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69년 노래]][[분류:1976년 싱글]][[분류:프로그레시브 록]][[분류:아트 록]][[분류:포크 록]][[분류:킹 크림슨 노래]][[분류: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include(틀: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Epitaph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7377)]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1960년대 명곡, 순위=1200)]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12)] ---- }}} || ||<-2><#C17794> {{{+1 {{{#fff '''Epitap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XrpFxHfppI, height=200)]}}} || || ''' 앨범 발매일''' ||[[1969년]] [[10월 10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17794; font-size: .9em"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fff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 || '''싱글 발매일''' ||[[1976년]] 1월 || || '''싱글 B면''' ||[[21st Century Schizoid Man]] || || '''장르''' ||[[심포닉 록]], [[아트 록]], [[프로그레시브 록]], [[포크 록]] || || '''작사''' ||피터 신필드, [[그렉 레이크]] || || '''작곡''' ||[[로버트 프립]], 마이클 자일스, [[그렉 레이크]], 이언 맥도날드 || || '''재생 시간''' ||8:47 || || '''프로듀서''' ||[[킹 크림슨]] || || '''레이블''' ||[[아일랜드 레코드]]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pitaph 싱글 커버.png|width=100%]]}}}|| }}}}}}}}} || [목차][clearfix] == 개요 ==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3501rlVLI,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nhZYXqnDZI, height=200)]}}} || || '''1969년 라이브'''[* 하이드 파크에서의 라이브로, 앨범 발매 이전의 라이브 이다.] || '''1969년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o1JeHS6ans,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wDFISs-qqc, height=200)]}}} || || '''2015년 라이브''' || '''2016년 라이브''' || [[영국]]의 록 밴드 [[킹 크림슨]]의 곡이다.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의 세 번째 트랙에 수록되었다. == 특징 == 킹 크림슨의 최고 명곡으로 꼽히는 곡이며, 그들의 대표곡 들중 하나이다. [[멜로트론]]과 관악기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특유의 웅장함을 연출 하였고, 느릿한 박자와 [[로버트 프립]]의 서정적인 기타 연주로 웅장함과 서정적인 분위기를 동시에 연출 하였다. 특히 킹 크림슨의 곡들 중 [[Starless]]와 함께, 서정적인 분위기를 가장 잘 녹여냈다고 평가받는다. 또한 [[록 음악]]의 불모지로 불리우는 국내에서도 인기가 많으며,[* 특히 중장년층에게 인기가 많다.] 8분이 넘는 상당한 길이 임에도 한국 라디오 방송에서도 자주 흘러 나왔다고 한다. 장대하고 묵시적인 분위기를 담고 있는 가사는 무능한 [[정치인]]들과 [[냉전]], 그리고 그로 인한 [[인류 멸망]]에 대한 공포를 담고 있다. 또한 이 노래의 중간의 간주 부분은 'March for No Reason'과 'Tomorrow and Tomorrow'라는 제목으로 불린다. [[그렉 레이크]]가 킹 크림슨 탈퇴 이후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 라이브에서, Tarkus 중반부에 이 노래 구절을 부르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8zEQjLqHH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후에 킹 크림슨의 라이브 앨범 제목으로도 사용되었다. == 가사 == || ---- {{{+2 '''Epitaph'''}}} ---- The wall on which the prophets wrote 예언자들이 글을 쓴 벽은 Is cracking at the seams 이음새에 금이 가고 있지 Upon the instruments of death 죽음의 악기들 위를 The sunlight brightly gleams 햇빛이 밝게 비추고 있어 When every man is torn apart 모든 이들이 갈기갈기 찢길 때 With nightmares and with dreams 모든 사람들이 악몽과 꿈 속에서 Will no one lay the laurel wreath 아무도 월계관을 쓰지 못할 거야 When silence drowns the screams 침묵이 비명을 잠재울 때 Confusion will be my epitaph 혼란은 나의 묘비명이 될 거야 As I crawl a cracked and broken path 내가 갈라지고 부서진 길을 기어갈 때 If we make it we can all sit back and laugh 우리가 성공하면 모두가 앉아서 웃을 수 있어 But I fear tomorrow I'll be crying 하지만 나는 내일 내가 울게 될까봐 두려워 Yes, I fear tomorrow I'll be crying 그래, 나는 내일 내가 울게 될까봐 두려워 Yes, I fear tomorrow I'll be crying 그래, 나는 내일 내가 울게 될까봐 두려워 Between the iron gates of fate 운명의 철문 사이로 The seeds of time were sown 시간의 씨앗이 뿌려졌어 And watered by the deeds of those 알고 있고 알려진 자들에 의해 Who know and who are known 씨앗에는 물이 끼얹어져 Knowledge is a deadly friend 지식은 치명적인 친구야 If no one sets the rules 아무도 규칙을 정하지 않는다면 말야 The fate of all mankind I see 내가 보는 모든 인류의 운명은 Is in the hands of fools 바보들의 손에 달려 있어 The wall on which the prophets wrote 예언자들이 글을 쓴 벽은 Is cracking at the seams 이음새에 금이 가고 있지 Upon the instruments of death 죽음의 악기들 위를 The sunlight brightly gleams 햇빛이 밝게 비추고 있어 When every man is torn apart 모든 사람들이 악몽과 꿈 속에서 With nightmares and with dreams 갈기갈기 찢길 때 Will no one lay the laurel wreath 침묵이 비명을 잠재울 때 When silence drowns the screams 아무도 월계관을 쓰지 못할 거야 Confusion will be my epitaph 혼란은 나의 묘비명이 될 거야 As I crawl a cracked and broken path 내가 갈라지고 부서진 길을 기어갈 때 If we make it we can all sit back and laugh 우리가 성공하면 모두가 앉아서 웃을 수 있어 But I fear tomorrow I'll be crying 하지만 나는 내일 내가 울게 될까봐 두려워 Yes, I fear tomorrow I'll be crying 그래, 나는 내일 내가 울게 될까봐 두려워 Yes, I fear tomorrow I'll be crying 그래, 나는 내일 내가 울게 될까봐 두려워 Crying 울게 될까봐 Crying 울게 될까봐 Yes, I fear tomorrow I'll be crying 그래, 나는 내일 내가 울게 될까봐 두려워 Yes, I fear tomorrow I'll be crying 그래, 나는 내일 내가 울게 될까봐 두려워 Yes, I fear tomorrow I'll be crying 그래, 나는 내일 내가 울게 될까봐 두려워 Crying 울게 될까봐 ---- [[파일:킹 크림슨 로고.png|width=140]] || == 참여자 == * [[로버트 프립]] -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 [[그렉 레이크]] - [[베이스 기타]], [[보컬]] * 이언 맥도날드 - [[멜로트론]], [[하프시코드]], [[피아노]], [[플루트]], [[오르간]], [[클라리넷]], [[베이스 클라리넷]] * 마이클 자일스 - [[드럼]], [[퍼커션]], [[팀파니]] * 피터 신필드 - [[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