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듬 게임 수록 정보]][[분류:Muse Dash의 수록곡]][[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Phigros의 수록곡]][[분류:Arcaea의 수록곡]][[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의 수록곡]][[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분류:D4DJ Groovy Mix의 수록곡]] [include(틀:상위 문서, top1=ENERGY SYNERGY MATRIX)] [목차] === [[maimai 시리즈]] === 2018년 6월 21일, [[maimai MiLK PLUS]] 업데이트와 함께 추가되었다. |||||||||||||| maimai 난이도 체계 || ||<|2> 난이도 || {{{#blue EASY}}} || {{{#green BASIC}}} || {{{#orange ADVANCED}}} || {{{#red EXPERT}}} || {{{#8324ff MASTER}}} || || {{{#blue 2}}} || {{{#green 5}}} || {{{#orange 7}}} || {{{#red 10+}}} || {{{#8324ff 12+}}} || || 노트 수[BR](슬라이드 수) || {{{#blue 108(7)}}} || {{{#green 229(4)}}} || {{{#orange 403(10)}}} || {{{#red 664(48)}}} || {{{#8324ff 872(80)}}} || || 장르 |||||||||| GAME & VARIETY || || BPM |||||||||| 160 || || REC |||||||||| O || [[https://www.youtube.com/watch?v=AEmvavKTlrM|BASIC 난이도 AP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lIAoJHEuqbc|ADVANCED 난이도 AP 영상]] [youtube(-GbCePGJ1ks)] MASTER 난이도 보면 영상 초반에 슬라이드 노트로 E, S, M을 차례로 나타낸 것을 볼 수 있다.[* 이 곡의 제목을 줄인 것이다.] ==== DELUXE 채보 ==== === [[MUSYNC]] === === [[Muse Dash]] === [include(틀:Muse Dash/치유는 포기했어)] [youtube(6GDl5K47R2Q)] 곡의 세세한 음을 살린 엇박이 포인트. === [[Phigros]] === [include(틀:Phigros/Legacy)] ||<-5> {{{#!wiki style="margin: 2px 4px" {{{#fff {{{+1 '''ENERGY SYNERGY MATRIX'''}}} }}} }}} || ||<-5> [[파일:Phigros/ENERGY SYNERGY MATRIX.png|width=320]] || || 작곡가 ||<-4> Tanchiky || || BPM ||<-4> 160 || || 채보 제작 ||<-4> {{{#11B230 '''[EZ]'''}}} {{{#0075B8 '''[HD]'''}}} {{{#gray '''[Legacy]'''}}} Ctymax vs 阿爽 {{{#CE1415 '''[IN]'''}}} B B M pow[* '''B'''ar'''b'''arianer'''m'''an '''pow'''er] || || 일러스트 ||<-4> [[からめる|Karameru]] || || 난이도 || EZ || HD || IN || Legacy || || 레벨 || 5 || 10 || 14 || 14 || || 세부난이도 || 5.9 || 10.7 || 14.8 || 14.8 || || 노트 수 || 190 || 468 || 750 || 615 || || 특이사항 ||<-4> - || [clearfix] ==== EZ ==== ==== HD ==== ==== IN ==== [youtube(gdzHvcInMq0)] Phi 영상. 플레이어는 킷캣. 원래 15레벨로 예고되었지만 출시되었을때 14레벨로 조정되었다. 레거시와 달리 판정선 기믹은 사라졌지만 그대신 2연타와 트릴이 추가되었고 중반의 판정선 구간이 폭타로 바뀌어 더 어려워졌다. ==== Legacy ==== [youtube(au-Gz8xde_0)] IN 난이도 Phi 영상. 플레이어는 nanoflower. 중반부터 빙빙 돌아가는 판정선[* BMS의 BGA에 나오는 두 고양이를 재현한 것이다.]과 노트, 그리고 후반부의 판정선 아트와 노트 아트, 그리고 역주행 패턴 등 정신 나간 기믹들이 가득한 채보로 나왔다. 플레이로는 채보 전반적으로 나오는 2연타만 주의해주면 쉬운 곡이다. === [[Arcaea]] === [include(틀:Arcaea/채보/대립, 곡명=ENERGY SYNERGY MATRIX, 작곡=Tanchiky, BPM=160,단독제작=POWER NITRO, PST레벨=3, PRS레벨=7, FTR레벨=9, PST세부레벨=3.5, PRS세부레벨=7.0, FTR세부레벨=9.6, PST노트=471, PRS노트=608, FTR노트=922, FTR해금=통상 해금, 월드=, 배경=Binary Enfold,)] [include(틀:Arcaea/Extend Archive)] [include(틀:Arcaea/Nintendo Switch/Arcaea)] ----- 업데이트 전부터 트위터 등의 게시글로 티저가 공개되었는데 모두 뷁어로 작성된데다 첨부 이미지도 시공간이 일그러진듯한 연출이 있었다. ==== Past ==== ==== Present ==== ==== Future ==== [youtube(SVsuRXvJGPI)] '''PURE MEMORY''' (-6) 영상. 