된 통합 항공 전자 시스템이다. 통합 CNI는 F-35 조종사에게 27가지 이상의 항공 전자 기능을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기반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크기, 무게 및 전력 요구를 크게 줄이면서 피아 식별, 정밀 탐색 및 다양한 음성 및 데이터 통신과 같은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전 회피와 전파 은닉에 최적화된 강력한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MADL(Multifuction Advanced Data Link)을 통해 임무 시스템을 통합하여 조종사를 다른 F-35들과 연결하고, 상황 인식 데이터를 자동으로 공유하여 협동 전술과 교전에 필요한 시스템 간 대용량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Link16을 통해 F-35는 지상 통제소와 전투기 - 전투기 간은 물론 전투기 - 함선 간에도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 [[패트리어트 미사일|패트리어트]]나 [[SM-6]] 등의 지상, 해상 무장을 사용한 장거리 원격 교전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F-35에게 '''F-22를 포함해 지금까지의 다른 전투기들과 차별화 할 수 있는''' 강력한 네트워크 중심 전투 기능을 부여해준다.[* 이러한 데이터 공유 협동 전술 교전, 네트워크 중심 전투 기술 방식은 이미 소련 러시아에 Mig-31 전투기에서도 사용되었다. Mig-31은 4대가 1개 편대를 이루고 전투기 - 전투기간에 레이더를 데이터 링크시키면 간이 조기 경보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지상 통제소 - 전투기도 정보를 공유하여 S-300과 같은 지상 방공 시스템들과 연계하여 교전도 할 수 있다. ] [[파일:1-3.jpg|width=650]] === 기동성 === [[파일:external/www.jsf.mil/sdd_f35testb_003.jpg|width=650]] F-35에 장착되는 [[F135]] 엔진 F-35 엔진은 F-22에 탑재된 F119의 추력 향상형으로 현존하는 전투기 엔진 중 가장 강력한 엔진이다. 그러나 단발이라는 점과 기체 자체의 무게 때문에 F-35는 슈퍼 크루징은커녕 가속력이 떨어져 근접전은 물론 시계 외 교전조차도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BVR]]에도 미사일 발사 위치를 잡기 위해 기동성은 필요하다. 단적인 예로, 2008년 미국 [[싱크 탱크]]인 RAND연구소[* 냉전 시절 미 공군의 기금 지원을 받아 설립된 곳으로 브루킹스 연구소, 카네키 재단, 헤리티지 재단, 국제 전략 문제 연구소(CSIS) 등과 함께 미국의 외교 안보 정책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씽크 탱크. 연구원만 1,600여 명에 매년 2천억이 넘는 예산을 쓰는 곳이다.]에서 실시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중국의 Su-27 계열 4세대 전투기들을 상대로 처참하게 패배한 적이 있다. 그야말로 전멸. RAND 측 평가는 "이 비행기는 속도, 선회, 상승 중에 잘 하는게 하나도 없다"는 것이었다. [[https://www.defenseindustrydaily.com/files/2008_RAND_Pacific_View_Air_Combat_Briefing.pdf|첨부 자료의 79~81쪽을 참조.]] 당연히 록히드 마틴은 발끈하며 반박 성명을 냈고, 결국 RAND 분석가인 존 스틸리언과 해롤드 퍼듀가 RAND를 사직하였다. 그러나 F-35에 대한 걱정의 목소리는 잠재워지지 않고 있는데, 그도 그럴 것이 이 비행기는 JSF이므로 만약 이 비행기가 실패하면 미군은 소수의 F-22와 F-15EX, F-18E/F 블록3만 바라보고 살아야 한다는 암울한 이야기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미군의 워게임에서 장래 F-16은 F-16V형이라도 아군 기지 근처에서 방공망이 갖춰진 때에야 기지 근처 방공전력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4.5세대기 전투기들이 자랑하는 비행 성능은 외부 무장을 장착할 시 공기 저항에 의해 기하급수적으로 저하되는데 반해 F-35는 내부 무장을 하므로 외부 항력 증가가 없어 기동성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전투에 필수 불가결한 '무장된 상태'를 기준으로 F-35를 확실히 제압할 수 있을만한 비행 성능을 갖춘 전투기는 그리 많지 않으며, 기동 능력의 지향점을 과거의 가시거리 내 전투에서 (꼬리물기에) 중요했던 지속 선회력이 아니라, 고개를 빨리 틀어 미사일을 먼저 발사할 수 있도록 순간 선회력을 중시하는 쪽으로 잡고 있다. 애초에 F-35는 A형을 제외하면 발칸도 장착하지 않는다. 또한 F-35의 가속력과 상승 능력이 떨어지므로 원거리 BVR전에서 미사일 발사에 필요한 고고도를 점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전투기가 순항 고도에서 고고도까지 상승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을 간과한 분석이다. 통상 4~5만 피트 순항 고도에서 비행 중에 적기를 발견한 뒤 6만 피트 고고도로 상승하는 데에는 수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 시간이면 필요 충분한 고도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상호 교전 거리에 들어가고 만다. 결국 F-35를 상대로 BVR에서 고고도 발사 위치를 선점해 실질적인 이득을 보려면 F-35보다 먼저, F-35가 모르게, 최소 300km 이상의 원거리에서 F-35를 발견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붙는데, F-35는 5세대 VLO 스텔스 전투기이며 이를 위해 단순한 스텔스 외형 설계 외에도 가장 선진적인 스텔스 일변도의 항전 시스템들을 덕지덕지 도배하고 있다. 호적수로 거론되는 러시아의 [[Su-57]]이라고 할지라도 Su-57의 카운터 스텔스 수단인 L밴드 레이더를 가동할 경우 멀티 밴드의 특성상 F-35의 항전 장비에 들킬 수밖에 없는데, 하물며 그보다 저평가되는 4.5세대 및 5세대 기종들이 F-35에게 들키지 않고 F-35를 원거리 탐지하여 일방적으로 고고도 우위를 선점한다는 가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그럼 조기 경보기의 지원을 받으면 되지 않느냐 반론할 수 있지만 F-35는 조기 경보기의 탐지 영역을 검출해 최적의 침투 경로까지 조종사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조기 경보기의 지원은 오히려 F-35가 받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주 운용국]]만 생각해봐도. 다만 가속력과 상승 능력의 부족은 수세적인 방공 작전에서는 단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봤을 때 F-35의 기동력은 이전 세대의 전투기들에 비해 선회력은 부족하지만(순간, 지속 모두 부족하다.) AOA(고받음각 제어)가 50도에 달하고, 이 능력이 최신예 미사일 및 EO-DAS의 사각이 없는 전방위 탐지 능력과 조합될 경우, '''근접전에서도 First Look, First Shoot이 이뤄지게 된다'''. 다시 말해 근접전에서 지속적인 꼬리 물기 기동으로 공격의 기회를 노리는 것이 아니라 EO-DAS로 전방위를 감시해서 적기가 어느 방향에 있더라도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싸움에 특화되었기 때문에 지속 선회력이 우위인 타이푼이나 [[Su-27]] 후기형들 등의 4.5세대기들과의 WVR에서도 뒤쳐지지 않는 셈이다.[* 일례로 [[https://www.youtube.com/watch?v=aWji8AcOYGA|2013년 5월에 유투브에 올라온 기동 시험 영상에서는 외부 파일런 부착 상태에서 나중에는 내부 무장 창까지 열고서 고받음각 기동을 선보이고 있다.]]] 기동성이 처지긴 커녕, 근미래 항공전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개발된 것이다.[* 사실 F-35는 스텔스의 잇점을 제대로 발휘하기 힘든 근접전 자체를 최대한 배제하고 그 이전에 적 편대군을 압도적인 VLO 성능과 센서 융합을 통해 최대한 사살하는 것이 목표로 삼고 이를 위해 전통적인 기동성을 어느 정도 타협했다. 수능 전국 1등이 되기 위해 입시에 별 상관없는 체육 내신은... 그냥 기초 체력으로 하지 뭐 정도로 보면 될 듯. 그렇다고 해서 F-35가 WVR을 완전히 무시한다고는 할 수 없는 게, 현대/근미래 공중전에서는 일단 BVR에서 우위를 점하고 시작하면 WVR도 계속 유리하게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F-35가 우수한 스텔스 성능과 기도비닉 가능한 첨단 전자 장비들을 십분 활용해 BVR에서 선타를 날리게 되면 적기는 운 좋게 회피에 성공해 BVR에서 살아남더라도 이미 회피 기동으로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를 거의 상실할 수 밖에 없으므로 WVR에서도 매우 불리해진다.] 2015년에는 무려 110도 고받음각 기동을 선보이면서 근접전 기동성 부족 논란은 앞으로 사그러들 듯하다.[* [[http://aviationweek.com/defense/f-35-flies-against-f-16-basic-fighter-maneuvers]] ] [youtube(cdp8IKJIqxA)] F-18E/F 이후의 전투기들은 Thrust vectoring이 없어도 Pirouette maneuver가 기본적으로 가능하게 된 듯 하다. 이는 F-35에서도 마찬가지인 듯 하다. F-35A의 2019년 비행시연이 담긴 첨부된 동영상을 참고 바란다. F-35의 설계사상과 대단히 어긋난, 고전적인 WVR영역만을 가정을 해 보자. 일반적인 전투기의 1:1 WVR에서 기축선 내 병장(예: 발칸)만을 가지고 서로 대결한다는 전제에서 서로 엇갈리면서 기축선내 병장을 사용하고자 할 때, 필연적으로 보유에너지(속도, 고도)를 상실하면서 나선으로 강하하며 서로 교차하게 된다. 이 때 Pirouette maneuver같이, 수직미익근방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은, 그렇지 않은 기체와 대결할 때, 그렇지 않은 기체와 교차할 필요 없이 기축선 내 병장을 사용할 수 있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이 것은 마치 나선강하를 하는 적기의 나선 축에서 내가 적기를 계속 조준할 수 있다는 점이다. [youtube(9Jd0IveKod0)] 이렇게 싸운다는 이야기이다. 이 경우 적기는 나에게 기축선내 무장을 쏠 수 없지만 나는 적기를 쏘면서 농락할 수 있는 WVR의 중요한 기능이다. 공식적으로 F-35의 운용매뉴얼에 실릴 것인지는 자세한 확인이 필요하겠지만, F-35A의 영상만으로 판단해 볼 때, 1:1의 WVR에서도 최소한 Thrust vectoring이 장비되지 않는 전투기들을, F-35의 가장 불리한 시나리오 안에서도 유리하게 제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QhTin-W71Jg]] 또한 F-35는 본래 [[F-22]]와는 달리 슈퍼크루즈[* supercruise. [[애프터버너]]를 사용하지 않고 초음속 순항 비행 상태를 유지하는 것.]를 할 수 없다. 다만 일시적으로 150마일 정도의 거리를 마하 1.2 의 속도로 제한적인 슈퍼크루즈는 가능하다. === 무장 === [[파일:attachment/F-35/F-35_loadout.jpg]] [[기관포]]는 [[AV-8|AV-8B]] [[해리어 II]] 등에 사용된 [[25mm]] 5포신 [[개틀링 기관총|개틀링]] [[기관포]]인 '[[GAU-12 이퀄라이져]]'의 개조 버전인 '[[GAU-12 이퀄라이져|GAU-22/A]] 이퀄라이저' 25mm 4포신 개틀링 기관포[* 원본인 [[GAU-12 이퀄라이져]]는 [[포신]]이 5개지만 F-35에 사용되는 GAU-22/A는 경량화를 위해서 포신을 4개로 줄였다. 그에 따라 연사력이 약간 감소되었지만, 구경과 사용탄종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위력 면에서는 그렇게까지 큰 차이는 없는 편이다.]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지금까지의 미군 [[전투기]]들에 비해서 기총 소사 능력이 좀 더 향상되었다. 지금까지 미군 전투기들이 일반적으로 탑재해 왔던 [[발칸포|M61 발칸]] [[20 mm]] 6포신 개틀링 기관포에 비해 좀 더 대구경이고 위력이 강화된 기관포를 채용한 것은, F-35에게는 [[A-10]]의 후계기로서의 역할도 기대되고 있기에 [[근접항공지원]](CAS)를 위한 기총 소사 능력의 향상이 요구되었기 때문이었다. F-35가 [[미사일]]을 활용한 BVR을 중시하고 WVR는 그다지 중시하지 않는 기종임에도 오히려 지금까지의 미군 전투기들에 비해서 보다 강력한 기관포를 탑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F-35가 전투기로서의 성능 이외에도 [[공격기]]로서의 성능 역시 추구한 다목적 [[전폭기]]이기 때문인 것이다. 