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에버스페이스 2}}}'''[br]Everspace 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verspace 2 CoverArt.jpg |width=100%]]}}} || || '''{{{#000000,#dddddd 개발}}}''' ||ROCKFISH Games || || '''{{{#000000,#dddddd 유통}}}''' ||ROCKFISH Games || || '''{{{#000000,#dddddd 플랫폼}}}''' ||[[PlayStation 5|[[파일:PlayStation 5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PlayStation 5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Xbox Series X\|S|[[파일:Xbox Series XS 로고 가로형.svg|height=16&theme=light]][[파일:Xbox Series XS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000000,#dddddd 장르}}}''' ||[[SF]]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 [[플라이트 슈팅 게임]] || || '''{{{#000000,#dddddd 얼리액세스}}}''' ||'''PC''' [[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21년]] [[1월 18일]] || || '''{{{#000000,#dddddd 정식 출시}}}''' ||'''PC''' [[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23년]] [[4월 7일]][br]'''PS5''' [[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23년]] [[8월 15일]][br]'''XSX''' [[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23년]] [[8월 15일]] || || '''{{{#000000,#dddddd 엔진}}}''' ||[[언리얼 엔진 4|[[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가로형.svg|height=25&theme=light]][[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height=25&theme=dark]]]] || || '''{{{#000000,#dddddd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 || '''{{{#000000,#dddddd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12세 이용가}}}''']] || || '''{{{#000000,#dddddd 해외 등급}}}'''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파일:ESRB Teen.svg|width=16]]]]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000000,#dddddd ESRB T}}}]]'''[br]'''[[범유럽 게임 정보|[[파일:PEGI 12.svg|width=16]]]] [[범유럽 게임 정보|{{{#000000,#dddddd PEGI 12}}}]]''' || || '''{{{#000000,#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everspace.gam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000000,#dddddd 상점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128920/EVERSPACE_2/|[[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128920/EVERSPACE_2/|[[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height=25]]]] | [[https://www.xbox.com/en-us/games/store/everspace-2/9pfx7f33kvg8|[[파일:Xbox 아이콘.svg|height=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해당 작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youtube(fuygGFteHpY)] [youtube(1OqhP5CuvM4)] [youtube(dqTk0gK4oIk)] 독일 개발사 ROCKFISH Games 에서 개발하고 유통하는 Everspace의 후속작이자, [[오픈월드]] 우주 [[플라이트 슈팅 게임]]. 2019년 12월 17일에 [[킥스타터]]로 크라우드펀딩을 진행했고, 7,979명의 후원자가 후원하여 112%로 펀딩을 마무리했다. 2021년 1월 18일에 얼리액세스를 시작하고, 2023년 4월 7일에 PC 버전으로 정식 출시했다. 