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ESL One: Rio 2020)] [목차] == 개요 == 2020년 상반기에 개막할 예정이었던 [[ESL One: Rio 2020]]이 11월달로 미뤄져 지역 예선 방식이 변경되어 개최하는 대회. 리우 메이저를 가기 위한 총 3번의 대회[* 계절 별로 개막을 하는데 나머지 2번의 대회는 각각 여름, 가을 중으로 개최할 예정이다.]중 봄에 개막하는 대회로 우승팀에겐 가장 큰 상금과 함께 가장 중요한 지역별 메이저 랭킹(Regional Major Ranking, RMR) 포인트를 가장 높은 점수로 가져갈 수 있다. == 지역 별 분류 == === [[유럽]] === * '''ESL One: Road to Rio - Europe''' * 일정:2020년 4월 22일 ~ 2020년 5월 17일 * 주최: [[Electronic Sports League]], * 상금 규모: $ 115,000 USD || '''{{{#a7db8d 구분}}}''' || '''{{{#a7db8d 팀명}}}''' || '''{{{#a7db8d 플레이어[br]코치}}}''' || ||<|8> [[StarLadder Major 2019]]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Astralis]]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니콜라이 릿츠|device]],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dupreeh,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Xyp9x,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gla1ve,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Magisk[br][[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zonic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px]] [[ENCE/카운터 스트라이크|ENCE]]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px]] allu,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px]] sergej,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px]] Aerial,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px]] xseveN,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px]] suNny[br][[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px]] Twista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Team Vitality/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Vitality]]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apE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RpK,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ZywOo,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sho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misutaaa[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XTQZZZ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mous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mousesports]]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chrisJ,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0]] ropz,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karrigan,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woxic,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width=20px]] frozen[br][[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Rejin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G2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G2 Esports]]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케니 슈르브|kennyS]],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JaCkz,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AmaNEk,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0]] nexa,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20]] huNter-[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maLeK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c0ntact Gaming]][* 前 CR4ZY.]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0]] LETN1,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0px]] EspiranTo,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px]] ottoNd,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0px]] SHiPZ,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0]] emi[br][[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0]] NeiL_M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FaZe Clan/카운터 스트라이크|FaZe Clan]]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0]] rain,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20]] [[니콜라 코바치|NiKo]],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olofmeiste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coldzera,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0px]] broky[br][[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0]] YNk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North(프로게임단)/카운터 스트라이크|North]]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aizy,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Kjaerbye,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gade,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cajunb,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MSL[br][[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Jumpy || ||<|8> 최종 예선 통과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Fnatic/카운터 스트라이크|Fnatic]]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JW,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KRIMZ,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Brollan,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Golden,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flusha [br]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Samuelsson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Dignitas/카운터 스트라이크|Dignitas]]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friberg,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xizt,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f0rest,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GeT_RiGhT,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0]] hallzerk [br]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Fifflaren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Ninjas in Pyjamas/카운터 스트라이크|Ninjas in Pyjamas]]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REZ,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Lekr0,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nawwk,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Plopski,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twist [br]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THREAT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GODSENT]]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Maikelele,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width=20px]] STYKO,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kRYSTAL,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px]] zehN,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30]] Maden [br]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Devilwalk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Complexity Gaming/카운터 스트라이크|Complexity Gamin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0px]] poizon,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oBo,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RUSH,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k0nfig,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blameF [br]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keita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px]] [[Movistar Riders]]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steel,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px]] EasTor,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px]] loWel,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px]] mopoz,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px]] ALEX [br]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px]] bladE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Team Heretics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xms,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kioshima,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Lucky,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Maka,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Nivera [br]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px]] B1GGY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Copenhagen Flames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Nodios,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HooXi,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Farlig,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Queenix,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refrezh [br]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px]] vorborg || ==== 결과 ==== || 순위 || 팀명 || 상금 || 서킷 포인트 || || '''우승''' || '''[[Astralis]]''' || '''$33,000''' || '''1600점''' || || 준우승 || [[G2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G2 Esports]] || $21,500 || 1500점 || || 3위 || [[FaZe Clan/카운터 스트라이크|FaZe Clan]] || $14,000 || 1400점 || || 4위 || [[Team Vitality/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Vitality]] || $10,000 || 1300점 || || 5위 || [[Ninjas in Pyjamas/카운터 스트라이크|Ninjas in Pyjamas]] || $7,500 || 1200점 || || 6위 || Team Heretics || $6,500 || 1100점 || || 7위 || [[GODSENT]] || $6,000 || 1000점 || || 8위 || [[North(프로게임단)/카운터 스트라이크|North]] || $5,000 || 900점 || || 9위 || [[ENCE/카운터 스트라이크|ENCE]] || $3,250 || 800점 || || 10위 || Copenhagen Flames || $2,500 || 700점 || || 11위 || [[Movistar Riders]] || $2,250 || 600점 || || 12위 || [[Fnatic/카운터 스트라이크|Fnatic]] || $1,500 || 500점 || ||<|2> 13~14위 || [[Complexity Gaming/카운터 스트라이크|Complexity Gaming]] ||<|2> $1,000 ||<|2> 350점 || || [[mous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mousesports]] || ||<|2> 15~16위 || [[Dignitas/카운터 스트라이크|Dignitas]] ||<|2> - ||<|2> 150점 || || [[c0ntact Gaming]] || 우승은 부진에서 돌아온 '''Astralis'''가 해냈지만 전체적으로 이변이 많았던 대회라고 할 수 있겠다. 구 NiP 멤버들을 영입한 Dignitas가 최하위권을 기록하며 광탈했지만 Dignitas는 선수들 면면의 경력이 이제 곧 은퇴할 황혼기에 접어들어 진즉에 노쇠화가 온 사람들이기 때문에 참작할 여지가 있다.[* 그 중 GeT_RiGhT는 2019년 6월에 은퇴를 선언했으나 번복하고 Dignitas에 합류했다.]하지만 '''ESL Pro League: Season 11 - Europe 우승팀과 준우승팀'''인 Fnatic과 mousesports의 광탈은 팬들에게 놀라움을 안겨줬다. 두 팀 모두 약체팀인 Movistar Riders에게 업셋을 당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mousesports는 조별리그, Fnatic은 11위 결정전에서 패배했다.] 그래도 mousesports와 Fnatic은 이 대회가 끝난 시점까지도 세계 랭킹에서 TOP 5를 유지하고 있긴 하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두 팀 모두 이번 대회에서의 부진한 경기력을 끌어올리지 못한다면 리우 메이저에서 못 보게 될 수도 있다.[* 특히 Fnatic은 지난 베를린 메이저 대회에서 챌린저스도 아닌 '''무려 지역 예선 탈락'''으로 광탈 당했다.] Astralis는 지난 대회들에서의 부진을 털어내고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준우승팀 G2를 승자조 플옵과 결승[* 결승에서는 '''2시간도 안 되어서''' 압살해 버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렇게 두 번씩이나 완승을 거두며 G2와의 상대전적 격차를 더 벌렸다. 하지만 대회 이후 gla1ve가 건강 문제로 휴식을 취하면서 전력 손실이 불가피하게 되었고 North에서 선수생활을 했던 JuGi를 영입했다.[* 인게임 리더는 Magisk가 맡게 될 거라고 한다.] 로스터가 정상화 할 때까지 버티는 수 밖에 없다. G2 Esports는 비록 Astralis에게 압살 당하며 준우승을 거뒀지만 IEM Katowice 준우승이 뽀록이 아니었음을 증명했다. kennyS의 부활은 물론 huNter와 nexa의 맹활약이 돋보인다. 