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fd598b Elvis}}} {{{#3e923a Presley}}}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빌보드 선정 위대한 앨범 커버들 (1위~10위))]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연도별 1위 앨범(1950년~1959년))]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33)]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03,순위=55,연도2=2012,순위2=56,연도3=2020,순위3=332)]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384)]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228, 연도=1998, 순위2=619, 연도2=2000)]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147)] ---- [include(틀:배철수의 음악캠프 선정 100대 음반)] ----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4,순위=414,연도2=2015,순위2=498,연도3=2016,순위3=438,연도4=2017,순위4=391)]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733)]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277)] ---- }}} || ||<-5><#fff> [[엘비스 프레슬리|[[파일:엘비스 프레슬리 서명.png|width=80]]]][br]'''[[엘비스 프레슬리|{{{#000 엘비스 프레슬리}}}]]의 역대 정규 음반''' || || {{{#000 데뷔}}} || → ||<#1a1210> {{{#fff {{{-2 1956년 3월 13일}}}[br]{{{-2 1집}}} [[Elvis Presley|'''{{{#fd598b Elvis}}} {{{#3e923a Presley}}}''']]}}}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5eaf9e,#fdce86)" {{{#fe684b {{{-2 1956년 10월 19일}}}[br]{{{-2 2집}}} [[Elvis|{{{#fe684b '''Elvis'''}}}]]}}}}}} || ||<-2><#1a1210> '''{{{#fd598b {{{+1 Elvis}}}}}} {{{#3e923a {{{+1 Presle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feelnumb.com/elvis_presley_elvis_presley_album_cover_Fort_Homer_Hesterly_Armory_tampa_florida.jpg|width=100%]]}}} || || '''발매일''' ||[[1956년]] [[3월 13일]] || || '''녹음일''' ||[[1954년]] 6월 - [[1956년]] 1월 || || '''장르''' ||[[로큰롤]] || || '''재생 시간''' ||28:03 || || '''곡 수''' ||12곡 || || '''레이블''' ||RCA 레코드 || || '''프로듀서''' ||스티븐 H. 홀스 || [목차][clearfix] == 개요 == [[1956년]] 발매된 [[엘비스 프레슬리]]의 데뷔 앨범. == 상세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서 56위에 랭크되었다. 당시에는 [[로큰롤]]이 흑인 음악에서 파생된 [[미국/인종차별|비천한 장르라는 인식이 강했고,]] 거기다가 흑인스러운 창법으로 노래하는 백인가수는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여겼던 레코드사는 처음엔 그에 대한 투자를 주저했다. 그러나 엘비스가 "[[Heartbreak Hotel]]"로 파격적인 데뷔를 하자 엘비스의 상업적 잠재력을 깨달은 사측에서는 급히 앨범을 제작하게 되었다. 이 앨범은 1956년 [[빌보드 200|Billboard Top Pop Albums]]에서 1위로 10주를 보냈으며 차트의 일위로 처음 기록된 로큰롤 앨범이다. 또한 최초로 플래티넘 인증을 받은 로큰롤 앨범이기도 하다. 급조 앨범인지라 트랙 간 유기성이나 앨범의 통일성은 떨어진다. 곡들의 수준은 들쭉날쭉하며, 곡들의 스타일이나 엘비스의 창법, 심지어 음질이나 녹음 상태도 곡별로 천차만별이다. [[Heartbreak Hotel]]이나 [[Hound Dog]] 같은 엘비스의 초기 히트곡들 역시 처음 발매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다만, 이후 계속 재발매가 되었는데 대부분 히트 싱글을 포함시킨다.] 초기 뮤지션이 보여주는 난잡함 때문에 보통 음악성보다는 음악사적 의의로 높은 평가를 받는 앨범이었다. 엘비스 프레슬리 입문자들이 처음으로 듣고 당황하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평론가나 엘비스 팬들 중에도 동년 발매된 "[[Elvis]]"를 음악적으로 더 높게 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현재는 엘비스 초기의 다양한 음악적 조합을 높게 평가하는 의견이 많아 앨범 자체의 평가도 매우 높다. [[앨범 커버]] 역시 상당히 유명하다. 역사상 최고의 [[앨범 아트]]로도 종종 꼽히는 명 커버. 당시의 앨범 커버란 깔끔한 정장을 입은 가수가 단정하게 정면을 보며 찍은 컬러 [[증명사진]]에 정갈한 폰트로 음반 이름과 수록곡들을 나열한 형태였는데,[* 사실 엘비스 프레슬리의 거의 모든 정규 앨범의 커버도 그러한 형식을 따랐다. 이 앨범의 커버가 유난히 유별났던 셈.] 이 음반의 커버는 당대 사람들에게 참신한 형식이단 걸 넘어서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공연하는 엘비스를 즉석에서 찍은 흑백사진에 삐뚤빼뚤한 글자체로 크게 박힌 "Elvis Presley" 말고는 아무 것도 없는 조잡한 커버는 당대 사회에 음반의 내용물만큼이나 파격적으로 인식되었다. 이후 이 음반의 표지는 기존 체제에 반항하는 [[록 음악]]의 상징적인 이미지로써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미국 사진가 팝시 랜돌프의 작품으로 알려졌지만 사실 William V. Robertson이 찍은 사진이다. 참고로 [[펑크 록]] 밴드인 [[더 클래시]]의 [[London Calling]] 앨범의 커버는, 이 앨범의 패러디로 유명하다. 이 앨범의 흥행을 바탕으로 당시 일시적인 유행이라고 여겨졌던 [[로큰롤]]이 가장 인기있는 음악 장르 중 하나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때를 기점으로 음악사적 조류는 크게 변하기 시작했고 엘비스 본인도 점점 지금 알려진 로큰롤의 왕이라는 이름에 점점 가까워졌다. == 트랙 리스트 == * 1. "Blue Suede Shoes" 2:00 * 2. "I'm Counting On You" 2:25 * 3. "I Got a Woman" 2:25 * 4. "One-Sided Love Affair" 2:11 * 5. "I Love You Because" 2:43 * 6. "Just Because" 2:34 * 7. "Tutti Frutti" 1:59 * 8. "Tryin' to Get to You" 2:31 * 9. "I'm Gonna Sit Right Down and Cry (Over You)" 2:01 * 10. "I'll Never Let You Go (Little Darlin')" 2:24 * 11. "Blue Moon" 2:40 * 12. "Money Honey" 2:36 [[분류:엘비스 프레슬리]][[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1956년 데뷔 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로큰롤]][[분류:셀프 타이틀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