플레이어는 Stalight. [[Muse Dash]]의 채보가 곡의 세세한 음을 꽉꽉 채운 채보로, [[Phigros]]의 채보가 재미있는 기믹을 가득 담은 채보로 호평을 받았다면, [[Arcaea]]의 경우 기믹 없이[* 수록 전, 공식 계정에서 시간 여행 컨셉의 예고로 많은 기대를 샀기 때문에 기믹성 채보를 기대한 사람들이 많았다.] 곡의 멜로디보다는 박자를 메인으로 한 채보[* 위 영상 기준 1분 20초 후 부분에 박자를 메인으로 한 성격이 잘 드러난다.]가 수록되었기 때문에 채보의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채보 전반에 등장하는 스카이-플로어 엇박 연계 패턴이 잦은 FAR를 유도하며, E-S-M과 함께 등장하는 손 교차 아크 처리가 굉장히 까다롭다. 9.6의 세부난이도로 9레벨 중 가장 높은 세부난이도를 배정받았으나 불렙이라는 의견이 많다. 거기다 Extend Archive에서는 9+보다 10이 많은 만큼 (난이도 밸런스를 위해서라도) [[Purple Verse]]와 함께 9+로 상향하라는 평이 많다. === [[DJMAX RESPECT V]] === [include(틀:DJMAX RESPECT V/MUSE DASH)]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NERGY SYNERGY MATRIX_1.png|width=100%]]}}} ||<-4>'''{{{#e4e4e4 COLLABORATION}}}''' [[파일:djmax_collaboration_musedash.png|height=14]] || ||<-4>'''{{{+3 ENERGY SYNERGY MATRIX}}}'''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4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0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253}}}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438}}}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8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92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299}}}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579}}}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4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94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312}}}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01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466}}}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571}}}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9295, #B7B5B7)"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youtube(Ff4vpQbDwu0)] [[DJMAX RESPECT V]]에서 제작한 BGA ---- 뮤즈 대쉬 콜라보로 수록. [[DataErr0r]]와 함께 디제이맥스 측에서 제작한 BGA가 화제가 되었다. 원작(BMS)의 BGA도 약 한 사발 퍼붓고 만든 것으로 유명한데, 여기는 뮤즈 대시 소스와 [[Over Me]]의 캐릭터 소스를 가지고 원작의 그 느낌을 거의 유사하게 구현해내 BMS 출신의 새로운 BGA 중에서 가장 호평받았다. BMS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Bang!!]]과 함께 Muse Dash DLC에서 키음이 없는 두 곡 중 하나이다. BMS에서는 키음이 존재하는데, 뮤즈대시에서는 유튜브 등 플랫폼의 저작권 보호 제한으로 인해 Content ID 소유권 주장을 받은 곡들이라 스트리머 모드를 켤 경우 플레이 불가능한 곡들이고, 이런 곡들이 콜라보로 넘어옴에 따라 저작권 이슈로 인해 키음이 없는것으로 보인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https://youtu.be/Hozqo_zMfw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clkl0tnVbl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white MX}}}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bnkj9TWzI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4Pfr0GYSRs)]}}}|| 4B SC는 잦은 양손 연타, 24비트 왕복 계단 등 90%를 유발하는 패턴이 많아 까다롭지만, 그래도 SC 13 치고 쉽다는 평이 많아 SC 13 입문곡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https://youtu.be/V1agBxpXSA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F1Kg7KrsiW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white MX}}}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WNaEycb5Q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TCaGjpCS54)]}}}|| 5B SC는 BGA 소스로 쓰인 [[Over Me]]와 실제 패턴도 비슷하다. 