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EVE 온라인)] [목차] * 관련항목 : [[EVE 온라인/장비]] / [[EVE 온라인/스킬]] [[EVE Online]]의 함선을 업그레이드 하는 일회성 장비인 리그(Rig)에 대한 설명. 사실 '''Rig'''라는 단어 자체가 "배에 선구(船具)를 갖추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리그 개요 == 리그는 함선의 모듈과 비슷하지만 일회용으로, 한번 장착하면 다시 탈착할 수 없고 제거만 가능하다. 당연히 함선을 리패키징하면 리그는 파괴된다. 함선에 박는 임플란트라고 생각하면 될 듯. 함급별로 사이즈가 정해져 있고[* 참고로 인더쉽은 미디움이다.], T1함선은 3개, T2함선은 두개를 박을 수 있다. 또, 슬롯에 마음대로 박고싶은것들만 막 박을 수 있는게 아니고, 리그도 장비처럼 CPU, 파워그리드같이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라는 피팅치가 정해져 있고, 함선의 최대 캘리브레이션을 넘길 수 없다. T2리그는 캘리브레이션이 더 높으며, 특히 무기 관련 리그는 캘리브레이션이 매우 빡빡하니 사전에 계산을 해보고 박자. == 리그 스킬 == 리그 스킬은 기본적으로 Jury Rigging 을 1단 치면 엔지니어링 관련 리그를 사용할 수 있고, 나머지 리그들은 Jury Rigging 3단을 친 후, 각각의 종류별 리그 스킬치면 사용 가능하다. T1 리그는 1단만 쳐도 사용 가능하고, T2는 4단이 필요하며, 스킬의 효과는 1단당 리그의 페널티를 10% 감소시켜준다. 리그의 페널티는 모두 10%이므로 1단이면 9%, 2단이면 8%... 5단이면 5%가 된다. 원래는 카테고리마다 스킬이 딱 한개씩 정해져 있었는데, 2013년 업데이트때 카테고리가 조금 개편되면서 일렉트로닉과 에너지그리드가 엔지니어링으로 합쳐지고, 산업과 스캐닝, 타게팅이 생겼다. 그런데 이게 카테고리를 세분화 시킨 취지는 좋았는데 일부 옮겨진 리그들이 아이콘도 그대로고 적용 스킬도 기존에서 바뀌질 않아서 헷갈릴 수가 있으니 주의하자. == 리그의 종류 == === 아머 리그 (Armor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아머.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Anti-EM Pump ||아머 EM 저항 증가 || 30% || 35% ||함선 속도 감소 || ||Anti-Explosive Pump ||아머 Explosive 저항 증가 || 30% || 35% ||함선 속도 감소 || ||Anti-Kinetic Pump ||아머 Kinetic 저항 증가 || 30% || 35% ||함선 속도 감소 || ||Anti-Thermic Pump ||아머 Thermic 저항 증가 || 30% || 35% ||함선 속도 감소 || ||Auxiliary Nano Pump ||아머리페어 수리량 증가 || 15% || 20% ||리페어 PWG 요구치 증가 || ||Nanobot Accelerator ||아머리페어 사이클 감소 || 15% || 20% ||리페어 PWG 요구치 증가 || ||Remote Repair Augmentor ||리모트아머리페어 캡 사용량 감소 || 20% || 25% ||함선 속도 감소 || ||Transverse Bulkhead ||헐 용량 증가 || 20% || 25% ||카고 용량 감소 || ||Trimark Armor Pump ||아머 용량 증가 || 15% || 20% ||함선 속도 감소 || Auxiliary Nano Pump는 아머 액티브탱 함선에서 인기있는 리그이며, 특히 아마르의 팔라딘급 머라우더의 리페어 수리량 37.5%와 합쳐지면 말도 안되는 수리량을 자랑한다. Trimark Armor Pump은 아머 버퍼탱 함선에 인기있는 리그이며 아머탱킹 PVP함선에서 자주 쓰인다. === 기동성 리그 (Astronautic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기동.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Auxiliary Thruster ||함선 속도 증가 || 7.25% || 8.75% ||아머 용량 감소 || ||Cargohold Optimization ||카고 용량 증가 || 30% || 35% ||아머 용량 감소 || ||Dynamic Fuel Valve ||애프터버너, MWD 캡 소모량 감소 || 15% || 20% ||아머 용량 감소 || ||Engine Thermal Shielding ||애프터버너, MWD 사이클 증가[* 사이클이 증가하므로 지속사용시 캡 사용량이 줄어든다.] || 20% || 25% ||아머 용량 감소 || ||Higgs Anchor ||함선 어질리티 감소, 함선 속도 감소, 질량 증가 || -55%,[br]-75%,[br]100% || x ||워프속도 감소 || ||Hyperspatial Velocity Optimizer ||워프 속도 증가 || 20% || 25% ||함선 CPU 감소 || ||Low Friction Nozzle Joints ||함선 어질리티 감소[* 민첩성이 증가한다.] || 11.7% || 14% ||아머 용량 감소 || ||Polycarbon Engine Housing ||함선 어질리티 감소,[br]함선 속도 증가 || 9.1%,[br]5.5% || 11%,[br]6.6% ||아머 용량 감소 || ||Warp Core Optimizer ||워프 캡 사용량 감소 || 40% || 50% ||함선 CPU 감소 || === 드론 리그(Drone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드론.