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EDC_Logo.webp|height=40]] ||{{{#fff '''{{{+1 일렉트릭 데이지 카니발}}}'''[br]{{{-2 Electric Daisy Carnival}}}}}}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DCLV2021_1024_042113-7803_AGP_768x440.jpg|width=100%]]{{{-2 2021년 키네틱필드 메인스테이지}}}}}} || ||<-2> '''{{{#white 장르}}}''' ||[[EDM]], [[테크노]] 등 || ||<-2> '''{{{#white 주최}}}''' ||Insomniac || ||<|2> '''{{{#white 개최 연도}}}''' || '''[[미국|{{{#white 미국}}}]]''' ||[[1991년]] ~ [[1993년]], [[1997년]] ~ 현재 || || '''[[대한민국|{{{#white 대한민국}}}]]''' ||[[2019년]] ~ 현재|| ||<|2> '''{{{#white 장소}}}''' || '''[[미국|{{{#white 미국}}}]]''' ||[[라스베이거스]] 모터 스피드웨이 || || '''[[대한민국|{{{#white 대한민국}}}]]''' ||[[경기도]] [[과천시]] [[서울랜드]] || ||<-2> '''{{{#white 홈페이지}}}''' ||[[https://electricdaisycarnival.com/|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twitter.com/EDC_LasVega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 [[https://www.facebook.com/electricdaisycarniv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edc_lasvega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r45VhwCBYwMfdN-gz7W_O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인섬니악 유튜브를 통해 통합으로 관리되고 있다.]|| ||<-3> {{{+1 {{{#white 2023 EDC 라스베이거스 개최일까지}}}}}} || ||<-3> '''{{{+5 D[dday(2023-05-19)]}}}''' || [clearfix] [목차] == 개요 == 미국에서 열리며 Insomniac에서 주최하는 '''북미 최대 규모'''의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로 플래그십 페스티벌 지역인 라스베가스 기준 3일 합쳐 관객 수만 약 4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참가한다. 약칭은 '''EDC'''. 매년 5월 셋째주 금토일에 개최되고 있으며 북미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열리는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 중에서는 규모와 관중 수가 가장 크며 역사도 가장 오래되었다.[* 2017년 기준 21주년] 1997년도에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처음으로 열렸으며 본거지를 2010년까지 쭉 유지되다가 2011년도부터 [[라스베이거스]]로 옮겼다. 2013년 현재 가장 큰 주축은 라스베이거스에 열리는 페스티벌이다. 나머지 장소에서 개최되는 축제는 저기를 위해 열리는 웜업에 가깝지만 그 나머지라는 곳도 사실 라인업이 굉장하다. 주최사인 인섬니악을 초대규모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 프로모터로 만들어 준 페스티벌로, [[2010년]] 이후 [[EDM]]씬의 폭발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페스티벌의 엄청난 흥행으로 Beyond Wonderland, Nocturnal Wonderland, 할로윈 시즌에 맞춰서 열리는 Escape: Psycho Circus, 크루즈선에서 개최되는 Holy Ship!, 업리프팅 트랜스 중심으로 열리는 Dreamstate 등 수 많은 일렉트로니카 중심의 페스티벌을 런칭했으며 2016년부터는 [[글라스톤베리]], [[Coachella]]처럼 일반적인 뮤직 페스티벌인 Okeechobee도 개최하고 있다. [[런던]], [[뉴욕]], [[라스베이거스]], [[올랜도(도시)|올랜도]], [[푸에르토리코]], [[시카고]], [[런던]], [[치바현]], [[멕시코]] 총 8곳에서 개최가 되었으며 현재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라스베이거스와 올랜도, 멕시코 등의 일부 국가에서만 개최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개최가 되고 있으나 [[2019년]] 첫 개최 이후로 마찬가지로 코로나 여파로 인해 개최가 잠시 중단된 상태이다. 해당 항목에 대해서는 [[Electric Daisy Carnival Korea]] 참조. EDC의 주최사 '인섬니악(Insomniac)'이 EDC에 방문한 사람들을 위해 '시프트팟(shiftpod)'이라는 텐트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 시프트팟을 허리케인 피해 지역에 제공했다. 이재민 5,000명 수용을 목표로 시프트팟 750개, 약 1백만 달러 규모의 지원을 했다. [[https://youtu.be/NhsYjVip5G0|영상]] [[분류: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