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p.eagate.573.jp/201606_ddr_01.jpg]] [목차] == 개요 == [include(틀:BEMANI 좋아요 랭킹/2016년)] [[DanceDanceRevolution A]]의 수록곡으로 작곡은 U1 overground 명의를 쓴 [[U1-ASAMi]] DDR A의 시스템 BGM으로 사용했다. == [[DanceDanceRevolution]] == [include(틀:EXTRA SAVIOR)] [youtube(GDARZ8WzoFo)] ESP 플레이 영상 ||<-13><#00ffff><:>[[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3><:>'''싱글 플레이'''||<-2><:>{{{#blue BEGINNER}}}||<-2><:>{{{#orange BASIC}}}||<-2><:>{{{#red DIFFICULT}}}||<-2><:>{{{#green EXPERT}}}||<-3><:>{{{#purple CHALLENGE}}}|| ||<-2><:>{{{#blue 2}}}||<-2><:>{{{#orange 5}}}||<-2><:>{{{#red 10}}}||<-2><:>{{{#green 14}}}||<-3><:>{{{#purple -}}}|| ||<:>{{{#blue 96}}}||<:>{{{#blue 2}}}||<:>{{{#orange 169}}}||<:>{{{#orange 3}}}||<:>{{{#red 295}}}||<:>{{{#red 14}}}||<:>{{{#green 506}}}||<:>{{{#green 2}}}||<:>{{{#purple -}}}||<:>{{{#purple -}}}||<:>{{{#purple -}}}|| ||<|3><:>'''[[더블 플레이]]'''||<-2><|3><:>-||<-2><:>{{{#orange BASIC}}}||<-2><:>{{{#red DIFFICULT}}}||<-2><:>{{{#green EXPERT}}}||<-3><:>{{{#purple CHALLENGE}}}|| ||<-2><:>{{{#orange 6}}}||<-2><:>{{{#red 10}}}||<-2><:>{{{#green 14}}}||<-3><:>{{{#purple -}}}|| ||<:>{{{#orange 171}}}||<:>{{{#orange 3}}}||<:>{{{#red 302}}}||<:>{{{#red 13}}}||<:>{{{#green 476}}}||<:>{{{#green 2}}}||<:>{{{#purple -}}}||<:>{{{#purple -}}}||<:>{{{#purple -}}}|| ||<:>BPM||<-11><:>140|| ||<:>아케이드 버전분류||<-11><:>[[DanceDanceRevolution A]]|| [[DDR A]]의 해금 이벤트인 EXTRA SAVIOR vol.1 해금곡. ESP의 경우 16비트 패턴이 비중이 높은데, 그 비중이나 차트스텝수 자체가 도저히 일반적인 13에서 나올 물량이 아니다. 때문에 적어도 14를 줘야 한다는 의견도 좀 있는편. 유일한 위안거리라면 AIR수치가 낮다는점. 그리고 차기작인 DDR A20에서 14로 상향되었다. === 아티스트 코멘트 === ||<:> 그것은 강한 빛으로 빛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니까 overground로 했다. 선언하기 위해서. 새로운 새벽을. U1 overground|| ||이번 DDR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베이스로, EDM느낌 만빵인 자켓 디자인에 유의했습니다. XTC|| == [[DANCERUSH STARDOM]] == ||<-4> {{{#!wiki style="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html DANCERUSH}}}[br]{{{#!html 난이도 체계}}} }}} || || 곡명 ||<-3>'''{{{+2 Electric Dance System Music}}}''' || || 아티스트 ||'''U1 overground''' || 촬영 || {{{+2 o}}} || || 장르 ||'''EDM/BEMANI''' || BPM || 140 || || 버전 ||<-3> {{{#!wiki style="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DANCERUSH STARDOM|{{{#!html DANCERUSH}}} {{{#!html STARDOM}}}]] }}} || ||<-4> 난이도 및 노트 수 || || || [[파일:댄스러쉬_icn_easy.png]] ||<-2> [[파일:댄스러쉬_icn_normal.png]] || ||<|2> 1인용 || 4 ||<-2> 8 || || 160 ||<-2> 379 || ||<|2> 2인용 || ? ||<-2> ? || || 노트수(?/?) ||<-2> (?/?) || ||||||<-4><:>{{{#!folding 해금 조건 및 할인 미션 {{{#!wiki style="margin: 0 -11px -6px" ||<-3><#384355> '''{{{+2 {{{#yellow ★}}}{{{#white 100}}}}}}''' || ||<-2> 해금조건 || --DRS X DDR 이벤트에 참여.[* 스탬프 이벤트형식이지만, 0장부터 바로 얘를 준다. 즉, 기간안에 한판이라도 하면 준다는 말.]-- 2020/01/16 부터 상시해금 가능 || ||<|3> 미션 ||<#384355> {{{#fff A}}} ||- || ||<#384355> {{{#fff B}}} ||- || ||<#384355> {{{#fff C}}} ||- || }}}}}} || [youtube(fgWTy6q4Sx8)] [youtube(gWHn6UXsjfw)] DRS X DDR SUMMER DANCE CAMP에서 첫 번째 해금곡으로 등장. 이벤트 기간 내에 엔트리하면 바로 언락된다. 2020년 1월 16일에 일반 스타 해금곡으로 전환되었다. 그런데 할인 미션도 없이 스타 100개를 요구하기 때문에 해금하기 부담스러운 편이다. 스타로 해금을 하면 다음 곡인 [[Drop The Bounce]]의 은폐가 해제된다. [[분류:DanceDanceRevolution A의 수록곡]][[분류:DANCERUSH STARDOM의 수록곡]][[분류:리듬 게임의 플레이 가능한 시스템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