허나, F-35의 유지비가 떨어지지 않아 미군이 4.5세대 전투기의 지속적인 운용을 진지하게 검토할 정도로 F-35 프로젝트의 상황이 악화되면서 A-10의 대체는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추측단계긴 하지만, A-10의 진정한 대체기는 기관포를 장착한 무인 공격기가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이 기관포로 인해 표면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https://www.defenceconnect.com.au/strike-air-combat/5519-cracks-appearing-on-new-f-35as-due-to-gun-use|알려지면서]] 운용국 공군의 두통거리만 하나 더 늘어나버렸다.[* 단, 이 문제가 과연 25mm 기관포 채용으로 인한 문제인지는 불명이다. 물론 25mm탄 자체가 20mm보다 커서 F-35A의 동체에도 부담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은 있으나, 어쨌거나 F-35에 산적한 문제가 너무 많아서 과연 20mm 벌컨을 채용했다고 균열이 안 발생했을지는 장담할 수가 없다.] A형(CTOL)의 경우 고정무장으로서 기본적으로 [[GAU-12 이퀄라이져|GAU-22/A]] [[기관포]]가 내장되나 B형(STOVL) 및 C형(CV)은 GAU-22/A 기관포가 고정무장으로서 내장되어 있지 않고 [[AV-8|AV-8B]] [[해리어 II]]와 비슷하게 건포드 형식으로 기관포를 탑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외장 기관포 포드를 따로 장착해야 한다. B형 및 C형의 외장 기관포 포드는 기존의 외장 기관포 포드와는 달리 [[스텔스]]성을 어느 정도 배려한 스텔스 건포드라고 알려져 있다. || [[파일:외장형GAU-22A.jpg|width=100%]] || || 외장형 [[GAU-12 이퀄라이져|GAU-22/A]] 건포드 || || [youtube(6ft21P6EUNc)] || F-35의 무장 및 소프트웨어 검증은 2019년 블록 3F와 함께 완료될 예정이다. 기본적으로는 내부 무장으로 최대 [[AIM-120]]D AMRAAM 4발 내지 2발의 AMRAAM과 두 발의 [[JDAM]]을 탑재할수 있으며, 향후 블록 3에서는 AMRAAM만 탑재 시 6발로 탑재량을 늘리는 개량을 진행한다고 한다. F-35의 내부 무장창은 [[F-22]]의 주 무장창과 비슷한 크기인데 F-35의 통통한 동체 덕분인지 깊이는 더 깊어서 F-22는 탑재하지 못하는 2,000파운드급 JDAM을 탑재 가능하다. 단, F-35B의 경우 내부 구조가 달라 내부에 2000lbs [[Mark 80 시리즈|Mk. 84]]급의 항공폭탄은 탑재할 수 없고 그보다 한 체급 아래인 1000lbs급 Mk. 83을 탑재한다. 내부 무장창 구조가 좀 특이한데, 무장창 안에 [[파일런]] 4개 중에 2개는 무장창 내부 벽이 아닌 무장창 문 안쪽에 달려 있어서 문이 열리면 같이 내려와서 다른 파일런에 탑재된 무장을 가리지 않는다. 덕분에 내부 무장에 JDAM을 넣었을 경우 같이 들어간 AMRAAM을 버리거나 쏘지 않고도 JDAM을 투하 가능하다. 내부 무장만으로 비교하면 내부 무장만으로도 AMRAAM 6발에 [[AIM-9 사이드와인더]] 2발을 탑재하는 것이 가능한 [[F-22]]에 비하면 다소 적은 양이다. 그러나 외부 무장까지 가면 이야기가 좀 달라지는데, 일단 F-22는 각각 미사일 2발이나 JDAM 또는 연료탱크를 하나씩 달 수 있는 외장 파일런(BRU-47)을 4개 달 수 있지만 F-35는 스텔스를 덜 고려하여 같은 성능을 지닌 BRU-67 파일런 4개에다가 [[AIM-9|AIM-9X 사이드와인더]]용 소형 파일런 2개를 더 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AMRAAM만 2발 모자랄 뿐이지 F-22와 비슷한 폭장량이 된다. 또 F-22는 내부 무장창에 JDAM을 탑재하는 경우 암람을 2발밖에 못 넣기 때문에 결국 F-35A/C와 폭장량이 똑같아진다. 위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공중의 위협이 사라진 경우(적 공군 및 방공망 소멸) 외부 [[파일런]]을 이용해 추가 무장이 가능하다. 이것을 일명 '''비스트 모드'''라고 부른다. 이론상으로는 '''[[F-15|F-15E]]와 맞먹는 폭장량'''이 가능하며, 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이 구비되는 중이다. F-15E의 경우 내부 무장창은 없으며 지상 타격 임무 시 대략 [[Mark 80 시리즈|Mk.84]] 네 발, 컨포멀 탱크[* 동체 양옆에 툭 튀어나온 각진 그것이다. 여기에다가 폭탄을 추가로 달 수 있기 때문에 보통은 달고 다닌다.] 2기, 드롭 연료탱크 2기[* 무장 파일런에 무장 대신 탑재하는 연료탱크로, 컨포멀 탱크와는 달리 모든 기종에 호환 가능하다.], 파일런의 무장거치대에 암람과 사이드와인더를 도합 4발까지 달고 다닌다. F-35A의 경우 내부 무장으로 Mk.84 2발과 AMRAAM 2발, 외장으로 Mk.84 두 발, 드롭 탱크 2기, 그리고 전용 파일런에 장비하는 사이드와인더 2발을 탑재 가능하다. 문제는 소프트웨어 개발 지연, 항속 거리 등의 현실적 문제로 무장 검증이 완료될 때까지는 스텔스 모드로 운용하거나 [[F-16]]과 같은 여타 [[NATO]]와 동맹국의 멀티롤 전술기들과 유사한 폭장량을 갖출 것으로 보이고 있다. 하지만 2021년 4월의 언론 기사에 따르면, 이탈리아 해군의 F-35B가 비스트 모드로 항모 이착함 훈련을 성공적으로 진행한 바, 외부 무장 검증은 상당한 수준으로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10년대]] 말에서 2020년부터는 [[SDB]]의 도입과 6암람 내부 무장 검증이 완료되어 공대공 무장 부족 문제와 동시 타격 능력 문제도 개선될 것으로 보이고 있다. [[미티어 미사일]]과 [[아스람]], 스피어, [[JSM]], SOM-J 등과 같은 미국제 이외의 해외 무장 탑재는 운영 시작 시기가 2023년으로 예정된 블록 4에서 이루어진다. [[파일:F-35_Weapon_Bay_ItFSN_01215621.jpg|width=800]] 블록 3F 이하의 버전에서는 무장창의 탑재량과 무장 조합에 다소 제한이 걸려 있지만, 향후 블록 5 이상에서 무장창의 탑재량을 증가시키고 무장 조합의 폭을 넓히는 개량이 계획되어 있다. 물론 위 사진의 개량 계획은 이론적인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배관과 발사대 타입 등의 문제로 사진과 같이 무장창 한 칸에 암람 4개와 사이드와인더 2개가 들어간다거나 1,000파운드 JDAM과 암람, 사이드와인더가 2개씩 들어가는 조합이 불가능은 아니지만 실현 가능성이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미군이 진행 중인 공대공 조합도 암람 여섯 발만을 고려하고 있으며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굳이 예산을 더 들여서 무장창을 억지로 채울 생각은 없는 듯 하다. [youtube(CFoJ93Kb5z0)] 2015년 6월 9일 최초로 공개된 A형의 내장형 기관포 사격 영상. 레이더 탐지 면적을 줄이기 위해 기총 발사구 역시 뚜껑이 달려있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이는 [[F-22]]로부터 계승한 특징이다. 그런데 최근 이 기관포 거치대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조준점이 제대로 맞지 않아서 실전에서 신뢰하기 힘들 지경이라고 한다. [[https://www.voakorea.com/korea/korea-politics/first-f35b61-12|#]] 2020년 11월 23일 내부무장창에서 [[B61|B61-12]] 전술핵폭탄 투하 실험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F-15E]], [[B-2]]와 함께 신형 전술핵무기의 투발 능력을 입증했다. 2021년 생산분부터는 '''사이드킥'''으로 알려진 내부무장창 암람 6발 장착대가 적용된다고 하며 2022년에 블록4 개발이 완료되면 GBU-53/B 스톰브레이커를 형식에 상관없이 8발이 탑재될 예정이다. === 지상 타격 능력 === 대지상 타격 능력 또한 출중하여 총 이륙 중량이 70,000lb(31,800kg)에 달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강력한 광학 장치를 가지고 있어 표적 추적 능력이 뛰어난데다 내부 무장창의 경우 F-22보다 더 큰 폭탄을 장착 가능하게끔 설계되어 있어 현존하는 5세대 전투기 중 지상 공격 능력이 가장 강력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JDAM에 비해 이동 목표에 대한 장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한 [[SDB]]-II 통합도 F-22는 우선 순위에 들어있지만 F-35는 2022년으로 계획되어 있는 등, 실제 취급은 역시 2급. 어쩔 수 없는 것이, 아무리 멀티롤 전투기 개발 과정이라고 해도 공대지 무장 운용 능력은 언제나 공대공 전투 능력의 후 순위다.[* 실제로 F-16A만 해도 F-15가 BVR에 특화될 때 조약의 전투기들과 순간기동성을 살려 WVR 전투를 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었었다.] 그리고 F-35의 개발 일정은 이미 많이 지체된 상태다. 스텔스 성능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주익 하부의 하드 포인트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공대지 무장에 할당할 수 있는 하드 포인트 수는 최대 6개소에 이른다. 현재 [[A-10]]과 [[근접항공지원]](CAS) 테스트로 경쟁 중이다. [[http://m.blog.naver.com/jjy0501/220475059158|#]] 사실 [[2000년대]]부터 CAS에 저고도 저속기라 생존성에 위험이 따르는 A-10보다는 고고도에서 유도 폭탄 폭격을 가할 수 있는 F-16이 더 유리하다는 말도 있었던 만큼 기존 기총 소사 + [[미사일]] 등의 발사에 치중한 CAS의 패러다임이 F-35의 고고도 [[스텔스]] 정밀 폭격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로서 확정된 것은 무장에 할당할 수 있는 하중과 하드 포인트, 무장창 용적 정도로, 가끔 회자되는 'F-35가 무장 무엇을 투하, 발사 시험했다~'는 뉴스가 충분히 누적되어야 쓸모 있는 대지공격기가 될 수 있다. == 역사 == === JSF 사업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3px-X-35.jpg|width=100%]]|| || X-35 || 처음 개발의 시작은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에서 진행한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와 [[영국 해군]]의 아음속 기종인 [[AV-8]] 해리어를 대체하여 쓸 초음속 비행이 가능한 단거리 이륙/수직 착륙형 전투기사업인 CALF(Common Affordable Lightweight Fighter;공통 염가 경량전투기)이었다. 이 개발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미 공군은 MRF(Multi-Role Fighter; 다목적 전투기 획득사업)으로, 미 해군은 A/F-X (차세대 미해군 공격기 획득사업)으로 각각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스텔스 경전투기 사업을 진행하려 하였다. 하지만 예산 문제 때문에 이 사업들은 JAST(Joint Advanced Strike Technologies; 합동 차세대 타격기술) 사업으로 통합이 되었고 그후 미 하원은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CALF 사업을 JAST 사업에 합병시켜 최종적으로 JSF(Joint Strike Fighter; 3군 통합타격기) 사업이 시작하게 된다.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미 공군, 미 해군, 미 해병대/영국 해군이 정말 똑같은 전투기를 쓸 수는 없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3가지 버전의 전투기를 만들되 서로 부품이 최대한(80% 정도) 공통되도록 한 것이 JSF 사업의 실제 내용이다. JSF 사업에서 미 공군은 육상기지에서 통상적으로 이착륙하는 형태(CTOL), 미 해군은 항공모함(CV)에서 [[캐터펄트]]를 이용하여 이함, 어레스팅 와이어로 착함하는 CATOBAR 형태, 그리고 미 해병대/영국 해군은 단거리 이륙/수직 착륙(STOVL) 형태를 요구하였다. JSF 사업은 요구조건이 워낙 까다로웠기 때문에, 록히드 마틴과 보잉은 자신들이 그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기술이 있다는 것을 JSF 사업단에게 증명하기 위해 기술개념 실증기부터 만들어야 했다. 보통 Y로 시작하는 [[YF-23|다른 프로토타입]]과는 달리 [[X 실험기 시리즈|실험기에 쓰는 X 넘버링]]이 붙은 것은 그 때문이다. 저렴한 가격에 중점을 두고 보수적으로 접근한 보잉은 [[X-32]]를 비교적 순조롭게 만들어 내놓았으나, 보다 고성능을 추구한 록히드 마틴 쪽은 숱한 난관을 뚫느라 일정이 계속 늘어졌다. 혹자는 '스텔스기도 만들 줄 알고, 초음속기도 만들 줄 알고, 수직이착륙기도 만들 줄 아는데 그 셋을 한꺼번에 다 하는 비행기를 만드는 것은 정말 어려웠다.'라며 푸념하기도 했다. 그동안 X-33과 34는 다른 시험기가 먼저 챙겨가서 록히드 마틴의 실증기는 X-35가 되었다.[* 여담으로 이때의 명칭이 꽤 유명해져서 정식 넘버링은 F-2X가 됐어야 했지만 F-35로 명칭이 정해졌다고 한다.] 