수시로 끼는 계단, 연타에 좌우 분할이 강제되는 각종 트릴에 랜덤 방지용 사이드 트랙 견제까지 어느 하나 깔끔하게 치기 쉬운 구간이 없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https://youtu.be/xVifm2rlc1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cueTy1fqbI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white MX}}}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B04GHizHmQ)]}}}||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https://youtu.be/BfUrWovlhz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c9uBFhYpxS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white MX}}}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xTw_H6-oM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v-zhO_lWaQ)]}}}|| 8B MX는 32비트 계단이 자주 나오지만 좌우 33으로 깔끔하게 나뉘어 나오는 등 8B TUNES에서 보기 드문 깔끔한 패턴. 체감 난이도는 14레벨 중하위권 정도로 분류된다. 8B SC는 MX의 강화판. 오른쪽 트리거를 잡으면서 32비트 4버튼 계단을 처리해야 하는 구간, 한손 5연타 구간, 양손 트리거를 잡으면서 32비트 계단을 처리하는 도중 트리거를 놓아야 하는 구간 등 정확하게 치기 어려운 구간이 많아 불렙이라고 평가받는다. === [[Sixtar Gate: STARTRAIL]] === === [[Lanota]] === [youtube(bDbe2U5vRbo)] 2022년 12월 수록. [youtube(v_sbEwV9IZY)] [[2023년]] [[만우절|4월 1일]]에 이 곡을 활용한 [[Geometry Dash]]를 연상시키는 미니게임이 한정적으로 수록(?)됐다. 정확히는 2022년 만우절에 나온 [[Nyever gonna Meow you Nyup]]이 나오다 갑자기 등장. 여기에선 뿌우우우~ 하는 소리가 추가됐다. === [[사운드 볼텍스]]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energy_synergy_matrix_sdvx.jpg|width=150]] || [[파일:energy_synergy_matrix_sdvx.jpg|width=150]] || [[파일:energy_synergy_matrix_sdvx.jpg|width=150]] || [[파일:energy_synergy_matrix_sdvx.jpg|width=150]] || || 레벨 || 05 || 12 || 16 || 18 || || 체인 수 || 0000 || 0000 || 0000 || 0000 || || 일러스트 담당 ||<-4> からめる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Akizuki Nagomu]] || || 수록 시기 ||<-4> VI 65 (2022.04.27.) || || [[BPM]] ||<-4> 160 || ==== 채보 상세 ==== [youtube(rBGJDo2sKOg, width=405, height=720)] MXM PUC 영상 === [[펌프 잇 업]] === * [[펌프 잇 업/수록곡]]으로 돌아가기 || 최초 수록 버전 ||<-2> [[펌프 잇 업 PHOENIX]] || || 아티스트 ||<-2> Tanchiky || || BPM ||<-2> 160 || || 비주얼 ||<-2> [[からめる]] || || 채널 ||<-2> World Music / PHOENIX || ||<-3>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PHOENIX|PHOENIX]] 기준[* 볼드체는 해금 필요.] || || 타입 |||| 레벨 || ||<|5> Normal || Single || 7 / 11 / 16 / 18 / 20 || || Double || 13 / 19 / 22 || ||<-3> 채보 제작자 || || 타입 |||| 레벨 및 제작자 || ||<|2> Normal || S7 / S11 / S16 / S18 / S20 ||<|2> DulKi || || D13 / D19 / D22 || [[펌프 잇 업 PHOENIX]] 1.00버전 신곡으로 수록되었다. 악평이 쏟아졌던 같은 채보 제작자의 [[Jupin]]과는 달리 나름 준수하게 채보를 만들었다는 평이다. ==== 싱글 ==== [youtube(-2DgZ3zIv3I)] * S7, S11 [youtube(AHLWtL7NsNE)] * S16, S18 두 채보 모두 레벨대 중위권 수준의 무난한 패턴. 다만 쉬는 구간이 별로 없어 체력을 조금 요구하는 편. S18의 경우 후반에 틀기 섞인 16비트 폭타 구간이 있지만 BPM이 낮은 편이어서 레벨대에서 특별히 어려운 편은 아니다. [youtube(w_ktCPD1csU)] * S20 곡에 맞춘 적당한 수준의 폭타와 틀기가 나오는 20레벨 수준의 채보. 후반부의 사이드 틀기와 파랑노트 수평틀기가 브렉온 포인트이다. ==== 더블 ==== *[[https://www.youtube.com/watch?v=qIH6RX8KDEE|D13]] *[[https://www.youtube.com/watch?v=xFshmVfBgkU|D19]] [youtube(GBgq2H83mxU)] *D22 동 레벨 싱글20을 펼친듯한 채보. 22레벨 치곤 쉽다는 평가도 종종 보인다. 전체적으로 곡에 걸맞는 재미있는 채보이다. 