좀만 더 경기력을 끌어올리면 리우 메이저 진출은 물론이고 나아가 오랜만에 챔피언스 스테이지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ELEAGUE Major: Boston 2018]] 이후로 메이저에서 계속 챔피언스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 [[CIS]] === * '''ESL One: Road to Rio - CIS''' * 일정:2020년 4월 30일 ~ 2020년 5월 17일 * 주최: [[Electronic Sports League]], * 상금 규모: $ 50,000 USD || '''{{{#a7db8d 구분}}}''' || '''{{{#a7db8d 팀명}}}''' || '''{{{#a7db8d 플레이어[br]코치}}}''' || ||<|2> [[StarLadder Major 2019]]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Virtus.pro/카운터 스트라이크|Virtus.pro]][* 前 [[AVANGAR]].]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buster,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qikert,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Jame,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20]] SANJI,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AdreN[br][[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dastan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Natus Vincere/카운터 스트라이크|Natus Vincere]]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flamie,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0]] [[s1mple]],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electronic,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Boombl4,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Perfecto[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0]] B1ad3 || ||<|8> 최종 예선 통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Winstrike Team]]||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Hobbit,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KrizzeN,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Lack1,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El1an,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0]] bondik [b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hooch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Gambit Esports|Gambit Youngsters]]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interz,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0]] supra,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sh1ro,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nafany,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Ax1Le[b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F_1N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forZe/카운터 스트라이크|forZe]]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facecrack,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Jerry,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almaze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xsepowe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FL1T [b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liTTle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Team Spirit]]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choppe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iDISBALANCE,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mi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magixx,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0]] somedieyoung [b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Certus || ||[[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width=20]] Syman Gaming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neaLaN,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px]] kreaz,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n0rb3r7,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mou,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Keoz [br]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Solaar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Team Unique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0]] kenzo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zorte,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PASHANOJ,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0px]] R0b3n,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fenvicious[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Fierce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Espada]]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S0tF1k,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Patsi,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Dima,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degste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FinigaN [b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hally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Hard Legion Esports[* 前 DreamEaters]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0]] rAge,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kinqie,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Krad,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Foreste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svyat[b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zoneR || ||<|2> 타이브레이크 연장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0px]] [[Nemiga Gaming/카운터 스트라이크|Nemiga Gaming]]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speed4k,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0px]] boX,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0px]] mds,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0px]] lollipop21k,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0]] jyo [br]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0px]] keep3r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pro100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px]] dimasick,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WorldEdit,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wayLande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NickelBack,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0px]] YEKINDAR [br] (코치직 공석) || ==== 결과 ==== || 순위 || 팀명 || 상금 || 서킷 포인트 || || '''우승''' || '''[[Team Spirit/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Spirit]]''' || '''$15,000''' || '''1600점''' || || 준우승 || [[Winstrike Team]] || $10,000 || 1500점 || || 3위 || Hard Legion Esports || $6,000 || 1400점 || || 4위 || [[Virtus.pro/카운터 스트라이크|Virtus.pro]] || $5,000 || 1300점 || || 5위 || [[Nemiga Gaming/카운터 스트라이크|Nemiga Gaming]] || $4,500 || 1200점 || || 6위 || Syman Gaming || $3,500 || 1100점 || ||<|2> 7~8위 || [[Gambit Esports|Gambit Youngsters]] ||<|2> $2,000 ||<|2> 950점 || || [[Natus Vincere/카운터 스트라이크|Natus Vincere]] || ||<|2> 9~10위 || [[forZe/카운터 스트라이크|forZe]] ||<|2> $1,000 ||<|2> 750점 || || [[Espada]] || ||<|2> 11~12위 || Team Unique ||<|2> - ||<|2> 550점 || || pro100 || === [[북아메리카]] === * '''ESL One: Road to Rio - North America''' * 일정:2020년 4월 22일 ~ 2020년 5월 10일 * 주최: [[Electronic Sports League]], * 상금 규모: $ 60,000 USD || '''{{{#a7db8d 구분}}}''' || '''{{{#a7db8d 팀명}}}''' || '''{{{#a7db8d 플레이어[br]코치}}}''' || ||<|4> [[StarLadder Major 2019]]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100 Thieves/카운터 스트라이크|100 Thieves]][* 前 [[Renegades]].]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AZR,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jks,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0]] jkaem,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Liazz,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px]] Gratisfaction[br](코치직 공석)[* kassad 대회도중 계약해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Evil Geniuses/카운터 스트라이크|Evil Geniuses]][* 前 [[NRG Esports]].]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Brehze,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0px]] CeRq,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Ethan,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arik]],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stanislaw[br][[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zews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eam Liquid/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Liquid]]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nitr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EliGE,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Twistzz,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NAF,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tewie2K[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dreN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MIBR/카운터 스트라이크|MIBR]]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FalleN,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fe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TACO,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kNgV-,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meyern[br][[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dead || ||<|6> 북미 예선 통과[* 아메리카 마이너 진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FURIA Esports]]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yuurih,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arT,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VINI,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kscerato,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HEN1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guerri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en.G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Gen.G Esports]]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daps,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utimatic,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0]] BnTeT,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0m,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koosta [br]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Elmapuddy ||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0px]] [[Team Envy/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Envy]]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ryann,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Nifty,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moose,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Calyx,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px]] MICHU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LEGIJA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Cloud9/카운터 스트라이크|Cloud9]]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oSee,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motm,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floppy,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0]] JT,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0]] Sonic [br]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0]] T.c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riumph]]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rim,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pongey,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hakezullah, TBD, TBD[br](코치직 공석)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Bad News Bears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crashies,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pt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mitch,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dapr,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Jonji [br](코치직 공석) || ||<|2> 북미 예선 7~8위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Orgless~~[br]참가자격 포기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FNS,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WARDELL,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Subroza,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yay,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Infinite[br](코치직 공석)~~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Yeah Gaming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RCF,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tatazin,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f4stzin,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iDk,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dumau[br][[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gio || ==== 조별리그 A조 ==== * 연두색은 4강 직행, 노란색은 8강 진출, 빨강색은 탈락 || 순위 || 팀 || 승패 || 득실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Gen.G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Gen.G Esports]] || 4-1 || 149-138 || +11 || 12점 || [* 100 Thieves와 승자승에서 우세] || || 2. || [[100 Thieves/카운터 스트라이크|100 Thieves]] || 4-1 || 127-104 || +23 || 12점 || [* Gen.G와 승자승에서 열세] || || 3. || [[Cloud9/카운터 스트라이크|Cloud 9]] || 3-2 || 155-149 || +6 || 9점 || || || 4. || [[Evil Geniuses/카운터 스트라이크|Evil Geniuses]] || 2-3 || 148-147 || +1 || 6점 || [* Triumph와 승자승에서 우세] || || 5. || [[Triumph]] || 2-3 || 106-147 || -41 || 6점 || [* Evil Geniuses와 승자승에서 열세] || || 6. || Orgless || 0-5 || - || - || - || [* 참가 자격 포기로 잔여경기 몰수패] || ==== 조별리그 B조 ==== * 연두색은 4강 직행, 노란색은 8강 진출, 빨강색은 탈락 || 순위 || 팀 || 승패 || 득실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FURIA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FURIA Esports]] || 5-0 || 194-136 || +58 || 15점 || || || 2. || [[Team Envy/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Envy]] || 3-2 || 190-54 || +36 || 9점 || [* Team Liquid와 승자승에서 우세] || || 3. || [[Team Liquid/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Liquid]] || 3-2 || 137-137 || 0 || 9점 || [* Team Envy와 승자승에서 열세] || || 4. || [[MIBR/카운터 스트라이크|MIBR]] || 2-3 || 169-146 || +23 || 6점 || [* Team Liquid와 승자승에서 열세] || || 5. || Bad News Bears || 1-4 || 147-180 || -33 || 3점 || || || 6. || Yeah Gaming || 0-5 || 99-183 || -84 || 0점 || || ==== 플레이오프 ==== * '''8강 1경기''' || 팀명 || 스코어 || 팀명 || 맵 || ||<|3> 100T || 8 - '''16''' ||<|3> Liquid || [[de_mirage]] || || 10 - '''16''' || [[de_vertigo]] || || - || ~~[[de_nuke]]~~ || * '''8강 2경기''' || 팀명 || 스코어 || 팀명 || 맵 || ||<|3> nV || '''16''' - 12 ||<|3> C9 || [[de_overpass]] || || 14 - '''16''' || [[de_nuke]] || || 12 - '''16''' || [[de_dust2]] || * '''5위 결정전''' || 팀명 || 스코어 || 팀명 || 맵 || ||<|3> 100T || '''16''' - 12 ||<|3> nV || [[de_mirage]] || || 17 - '''19''' || [[de_inferno]] || || 10 - '''16''' || [[de_nuke]] || * '''4강 1경기''' || 팀명 || 스코어 || 팀명 || 맵 || ||<|3> Gen.G || '''16''' - 10 ||<|3> C9 || [[de_inferno]] || || 13 - '''16''' || [[de_vertigo]] || || '''16''' - 6 || [[de_train]] || * '''4강 2경기''' || 팀명 || 스코어 || 팀명 || 맵 || ||<|3> FURIA || '''16''' - 14 ||<|3> Liquid || [[de_overpass]] || || '''16''' - 12 || [[de_vertigo]] || || - || --[[de_mirage]]-- || * '''3위 결정전''' || 팀명 || 스코어 || 팀명 || 맵 || ||<|3> Liquid || '''16''' - 5 ||<|3> C9 || [[de_dust2]] || || 12 - '''16''' || [[de_inferno]] || || 13 - '''16''' || [[de_vertigo]] || * '''결승전''' || 팀명 || 스코어 || 팀명 || 맵 || ||<|3> FURIA || 6 - '''16''' ||<|3> Gen.G || [[de_train]] || || '''16''' - 12 || [[de_vertigo]] || || 9 - '''16''' || [[de_inferno]] || ==== 결과 ==== || 순위 || 팀명 || 상금 || 서킷 포인트 || || '''우승''' || '''[[Gen.G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Gen.G Esports]]''' || '''$18,000''' || '''1600점''' || || 준우승 || [[FURIA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FURIA Esports]] || $13,000 || 1500점 || || 3위 || [[Cloud9/카운터 스트라이크|Cloud 9]] || $8,000 || 1400점 || || 4위 || [[Team Liquid/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Liquid]] || $6,000 || 1300점 || || 5위 || [[Team Envy/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Envy]] || $5,000 || 1200점 || || 6위 || [[100 Thieves/카운터 스트라이크|100 Thieves]] || $4,000 || 1100점 || ||<|2> 7~8위 || [[Evil Geniuses/카운터 스트라이크|Evil Geniuses]] ||<|2> $2,000 ||<|2> 950점 || || [[MIBR/카운터 스트라이크|MIBR]] || ||<|2> 9~10위 || [[Triumph]] ||<|2> $1,000 ||<|2> 750점 || || Bad News Bears || || 11위 || Yeah Gaming || - || 600점 || || DQ[* 참가자격 포기로 실격 처리] || Orgless || - || - || 요약하자면 '''하위팀들의 반란.''' 