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EA SPORTS ™ FIFA ONLINE 3 CHAMPIONSHIP 역대 시즌)] [목차] == 개요 == [[2014년]]에 진행된 [[피파 온라인 3]] 리그이다. 2014년 4월 10일부터 4월 24일까지 개인전, 3인 1팀의 팀전 참가신청을 받고 4월 30일~5월 17일 간의 오프라인 예선을 시작으로 8월 15일, 16일에 각각 개인전 토너먼트, 팀전 승자연전 토너먼트로 끝나게 된다. 우승 상금은 총 1억 9천 2백만원이며 개인전 우승은 3천만원, 준우승 1천만원, 3위 ~ 4위 3백만원, 5위 ~ 8위 1백만원, 9위 ~ 16위 3십만원이고 팀전 우승은 6천만원, 준우승 3천만원, 3위 ~ 4위 900만원, 5위 ~ 8위 3백만원, 9위 ~ 16위 90만원이다.[* 팀전에 참가하는 인원이 3명인 것을 감안한다면, 팀전에서 우승 상금을 제외한 모든 상금은 개인전의 우승 상금을 제외한 모든 상금의 액수와 동일하다.] == 참가 신청 == 2014년 4월 10일부터 4월 24일까지 참가신청을 통해 모집했다. 개인전과 팀전은 중복 신청이 가능했다. 참가신청자 전원에게 혜택으로 13시즌 이적시장 BEST TOP 100 선수팩을 1장씩 2014년 5월 8일 점검 후 일괄 지급되었다. 개인전, 팀전 중복 참가 신청 시 2장을 지급했다. == 온라인 예선 == 2014년 4월 30일부터 5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 개인전과 팀전 모두 3라운드를 다 승리하여야만 오프라인 예선 진출자격을 얻을 수 있다. 경기를 치르기 위해서는 후보를 포함하여 최소 20명 이상의 선수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모든 선수의 남은 경기는 최소 3경기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 개인전 === 참가 완료한 감독 중 2014년 8차 순위 경기 기준 상위 2,048명을 선발했다. ==== 1라운드 ==== 4월 30일 ~ 5월 6일 간 진행되었다. 4월 30일에 대진표를 발표하고, 5월 2일 오후 8시~9시에 경기를 진행, 당일에 바로 저녁 1라운드 결과를 발표했다. 5월 3일 ~ 5월 4일 오전 11시~오후 9시 사이에 재경기 정규 일정을 진행했고 5월 5일 ~ 5월 6일 오후 7시~오후 10시 사이에 재경기 보충 일정을 진행했다. ==== 2라운드 ==== 5월 7일 ~ 5월 13일 간 진행되었다. 5월 7일에 대진표를 발표하고, 5월 9일 오후 8시~9시에 경기를 진행, 1라운드와 똑같이 당일에 바로 저녁 2라운드 결과를 발표했다. 5월 10일 ~ 5월 11일 오전 11시~오후 9시 사이에 재경기 정규 일정을 진행했고 5월 12일 ~ 5월 13일 오후 7시~오후 10시 사이에 재경기 보충 일정을 진행했다. ==== 3라운드 ==== 5월 14일 ~ 5월 18일 간 진행되었으며 5월 14일에 대진표를 발표했고 5월 16일 오후 8시~9시에 경기를 진행했다. 1, 2라운드와 똑같이 당일에 바로 저녁 3라운드 결과를 발표했다. 5월 17일 ~ 5월 18일 오전 11시 ~ 오후 9시 사이에 재경기 정규 일정을 진행했다. === 팀전 === 팀원 3인의 8차 순위경기 1:1 점수 합산 상위 512팀을 선발했다.[* 왜 1:1 순위경기 점수를 통해 선발하냐면은 이번 2014 시즌부터 팀전은 게임 상으로 3대3 경기가 아니라, 최근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처럼 팀 경기이기는 하지만 승자 연전 토너먼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5월 19일에 오프라인 예선에 진출하게 될 참가자들을 발표했다. == 오프라인 예선 == === 개인전 === 온라인 예선을 통해 선발된 240명이 참가했다. 그런데, 오직 승리한 사람 모두가 꼭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는 전제 하에 이론상으로 따져본다면, 2,048명이 참가했고 3라운드를 모두 승리해야만 오프라인 예선에 참가할 수 있다면 오프라인 예선에는 256명이 참가하여야 한다. 256명이 아닌 이유는 아마도 개인 사정으로 인한 기권 등의 변수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팀전도 마찬가지다. 팀전 또한 위와 같이 따져본다면 64팀이 되어야하지만 59팀이 오프라인 예선에 참가했다.] == 본선 == === 개인전 === ==== 16강 ==== ===== A조 ===== || 홈팀 || 점수 || 경기 || 점수 || 원정팀 || || 김민재 || 2 || 1경기 || 0 || 한영태 || || 장우영 || 1 || 2경기 || 2 || 정지완 || || 한영태 || 1 || 패자조 준결승 || 2 || 장우영 || || 김민재 || 1 || 승자조 결승 || 0 || 정지완 || || 장우영 || 0 || 패자조 결승 || 1 || 정지완 || ===== B조 ===== || 홈팀 || 점수 || 경기 || 점수 || 원정팀 || || 김승섭 || 2 || 1경기 || 0 || 김건우 || || 양진모 || 1 || 2경기 || 2 || 정현수 || || 김건우 || 1 || 패자조 준결승 || 2 || 정현수 || || 김승섭 || 1 || 승자조 결승 || 2 || 양진모 || || 정현수 || 0 || 패자조 결승 || 3 || 김승섭 || ===== C조 ===== || 홈팀 || 점수 || 경기 || 점수 || 원정팀 || || 김정민 || 4 || 1경기 || 3 || 박준효 || || 안혁 || 5 || 2경기 || 3 || 이기석 || || 박준효 || 4 || 패자조 준결승 || 0 || 이기석 || || 김정민 || 1 || 승자조 결승 || 0 || 안혁 || || 박준효 || 2 || 패자조 결승 || 0 || 안혁 || ===== D조 ===== || 홈팀 || 점수 || 경기 || 점수 || 원정팀 || || 원창연 || 4 || 1경기 || 5 || 이진규 || || 양진모 || 0 || 2경기 || 1 || 장동훈 || || 원창연 || 0 || 패자조 준결승 || 2 || 양진협 || || 이진규 || 5 || 승자조 결승 || 4 || 장동훈 || || 양진협 || 3 || 패자조 결승 || 1 || 장동훈 || ==== 8강 ==== || 홈팀 || 점수 || 세트스코어 || 점수 || 원정팀 || || 김민재 || 1 || 1경기 || 2 || 박준효 || || 양진모 || 1 || 2경기 || 2 || 양진협 || || 김정민 || 2 || 3경기 || 1 || 정지완 || || 이진규 || 2 || 4경기 || 1 || 김승섭 || ==== 4강 ==== || 홈팀 || 점수 || 세트 || 점수 || 원정팀 || || 박준효 || 3 || 1경기 || 1 || 양진협 || || 김정민 || 3 || 2경기 || 1 || 이진규 || === 팀전 === [[분류:FIFA 온라인 시리즈]] [[분류:FIFA 시리즈/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