콘솔 버전은 2023년 8월 15일에 정식 출시했다. == 특징 == ## 작품의 특징을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 이 문단과 하위 문단, 또는 추가적인 문단에 게임에 대한 내용을 자유롭게 서술해주십시오. 액션 로그라이크 게임인 전작 Everspace와 달리, 광활한 우주를 자유롭게 비행하는 우주 비행선의 파일럿이 되어 항성계를 탐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오픈월드]] [[액션]] [[RPG]] 게임이다. 우주 비행 시뮬레이터라는 점에서 [[노 맨즈 스카이]]의 우주 비행 파트와 비슷한 부분이 많은데, 그러다보니 "럭키 노맨즈스카이" 라는 평가도 존재한다.[* 물론 노 맨즈 스카이가 업데이트를 통해 좋은 평가를 받기 시작한 시점에서 인기나 판매량만 놓고 보더라도 럭키는 커녕 비교 대상이라는 것조차 미안할 정도로 차이가 크다. 그래도 노 맨즈 스카이에서 우주 비행 파트만 하고 싶었던 사람에게는 좋은 대체제가 될 수 있다.] 얼리액세스 초기에는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았으나, 나중에 한국어 자막을 추가했다. 번역의 질은 꽤 준수하다. 다만 존댓말을 쓰는 캐릭터가 반말을 사용하는 등 몰입을 저해하는 요소가 간혹 등장하긴 하지만, 이런 아쉬움을 감안하더라도 게임하는데 불편함이 거의 없을 정도로 번역이 잘 되어 있는 편이다. 평가가 꽤 좋은 편이고 한국어 번역도 잘 되어 있는 것에 비해 한국에서의 인지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 == 게임 관련 정보 == === 업그레이드 === 애덤과 모든 팀원은 단계별로 능력이 잠금 해제되는 고유의 업그레이드 사항을 갖추고 있다. * 애덤 * 레벨 5 업그레이드 * 출구 전략 : 부스트 중에 피격 대미지가 25% 감소합니다. * 위기일발 : 치명적 피해를 당하는 대신 무적 상태가 되는 방어벽을 배치하며, 이는 10.0s 동안 지속합니다. 사용 후에는 우주선을 도킹해야 방어벽을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수비적 학살 : 적을 하나 처치하면 방어벽이 즉시 재충전됩니다. * 레벨 10 업그레이드 * 충격 요법 : 아머 또는 선체에 대한 직접 피격은 10% 확률로 장치 대기 시간을 20%까지 무작위로 감소시킵니다. * 전사의 휴식 : 대기 시간 중인 각 장치에 대한 무기의 필요 에너지가 15% 감소합니다. * 안전책 : 전투 장치를 작동하면 반응형 아머를 4회 충전하여 5.0s 동안 다음 4회의 대미지를 무효로 합니다. * 레벨 15 업그레이드 * 과잉 무력 : 방어벽이 완전히 충전된 상태일 때 주 무기의 에너지 대미지가 30% 증가합니다. * 치명타 발생 : 치명타가 발생하면 30% 확률로 폭발 충격이 일어나 목표물에 대미지를 주고, 그 주변의 적은 50%의 대미지를 입습니다. * 무자비 : 장착한 각 전투 장치의 무기 에너지 용량이 20% 증가합니다. * 레벨 20 업그레이드 * 숨은 동기 : 방어벽이 고갈되면 ULT 재생이 100% 향상됩니다. * 불굴의 공격 : ULT를 작동하면 즉시 아머의 50%를 수리하고 디버프를 모두 제거합니다. * 중요한 능력 : 치명타가 발생하면 30% 확률로 ULT 에너지를 1% 회복합니다. * 레벨 25 업그레이드 * 보복 : 피격 대미지의 30%만큼 공격자에게 반사합니다. * 착취 : 이동이 제한된 적을 공격하면 치명타 확률이 50%만큼 증가합니다. * 준비 : 매초 보조 무기 대미지가 5% 증가하며, 최대 6회 중첩됩니다. 대미지를 입히면 초기화됩니다. * 레벨 30 업그레이드 * 전기 사형 : 방어벽이 있는 상태에서 적을 처치하면, 20.0s 동안 우주선을 감싸는 반짝이는 구체가 생성됩니다. 공격은 구체를 소모하는데, 공격자에게 최대 방어벽의 (방어벽)30%/(아머)20%만큼 피해를 입히고 전자기 파장을 3.0s 동안 적용합니다. 최대 구체 개수 5에 도달하면 무제한 부스트 에너지와 30% 증가된 발사 속도가 주어집니다. * 오버킬 : ULT가 끝난 뒤, 주 무기는 에인션트 에너지의 충전이 유지되고, 대미지가 20% 증가하며, 방어벽과 아머를 관통할 수 있게 됩니다. ULT 에너지 소모량에 따라 15.0s 동안 지속됩니다. * 파괴 교향곡 : 적을 치명타로 파괴하면 에너지 코어가 방출되어 넓은 반경 안에 있는 선체의 최대 체력의 (방어벽)60%/(아머)80%만큼 대미지를 입힙니다. === 우주선 === 각 우주선은 '''경량(Light), 중형(Medium), 중량(Heavy)''' 3종류의 상위 등급으로 구분되며, 각 등급마다 3종류의 하위 등급이 존재하여, 총 9종류의 우주선이 존재한다. 우주선은 구매해도 그 우주선의 가치가 달라지지 않으며, 언제든지 같은 티어의 우주선으로 교환할 수 있다. 차액이 존재하는 경우 돈을 더 내거나 더 받을 수 있다. 즉, 같은 티어 내에서 여러 우주선을 사용해보고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우주선을 선택하여 운용하면 된다. 