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hite [[NELL|[[파일:NELL 로고 화이트 하단여백.png|height=20]]]]의 [[틀:NELL의 기타 음반|{{{#white 기타 음반}}}]]}}}''' || || {{{-2 EP}}}[br][[Holding Onto Gravity|{{{#gold '''{{{+1 Holding Onto Gravity}}}'''}}}]][br]{{{-2 (201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hsla(0, 0%, 90%, 0), #DBD9B8 140%), linear-gradient(90deg,#CCE5E8, #67D0E6, #67BBE6, #608ED6, #6085DB, #608ED6, #679EE6)" {{{#fff {{{-2 EP}}}}}}[br] '''{{{+1 {{{#!html Escaping Gravity}}}}}}'''[br]{{{#fff {{{-2 (2013)}}}}}}}}} || → || {{{-2 리패키지 앨범}}}[br][[Beautiful Stranger|{{{#F14C82 '''{{{+1 Beautiful Stranger}}}'''}}}]][br]{{{-2 (2017)}}}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F0D095, #A9B6C4, #9FB0D1, #C4BAA9)" '''{{{#!html 중력 3부작}}}'''}}} || || [[Holding Onto Gravity|{{{#gold '''{{{+1 Holding Onto Gravity}}}'''}}}]][br]{{{-2 (201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hsla(0, 0%, 90%, 0), #DBD9B8 140%), linear-gradient(90deg,#CCE5E8, #67D0E6, #67BBE6, #608ED6, #6085DB, #608ED6, #679EE6)" '''{{{+1 {{{#!html Escaping Gravity}}}}}}'''[br]{{{#fff {{{-2 (2013)}}}}}}}}} || → || [[Newton's Apple|{{{#b8b6a7 '''{{{+1 Newton's Apple}}}'''}}}]][br]{{{-2 (2014)}}}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hsla(0, 0%, 90%, 0), #DBD9B8 140%), linear-gradient(90deg,#CCE5E8, #67D0E6, #67BBE6, #608ED6, #6085DB, #608ED6, #679EE6)" [[파일:Escaping Gravity.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hsla(0, 0%, 90%, 0), #DBD9B8 900%), linear-gradient(90deg,#CCE5E8, #67D0E6, #67BBE6, #608ED6, #6085DB, #608ED6, #679EE6)" {{{+1 '''{{{#white Escaping Gravity}}}'''}}}}}} || || '''발매일''' || 2013년 6월 10일 || || '''타이틀''' || '''Ocean of Light''' || || '''비고''' || EP (미니 앨범) || || '''런타임''' || 25분 || [목차] == 개요 == '''Escaping Gravity'''는 대한민국 밴드 넬의 미니 앨범이자 중력 3부작의 두 번째 앨범이다. 통칭 '탈출앨범' 혹은 '바다앨범'. [[http://youtu.be/S5X_i--GCy0?t=10s|프리뷰 영상]] == 상세 == 이 앨범은 좌절 또는 절망, 혹은 꿈을 가로막는 장애물 등을 중력에 빗대어 그 중력으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을 담아냈으며, 곡마다 주인공이 다른 [[옴니버스]] 영화처럼 만들었다고 한다. [[http://music.naver.com/promotion/specialContent.nhn?articleId=3981|네이버 뮤직 인터뷰]] 가사가 전보다 직설적이게 바뀜에 따라 아쉬움을 느끼는 팬이 일부 있다. 앨범의 마스터링을 [[U2]], Snow Patrol, Lana Del Rey 등을 담당한 음악의 결을 잘 살리는 런던 메트로폴리스의 존 데이비스와 Adele, Beyonce, Chris Brown, 그리고 [[싸이]]의 [[강남스타일]] 등을 담당한 트렌디한 음악이 강점인 뉴욕 스털링사운드의 톰 코인에게 맡긴 뒤 멤버들이 블라인드 모니터링을 통해 앨범에 최종 수록했다. == 수록곡 == ||
{{{#white '''트랙'''}}} || {{{#white '''제목'''}}} || {{{#white '''길이'''}}} || {{{#white '''특이사항'''}}} || || 1 || Boy-X || 4:20 || 방송금지 || || 2 || '''Ocean of Light''' || 4:57 || 타이틀, [[https://youtu.be/0Ze0TVXXHJ4|M/V]] || || 3 || Perfect || 4:31 || || || 4 || Burn || 4:38 || || || 5 || Haven || 5:28 || 방송금지 || || 6 || Walk out. || 1:20 || || === 수록곡 상세 === {{{+1 '''Boy-X'''}}} 'Boy-X' 의 주인공은 세상 모든 이들을 자격 미달로 보는 사람이다. 그는 자신이 느끼는 큰 절망감을 컨트롤 할 수 없는 분노로 표출해 낸다. 총기 난사, 묻지마 살인 등 분노를 조절할 수 없는 이들의 심정을 중력으로 빗대었다. 제목 공개 당시의 일화가 특이한데, 처음 공개 당시 트랙리스트에 이 충격적인 제목을 본 팬들은 모두 기겁했다. SNS에서는 제목만 보면 넬이 무대에서 아이돌처럼 춤을 출 것 같다는 반응도 있었다. 