앞서 나간 보잉이었지만, 먼저 만든 보람도 없이 미 해군이 함상 착함 속도를 제한하고 귀환 무장 탑재량을 9,000파운드로 늘려버리는 바람에 보잉은 오히려 불이익을 봤다. 록히드 마틴 측은 설계를 변경할 수 있었으나, 실증기를 벌써 거의 다 만들어버린 보잉은 어쩔 수 없이 만든 그대로 제출하면서 중량 감소와 수평미익을 추가하겠다는 재설계안을 동봉하는 선에서 정리했다. 물론 JSF 사업단 측이 뒤늦게 요구조건을 변경한 것이기 때문에 보잉에게 공식적으로 패널티가 주어진 것은 없었으나, 기체 형상이 크게 바뀌는 문제이기 때문에 불이익이 정말 없었으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사업 초반에는 먼저 실증기를 만들고 몇 차례의 시험 비행을 성공시키며 보잉이 우위를 점했지만, 수직이착륙에서 우위가 뒤집어지게 된다. 저렴함에 초점을 맞춘 보잉은 개발비를 줄이기 위해 이미 검증되었고 자기들이 만들어서 잘 알기도 한[* 미군용 AV-8은 보잉에서 제작했다.] 해리어의 단일 엔진-직접 분사 방식을 응용했으나, 해리어의 문제점인 초음속 비행이 불가능하단 점과 지면에 반사된 배기 가스가 에어 인테이크로 다시 들어가서 엔진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도 똑같이 일어났다. 물론 보잉도 예상했던 부분이라 재흡입되는 배기 가스를 찬 공기로 막아주는 제트 스크린 노즐을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으나, 이를 해결하느라 X-35보다 개발 일정이 뒤쳐졌다. 반면에 록히드 마틴의 X-35는 보다 복잡한 리프트 팬 시스템의 개발에 성공하면서 기세가 올랐고, 수직이착륙용과 초음속 비행용 부품을 갈아끼워야 했던 X-32와 달리 수직이착륙과 초음속 비행을 한 번에 해내는 기염을 토해냈다. 테스트 비행장에서 [[워싱턴 D.C.]]까지 왕복하면서 의원들의 환심을 샀던 것은 덤. 결국 이 초대형 사업은 2001년 10월 26일, 록히드 마틴의 X-35가 승리했다. === [[F-35/개발과정|개발과정]] === [youtube(ba63OVl1MHw)] [[F-35/개발과정]] 참고 [[F-111|하나의 그릇에 여러 달걀들을 한꺼번에 담으려 했던 탓]]인지, 과거에 적용하지 않았던 신기술을 적용하는데 따른 부작용 탓인지 개발과정이 그리 순탄치 않다. 이미 사업 초기에 공언했던 개발 및 실전 배치 계획은 저 멀리 날아가버렸고, [[언론]]과 [[의회]]의 지속적인 감시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개발 난맥상에 대한 비판 및 비난은 이제 일상 다반사처럼 되어버린 듯하다. 마침내는 [[도널드 트럼프]]가 스스로 미국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JSF 사업 자체를 '백지화'해버리겠다!"'''고 으름장을 놓기에 이르렀다. 퍼부은 돈은 아깝지만, 그렇다고 돈을 더 들일 가치도 없는 결함품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고. 차라리 [[F-22]]를 재생산하면서 F-35에 들어간 신기술을 F-22에 도입하겠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그는 자기가 당선되면, '''"해군 주전력으로 '[[전함]]'을 재취역시키겠다"'''는 말을 한 바 있다.[* 물론 그 재취역시킨다는 [[전함]]이란 것에 강력한 [[레일건]] 주포가 장착되어 있다면 전함의 부활이 긍정적이겠지만, 레일건 또한 완성되지 않은 병기인지라 전함을 건조하고 거기에 레일건을 갖다 다는데도 돈이 왕창 깨져나갈 것임은 물론이요, 그걸 해군 주전력으로 삼겠다는 소리를 하는 것도 '''전혀 현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발언'''이다.][* 전함을 대용량 미사일 플랫폼으로 본다면 아주 최소한의 들어볼 여지가 있다. [[아스널쉽]] 참조. 물론 트럼프가 군사와 병기에 대해 무지하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게다가 미군이 F-35에 걸고 있는 기대가 상당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트럼프가 JSF를 백지화하려고 하면 군 측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그리고 2016년 현재 미 공군과 미 해병대가 F-35 실전 배치를 시작한 상태이며, 게다가 F-35C는 이미 항공모함에서 이착륙도 마친 상황이다. '''취소하기엔 너무 늦은 시점'''이라 취소한다면 F-35C를 취소할 가능성이 없어보인다. F-35 사업이 보통은 아닌지라 제아무리 대통령이 된다 한들 함부로 건드릴 수 없다. 트럼프는 2016년 12월 행한 인터뷰에서, "F-35 너무 비싸다. 구매비용 수십억불 줄이겠다"고 다짐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14/2016121400234.html|기사]] 아마도 구입대수를 줄이려고 하며, 그렇다면 올라가는 기체 단가나 혹은 미국이 줄이는 대수를 동맹국에 떠넘길 것이라는 것이 중론. 아무래도 취소는 비현실적이라는 것을 본인도 깨달은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인지, 트럼프는 다시 F-35 예찬론자로 선회하여 2017년 5월경, 트위터에 '일본의 대공감시에 F-35가 걸리지 않고 비행했다'며 스텔스 성능을 칭찬하기도 했다. 물론 일본이 그런거 탐지된 적 없다고 반박하자 미 국방부가 'F-35가 일본 상공을 통과한 적은 없다'는 성명을 내는 등 온갖 잡음이 나오는 중. 결국 '''트럼프가 잘못 안 것으로 결론났다.''' 물론 F-35의 침투훈련이 성공했다면 '''당연히 일본에 F-35의 비행 기록이 남을 리가 없다'''. 하지만 이런 결과를 일국의 대통령이 트위터로 가볍게 발표해버리는 것은 동맹국의 체면을 심하게 손상시키는 일이고 특히 체면을 중시하는 동아시아 국가들을 상대로는 좋지 않은 행동이다. 결국 일본 자위대에 비밀스럽게 개선사항을 전달하는 것으로 끝났어야 할 일을 경박스럽게 공개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해커]]를 동원해 F-35 설계 등의 기밀 정보를 빼돌렸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674503.html#csidxe8fedc7fb161629a3bb089d6f651ffe|#]] === [[F-35/도입|도입 및 실전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35/도입)] === [[F-35/도입/대한민국|대한민국 배치 및 도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35/도입/대한민국)] === 블록화 [[업그레이드]] === [[파일:qwDuyOg.jpg|width=750]] JSF 사업은 계획 단계에서부터 생산과 개발과 단계식 업그레이드를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극초기 생산분인 Block 1A부터 Block 3I까지는 훈련기 정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깡통이고, Block 3F부터 대충 전투 투입이 가능할 정도의 기본적인 대공/대지 공격능력이 부여된다.[[:파일:F-35.jpg|#사진]] 즉 [[2022년]] 혹은 '''Block 4''' 이전 버전의 [[F-35]]는 대중에게 알려진 공격 성능과는 차이가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엔진의 경우 출력 부족으로 레이더과 여러 무기 체계를 사용할 수 없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 국방부 요구사항(DOD level)을 만족 시킬 수 없어, 신규 엔진 업데이트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https://www.airforcemag.com/decision-on-new-f-35-engines-predicted-in-2024-defense-budget/|Decision on New F-35 Engines Predicted in 2024 Defense Budget]] '''Block 4'''에서야 다목적 전투 운용을 위한 66가지의 실질적인 대규모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데이터 링크 업그레이드와 16종류 이상의 해외 무장 및 신형 대함/대지 미사일들의 인티그레이션이 이루어지며, '''블록 5'''에서는 IRST, DIRCM 설치, 내부무장창 확장(공대공 미사일 6발 등), 전자전 능력 향상과 같은 개수가 예정되어 있고, '''블록 6'''에서는 더욱 개선된 전자전 및 상황 인식, 피아 식별 능력과 함께 F135보다 추력과 항속거리가 향상된 엔진으로 업그레이드 된다. [[http://img.bemil.chosun.com/nbrd/data/10040/upfile/201305/20130531151502.gif|#사진]] 더 먼 미래에는 [[인공지능|A.I]], [[UAV]] 연계 능력, [[레이저]] 무기 탑재도 예정되어 있다. 하지만 [[F-22]]도 이미 퇴역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고, 기존 스텔스 전투기의 효용성이 점차 사라지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2022년]] 현재 미국에서도 F-35의 신규 도입을 늦추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https://www.defensenews.com/air/2022/03/08/f-35-production-decision-wont-come-until-end-of-fiscal-2023-at-least/|F-35 production decision won’t come until end of fiscal 2023 — at least]] 같은 블록 내에서도 무장 인티그레이션이나 기타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시 세분화되기 때문에[[http://imagesvc.timeincapp.com/v3/foundry/image/?q=60&url=https%3A%2F%2Fs3.amazonaws.com%2Fthe-drive-staging%2Fmessage-editor%252F1524786333054-proposed-growth.jpg|#사진]] 향후 F-35의 성능을 ~~극대화~~ 현실화 하려면 상당히 꾸준한 업그레이드와 비용증가가 동반으로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https://breakingdefense.com/2022/03/f-35-to-get-more-expensive-in-next-deal-program-exec-says/|F-35 to get more expensive in next deal, program exec says]]. F-35 현재 블록을 구입하는 경우 추가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는 당연히 [[유료]]이고 지금 비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미국방성 요구사항을 최초로 만족할 예상이 되는 '''Block 4'''로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해서는 엔진 및 미션 컴퓨터와 칵핏의 각종 전자장비를 전부 교체하여야 하며 자동차로 말하지면 바디 프레임 빼고 전부 교체하는 수준이다. [[https://breakingdefense.com/2022/04/f-35-modernization-programs-costs-schedule-keeps-growing-gao/|F-35 modernization program’s costs, schedule keeps growing: GAO]] [[https://www.airforcemag.com/congress-wants-aetp-engines-to-be-installed-in-all-f-35as-starting-in-2027/|Congress Wants AETP Engines to be Installed in All F-35As Starting in 2027]] ==== 엔진 교체(FAER) 및 개량(EEP) ==== [[파일:de7e86b470e04d8d92e62f6005434320.jpg|width=750]] [[프랫 & 휘트니 F135]] 엔진은 정비·유지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한데다가, 발전 및 냉각 성능 한계로 인해 블록 4에 적용되는 66가지의 새로운 기능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심각한 결함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미 공군]]은 2022년 개정된 [[국방수권법]]에 따라 2027년부터 보유하고 있는 F-35A의 엔진을 적응형 싸이클(Adaptive Cycle) 방식이 채용된 신형 엔진으로 교체하여 연료 소비 및 발전, 냉각 효율을 개선하고 각종 매개 성능을 향상시킬 예정이며, 이를 위해 [[GE]]에서 XA100을, [[P&W]]에서 XA101을 개발하고 있다. [[https://www.thedefensepost.com/2021/12/15/us-congress-wants-new-f-35-engines/|#]] 이 프로그램은 공식적으로 F-35 Adpative Engine Replacement(FAER)로 명명되었다. [[https://sam.gov/opp/4f45682e91704e53b65cd02a1d5259bf/view|#]] 한편, 적응형 싸이클 엔진에 대한 수출 허가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고, 수직 이착륙 구조인 F-35B의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맹국의 기체들과 [[미 해병대]]의 F-35B, 아직 교체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미 해군]]의 F-35C를 위해서는 기존 F135의 업그레이드 패키지인 [[https://prattwhitney.com/products-and-services/products/military-engines/F135/F135-ENHANCED-ENGINE-PACKAGES|EEP(Enhanced Engine Package)]]가 준비되고 있다. == 실전기록 == 2017년을 기점으로 이스라엘군을 중심으로 F-35가 실전에 투입되었다는 주장과 다수의 정황이 나왔으나, 공식적으로 실전 투입을 발표한 것은 2018년 5월이 처음이다. F-35의 첫 실전 투입을 선언한 국가는 이미 이전부터 꾸준히 실전 투입을 의심받았던 이스라엘이다. 