전통의 강호들이 죽을 쑤고 심지어 일찍 탈락한 반면, 비교적 약체로 평가받는 팀들이 나란히 1, 2, 3위를 차지하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Gen.G는 DreamHack Open Anaheim 우승팀이라곤 하지만 창단한 지 이제 6개월 정도 지난 팀이었고 FURIA는 2019년 ECS Season 7 준우승을 거둔 이 후 정체되었다가 최근에 상승세를 타는 중이지만 Liquid나 EG같은 북미 1티어 팀들과 비교했을 때 다소 밀리며 C9은 [[ELEAGUE Major: Boston 2018|메이저 우승 경력]]이 있는 팀이지만 로스터를 갈아 엎어 사실상 신생팀이나 다름 없었다.] 특히 우승팀 젠지의 성장세가 심상치 않은데, 100T, EG같은 강호[* 100T는 대회 성적이 영 시원치 않아도 HLTV 랭킹에서는 TOP 10 밑으로 내려가지 않았었다.]들을 잡아내고 4강에서 C9을 상대로 복수에 성공하더니 FURIA를 3번 연속[* [[IEM Katowice 2020]] 지역 예선, DreamHack Open Anaheim 결승전, ESL One: Road to Rio 결승전]으로 잡아내면서 아예 천적 관계를 성립시켰다. 이로서 젠지는 베를린 메이저 2019 진출로 인한 가산점이 없어도 RMR 랭킹에서 레전드 스테이지에 진출할 수 있는 3위에 안착했다. 반면 직전 ESL Pro League Season 11 - North America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던 리퀴드와 EG는 씁쓸한 결과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다. 특히 EG는 전 팀 동료 daps가 있는 젠지의 손에 직접 조별리그에서 탈락되었다.[* daps는 NRG가 EG에 매각 되기 전에 NRG 소속으로 활동했었지만 새로 영입된 Stanislaw에 밀리면서 C9으로 이적해야 했다.] 100 Thieves는 Renegades 로스터 영입 이후 영 신통치 않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번에도 6위에 그쳤으며 MIBR은 여전히 과거의 영광을 전혀 되찾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Liquid, 100T, EG는 베를린 메이저에서 벌어놓은 600점 덕분에 RMR 랭킹에서 그래도 최상위권[* 1위가 Liquid, 2위가 100T이며 EG는 4위에 랭크되었다.]을 차지하고 있지만 MIBR은 앞서 세 팀에 비해 레전드 스테이지에서 탈락해 그의 절반인 300점을 벌고 시작했으며 그나마도 멤버 교체[* 비활성 멤버였던 coldzera 대신 활동했던 플레잉 코치 zews와 라이플러 LUCAS1을 보내고 kNgV-와 meyern을 영입해 2명 교체했다.]]로 인한 페널티로 120점[* 멤버 한 명당 20% 차감이므로 획득한 포인트의 40% 차감.]이나 깎이면서 RMR 랭킹에서 11[* 원래는 12개 팀이었지만 Orgless의 팀 해체로 11개 팀으로 줄었다.]개 팀들 중 8위에 그치고 있다. 물론 앞으로 두 번의 기회가 더 남아있기에 가능성은 있지만 부진한 경기력을 남은 대회에서도 계속 보여준다면 '''창단 이후 처음으로 메이저 진출에 실패'''하는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 === [[남아메리카]] === * '''ESL One: Road to Rio - South America''' * 일정:2020년 4월 22일 ~ 2020년 5월 26일 * 주최: [[Electronic Sports League]], * 상금 규모: $ 10,000 USD || '''{{{#a7db8d 구분}}}''' || '''{{{#a7db8d 팀명}}}''' || '''{{{#a7db8d 플레이어[br]코치}}}''' || ||<|2> 남미 예선 통과[* 아메리카 마이너 진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RED Canids]]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fnx,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nak,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DeStiNy,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nython,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latto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vaz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BOOM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BOOM Esports]]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chelo,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yeL,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felps,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boltz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shz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Apoka || || 남미 예선 3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Isurus]]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Noktse,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196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Reversive,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decov9jse, [[파일:칠레 국기.svg|width=20]] L!nKz^[br][[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pino || ||타이브레이크 연장전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Imperial e-Sports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zqkS,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SHOOWTiME,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KHTEX,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dzt,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delboNi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adr || ==== 결과 ==== || 순위 || 팀명 || 상금 || 서킷 포인트 || || '''우승''' || '''[[BOOM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BOOM Esports]]''' || '''$6,000''' || '''1600점''' || || 준우승 || [[Isurus]] || $3,000 || 1500점 || || 3위 || Imperial e-Sports || $1,000 || 1400점 || || 4위 || [[RED Canids]] || - || 1300점 || === [[오세아니아]] === * '''ESL One: Road to Rio - Oceania''' * 일정:2020년 5월 6일 ~ 2020년 5월 10일 * 주최: [[Electronic Sports League]], * 상금 규모: $ 10,000 USD || '''{{{#a7db8d 구분}}}''' || '''{{{#a7db8d 팀명}}}''' || '''{{{#a7db8d 플레이어[br]코치}}}''' || ||<|2> 오세아니아 예선 통과[* 아시아 마이너 진출팀.]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Renegades]][* 前 Grayhound Gaming]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dexter,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malta,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px]] Sico,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Hatz,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INS [br](코치직 공석)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ORDER(프로게임단)|ORDER]]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J1rah,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aliStair,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Valiance,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USTILO,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Rickeh [br]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tucks || ||<|2> 오세아니아 예선 3~4위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Chiefs