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Control Range Augmentor ||드론 컨트롤범위 증가 || 15km || 20km || 함선 CPU 감소 || ||Durability Enhancer ||드론 실드, 아머, 헐 용량 증가 || 20% || 25% || 함선 CPU 감소 || ||Mining Augmentor ||마이닝드론 채광량 증가 || 10% || 15% || 함선 CPU 감소 || ||Repair Augmentor ||리페어드론 리페어량 증가 || 10% || 15% || 함선 CPU 감소 || ||Scope Chip ||드론 옵티멀 증가 || 15% || 20% || 함선 CPU 감소 || ||Speed Augmentor ||드론 속도 증가 || 10% || 일반 15%[br]MWD 20% || 함선 CPU 감소 || ||Sentry Damage Augmenor ||센트리드론 대미지 증가 || 10% || 15% || 함선 CPU 감소 || ||Stasis Drone Augmentor ||웹 드론 강도 증가 || 10% || 20% || 함선 CPU 감소 || 안타깝게도 센트리드론을 제외한 다른 드론의 대미지를 올려주는 리그는 없다. === 전자전 리그(Electronics Superiority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전자전.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Inverted Signal Field Projector ||센서 댐퍼 강도 증가 || 5% || 7.5% ||실드 용량 감소 || ||Particle Dispersion Augmentor ||ECM 강도 증가 || 10% || 15% ||실드 용량 감소 || ||Particle Dispersion Projector ||전자전 모듈 옵티멀 증가[* 노스, 뉴트는 전자전 모듈이 아니다. 주의] || 20% || 25% ||실드 용량 감소 || ||Signal Disruption Amplifier ||ECM 모듈의 캡 사용량 감소 || 20% || 25% || x || ||Targeting Systems Stabilizer ||클로킹 해제시 락온 딜레이 시간 감소 || 10% || 15% ||실드 용량 감소 || ||Tracking Diagnostic Subroutines ||트래킹 디스럽터 강도 증가 || 5% || 7.5% ||실드 용량 감소 || Signal Disruption Amplifier는 원래 엔지니어링 카테고리에 있다가 옮겨졌다. 그래서 아이콘도 다르고 페널티도 없는 것. === 엔지니어링 리그(Engineering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엔지니어링.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Ancillary Current Router ||PWG 증가 || 10% || 15% || x || ||Capacitor Control Circuit ||캡 충전시간 단축 || 15% || 20% || x || ||Egress Port Maximizer ||에너지 이미션 모듈 캡 소모량 감소[* 뉴트, 노스, 캡 트랜스퍼] || 15% || 20% || x || ||Liquid Cooled Electronics ||일렉트로닉 업그레이드 모듈[* 시그날 앰플리파이어, 센서 백업 어레이] CPU 요구치 감소 || 10% || 15% || x || ||Powergrid Subroutine Maximizer ||파워 업그레이드 모듈 CPU 요구치 감소 || 15% || 20% || x || ||Processor Overclocking Unit ||CPU 증가 || 7.1% || 9.6% || 실드 충전속도 감소 || ||Semiconductor Memory Cell ||캐퍼시터 증가 || 15% || 20% || x || 피팅치에 관련된 리그로써 리그스킬의 기본인 Jury Rigging 스킬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다. 또 대부분 페널티가 없는것도 큰 장점. 특히, Capacitor Control Circuit(CCC)는 국민리그라고 불리며 4렙 미션을 솔로로 돌 수 있게 만드는 데 가장 크게 공헌한 리그이다. 3개를 박으면 캡 리차저 2개분의 의 효과가 나니 전에는 캡이 모자라서 쓰기 힘들었던 리페어나 실드부스터를 쉽게 쓸 수 있게 된 덕이다. === 에너지 웨폰 리그(Energy Weapon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레이저.