2016년 12월에 [[이스라엘]]에서 F-35I(A) 아디르(Adir[* [[히브리어]]로 '강력한' 또는 '권능자'라는 뜻이며 [[야훼]]의 다른 명칭이기도 하다.])를 인수했는데, 이 F-35I가 2017년 1월 시리아 Mazzeh 공항을 급습하여 레바논 [[헤즈볼라]]에게 인도될 가능성이 있었던 [[판치르-S1]]이 적재된 창고를 폭격하였고 덤으로 대통령궁 인근에 배치된 [[S-300]]을 날려버렸다고 한다. 해당 내용은 2017년 3월, 'Airforces' 기사에서 나온 이야기인데[[http://www.airforcesmonthly.com/2017/03/07/have-israels-new-f-35s-seen-combat/|#]], 몇 개월이 지나도록 검증이 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는 기사이다. 여기에 해당 실전기록이 사실이 아닌 것 같다고 하는 기사도 나왔다. [[http://www.thedrive.com/the-war-zone/8146/has-israel-actually-sent-the-f-35-into-combat-already|#]] 2017년 5월에 타임지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인터뷰를 통해 다수의 F-35가 일본 측에 통보없이 일본 영공을 통과했으며 들키지 않았다고 밝혀 큰 화제와 외교적 문제거리로 떠올랐다. 트럼프는 인터뷰를 통해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의 2월 방일 당시 '''35대의 F-35가 일본 상공을 비행'''했다고 밝히며 ''이것이 스텔스다. 대단한 일''이라고 자랑했다. 일단 일본 측 언론은 트럼프가 그냥 지어낸 말을 허풍처럼 흘린 것인지, 기밀에 속하는 비행 작전을 일본 상공에서 벌인 것을 언급한 것인지, 혹은 혼동한 것인지 각기 다른 분석을 내놓으며 혼란에 빠진 분위기였다. [[http://www.sankei.com/world/news/170514/wor1705140044-n1.html|#]] 동맹국 영공에 함부로 전투기를 통보없이 날린 것이 사실이라면 [[주일미군]]의 작전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엄청난 외교적 결례'''이며, 스텔스 전투기라지만 웬만한 비행대대의 규모를 뛰어넘는 대수의 전투기가 일본 상공을 휘젓고 다녔음에도 전혀 발견하지 못했다는 것은 자위대에 하코다테 공항 MiG-25 망명 사건에 비견되는 안보 쇼크가 될 것이라는 섣부른 분석까지 나왔다. 동시에 이 사건이 사실이라면 최정상급 실력과 대공 탐지 전력 규모를 갖춘 일본의 방공망을 F-35가 뚫었다는 면에서 지금까지 많은 의구심을 낳았던 F-35의 스텔스 성능이 예상했던 것 이상이라는 것을 증명한 셈이다. '''다만 이 사건은 사실이 아닌, 트럼프가 상황을 제대로 파악 못 하고 잘못 발언한 것으로 밝혀졌다. [[http://edition.cnn.com/2017/05/12/politics/trump-f-35s-japan-time-interview/|#]]''' 2017년 10월, 이스라엘 F-35I가 [[S-200]]에 의해 피격되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러시아 국방장관 [[세르게이 쇼이구]]가 이스라엘을 방문했을 때 이스라엘은 이란 시리아와 동맹관계에 있는 러시아에게 압력을 행사하려고 F-35를 동원해 시리아 영공을 침범하여 시리아 이스라엘 양측 간의 교전이 벌어졌는데 이때 시리아 방공부대가 S-200으로 반격해서 F-35 전투기 1대에 심각한 손상을 입혔다고 주장하고 있다. [[https://youtu.be/fvrGfOVUm1I|#]] 현재 F-35I 중 한 대가 가동중단 된 것으로 보도되고 있고 이에 이스라엘 공군은 피격이 아닌 [[버드 스트라이크]]로 인한 손상이며 F-35I는 안전하게 착륙하였고 다만 재운용은 확실하지 않다고 발표하였다. 양 측은 뚜렷한 증거[* 이스라엘의 경우 '버드 스트라이크'로 손상되었다는 증거, 시리아의 경우 자국이 발사한 S-200의 항적 자료 등]를 시원하게 공개히면 될 일을, 서로 발뺌하면서 애매하게 우기고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의 주장이 진실인가는 개개인의 판단에 맡긴다. 2018년 3월 29일, 예루살렘 포스트가 이스라엘군의 F-35I 두 대가 이달 시리아와 이란 영공에 진입해 이란 핵시설이 있는 곳으로 추정되는 페르시아만 일대를 고도 비행했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 측은 F-35I가 시리아 영공을 지나 이란으로 향하는 동안 러시아가 시리아에 설치한 방공 시스템을 포함해 이란과 시리아 양국 모두의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단 러시아 국방부는 비공식적으로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을 통해 F-35I가 시리아의 러시아 방공 체계를 뚫고 공중 사찰을 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러시아 측은 어떤 항공기든 고도 비행을 할 경우 대다수 나라들 레이더에 쉽게 포착된다고 주장하며 시리아 내 러시아 방공 체계는 현지에 있는 러시아 군시설에 신뢰할 만한 방어자산을 제공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일단 아직까지는 양측 모두 각각의 주장을 뒷받침할 명확한 증거는 내놓고 있지 않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8517338|#]] 2018년 5월 22일, 이스라엘군이 F-35I를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동안 투입되었다는 정황들은 많았으나, 실질적으로 공식적으로 실전 투입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http://v.media.daum.net/v/20180522194354597?f=m&rcmd=rn|#]] 2018년 9월 27일, 미 해병대 F-35B가 미국 중부사령부가 책임지는 아프가니스탄에서의 'Freedom’s Sentinel' 작전을 지원하기 위한 공격에 처음 참가했다. [[와스프급 강습상륙함]]의 2번함 '에식스'에 배치된 F-35B들이 지상 소탕 작전을 지원했으며 지상 사령관은 공격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0367664|#]] 이로서 미군 역시 F-35B를 첫번째로 실전 투입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러한 작전 성공이 이루어진 다음 날인 28일,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 뷰퍼트 해병대 항공기지 인근에서 F-35B가 훈련 도중 연료관 문제로 추락하여 찬물을 끼얹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12/2018101201151.html|#]] 다행히 조종사는 큰 부상없이 탈출에 성공했으나, 이는 F-35 전체 기종에 있어 첫 번째 추락사고로 기록되었다. 2019년 1월 19일, F-35I를 포함한 이스라엘 공군 편대가 재차 시리아 방공망에 대해 공습을 가해 판치르-S1 수개와 함께 중국제 對스텔스 레이더인 JY-27까지[[https://sputniknews.com/middleeast/201901231071746826-damage-damascus-airport-israeli-strikes/|격파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2019년 9월 17일, 이스라엘 공군이 시리아 영토 내의 알-부카말에 설치된 이란군 기지를 공습하였으며, 러시아군이 지원하는 [[S-300]]과 [[S-400]] 방공미사일 시스템으로는 제대로 된 요격도 할 수 없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s://theaviationgeekclub.com/russian-s-300-and-s-400-air-defense-systems-are-unable-to-detect-israeli-f-35s-flying-over-syria/|#]] 하지만 해당 보도는 시리아에 S-400이 배치되었는가에 대한 진위부터 확실하지 않기에 부정확한 보도로 판단된다. 위의 사례들에서 볼 수 있듯, 대부분의 실전 기록이 이스라엘 공군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가장 많이 실전 투입해서 운용한 국가인 만큼 조종 노하우도 더욱 숙련되었기에 후발 운용국인 이스라엘 공군의 조종사들이 오히려 지금은 미 공군, 영국 공군의 조종사들에게 F-35 운용법을 교육하고 전수하고 있다고 한다. [[https://worldisraelnews.com/israeli-airmen-to-teach-us-british-pilots-about-f-35/|#]] == 사건·사고 == * 2014년 6월, [[아이다호]] 공군 기지에서 지상 택싱하던 F-35A의 엔진에 화재가 발생해 기체 후방부가 반파되었다. [[https://worldwarwings.com/wp-content/uploads/2016/09/F-35Explosion.jpg|#]][[https://miro.medium.com/max/2625/1*20PNuUPCB2It0RcT54JMzA.jpeg|##]] 이에 모든 기체가 일주일 간 비행금지 조치 되었다. 원인은 3단부 모터 엔진 결함으로 잘려나간 모터암이 엔진 케이스를 찢어 폭발시켰다는 것이다. 이에 프랫 앤 휘트니는 해당 부위를 보강하는 작업을 진행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 2018년 8월 22일, 미 공군 제33전투비행단 소속의 F-35A가 [[플로리다]] 주의 에글린 공군기지에 착륙한 직후 전방의 랜딩기어가 주저 앉으며 기체가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했었다. [[https://www.33fw.af.mil/News/Article-Display/Article/1609658/33rd-fw-f-35-ground-mishap/|#]] 원인은 조종사가 속도유지기능을 켜서 불안정한 착륙을 시도했고 후방의 기어부터가 아닌 세개의 바퀴가 모두 동시에 땅에 닿았으며 결국 조종사가 복행을 결정하고 기수를 올리려 하자 기체에 결함이 생겨 승강타가 반대로 작동해 노즈기어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져 붕괴한것으로 파악되었다. * 2018년 9월, [[노스캐롤라이나]] 뷰포트 공군 기지에서 전 버전 통틀어 최초의 F-35 추락 사고가 발생하였다. 사고기종은 미해병대의 F-35B로 파일럿은 무사히 탈출하였다. 원인은 엔진 연료 튜브의 결함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영국의 것을 포함한 모든 B형이 비행금지된 후 재검사를 받고 다시 배치되었다. [[https://breakingdefense.com/2018/10/f-35-flights-suspended-while-f135-fuel-tubes-checked-uk-f-35bs-keep-flying-on-hms-qe/|#]] * 2019년 4월 9일, [[일본]] [[항공자위대]]의 F-35A가 일본 북동쪽 해상에서 미 공군 F-35A와 공대공 훈련 도중 갑자기 추락하면서 수출기종 최초의 추락사고가 발생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436340|#]] 기체 수색에 [[해상보안청]]과 [[해상자위대]]는 물론 미국 해군의 수상함 및 [[P-1]], [[P-8A]] 등의 대잠 초계기까지 동원되었으나 잔해 일부 이외엔 아무것도 찾지 못했다. 미해군과 해상자위대는 4월 말 수색 포기를 선언했으나 마침 [[싱가포르]]에 기항하고 있던 중 해당 사건을 지원하기 위해 일본으로 긴급 항해한 영국 기업의 민간 해저 탐사선 [[https://www.vesselfinder.com/vessels/VAN-GOGH-IMO-9777553-MMSI-311000591|반 고흐]]와 일본 해양연구기구의 해저 탐사선 [[https://www.vesselfinder.com/vessels/KAIMEI-IMO-9712448-MMSI-431273000|카이메이]]가 합동 수색으로 5월 3일경 [[블랙박스]]를 수심 1,500m 지점에서 발견해 인양하는데 성공했다.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pn=1&num=217588&order=date|#]] 그러나 블랙박스 조차 크게 파손되어 있었고 가장 중요한 저장장치도 이탈돼 실종되어버려 이것으로 사고원인을 밝히기에는 불가능하게 되었다. 