Esports Club]]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stat,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Jinxx,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apocdud,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SkulL,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Mayker[br](코치직 공석)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Ground Zero Gaming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BURNRUOk,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void,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Noobster,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Llamas,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PEARSS[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0px]] Kingfisher || ==== 결과 ==== || 순위 || 팀명 || 상금 || 서킷 포인트 || || '''우승''' || '''[[Renegades]]''' || '''$6,000''' || '''1600점''' || || 준우승 || [[ORDER(프로게임단)|ORDER]] || $3,000 || 1500점 || || 3위 || [[Chiefs Esports Club]] || $1,000 || 1400점 || || 4위 || Ground Zero Gaming || - || 1300점 || === [[아시아]] === * '''ESL One: Road to Rio - Asia''' * 일정:2020년 4월 22일 ~ 2020년 5월 17일 * 주최: [[Electronic Sports League]], * 상금 규모: $ 10,000 USD || '''{{{#a7db8d 구분}}}''' || '''{{{#a7db8d 팀명}}}''' || '''{{{#a7db8d 플레이어[br]코치}}}''' || ||<|2> 중국 예선 통과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TYLOO/카운터 스트라이크|TYLOO]]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AttackeR,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Summer,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somebody,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SLOWLY,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DANK1NG[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ryk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Vici Gaming]]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zhokiNg,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JamYoung,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aumaN,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advent,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0px]] Kaze[br] (코치직 공석) || ||<|2> 동아시아 예선 통과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Mazaalai[* 前 The MongolZ]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tsogoo,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PRISM,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neuz,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Zilkenberg,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Machinegun[br](코치직 공석)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TIGER]]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erkaSt,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ncl,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kabal,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dobu,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nin9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px]] MingSir || || 동남아시아 예선 통과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Lucid Dream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JohnOlsen,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PTC,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cbb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Laki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Jinx [br][[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MYM || || 중동 예선 통과 ||[[파일:아시아 위치.svg|width=20]] Camel Riders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0]] DVDOV,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0]] TTyke,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0]] PokemoN,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0]] Ejram,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0]] Mistyy [br]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0]]TeaTime || ||<|2> 타이브레이크 연장전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Beyond Esports[* 前 Alpha Red]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Olivia,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MAIROLLS,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Kntz,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stk,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qqGod [br][[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0bi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D13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tamir,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Mistercap,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sk0R,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Annihilation,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rate[br][[파일:몽골 국기.svg|width=20px]] BeStronG || ==== 결과 ==== || 순위 || 팀명 || 상금 || 서킷 포인트 || || '''우승''' || '''[[TIGER]]''' || '''$4,000''' || '''1600점''' || || 준우승 || [[TYLOO/카운터 스트라이크|TYLOO]] || $2,000 || 1500점 || ||<|2> 3-4위 || D13 ||<|2> $1,250 ||<|2> 1350점 || || [[Vici Gaming]] || ||<|2> 5~6위 || Lucid Dream ||<|2> $750 ||<|2> 1150점 || || Mazaalai || ||<|2> 7~8위 || Beyond Esports ||<|2> - ||<|2> 950점 || || Camel Riders || == 관련 문서 == * [[ESL One: Rio 2020]] [[분류:카운터 스트라이크/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