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Algid Energy Administrations Unit ||터렛 CPU 요구치 감소 || 10% || 15%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Energy Ambit Extension ||터렛 폴오프 증가 || 15% || 20%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Energy Burst Aerator ||터렛 연사속도 증가 || 10% || 15%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Energy Collision Accelerator ||터렛 데미지 증가 || 10% || 15%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Energy Discharge Elutriation ||터렛 캡 소모량 감소 || 20% || 25%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Energy Locus Coordinator ||터렛 옵티멀 증가 || 15% || 20%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Energy Metastasis Adjuster ||터렛 트래킹스피드 증가 || 15% || 20%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 하이브리드 웨폰 리그(Hybrid Weapon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하이브리드.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Algid Hybrid Administrations Unit ||터렛 CPU 요구치 감소 || 10% || 15%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Hybrid Ambit Extension ||터렛 폴오프 증가 || 15% || 20%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Hybrid Burst Aerator ||터렛 연사속도 증가 || 10% || 15%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Hybrid Collision Accelerator ||터렛 데미지 증가 || 10% || 15%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Hybrid Discharge Elutriation ||터렛 캡 소모량 감소 || 20% || 25%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Hybrid Locus Coordinator ||터렛 옵티멀 증가 || 15% || 20%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Hybrid Metastasis Adjuster ||터렛 트래킹스피드 증가 || 15% || 20%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 미사일 런처 리그(Missile Launcher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미사일.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Bay Loading Accelerator ||미사일 연사속도 증가 || 10% || 15% ||런처 CPU 요구치 증가 || ||Hydraulic Bay Thrusters ||미사일 비행속도 증가 || 15% || 25% ||런처 CPU 요구치 증가 || ||Rocket Fuel Cache Partition ||미사일 비행시간 증가 || 15% || 25% ||런처 CPU 요구치 증가 || ||Warhead Calefaction Catalyst ||미사일 데미지 증가 || 10% || 15% ||런처 CPU 요구치 증가 || ||Warhead Flare Catalyst ||미사일 폭발속도 증가 || 15% || 25% ||런처 CPU 요구치 증가 || ||Warhead Rigor Catalyst ||미사일 폭발반경 감소 || 15% || 25% ||런처 CPU 요구치 증가 || === 프로젝타일 웨폰 리그(Projectile Weapon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프로젝타일.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Projectile Ambit Extension ||터렛 폴오프 증가 || 15% || 20%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Projectile Burst Aerator ||터렛 연사속도 증가 || 10% || 15%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Projectile Collision Accelerator ||터렛 데미지 증가 || 10% || 15%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Projectile Locus Coordinator ||터렛 옵티멀 증가 || 15% || 20%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Projectile Metastasis Adjuster ||터렛 트래킹스피드 증가 || 15% || 20% ||터렛 PWG 요구치 증가 || === 산업 리그(Resource Processing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산.