사고기가 일본 최종조립공장(FACO)에서 처음으로 조립생산된 것이라 일본의 기술적 미숙으로 인한 기체 결함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레이더 항적 및 관제 기록과 당시 함께 있었던 미공군 F-35A에서 추출된 데이터에 대한 미일 합동 분석 끝에 파일럿의 [[버티고]](공간 실조)에 의한 인지착오로 결론이 내려졌다. 동료 기체 결함 시 데이터링크로 타 기체에 전달되는 비상 시그널도 없었고 해당 기체의 조종사도 마지막까지 멀쩡하게 응답하고 있는 상황에서 거의 최고 속도로 바다에 직행한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 [[https://www.mod.go.jp/asdf/news/houdou/H31/20190610.pdf|#]][* 이 때문에 기체는 해면에 충돌하자마자 블랙박스마저 손상될 정도로 완전히 산산조각이 났을 것이다.] 이후 일본은 2020년 예산으로 손실분을 추가 구입하는 한편, 2024년 블록 4에서 도입예정이던 자동지상충돌방지 시스템(Auto GCAS)을 2019년 말부터 기존 기체에 순차 업데이트하고 신규 기체에도 기본 적용해 도입하기 시작했다. [[https://flyteam.jp/news/article/124987|#]] * 2020년 5월 21일, [[플로리다]] 이글린 공군기지에서 F-35A 1기가 착륙 중 추락했고 파일럿은 무사히 탈출했다. [[https://blog.naver.com/sundin13/221972579684|#]] 해당 공군기지는 전날인 20일에는 F-22A 추락사고가 발생하기도 했었으며, 이틀 사이에 스텔스기를 2기나 날려먹는 사고를 치는 바람에 기강 해이를 강력하게 추궁받고 있다. * 2020년 6월 8일, 미 공군 제388전투비행단 소속의 F-35A가 유타 주의 힐 공군기지에 착륙 직후 [[http://img.bemil.chosun.com/nbrd/data/10044/upfile/201808/2018082314280569438.jpg|랜딩기어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었다. [[https://www.thedrive.com/the-war-zone/33941/f-35s-gear-collapses-after-landing-at-hill-air-force-base|#]] * 2020년 9월 30일, [[캘리포니아]] 상공에서 공중급유를 하던 [[KC-130]]과 F-35B형이 충돌하여 조종사는 사출, 공중급유기는 근처 농지에 비상착륙하였다. [[https://www.thedrive.com/the-war-zone/36806/reports-say-a-military-aircraft-has-crashed-near-the-salton-sea-in-california|#]] 교신내용이 유튜브에 공개되었다. [[https://youtu.be/OQ9BrbellXw|#]] * 2021년 7월, 일본 [[이와쿠니]] 기지 주둔 미 해병대 소속 F-35B 두 대가 비행 중 '''[[번개]]'''에 맞아 크게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두 기체 모두 정상적으로 착륙했고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손상 정도 때문에 해당 사고는 '클래스 A(인원의 사망이나 영구적 장애, 혹은 250만 달러 이상의 손실 발생)'로 분류되었다. [[https://www.marinecorpstimes.com/news/your-marine-corps/2021/07/23/lightning-strike-grounds-2-f-35b-lightning-ii-jets/|#]] F-35의 닉네임이 번개임을 고려하면 매우 묘한 사고다. * 2021년 11월 18일, [[지중해]]에서 작전 중이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1번함 HMS 퀸 엘리자베스 소속의 [[영국 공군]] F-35B가 이륙 직후 바다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조종사는 이젝션(비상 사출)에 성공했으나 사고 원인은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https://twitter.com/DefenceHQPress/status/1460987353410027530|#]] 자칫 기체를 회수하지 못할 경우에는 기술 유출이 우려되는 상황이기에 영국과 미국의 수습조가 지중해에 급파되어, 기체 인양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16&aid=0001914452|#]] 한편 F-35의 사출 좌석을 제작하는 영국 '마틴 베이커'사는 조종사가 무사히 탈출했다는 것에 자축하는 [[https://twitter.com/MB_EjectEject/status/1461071818928930820?s=20|트윗]]을 올리기도 해서 다소 설왕설래가 있기도 했다.[* 그리고 해당 트윗에 사용된 사진은 다름 아닌 [[KF-21]]의 사출 실험 사진이었다. 참고로 KF-21의 사출 좌석도 마틴 베이커에서 제작하고 있다.] 트위터에 사고 장면이 담긴 CCTV 영상이 유출되면서 언론과 SNS 할 거 없이 일파만파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함 도중에 속도가 붙지 않으면서 전투기는 스키점프대를 벗어나자마자 그대로 아래로 사라져버리고 조종사는 추락 직전 겨우 탈출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https://twitter.com/sebh1981/status/1465351592018956295?t=0Jbf71pGQ6Dog_vTrLm8BQ&s=19|#]] 2021년 12월, 영국 해군은 [[https://www.thedrive.com/the-war-zone/43423/the-wreck-of-a-crashed-british-f-35-has-been-pulled-out-of-the-mediterranean|사고기 회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더불어 사고 영상을 유출한 퀸 엘리자베스급 수병이 [[https://ukdefencejournal.org.uk/sailor-arrested-after-f-35-aircraft-carrier-crash-video-leak/|기밀유출죄로 체포]]되었다. * 2022년 1월 4일, 훈련을 위해 [[제17전투비행단]]([[청주국제공항]])에서 이륙한 [[대한민국 공군]] [[F-35A]] 한 대가 전자장비 이상으로 비상착륙을 시도하던 중, [[랜딩기어]]가 전개되지 않아 [[제20전투비행단]]([[서산국제공항|서산비행장]])에 [[동체착륙]]한 사고이다. 공군의 신속한 대처와 조종사의 신속한 판단으로 조종사는 무사히 동체착륙에 성공하였고, 조종사는 자력으로 기체에서 탈출하였다. 공군이 활주로에 특수 거품을 설치해 기체의 손상또한 거의 없다고 언론에 보도가 됐으나 나중에 벌크헤드와 동체에 상당한 파손이 가해진 것으로 파악되어 수리 불가 판정을 받아 폐기처분되었다. 그나마 인명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한 사건이다. 사고 원인은 [[버드 스트라이크]]로 인한 기체 전자장비 다운으로 판정되었다. 참고로 해당 사건은 사고가 발생한 기종인 F-35A를 포함해 F-35 시리즈 전 기종 중 첫번째 동체착륙 사건이기도 하다. 자세한 내용은 [[공군 서산기지 F-35A 동체착륙 사고]]를 참고. * 2022년 1월 24일, [[남중국해]]에서 작전 중이던 [[니미츠급 항공모함]] 3번함 칼 빈슨호의 미 해군 소속 F-35C가 통상적인 훈련 도중 항공모함에 착륙시도를 하다가 항공모함 갑판위에 충돌한뒤 갑판밑으로 추락하고[[https://abcnews.go.com/US/navy-salvage-stealth-f35-crashed-carrier-landing-south/story?id=82477793|#]] 조종사가 비상탈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s://youtu.be/ySRtGGW7Tc8|#]] 비상탈출한 조종사는 무사히 탈출 후 헬리콥터에 구조되었으며, 조종사 포함 총 7명이 부상을 당해 3명이 마닐라 군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이 사고로 F-35의 '''모든 계열 기종(A,B,C)'''이 사고를 한 번씩은 당한 셈이 되었다. 사고 원인이 인적 문제인지 물적 문제인지 조사결과가 나와봐야 하지만 이번 사고 하나로 F-35C의 신뢰성을 논하기는 어렵다. 통상적인 활주로 착륙보다 항공모함 착륙이 기류와 짧은 거리 때문에 더 힘들고 조종사의 경력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배치된 지 얼마되지 않아서 함재기 조종사가 한번에 착륙하지 못하거나 사고가 나는건 이전에도 충분히 발생했던 일이다. 한편 미 해군과 중국 해군은 F-35C의 잔해를 찾고, 먼저 기체를 인양하기 위해 혈안이 된 상태이다. 중국 외교부는 F-35C에 대해 관심이 없다고 너스레를 떨었지만 이미 다수의 중국 군함들이 [[https://twitter.com/lobsterlarryliu/status/1486528533677715457|인근 해역]]으로 몰려들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남중국해 영유권을 근거로 인양권을 주장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다만 미 해군이 해당 해역에 머물며 몇 달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인양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하며 중국 측이 해당 인양 작업을 감시하며 신경전을 벌이는 상황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현재서는 높은 것으로 보인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81&aid=0003248097|#]] [[https://twitter.com/Fighterman_FFRC/status/1490250892020383744?t=ra2B2rfkhRsJCSfQbuZ1Ig|항공모함 갑판위에 충돌한 F-35의 사고영상이 유출됐다.]] "램프 스트라이크" (Ramp Strike)라고 한다. 이후 [[https://www.globaltimes.cn/page/202202/1251665.shtml|사고기는 잠시 바다에 떠있었다가]] 가라 앉았는데 아직 정확한 침몰지점도 파악되지 않았을 뿐더러 해당 수역의 수심이 3960m에 달해 조기 인양은 요원해보이고 있었다.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2/02/10/WDUE73GFJFE53MFJWWMISQYRAU/|#]] 하지만 2022년 3월 2일, 미 해군은 해군시스템사령부(NAVSEA)의 인양 및 잠수 감독관 팀의 필사적인 노력 덕분에 F-35C의 인양 및 회수에 성공하면서 사건은 마무리되었다. [[https://news.usni.org/2022/03/03/navy-recovers-crashed-f-35c-from-depths-of-south-china-sea|#]] * 2022년 12월 1일, [[가데나 공군기지]]에서 미 해병대 소속 F-35B 한 대가 활주로에서 택싱중에 노즈기어가 파손되 그대로 주저 앉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s://theaviationist.com/2022/12/01/f-35b-nose-gear-collapse-incident-at-kadena-air-base/|#]] * 2022년 12월 16일, 포트워스 미 해군기지에서 F-35B가 호버링 도중 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s://mobile.twitter.com/aviationbrk/status/1603480471333109762|#]] == 매체 == === 영상 매체 === 영상 매체에서는 다른 기종에 비해 F-35B가 절대적으로 많이 등장하는 편이다. 아무래도 호버링을 하며 화려한 액션을 보여주기에 적당하다는 것이 그 이유인듯. 같은 이유로 AV-8 해리어도 한때 액션 장면에 많이 나와 호버링을 하곤 했다. 그만큼 자주 깨지는 [[야라레메카]]로 등장한다. 그 다음으로 자주 등장하는 것은 F-35A 정도다. 영화의 제작 시기와 영화 상의 연출 탓인지 세부 디테일 묘사가 실기와는 좀 다른 구석이 있는 것도 특징이라면 특징. 특히 B형의 리프트팬 묘사는 하나 같이 시제기 형이다. 간혹 가다가 기총을 쏴재끼는 박력있는 연출 요소와 호버링이라는 F-35의 가장 큰 특이점 때문에 B형만의 특이점인 호버링을 하면서 A형에만 구현된 기총을 쏘는 장면이 나온다. 사실 F-35가 이렇게 저평가받는 이유는 [[공중전#대중매체에서|매체에서 스텔스 전술기와 BVR이라는 개념을 표현하기가 극도로 어렵기 때문이다.]] 적에게 보이지 않고 적 기체나 시설을 저격한뒤 도주한다는 개념을 영화나 게임에 납득가게 삽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WVR 상태에서의 기동전이 시각적으로는 볼거리가 더 훌륭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래 항목들은 F-35가 나온 영상 매체들로 내용 누설이 있기에 스포일러 틀을 달아놓았다. [include(틀:스포일러)] * [[슈퍼맨 리턴즈]] (2005) ||[[파일:드래곤 워리어 F-35.gif|width=300]] [[파일:드래곤 워리어 F-35(2).gif|width=300]]|| * [[케로로 더 무비: 드래곤 워리어]] 거대아치를 파괴하기위해 미공군이 출동한다는 뉴스보도와 함께 F-35 두대가 출동하나 드래곤화된 (기로로)에 의해 두대모두 격추당한다.[* 조종사 한명은 [[사출좌석|이젝션]]에 성공하지만 한명은 탈출못하고 사망한걸로 보인다.] * [[그린랜턴]] (2011) * [[다이 하드|다이 하드 4.0 (2007)]]에서는 F-35B 1기가 등장하여 고속도로 교각을 넘나드는 신기에 가까운 호버링을 보여주면서 [[존 맥클레인|맥클레인]]을 압박했지만, [[영 좋지 않은 곳|리프트 팬]]에 트럭 안의 장비 상자 중 하나가 빨려 들어가며 추락한다. 