각 우주선은 고유한 특별(Special) 능력과 ULT를 가지고 있으며, 같은 우주선 종류 내에서 가질 수 있는 패시브를 가진다. * 경량(Light) 이름 그대로 가벼운 우주선으로, 빠르고 민첩한 대신 방어막과 아머, 선체 수치가 낮다. * 정찰선(Scout) 대미지 잠재력은 높지만 방어력이 낮은 스텔스 함선으로, 기만과 은폐에 특화되어 있다. * 스페셜 : 레인저(Ranger) 목표까지의 거리가 100m 늘어날 때마다 대미지가 4% 늘어난다. * ULT : 은신 공격(Shadow Strike) 우주선의 모습을 감춥니다. 또한, 무기 대미지가 점차 증가합니다(최대 300%). 무기를 발사하면 1초간 초기화되며, 발사한 무기가 적의 주의를 끌기에 우주선이 금세 적의 목표물이 된다. * 전문지식 : 무기 사정거리 * 뱅가드(Vanguard) 가볍고 기동성 있는 정찰선으로 속도/이동성과 방어 수단에 특화되어있다. * 스페셜 : 과부하(Overcharge) 일반 속도를 넘어서 비행하면 방어벽에 최대 200%까지 과부하가 걸리며, 이후에 서서히 100%로 돌아온다. * ULT : 시간 확장기(Time Extender) 시공 연속체를 구부려서 우주선 주변의 시간 흐름을 확장한다. * 전문지식 : 후방 공격 치명타 * 스팅어(Stinger) 적을 교란하고 기만하는 데 중점을 둔 최첨단 전자전 함선이다. * 스페셜 : 장치 전문가(Device Master) 모든 장치의 레벨이 +1이 된다. 또한, 장치를 사용하면 5s 동안 추가 주 하드포인트에 전력이 공급된다. * ULT : 공허의 무리(Void Swarm) 모든 장치의 대기 시간을 즉시 초기화하고, 난폭한 마이크로봇을 대거 방출한다. 이들은 조준한 목표물을 최우선으로 하여 길을 막는 모든 것을 처치한다. 또, 우주선으로 복귀한 후에는 적에 가한 대미지 총량에 따라 선체와 아머를 복구한다. * 전문지식 : 추가 하드포인트 지속 시간 * 중형(Medium) 대부분의 상황에서 대처 가능한 올-라운더. 평균적인 기동력과 방어 능력을 가진다. * 요격기(Interceptor) 아주 강력한 공격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주 무기와 재래식 전투에 집중된 공격 전투기. * 스페셜 : 전력 변환기(Power Converter) 무기 에너지가 고갈된 후, 무기가 부스트 에너지를 사용한다. * ULT : 무기 오버드라이브(Weapon Overdrive) 무기 대미지와 발사 속도를 대폭 올리고, 무제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적을 하나 처치하면 남은 시간이 1.0s 증가한다. * 전문지식 : 무기 에너지 소비량 * 센티넬(Sentinel) 공격 및 방어 목적으로 첨단 장치를 활용하는 전자전 전투기. 플레이어가 가장 처음 사용하는 전투기 등급이 센티넬이다. * 스페셜 : 유도(Induction) 현재 방어벽 충전율에 따라 주 무기 발사 속도가 20%까지 증가한다. * ULT : 전자기 과부하(Static Overload) 우주선의 주 무기를 라이트닝 건으로 교체하여, 적과 그 주변의 모든 것을 향해 전광이 이는 전기를 방출한다. * 전문지식 : 방어벽 대미지 감 * 스트라이커(Striker) 적을 빠르게 따라잡아 무력화시킬 수 있는 이동식 공격 전투기. * 스페셜 : 근접전(Close Combat) 500m 이내의 개별 적에 대한 무기 대미지 +5% 증가(최대 30%) * ULT : 양자 고정(Quantum Tether) 목표물이 사슬형 닻으로 변해 주변의 적을 최대 5까지 묶으며, 이에 따라 목표물이 입는 대미지가 연결된 적에게도 적용된다. 대미지는 묶인 적 하나당 5%씩 증가한다. * 전문지식 : 부스트 속도 * 중량(Heavy) 가장 크고 가장 느린 우주선 유형. 대신 고정포대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강한 공격 능력과 방어 능력을 가진다. * 건십(Gunship)) 매우 강력한 아머와 근접 전투 능력을 갖춘 비행 요새로, 화력과 포탑으로 적을 섬멸한다. * 스페셜 : 무기고(Arsenal) 네 개의 주 하드포인트를 사용하여 대미지와 에너지 소비량을 효과적으로 배가한다. * ULT : 포탑(Turret) 작동 후 15.0s 동안 적에게 발사체를 발사하는 자동 포탑. * 전문지식 : 아머 대미지 감 * 폭격기(Bomber) 특수 폭발 무기와 탄두를 사용할 수 있는 미사일/지뢰 전문가. * 스페셜 : 전환(Conversion) 보조 무기는 탄약 대신 에너지를 사용한다. * ULT : 아크-9000(ARC-9000) 파괴력을 갖춘 대형 구체를 발사한다. 범위 내의 적에게 대미지를 입히며, 충격을 받으면 폭발한다. * 전문지식 : 대미지를 가할 시 선체 수 * 빈디케이터(Vindicator) 강력한 에너지 기반 방어와 상대적으로 높은 기동성을 가졌다. * 스페셜 : 드론 설계자(Reanimator) 적 파괴 시 나타날 수 있는 잔해를 회수하면, 어디로 이동하던 따라다니는 아군 드론을 생성할 수 있다. 동시에 작동 가능한 드론은 최대 5개다. 방어벽 용량이 100% 증가하며, 이 용량은 드론을 생성할 때마다 20%씩 감소한다. * ULT : 밀집대형(Phalanx) 드론의 발사 속도가 대폭 상승하며, 조준한 목표물을 모든 드론이 동시에 공격한다. 효과 시간 동안 사라진 드론을 일시적으로 생성한다. * 전문지식 : 드론 체력, 드론 대미지 == 시스템 요구 사항 == ## 별도의 시스템 요구 사항 기재가 필요 없는 콘솔 게임의 경우 해당 항목을 삭제해도 무방합니다. ## 시스템 요구 사항은 가급적 해당 게임의 공식 홈페이지 자료 혹은 양식에 따라 주시기 바랍니다. 단, 전술한 양식이나 자료가 없을 경우 템플릿의 양식을 따릅니다. 정보를 구할 수 있으면 추가해 주십시오. ## 운영체제 로고로 인해 색상 조합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로고를 글자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3>