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Ice Harvester Accelerator ||아이스 하베스터 사이클 감소 || 12% || x || x || ||Mercoxit Mining Crystal Optimization ||Mercoxit 마이닝 크리스탈 채광량 증가 || 16% || x || x || ||Salvage Tackle ||샐비징 성공 확률 || 10% || 15% ||함선 속도 감소 || 마이닝 리그는 미디움 T1만 존재하며, 실상 다른사이즈는 샐비징 리그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캐피탈 샐비징 리그는 쓸일 없는 리그 랭킹 1위에 꼽힐 정도. 또한, 산업 리그는 업데이트때 리그 카테고리를 세분화 하면서 새로 생긴 카테고리다. 원래 샐비징 리그는 아머리그였고, 마이닝리그는 일렉트로닉 리그였다. 그런데 카테고리를 옮기면서 아이콘은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혼동에 주의할 것. 샐비징 리그는 Armor Rigging 스킬이 필요하다. 나머지는 Jury Rigging 스킬만 있으면 된다. === 스캐닝 리그(Scanning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스캐닝.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Emission Scope Sharpener ||레릭 접근 난이도 보너스[br]레릭 바이러스 밀착도 증가 || 20%[br]+10 || 40%[br]+20 || x || ||Memetic Algorithm Bank ||데이터 접근 난이도 보너스[br]데이터 바이러스 밀착도 증가 || 20%[br]+10 || 40%[br]+20 || x || ||Gravity Capacitor Upgrade ||스캔 강도 증가 || 10% || 15% || x || ||Signal Focusing Kit ||스캔 속도 단축 || 15% || 20% || 실드 용량 감소 || 산업 리그와 마찬가지로 새로 생긴 카테고리이며, 시그널 포커싱은 전자전, 나머지는 일렉트로닉의 아이콘을 가지고 있으니 혼동에 주의할 것. 시그널 포커싱은 Electronic Superiority Rigging 스킬이 필요하며, 나머지는 Jury Rigging 스킬만 있으면 된다. === 실드 리그(Shield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실드.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Anti-EM Screen Reinforcer ||실드 저항 증가 || 30% || 35% ||시그니처 증가 || ||Anti-Explosive Screen Reinforcer ||실드 저항 증가 || 30% || 35% ||시그니처 증가 || ||Anti-Kinetic Screen Reinforcer ||실드 저항 증가 || 30% || 35% ||시그니처 증가 || ||Anti-Thermal Screen Reinforcer ||실드 저항 증가 || 30% || 35% ||시그니처 증가 || ||Core Defense Capacitor Safeguard ||실드부스터 캡 사용량 감소 || 10% || 15% ||시그니처 증가 || ||Core Defense Charge Economizer ||실드업그레이드 모듈 PWG 요구치 감소 || 10% || 15% ||시그니처 증가 || ||Core Defense Field Extender ||실드 용량 증가 || 15% || 20% ||시그니처 증가 || ||Core Defense Field Purger ||실드 회복속도 단축 || 20% || 25% ||시그니처 증가 || ||Core Defense Operational Solidifier ||실드부스터 사이클 증가[* 지속사용시 캡 사용량이 감소한다.] || 15% || 20% ||시그니처 증가 || === 타게팅 리그(Targeting Rig) === ||<-5>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리그/타게팅.png]] || ||<:> '''이름''' || '''효과''' || '''T1''' || '''T2''' || '''페널티''' || ||Medium Ionic Field Projector ||락온거리 증가 || 25% || 30% ||실드 용량 감소 || ||Medium Targeting System Subcontroller ||락온속도 단축 || 20% || 25% ||실드 용량 감소 || 산업 리그와 마찬가지로 새로 생긴 카테고리이며, 둘다 전자전 카테고리에 있던 놈들이다. 전자전 리그의 아이콘을 가지고 있으니 혼동에 주의할 것. 또 사용에 전자전 리그 스킬인 Electronic Superiority Rigging가 필요하다. [[분류:EVE 온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