상술했던 호버링 중에 기총을 쏴제끼는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 [[https://www.youtube.com/watch?v=JiLy7wZeqa4|영상보기]] *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에서는 수직 이착륙형 F-35B가 [[헬리캐리어]]에서 [[함재기]]로 운용되고 있다. '[[퀸젯|퀸젯 VTOL 수송기]]'의 비중이 상당히 큰 편이라 자칫 구식같이 보일 수도 있지만, 따지고 보면 공중 항공모함의 주력은 퀸젯을 제외하면 [[AV-8|해리어]]가 절대 다수. F-35B도 상당히 신무기에 속하고, 퀸젯은 수송기에 자위용으로 건포드 하나 달아놓은 정도에 불과하니 실질적인 전투 가능한 기종에서 F-35B가 최고급이다. 영화 내에서는 헐크에게 기관포를 난사하다[* 설정오류이다. F-35A가 아닌 F-35B인데도 '''기관포가 내장인데다가 쌍발이다'''. 다만 마블 시네마 세계의 F-35는 현실의 F-35와 외형이나 무장에서 의외로 차이가 크다. 우선 공기 흡입구 부터 완전히 다르고(F-22나 KF-21의 공기흡입구 형상과 똑같다.) 이때문인지 동체크기나 길이도 현실보다 약간 더 길거나 크게 보인다. 더군다나 내부무장창이 열리는 구조도 판이하게 다르다. 수직이착륙 모드도 F-35B보다는 X-35의 방식과 비슷하다.] 헐크가 달려드는 바람에 격추되고 조종사는 낙하산으로 탈출한다.[* 이때 조종사의 대사가 일품. '''"목표물이 화났다, 목표물이 화났다!! (Target is angry, Target is angry!!)"'''] 이후에는 [[세계안전보장이사회]]가 뉴욕에 핵 투발을 명하자 출격하려다 핵공격을 막으려 한 닉 퓨리에게 [[PSRL-1|로켓 런처]]로 공격받아 활주로에서 기동 불능 상태가 된다. 그러나 아무도 모르게 1기가 더 있어서 이륙에 성공했고,[* 이때 닉 퓨리는 권총을 쏴서 이륙을 저지하려고 한다.] 뉴욕에 핵 탄두가 장착된 AGM-154 JSOW [[크루즈 미사일]]을 발사한다. 영화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저|윈터 솔저]] 이후부터는 헬리캐리어의 항공기들은 모두 퀸젯들로 대체되어 등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시빌워]] 막바지 무렵 해상감옥에서 토니스타크가 헬기에서 내릴때 뒤에 배치된것이 보인다. 감옥이 해군소속이니 [[해군 항공대]]나 혹은 해병항공대 소속인듯 싶다. * [[에이전트 오브 쉴드]]에서는 '''[[존 개릿|스포일러]]'''의 비행기와 함께 등장했다.[* 여차하면 주연들팀인 '616팀'이 타고 있는 '버스'를 날려버릴 수 있다고 경고하듯이 양 옆으로 비행했다.] * [[맨 오브 스틸]]에서는 F-35A가 완전히 아랴레메카로 등장한다. 뭐라도 반격이라도 많이 해보고, 이런 저런 간지샷을 남기고 산화하는 다른 영화 속 F-22, F-35들과는 달리 비중이 작지도 않은데도 그냥 나오는 족족 '조드 장군'이 끌고 온 함선의 광선공격에 맞아 폭발하고, '월드 엔진'의 중력장에 이끌려 조종 불가로 추락하는 등[* 심지어 편대 리더는 추락 직전에 조종을 회복하지만, 바로 앞에 고층 빌딩이 있어 끝내 기체와 함께 사망하였다....지못미], 다양한 방식으로 무기력하게 격추 당한다. [[팀킬|심지어 그들이 '월드 엔진'을 향해 발사한 미사일들이 중력장에 휩쓸려 밑에서 도망치는 메트로폴리스 시의 사람들을 맞춘다.]] 다만, 내부 무장창에서 AIM-9X를 쏘아대며 그것을 카메라가 따라가는 부분은 몇 안되는 F-35가 나온 매체 중에서도 명장면. * [[엔더스 게임]] 영화판[* 원작에서는 소규모 우주 함선을 이끌고 싸웠다.]에서는 F-35A가 적대적인 곤충형 외계인 '포믹'과의 1차 대전에서 메이저 라캄의 뛰어난 전술과 희생으로 인류를 구원한 전투기가 되었다. 셀 수 없이 많은 포믹 전투기 무리들을 따돌리고 모선에 [[카미카제]] [[인디펜던스 데이|공격을 가함으로서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후 세계에서는 메이저 라캄의 편대 장난감까지 생겨난 모양이며, 주인공 '엔더'도 어릴적 내내 메이저 라캄 편대 장난감, 아마 F-35A 장난감을 가지고 놀았다는 듯. * [[고질라(2014)]]에서도 등장한다. 그러나 그 누구도 예상 못했던 '[[무토]]'의 '''[[EMP]] 공격'''에 그대로 전력을 잃고, 하늘에서 곤두박질 치는 모습으로'''만''' 나온다. 뭔가 해보려고는 하는데, 이 영화에서는 미군이 타 영화들과는 다르게 '''놀라울 정도로 쓸모가 없어서''', '''하늘에서 돈덩어리들이 우수수 떨어지는''' 끔찍한 장면만 연출한다.[* 이 영화에서 미군다운 역할을 하는 것은 이지스함도 스텔스 전투기도 아닌 주인공을 포함한 보병이다.] 그만큼 영화 속 등장하는 거대 생명체들은 상술한 맨 오브 스틸처럼 사람들의 무기로는 택도 안 먹히는 '''거의 '신'급인 존재들'''임을 다시 한 번 온몸으로 느끼게 만들었다. * 후속작인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에서는 F-35 편대 하나가 화산에서 깨어난 [[라돈(몬스터버스)|라돈]]을 [[킹 기도라(몬스터버스)|기도라]]에게 유인하기 위해 미사일을 퍼붓지만 그 어떠한 피해도 주지 못한채 전부 격추당한다.--그와중에도 얘넨 어그로만 끌고 유인은 아르고가 다했다.-- 후반부엔 다른 F-35 편대가 [[F-15]] 편대와 [[고지라(몬스터버스)|고질라]]와 함께 기도라를 공격하지만 기도라의 광역기 공격에 다시 전멸한다(...).--이쯤이면 이 시리즈는 미공군 또는 미군에 지원하지 말라고 하는듯 하다-- * [[고질라 VS. 콩]]에서는 초반 펜사콜라의 에이펙스 공장 습격장면에서 근접한 한대가 파리채 블로킹(...)에, 그리고 방사열선에 몇대가 더 격추되어서 떨어지고 이후 해상에서 F-35 한 기가 고지라가 휘두른 꼬리에 격추당하고 고지라를 공격하려던 콩에게 한 기가 붙잡혀서 투척용으로 던져지고(...) 이후에 고지라와 콩이 항공모함 갑판 위에서 전투를 벌이면서 갑판에 있던 F-35 여러 기가 터져나가고 고지라와 콩이 전투를 벌이는 도중 고지라에 미사일을 쏘며 등장하나 그마저도 별 피해를 주지 못한다(...). 그리고 나머지 F-35는 항공모함과 함께 수장당한다.[* 현대의 최신형 전투기들은 대부분 BVR(가시거리외 전투)을 중시하기 때문에 사실 영화처럼 근접하며 미사일을 때려밖는 행위 따위는 하지 않는게 보통이지만 이런류의 영화에선 등장하는 괴수(또는 위의 슈퍼맨의 경우처럼 강력한 힘을 가진 빌런 등)의 위력을 강조하고 또 영화적 재미를 위해 필요 이상으로 근접전투를 벌이는 경우가 많다보니 보이는 현상이다.] * [[탑건: 매버릭]]에서 오프닝 장면에 항모로부터 CATOBAR식으로 발함하는 F-35C가 나온다. [[탑건(영화)|전작]]과 동일한 구도에서 현대화된 기체들로 오프닝을 재구성하였다. 일각에서는 주역 기체로 등장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으나, F-35는 영화 초반부에 지나가듯 오프닝에서 화보 찍듯 짧게 등장하고 F/A-18이 주력기로 영화 내내 나온다. 적국의 우라늄 생산시설을 공습한다는 스토리인데 스텔스기인 F-35를 내버려두고 굳이 F/A-18을 동원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 스토리지만 영화상에서는 GPS 난반사 교란으로 장거리 화력투사가 불가능(토마호크 등의 순항미사일), 결국 직접 침투해서 근접 폭격하는 작전이 강제되는데 F-35는 제공전투에 치중한 기체이므로 F/A-18E/F를 선발했다는 대사로 퉁친다. 물론 이래 따져봐도 F-35가 슈퍼호넷 대비 모든 면에서 우월한 기체이다. 사실 [[탑건: 매버릭]]에서 F-35가 주력기로 나오지 못한 [[어른의 사정]]이 있는데, 바로 F-35는 단좌기고 F/A-18은 복좌기라는 문제이다. 이는 CG를 쓰지 않는 이상 F-35는 배우가 직접 비행기를 조종(...)해야 하고, F/A-18은 전문 파일럿이 비행기를 조종하고 배우는 조종하는 '''척'''만 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연히 후자가 영화를 찍는데 편하다. 전자의 경우 어떻게 배우가 조종법을 안다고 하더라도, F-35를 배우들이 조종하려면 미국 연방법에 따라 배우들을 입대(...)시켜야 한다는 웃지 못할 상황이 되어 버린다. 결국 촬영 편의성을 위해 F-35가 주력으로 나오지 못한 것. 물론 [[탑건: 매버릭/탐구]] 문서를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F-35가 주력기로 나오면 영화의 줄거리가 "주인공과 동료들이 최신 스텔스 기체에 타서 전자전 장비의 지원을 받아 멋진 미사일을 발사해 5분만에 적을 다 쓸어버렸습니다. 영화 끝"이 되어버리는 사태가 일어난다는 문제도 있다. * [[트랜스포머 5]]에서 F-35A, B[* 후반부에 A도 등장하는데 공군형은 라운델이 꼬리 동체쪽에 있고 해병대형은 조종석 동체쪽에 라운델이 있다.]가 F-16C와 함께 대거 등장한다. 몇몇이 격추되기는 하지만 드래곤스톰 등 비행형 로봇들과 그래도 대등하게 싸우며 꽤 높은 격추율로 의미있는 전적을 올린다. --어른의 사정 덕분에 형편이 나아진 케이스-- --근데 정작 F-35가 격추시킨적은 없고 F-35를 쫓던 비행형 로봇이 사이버트론 잔해를 못피하고 들이박아서 격추 당했다...-- * [[헌터 킬러(2018)]] 러시아군 쿠데타군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찰스 도네건 합참의장이 즉각적으로 북대서양 함대를 파견지시하며 미항공모함에서 F-35B가 이륙준비를 하는데 --막상 캐터팰터에 걸린 F-35C가 이륙하다가 F-18로 교차편집된다.-- *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에서 [[다니엘라 라모스]] 일행이 탄 [[C-5]] 수송기를 추격하기 위해 F-35A 2대가 주변을 비행하다 [[Rev-9]]이 탄 [[KC-10]]에 --몸통박치기--에 의해 1대가 파괴 당한다.[* 가까이 접근했어도 대응및 회피기동을 하지 않았던 이유는 공중급유지원이 예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남은 1대는 회피기동한 한 듯하다. * 일본 영화 [[공모 이부키(2019)|공모 이부키]]에서 일본 해상자위대 항공모함에 배치된 항공자위대 F-35B들이 등장한다. 센카쿠 제도를 침략한 동남아 모 국가(전투기나 미사일을 보면 [[인도]] 같다) MiG-29 전투기들과 교전을 벌인다. * [[어쌔신: 더 비기닝]]에서는 C형이 등장하는데,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함재기로 등장한다. 정황상 F-35C로 전량교체된 듯. --참새둥지-- * [[극장판 가면라이더 제로원 REAL × TIME]]에서는 F-35B가 등장한다. 보면 알겠지만 사람이 조종하는 게 아닌 가스형태의 나노머신이 조종하고 있는 상태로 등장한다. [[가면라이더 진]]과의 추격전에서 리프트 팬과 노즐을 현란하게 움직이면서 공중에서 드리프트를 하는 등 나름 현실적인 액션을 보여주었다. * 중국 영화 [[뱅가드]]에서 CVN-74번함 스탠 C. 존스함의 테러가 예상되자 F-35C[* 해병대 소속. 측면에 MARINES라고 적혀있다.]와 F/A-18F를 준비하고 F-18F는 갑판에 맞은 미사일로 이탈해 파괴되고 F-35는 성공적으로 항공모함을 공격하던 공격 드론을 격추시킨다. 다만 사출할때 런치바가 올라가있다던가 캐노피에 코팅이 되어있지 않다는 고증오류가 있다. 특이하게 암람 8발이 들어가는 블록5 모델이다. === 만화, 애니메이션 === * [[절대가련 칠드런]] 절대가련 칠드런에서 [[미나모토 코이치]]가 코메리카의 레벨 7 소년 아담과 함께 탈주했다가, ECM으로 무장한 F-35B[* X-35 쪽에 더 가깝다.] 2대가 [[VTOL]] 상태로 아담과 교전. 아담이 조종사들을 강제 사출시키는 방법으로 2대 다 무력화시켰다. 이미 전혀 고의는 아니었지만 자위대의 [[F-22]]A를 날려먹은 전적이 있는 코이치는 "비싸서 부수면 안 된다"고 살살 땅 밑에 놓아두게 만들고 같이 튀었다. --아담 왈 "뭔 경험이 이렇게 풍부한 거야?"-- * [[비행고등학교]] 비행고등학교에서는 사실상 진 주인공. 눈치 없고 천진난만한 귀여운 록히드 가의 막내. X-35시절엔 F-35B를 꿈꾸고 있어 언니들의 걱정을 받았다. 팍스 아메리카나 정신에 투철. 최근에는 [[X-47#s-3.2|X-47B]]를 견제 중이다. 자국의 X-47을 견제하지만 왠지 가상 적국의 [[J-31]], [[Yak-141]], [[Su-27]] 등과 친하다. * [[비비드레드 오퍼레이션]] F-35C[* 다만, 내장 기관포가 없는 C형이 기총을 쏘는 장면이 등장한다. 외부 건포드가 없으니 명백한 오류.] 형이 등장한다. 작중 '아론' 이라는 적에게 속수무책으로 터져나간다. * [[강철신 지그]] 자위대가 도입하는 F-35인듯 거대 로봇 만화의 군대가 그렇듯 출연과 동시에 산화한다. * [[트랜스포머 프라임]] 파울러 요원의 전용 비행기이자 [[스카이퀘이크(프라임)|스카이퀘이크]]와 [[드레드윙(프라임)|드레드윙]]이 스캔한 전투기가 F-35를 살짝 리디자인한 전투기이다. 이쪽도 어벤져스의 전투기처럼 내장형 쌍발 기총+호버링인데, 기총의 위력이 무시무시하다. * [[크로스 앙쥬 천사와 용의 윤무]] - 14화 수도방위기구 제3쉘터의 관리 컴퓨터 히마와리가 보여주는 전쟁 영상에서 다수가 등장한다. * [[공각기동대 ARISE]] - 코믹스판에서 쿠잔 공화국군이 운용한다. 쿠데타로 인해 정부가 바뀌자마자 비행중이던 F-35들이 태세를 바꿔 [[바토]]와 동료 레인저들을 폭격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 [[공모 이부키]] - 일본 해상자위대 항모에 배치된 항공자위대 F-35B들이 등장한다. 