'''{{{#000000,#dddddd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3>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 블랙.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Windows 10 64-bit || || '''프로세서''' ||Intel Core i5-2500K@3.3GHz[br]AMD FX6300@3.5GHz ||Intel Core i7-4770K@3.5GHz[br]AMD Ryzen 5 1500X@3.5Ghz || || '''메모리''' ||8 GB RAM ||16 GB RAM ||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970 (4 GB)[br]AMD Radeon RX 6400 (4 GB) ||NVIDIA GeForce GTX 2070 (8 GB)[br]AMD Radeon RX 5700 XT (8 GB) || || '''API''' ||DirectX 11 ||DirectX 12 || || '''저장 공간''' ||35 GB ||35 GB || || '''추가 사항''' ||- ||SSD 권장 || ||<-3> [[macOS|[[파일:macO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macO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운영체제''' ||64-bit OS ||64-bit OS || || '''프로세서''' ||Apple M2 Pro[br]Intel i5-2500 ||Apple M2 Max[br]IntelCore i7 4770 || || '''메모리''' ||8 GB RAM ||16 GB RAM || || '''그래픽 카드''' ||Apple M2 Pro[br]AMD Radeon Pro 5500 XT (4 GB) ||Apple M2 Max || || '''저장 공간''' ||35 GB ||35 GB || == 평가 == ## 해당 작품의 작품성과 의의, 장단점 등을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 메타스코어는 플랫폼별로 점수를 따로 합산합니다. 단, PC 플랫폼의 경우 OS(Windows, macOS, Linux) 상관없이 PC로 표기합니다. ## 표에 없는 플랫폼의 게임이라면 메타크리틱 표기에 따라 플랫폼을 수정해 입력해주세요. ## 사용된 틀의 자세한 사용법은 '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everspace-2, code=critic-reviews/?platform=pc, g=, score=81)]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everspace-2, code=user-reviews/?platform=pc, g=, score=8.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5|{{{#ffffff PS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everspace-2, code=critic-reviews/?platform=playstation-5, g=, score=8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everspace-2, code=user-reviews/?platform=playstation-5, g=, score=8.0)] || ## 오픈크리틱은 2013년 이후 발매 게임만 집계합니다. ## 해당 틀의 자세한 사용법은 '틀:평가/오픈크리틱'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10830, title=everspace-2, rating=strong, average=83, recommend=93)] ## 해당 틀의 자세한 사용법은 '틀:평가/Steam'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include(틀:평가/Steam, code=1128920, rating=매우 긍정적, percent=88, count=8\,077, rating2=매우 긍정적, percent2=90, count2=133, date=2023-10-15)] [[분류:Everspace 2]][[분류:독일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PlayStation 5 게임]][[분류:Xbox Series X\|S 게임]][[분류:Xbox Game P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