여담으로 채보 제작자 DulKi는 본인이 제작한 채보 중 제일 재미없는데 왜 호평인지 모르겠다고(...) === [[D4DJ Groovy Mix]] === [include(틀:구루미쿠 2차 악곡해금 투어)] [include(틀:D4DJ Groovy Mix의 14 수록곡)] * [[D4DJ Groovy Mix/수록곡]] ||||<:><#48d1cc,#004c4c>{{{+1 {{{#4b0082,#violet E}}}NERGY SYNERGY MATRIX}}}[br]{{{#!wiki style="margin: -10px -10px auto;margin-top:-9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border-right:1px solid;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left: -10px;float:left" {{{#373a3c,#afeeee BPM}}}}}} {{{#373a3c,#afeeee 16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border-left:1px solid;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right: -10px;float:right" {{{#373a3c,#afeeee 2:04}}}}}} ||}}}{{{#!wiki style="margin: 0px -12px -16px" |{{{#!wiki style="margin: 0px 2px;" [[파일:ENERGY_SYNERGY_MATRIX_Groovy_Mix_Cover_Art.jpg|width=100%]]}}}|<-4> [[파일:d4dj_Easy.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blu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3)] 210 [br] (EFT) || [[파일:d4dj_Normal_2.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darkGree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6)] 333 [br] (SCR) || [[파일:d4dj_Hard.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hocolat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1)] 645 [br] (ALL) || [[파일:d4dj_Expert.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rimso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4)] 1018 [br] (ALL) ||}}}|| ## 노트수가 1000이상일 경우 '''볼드체''' 처리합니다. ## 채보 경향은 NTS / DNG / SCR / EFT / TEC 중 레이더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가지는 수치를 적습니다. 높은 수치가 세 개 이상일 경우 ALL을 적습니다. || 수록 || 2023년 7월 23일 || || 아티스트 ||<#fafafa,#1f2023> Tanchiky || || 해금 방법 ||<:> 진주 교환소[* 구루미쿠 투어 과제곡임에도 예외적으로 진주 교환소를 통해 해금이 가능하다.] || || 카테고리 ||<#32cd32,green><:> 원곡 || || 기타 || MV 있음[* 2023년 8월 4일 이후, MV 교환소를 통해 구입 가능.] || ||||<^|1><:>{{{#!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레이더 차트 & 채보 디자이너 ] [[파일:레이더 차트.png|align=center]]{{{#!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파일:d4dj_Easy.png]] || [[파일:d4dj_Normal_2.png]] || [[파일:d4dj_Hard.png]] || [[파일:d4dj_Expert.png]] || ||<-4> みかんのはる ||}}}}}}}}} || 2023년 7월 7일 구루미쿠 공식 트윗을 통해 기습 발표되었다.[[https://twitter.com/D4DJ_gm/status/1677241049868115968?s=20|#]] 작년 BMS 출신 수록곡들이 BGA가 없던 프다를 제외하면 전곡 원 BGA를 그대로 이식한 MV 수록 사양으로 등장하였는데, 수록날 당일 MV가 빠진채로 수록되었다. 같이 수록되는 [[리엔드]]의 BGA 제작자인 adapter의 발언[[https://twitter.com/adaptor166/status/1683046263472939010|*]]으로 미루어보아 누락일 가능성이 있으며, 아니면 단순히 이 곡은 BGA를 계약하지 않은 듯 해보였다. 그러나, 8월 4일 [[VALLISTA]], [[Re:End of a Dream]]과 동시에 BGA가 수록되면서 헤프닝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정작 BGA가 수록되지 않은 곡은 이 곡이 아니라 [[enchanted love]]였다는 것이 아이러니. ==== 채보 ==== [[https://www.youtube.com/watch?v=mu05ugQRB7Q|HARD 채보 캡처 영상]]. [youtube(9jWlue4s9FA)] EXPERT JPFC(이론치) 영상.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ENERGY SYNERGY MATRIX, version=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