중국 해군 항모 함재기인 [[J-20]]과 공중전을 벌이고 중국 항모 비행갑판을 기관포로 긁어 파괴하여 중국 해군이 사실상 항복하게 만든다. * [[스틸레인3 : 정상회담]] - KADIZ 한국 방공식별구역 최남단 이어도에 한국공군 [[KF-16]] 전투기 [[F-35A]] 함께 비행훈련 하는걸로 등장 도중 중국의 [[J-20]]과 [[H-6]] 전투기및 폭격기들이 접근해오자 한국공군은 나가라는 경고 조치를 했으나 경고를 무시하고 오히려 중국 공군은 자신들의 방공식별구역을 침범했으니 나가라고 맞받아치고 [[J-20]]이 계속 접근하자 [[F-35A]] 전투기가 접근하여 서로 부딫칠뻔한 기동을 한다.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니시자와 그룹이 소유하고 있으며 모모카의 친위대에도 소속되어 있다. 모모카 전용기는 분홍색으로 도색되어있다.[* 애니메이션이 방영된 때를 생각하면 당시 일본은 F-35를 도입하지 않았다. 만화적 허용.] === 게임 === * [[ARMA 2]]에서 수직 이착륙형인 F-35B가 등장, 플레이어가 직접 수직 이착륙을 해볼 수 있다. 또한 F-35와 함께 게임 내 나오는 유일한 제트 전투기인 러시아의 [[Su-34]]와 함께 공중전도 간단히 해보는 것도 재밌다. 단, 무장이 상대적으로 빈약한데 특히 지상 무장은 레이저 유도폭탄 2기가 전부다. 그래서인지 공대공 미사일을 지상 타격으로 쓸 수 있다. 하지만 지상 타격용으로 F-35를 쓸 바에는 그냥 [[A-10]]이나 [[AV-8|해리어]], [[Su-25]] 쓰는 게 낫고 적 공중병력이 없다면 그냥 지상 기갑 병력으로 밀어버리는 게 더 낫다. || [[파일:Screenshot_20221129-203416~2.png|width=500&hight=500]] || [[파일:Screenshot_20221129-203113~3.png|width=500&hight=500]] || || 일반 비행모드 || 호버링 모드 || * [[모던 워십]]에서 F-35B가 3티어 공격기로 등장한다. [[브림스톤|Spear-3]]과 [[AGM-158 JASSM]] 공대지 미사일, [[Mark 80 시리즈|Mk 82S]] 항공폭탄을 장착하고 있으며, 게임 내에서 해리어, 킬스위치와 함께 [[호버링]]이 가능한 몇안되는 기체이다. 순간 폭딜량이 엄청나며, 호버링이라는 큰 이점이 존재하고,[* 상대팀 함선 위에 멈춰서 미사일&항공폭탄 러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수직 이착륙 기체들은 티어가 낮거나 너무 비싸기 때문에 가격, 성능 면에서 딱 적당한 F-35를 많은 유저들이 애용한다. 다만 호버링을 하다가 적팀 방공망에 걸려서 바로 격추당하는 일도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 [[배틀필드2]]의 [[미합중국 해병대|USMC]]팀의 전투기로 F-35B가 등장하며 [[와스프급]] LHD에서 보통 2기가 스폰된다. 배틀필드 제작사인 [[DICE]]가 JSF 프로젝트가 개판이 될 것임을 예견한 모양인지 '''게임 내 최고의 쓰레기 전투기'''로 등장한다. 호버링이 가능해 쉽게 착륙할 수 있지만 배틀필드2에서의 전투기는 기본적으로 착륙할 일이 거의 없어서 쓸모가 없고 전장에서 호버링을 해도 [[다이 하드 4.0]]에서처럼 [[https://www.youtube.com/watch?v=JiLy7wZeqa4|자유자재로 움직이며 기총소사]]로 적을 맞추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역시 쓸모 없었던 것은 물론이거니와 대전차 무기로도 맞추기 쉬운 표적이 되어 '내가 이곳에 떠 있으니 얼른 나를 죽여달라'는 메시지와 비슷했다. 공대공 전에서도 게임 내에 등장하는 모든 전투기에게 신나게 발리는 잉여로운 기종이었다. 속도와 기동성이 타 전투기들에 비해 최악 수준이라 금새 뒤를 잡히는 것은 기본이고 다른 전투기들은 대공 미사일에 맞기 직전에 약간의 방향 전환으로 비껴가게 만들 수 있었지만 F-35는 매우 급격한 기동을 구사해도 미사일이 거의 버그 수준으로 따라와 명중했다. 만일 F-35를 타고 게임 내 최강의 전투기였던 중국의 [[J-10]](...)을 압도할 수 있었다면 배틀필드 2 최고의 에이스로 인정받았을 것이다. 따라서 USMC팀에 걸린 사람들은 F-35로는 도저히 불가능한 제공권을 어떻게든 확보하기 위해 적팀 비행장을 테러하여 적 전투기의 이륙을 방해하거나 아예 훔쳐 타는 특공 분대를 만드는 일이 흔했다. 결국 최종 패치인 1.5 버전에서 끝내 상향되어 쓰레기에서 탈만한 전투기가 되기는 했다. 하지만 이후로도 배틀필드 시리즈와 F-35의 악연은 계속된다. * || [[파일:external/www.gry-online.pl/86927111.jpg|width=500]] || [[배틀필드 3]]에서는 '백투더 카칸드' DLC에서 추가되며 등장한다. 역시 미 해병대용인 F-35B이며 호버링 능력과 강력한 기관포 성능[* 패치 전까지만 해도, 25mm라는 실제 제원을 반영한 탓인지 타 기종의 기관포보다 파괴력이 뛰어났다. 문제는 이에 대한 밸런스 조정 차원에서 기총이 다른 기총에 비해 훨씬 아래로 쳐져, 사실상 전투기끼리의 공중전은 불가능한 수준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리고 4.5세대 기종만 넘쳐나는 이 전장에서 유일한 5세대 기종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사실은 '''배틀필드 2에서의 악명도 뛰어넘는''' 희대의 쓰레기 기종이었다. 기동성도 [[Su-35]]에게 철저하게 밀리며, 상단의 기총 문제, 그리고 시도 때도 없이 켜져 오히려 공중전을 방해하는 호버링 기능으로 인해 사실상 '''바다를 빠르게 건너가기 위한 1회용 택시''' 용도로 전락했을 정도였다. 패치 이후에는 타 기종들과 기동성, 기총 성능 등이 동일하게 보정. 호버링도 일정 고도 이하에서만 작동하게 조절되었다. 여담으로 스텔스 기임에도 피토관과 외부 무장을 주렁주렁 매달고 다닌다. * [[배틀필드 4]]에서도 F-35B가 등장. F-35B의 기동력이 전작보다 많이 상향되기는 했으나 단발기라는 특성상 다른 진영의 Su-50과 J-20 스텔스기에 비해서 여전히 떨어진다. 비교해보면 [[Su-57|Su-50]]이 선회력과 가속력이 가장 좋으며 [[J-20]]은 F-35와 Su-50의 딱 중간이다. 대신 호버링을 쓸 수 있기는 하나, 이 게임에서 호버링은 그다지 큰 장점이 되지 못한다. 하지만 밸런스 패치로 전투기 성능이 모두 같아졌다. * [[배틀필드 2042]] - 공개 트레일러에서 등장하면서 등장이 확정되었다. 개량이 되었는지 F-35E '팬서'라는 제식명칭으로 등장한다. 전작들은 호버링을 하려면 최대한 감속해야했지만, 이번작에선 Z키로 쉽게 전환되여 활용도가 올라갔다 * [[크라이시스]] - 단 저작권 문제인지 이름은 F-36이라고 나온다. * [[액트 오브 워]] - TFT(탈론 기동부대, 게임 상의 미군 특수부대 중의 하나이다.)에서 관제탑 건물 하나당 일반적인 형태인 공군형 F-35A가 3기씩 가능하며 해상전의 경우 샌 안토니오급 대형 수송 상륙함에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F-35B가 2기 등장한다. 다만 디렉트 액션이나 하이트리즌(확장팩)이나 스텔스 기능은 밸런스때문인지 제외했다. 물론 해상전 기종 즉 F-35B의 경우 미군의 AV-8B나 컨소시엄의 X-32와 같이 하푼 1발을 무장하고 있다. 다만 게임이 등장한 시기가 2005~2006년이라서 한창 F-35가 개발 중이었기에 F-35 JSF(3군 통합 전투공격기)로 명명해서 등장한다. * [[액트 오브 어그레션]] - 리부트 이전 버전에서 F-35는 사실상 기존작 취급받는 액트 오브 워의 미군 공격기인 A-10을 대체하는 역할로 등장한다. 다만 '''"리부트 버전"이 되면서 F-35 대신 무인 정찰기인 어벤저로 지상공격기가 대체되었다.''' 어벤져는 차량에 강하지만 광학위장은 없다. 자세한 것은 [[액트 오브 어그레션/미국]] 참고. * || [[파일:F35A_ACINF.jpg|width=100%]] || [[파일:int_F35B_ACAH.png|width=100%]] || [[파일:int_F35C_AC7.png|width=100%]] || || 에이스 컴뱃 인피니티의 F-35A || 에이스 컴뱃 AH의 F-35B || 에이스 컴뱃 7의 F-35C ||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서도 F-35 시리즈는 거의 빠짐 없이 개근으로 등장하였다. 하지만 에이스 컴뱃 어설트 호라이즌 이전까지만 해도 F-35C만 등장하였으며, 그 뒤 어설트 호라이즌부터 F-35B가 정규 기종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F-35A는 에이스 컴뱃 인피니티 12차 업데이트를 통해 첫 등장하여 이것으로 에이스 컴뱃 시리즈 내에서 모든 F-35의 등장이 완료되었다. [[에이스 컴뱃 5]]에서는 기체의 성능은 기대 이상으로 가볍고 밸런스도 좋으나 무장이 대함 미사일[* 참고로 기관총이 내부 장착되어 있다. 건포드 떡밥이 풀리지 않았던 시기라 강제로 집어넣은듯.]이라 (5편은 기체별 특수 무장이 1가지씩 뿐이다) 활약할 국면이 적다 보니 별로 인기는 없었다. 1주차의 경우라면 나오는 시점에서 활약할 수 있는 미션은 딱 하나. 그래도 대함 미션에서만은 전 기체 최강의 능력을 자랑한다.[* 또한 생각보다 에이스 컴뱃 5에서의 대함전, 대잠전 미션이 많다보니 생각보다 자주 쓸 수 있는 기종.] [[에이스 컴뱃 제로]]에서는 선택 가능한 무장이 3종으로 늘어난 시스템 빨에 힘 입어 그 나름대로 자주 쓰이는 편. 무장 밸런스도 LASM/SOD/QAAM으로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다. [[에이스 컴뱃 X]]와 [[에이스 컴뱃 X2]]에서는 기동성이 대폭 하향 조절되어 '속도 빠른 A-10'이라는 비야냥을 들을 정도로 기종 수준이 떨어졌다. [[에이스 컴뱃 6]]에서는 어째서인지 등장하지 못했고,[* 기체의 형상은 거의 완전해진 시점이었으나, 무장 시스템의 구성이 불명확했던 시기라 이도 저도 애매하여 빼버린 듯 하다.] [[에이스 컴뱃 어설트 호라이즌]]에서는 F-35B만 등장.[* 참고로 도색과 기체 표면 질감이 상당히 실제 F-35B와 전혀 상관없는 느낌이다. 팬들에게는 모델링과 도색에 있어서 졸작으로 평가된다. 스텔스 코팅이 이루어진 F-35 특유의 질감과 도색이 고증된 것은 에이스 컴뱃 인피니티에서 F-35A가 등장해서야 이루어졌다.] 건포드를 장착하고, 모든 무기를 외부 장착하는 등, 스텔스는 아에 내다 버렸다.[* 하지만 수치상으로는 스텔스 성능이 있다. 중간~ 높은 수준의 스텔스이다.] 참고로 [[미쓰비시 F-2|F-2]]와 비슷한 컬러를 한 [[항공자위대]] 컬러의 F-35B가 칼라 3로 나온다. [[http://cafe.naver.com/acecombatweb/7697|#]][* 그리고 일본의 프라모델 메이커 [[후지미 모형|후지미]]와 피트로드는 여기서 영감을 얻었는지 진짜 [[미쓰비시 F-2|F-2]] 컬러의 F-35B 항공자위대 버전 프라모델을 발매했다. 하단의 모형화 문단 참조.] [[에이스 컴뱃 인피니티]]에서는 첫 정규 기체로 F-35B가 포함된 상태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후 12차 업데이트에서 F-35A가 등장한다. [[http://cafe.naver.com/acecombatweb/24185|#]] 그동안 에이스 컴뱃 시리즈 내에서 F-35 시리즈가 멀티롤 특성만 부여받은 것과는 달리 F-35A는 첫 등장과 동시에 파이터 속성을 부여받았다. 아무래도 F-35B와의 포지션 중복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무장은 HCAA/6AAM/QAAM 등 공대공 무기 중 가장 강력한 것들로만 구성되었다.[* 기본 F-22A가 4AAM을 장착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F-22A를 스펙으로 뛰어넘은 상당히 파격적인 무장(...). 정작 현실에서 F-22A는 AIM-120을 6발을 내장하여 무장하고, F-35A는 무장 검증과 개수 이전까지 당분간은 4발 이상 내장하기 힘든 상황을 고려하면 고증 오류이기도 하다. 차기작이 등장한다면 무장 구성이 정확하게 뒤바뀔 가능성이 높다.] [[에이스 컴뱃 7]]에서는 F-35C가 [[케스트럴]] Ⅱ 항모에서 출격을 준비하는 모습으로 등장을 알렸으며, 이는 F-35C로서는 넘버링 작품에서 꽤 오랜만의 복귀이다. [[https://youtu.be/ReHVAlEU3UQ?t=38s|#]] * [[H.A.W.X.]] 시리즈에서는 주인공 기체로 등극했다. 전체적인 성능은 뛰어난 편이고, 무기팩도 싱글, 멀티 어느곳에서도 최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멀티롤 팩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의외로 [[F-22]]보다도 취급이 좋다. [[H.A.W.X.2]]에서는 물리 엔진 강화로 역시 기동성이 좀 떨어졌지만 여전히 쓸만한 편. 전용 미션까지 있을 정도로 취급이 역시나 좋다. 이렇게 취급이 좋은데도 모델링이 상당히 잘못된 편. [[F-35]]B라기보다는 JSF 프로젝트 당시의 [[프로토타입]]에 가깝고(이름부터가 라이트닝 2가 아닌 JSF로 나온다.), 더군다나 스킨을 적용하면 스킨이 반대편으로 뒤집힌다. 덤으로 게임이라지만 B형 주제에 기관포도 쏜다. [[H.A.W.X.2]]에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개선이 안 되었다는 점이 아쉬운 항목이다. *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에서는 오토봇 전사 '브레이크 어웨이'로써 등장하여 활약한다. * [[타이토]]의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에너지 에어포스 시리즈에서는 꽤 쓸만한 기체로 묘사된다. 