그리고 며칠 뒤 이 곡이 수록된 앨범의 프리뷰에서 도입부분과 가사 한 소절을 스포했다. 그 가사는 '''"This song is for you."''' [[팬#s-2]]들은 '우리를 위한거야?'하며 설레발쳤지만, 까보니 이 곡은 '''자격 미달의 정치가, 혁명가, 종교가, 예술가'''를 위한 곡이었다. 가사가 시궁창이다 못해 넬 노래에서 이렇게 파격적인 곡은 처음이라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김종완]]은 사실 [[기타리스트]]인 [[이재경(NELL)|이재경]]이 하는 바보짓들을 보면서 쓴 곡이라고 하는데, 진심인지는 [[김종완]]만 알 수 있을 듯하다.] 마지막 가사 "자격 미달의 예술가"와 관련된 가사가 노래 후반부 전체에 백마스킹으로 삽입되었다. 키를 -12 정도로 낮추면 '''"자격 미달의 예술가, 심장이 없는 자들의 찬송가(추측)"'''라는 가사가 들린다. 가사 중 '개같은 날 개만도 못한 얘길 듣고 있으려니까 기분이 좀 그래'에서 저속한 표현 때문에 MBC 방송불가판정. {{{+1 '''Ocean Of Light'''}}} 'Ocean Of Light' 의 주인공은 그 동안 자신을 가두고 있던 벽을 부수고 나와 꿈을 이루어 간다. 뚜렷한 기승전결 구조 속에 두 자아가 대화하는 독특한 형식의 가사는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는 이를 떠올리게 만들며 영화를 보고 있는 생생한 착각을 준다. Boy-X의 주인공과는 대조적인 인물로, 자신을 가둔 벽에서 나와 낙천적인 사고로 꿈을 이루어가는 캐릭터이다. 콘서트나 페스티벌에서 왠만해선 빠지지 않는 곡이다. {{{+1 '''Perfect'''}}} 'Perfect' 의 주인공은 연인과 사랑을 나누며 모든 것을 잊고자 하며, 눈에 비친 연인의 모습을 묘사한 곡이다. 노골적인 가사로, 일각에선 [[Healing Process]]엘범의 CD1 2번 트랙 '섬'의 연장선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1 '''Burn'''}}} 'Burn' 의 주인공은 전투적으로 두려움에 맞선다. 그는 자신을 똑바로 바라보고 그 안에 있는 진실을 마주하려 한다. 약해지고 두려움이 있어도 한 번은 내가 진짜 원하는 걸 찾기 위해서 부딪히는 주인공을 표현했다. [[Spotify]]에서 이 앨범 버전으로 노래 재생 시 Haven이 재생되는 오류가 있다. 사용자들이 꾸준히 오류 제보를 하고 있지만 반영이 안되는 상황. [[Newton's Apple]]에 재수록된 버전으로 들으면 정상적으로 청취가 가능하다. {{{+1 '''Haven'''}}} 'Haven' 의 주인공은 외부와 자신을 차단시키고 약물에 의존하며 현실을 외면하고 도피하려 한다. 가사 중 'I know it hurts you when I '''fucking''' shiver'의 욕설때문에 MBC 방송불가 판정. {{{+1 '''Walk Out.'''}}} 이 곡은 ‘Haven’의 주인공이 모든 것으로부터 떠나고 싶다고 얘기하는 것으로, 영화의 엔딩 크레딧같은 곡이다. 일부러 가장 질 나쁜 마이크를 구해 멀리 떨어져 녹음을 했다고 한다. 온갖 잡음을 일부러 다 넣었다고. 멤버들끼리 녹음실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녹음했다고 한다. == 기타 == * 척 듣기에도 기존 작들에 비해 많이 밝고 희망적인 사운드로의 변화를 시도한 모습이 보인다. 여름에 내서인지 타이틀 곡은 시원한 느낌마저 준다.[* 그나마도 이 곡을 겨울버전으로 편곡해서 SBS 어쿠스틱 콘서트에서 불렀다. 당연히 우울한 느낌이다. 그런데 일부 팬들은 이걸 더 좋아한다.] * 1번 트랙 'Boy-X'는 광역 디스곡이고[* 가사가 상당히 [[높으신 분들|윗분들]]에게 거슬릴 만한 가사다.] 5번 트랙 'Haven'은 가사 내용상 마지막엔 자살을 뜻하는 가사가 있기 때문에 기존작만큼 우울한 곡들도 있다. * 'Boy-X'와 'Haven' 두 곡은 심의에 걸려서 방송금지 처분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각각 '개같은 날 개만도 못한'[* 종완 曰:강아지를 싫어하나봐요.]과 'fucking' 때문. 하지만 정작 걸리리라고 예상했던 'Perfect'[* 사랑하는 연인과 사랑을 나누는 순간을 표현한 곡. '너의 그 가슴이/그 밑에 감춰진 그 심장이'나 '활처럼 휘어진/가녀리고 아름다운 선이' 등등.]는 걸리지 않았다. 심의실의 기준이 심히 의심되는 대목. * 티저영상으로 타이틀곡인 'Ocean of Light'가 공개됐을 당시 브릿지 부분[* 티저영상 당시에는 어디 부분인지는 몰랐다.] [[신디사이저]]의 코드 진행과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의 "[[Man In Love]]"의 타이틀곡 '남자가 사랑할 때' 도입부의 신디사이저의 코드 진행이 비슷하다는 말이 나왔었다. 물론 실제로 들어보면 두 노래는 전혀 다르다. * 타이틀인 Ocean of Light는 넬의 곡 중 유일하게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일간차트 1위를 달성한 곡이다. * 앨범 아트에 대한 평가가 좋다. 타이틀곡의 분위기와 잘 어울리기도 하고, 색감이 상당히 예쁘다는 의견이 많다. [[넬 갤러리]]에 올라온 경험담에 의하면 모 대학교 수업에서 색감의 예시로 이 앨범 아트를 들기도 했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NELL)] [include(틀:NELL 디스코그래피)]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NELL/음반 목록, version=957)] [[분류:록 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N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