시험기인 X-35와 수직이착륙형 F-35B가 나온다. X-35는 비교적 평범한 성능으로 묘사되지만 F-35B는 무장 탑재량도 많고 공대공/공대지 임무에 모두 사용될 수 있어 거의 모든 미션에 잘 어울린다. 게다가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므로, 이 시리즈 게임의 최대 난제 중의 하나인 착륙이 쉬워 초보자들이 선호한다. 첫 작품 에너지 에어포스에서는 기관총이 생략된 채로 묘사되어 건파이터들의 원성을 샀지만, 게임의 성격을 고려하면 그리 큰 핸디캡은 아니다. * 후속작 Over G 역시 비슷한 능력치로 X-35, F-35B 양쪽 다 나온다. 하지만 선택지에 따라 [[F-22]]A가 먼저 언락될지, F-35B가 언락될지 결정되기 때문에 보통 어느정도 공략 읽고 진행한 사람들은 F-22A를 먼저 언락시키는 것을 선택하기 때문에 그후로는 취미용 아니면 찬밥으로 이어진다.(...)[* F-22A에 맛들이기 전에는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지만, F-22A에 맛들일 경우 무장량이 적어 불편하다며 아무도 안 쓴다. [[지못미]].] 또한 스텔스 성능 역시 아예 기본 스텔스 이외에 강도 높은 스텔스를 켜고 끌 수 있는 F-22A에 비해 떨어진다. 참고로 유일한 수직 이착륙 기종. 기총은 아에 존재하지 않았던 전작과는 달리, 고증 오류를 감수하고 내부 장착했다. * [[프로토타입(게임)|프로토타입1]] - 1편 후반부 항공모함에서 슈프림 헌터와 대결할 때 등장한다. 슈프림헌터에 미사일을 쏘고 멀리 날아갔다 다시 돌아온다. 물론 탈 수는 없고(갑판에 있는 것도) 날아오는 타이밍에 맞춰서 부술 수는 있다. * [[Grand Theft Auto V]]에서 '[[Grand Theft Auto V/이동 수단/항공|매머드 히드라]]'라는 이름으로 [[AV-8]]과 섞여 등장한다. 레이돔과 캐노피, 엔진 노즐과 미익은 F-35의 것이고 나머지는 AV-8의 것이다. 기체 크기 자체는 F-35에 더 가깝다.[* 수직미익을 제외하면 [[F-16]]을 빼다박은 P-996 레이저보다 2m 정도 더 크다. 현실에서의 F-16과 F-35의 크기 차이와 유사하다.] 다만 설정상으로는 그냥 AV-8이다. * 모바일 게임 [[카운터사이드]]에서 'ATF-35 선더볼트' 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사진을 리터칭한 멋없는 일러스트에 게임 자체가 미소녀 십덕겜이다보니, 이를 기대하고 가챠를 돌린 유저들에게 무더기로 튀어나와 초기 유저들을 접게 만든 원흉 중 하나다. === 모형, 프라모델 === 워낙 유명한 기종이라 최신 기종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많은 모형이 출시되었다. 조립해 보면 별명이 왜 라뚱이인지 알 수 있다. 특유의 미묘한 반광 느낌을 살리기가 쉽지 않다. F-35 전용 도료로 나온 제품들도 재현도가 낮은 등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있으니 도색 사례를 찾아보고 만족스러운 색이 없을 경우 직접 조색하는 것이 좋다. * 1/32 * [[이탈레리]] 2017년 A형을 출시하였다. 최신 빅 스케일 킷이라 디테일은 좋은 편이지만 동체와 날개가 분할되어 있어 매끄럽게 만들기 위해서는 퍼티가 필수다. 틈새도 꽤 넓어 퍼티를 여러 번 바르고 말려야 한다. [[프랫 & 휘트니 F135|F135]] 엔진이 재현되어 있고 에칭 1장이 들어 있으며 클리어 파츠를 클리어와 스모크 클리어 중 선택 가능한 등 구성은 좋은 편이다. 무장 구성도 나름 풍부하다. 조립성은 최신 킷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약간 아쉽다는 평이다. 거의 유일하다시피 한 빅 스케일 [[스텔스기|스텔스 전투기]] 프라모델이라 인기는 많은 편이다.[* 테스터스 1/32 [[F-22|YF-22]]는 절판된 지 오래고 프로토타입을 재현한 모델이라 완전한 스텔스기라고 보기도 어렵다. 다른 스텔스기들은 빅 스케일 모형으로는 출시되지 않았거나 완구 수준의 모형밖에 없다. 그나마 빅 스케일 스텔스기 프라모델이라고 할 만한 것이 테스터스/[[트럼페터(모형 메이커)|트럼페터]] 1/32 [[F-117|F-117A]] 정도이다.] * [[타미야 모형]] 이탈레리 제품에 [[항공자위대]] 데칼을 추가하여 발매하였다. 박스는 스티커 하나 붙인 것을 제외하면 이탈레리 것 그대로이다. * [[아카데미과학]] 이탈레리 제품을 기반으로 데칼과 레진 부품을 추가하여 [[대한민국 공군]] 버전으로 발매하였다. 국내가 10만 원대인 이탈레리 제품보다 훨씬 싼 6만 원대에 발매하였으나 현재는 재고가 떨어진 지 오래라 구하기 힘들다. * [[트럼페터(모형 메이커)|트럼페터]] 2022년 C형을 발매하였다. 다소 성급하게 냈는지 박스아트도 조잡한 편이고 키트 자체의 조립성도 이탈레리 F-35A에 비해 밀리는 편. * 1/48 * 판다 모델 무려 2003년 출시된 제품이다. 일찍 출시된 제품이라 현재의 양산형과는 다소 모양이 다르며 X-35를 닮았다. 최초 발매된 제품은 B형인데 미 공군형이다. * [[레벨(모형 메이커)|레벨]] 판다 모델 제품을 F-35A(X-35) JSF라는 이름으로 발매하였다. 프로토타입을 재현하고 있다. * 키티호크 이 스케일에서는 최초로 양산형을 재현했다. A/B/C형을 모두 재현했다는 것이 장점이다. 조립이 다소 까다롭다는 점을 제외하면 평은 괜찮은 편이었지만 판다하비/키티호크가 폐업함에 따라 현재는 다소 구하기 함들어졌다. * [[MENG Model]] A형을 미 공군과 네덜란드 공군, 항공자위대 사양으로 발매하였다. 전차에 비해 늘 어딘가 부족한 퀄리티로 까이던 초기 멩모델 에어로킷답게 조립성이든 디테일이든 어딘가 한 군데는 아쉽다는 평을 받고 있다. * [[이탈레리]] 2022년 B형의 발매가 예고되어 있다. * [[타미야 모형]] 2022년 10월에 F-35A를 자사 신금형으로 발매 예고했다. 공개된 정보로 보면 전 스케일 통털어서 결정판이 될 걸로 보인다. * 1/72 * [[이탈레리]] 2000년 X-35를 모형화하였고 2013년 신금형으로 A형을 모형화하였다. 디테일이 아쉽다는 평이다. 이후 2019년 B형을 발매했지만 A형의 낮은 디테일을 물려받아 평은 그저 그렇다. * [[레벨(모형 메이커)|레벨]] 2001년에는 이탈레리 X-35를, 2020년에는 이탈레리 F-35A를 재포장 발매하였다. * [[타미야 모형]] 전부 이탈레리 재포장판이다. 2001년에 X-35를, 2014년에는 F-35A를, 2020년에는 F-35B를 발매했다. * [[후지미 모형]] 2010년에 B형을 발매하였다. 동사의 [[F-22]]와는 성향이 많이 다른 제품으로 다소 완구틱하다. 패키지 디자인만 봐도 감이 온다. [[미쓰비시 F-2|F-2]]의 해상 위장 도색을 적용한 제품도 발매했다. * 4D Master 2012년 4D 퍼즐 시리즈로 B형을 발매했다. * [[아카데미과학]] 2013년 A형을 발매하였다. MCP형과 7개국 공군 데칼을 포함한 일반형, 호주 공군 한정판과 서울국제항공우주박람회 한정판이 있다. 록히드 마틴 사 라이센스를 받았다고 패키지에 큼지막하게 써 놓고서는 치수 오류가 있다. 동체 후부가 실제 기종의 사진이나 타사 키트들과 비교해서 짧다. 치수 오류로 콕핏 계기판 상부를 살짝 갈아내지 않으면 캐노피가 닫히지 않는다. 2020년 4월에는 F-35B형을 내놓았다. 이전 오류였던 치수 부분이나 캐노피 프레임은 개선되었으나, 다만 엔진노즐 디테일이 상당히 생략되었다던가 리프트 팬 커버의 액츄에이터(지지대)가 생략되는 등 아쉬운 면이 있다는 평이 있다. 그래도 현재로서는 1/72 F-35B 중에서는 가장 낫다는 평이다. [[https://youtu.be/5N3VYrGY6hM|#]] * [[하세가와(모형 메이커)|하세가와]] 2014년 A형, 2018년 B형을 발매했다. 바리에이션은 상당히 다양하지만 '''내부무장창이 생략되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디테일도 좀 뭉툭하다. B형은 엔진 노즐과 주변부, 리프팅 팬 커버가 가동되어 완성 이후에도 착륙 상태와 호버링 상태를 선택 가능하다. 지지대는 역시 생략되어 있다. * 오렌지 하비 2014년 C형을 발매하였다. 이후 AGM-158C LRASM을 동봉한 버전을 출시하였다. * [[드래곤 모델]] 사이버 하비 브랜드로 A형과 B형을 발매하였다. * 키티호크 2014년 발매 예정이었던 제품으로, B→A→C 순으로 발매될 예정이었으나 모두 취소되었다. * 하비 마스터 2014년 A형, 2015년 B형, 2019년 C형을 발매하였다. * [[에어픽스]] 2020년 퀵빌드 시리즈(MCP와 유사, 도색 및 접착제 불필요)로 B형을 발매하였다. * 1/144 * [[레벨(모형 메이커)|레벨]] 2003년 발매된 제품이다. X-35를 재현하였으며 금형은 에이스에서 제작하였다. * [[에이스모형]] 2006년 발매된 레벨 제품의 재포장판이다. * 피트로드 2008년 A형을 발매하였다. 바리에이션이 다양하며 [[미쓰비시 F-2|F-2]]의 해상 위장 도색을 한 버전도 있다. 2013년에는 C형을 발매하였다. * 도유샤 2013년 발매된 제품이다. * F-Toys 2017년 발매된 제품이다. * 플라츠 2021년 F-Toys 제품을 재포장 발매하였다. * 1/350 * 오렌지 하비 1/350 항공모함 킷을 위한 액세서리로, 2014년 발매된 제품이다. C형을 재현했다. * 폰토스 모델 2022년 발매 예정인 제품으로, B형을 재현했다. * 1/700 * 오렌지 하비 마찬가지로 1/700 항공모함 킷을 위한 액세서리이다. B형과 C형을 재현했다. * 피트로드 동 스케일의 다른 항공기들 또는 [[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이즈모급]]과 합본으로 판매된다. * 논 스케일 * [[그레이트 월 하비]] 2018년 계란 비행기 스타일로 A형을 미 공군과 항공자위대 버전으로 발매했다. * 피트로드 2019년 GWH 제품을 피규어와 함께 재포장 발매했다. * 키티호크 2020년 발매된 제품이다. 계란 비행기 스타일이다. * [[토미카]] 토미카 프리미엄 라인업으로 B형을 출시하였다. 토미카답게 작지만 다이캐스트라 묵직하다. * Fascinations 2014년 발매된 금속 조립 모형이다. * 블록 * [[레고]] 2015년에 31039 블루 파워 제트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내부부장창은 재현되지 않았다. * [[옥스포드(기업)|옥스포드]] 코브라 전투단 공군 cj36511로 발매했다. 내부무장창이 재현되어 있다. 다만 좌우에 2개 있는 실 기체와 달리 기체 중앙에 1개만 존재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트전투기/미국)] [include(틀:록히드 마틴의 항공기)] [include(틀:현대전/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include(틀:현대전/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include(틀:현대전/캐나다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영국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독일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폴란드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체코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스위스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노르웨이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덴마크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핀란드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한국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일본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싱가포르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호주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벨기에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 외부 링크 == * [[https://www.f35.com/|F-35 공식 웹사이트]] * [[https://twitter.com/thef35|F-35 공식 트위터]] * [[https://en.wikipedia.org/wiki/Lockheed_Martin_F-35_Lightning_II|위키피디아 영어판 (Lockheed Martin F-35 Lightning II)]] == 관련 보도 == * 2013.11.22. YTN NEWS [[https://www.youtube.com/watch?v=1Nh0CBm3fBs|F-35A는 어떤 전투기?]] * 2019.09.12. 연합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IvKwKs_fDw8|주한미군 F16→F35…스텔스기 100대 南배치]] * 2019.10.01. YTN NEWS [[https://www.youtube.com/watch?v=XrD7GID0u9w|北 주요시설 타격 '저승사자' F-35A...뭐가 다른가?]] == 관련 문서 == * [[록히드 마틴]] * [[FC-31]] : F-35의 기술을 빼와서 개발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 * [[X-32]] : X-35와 경쟁했던 기종이다 [[분류:F-35]] [include(틀:포크됨2, title=F-35, d=2022-12-17 10:4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