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m.chuing.net/42143742224.png]] [* 불량배들과 맞서 싸운 후의 모습이다.] '''Dr. Reichwein''' [[몬스터(만화)|몬스터]]의 등장인물. 성우는 [[나가이 이치로]] / [[유강진]] / 폴 세인트 피터. [[독일]]의 정신과 전문의로, 풀네임은 '''율리우스 라이히바인'''(Julius Reichwein). 참고로 wein은 독일어로 '바인'이라고 읽는게 맞는데, 코믹스 한국어 번역판 번역가인 [[박련]](구판) & [[오경화]](신판)은 전부 '와인'으로 오역했다. 심지어 [[윤강비|윤희선]]이 번역한 애니메이션 더빙판도 마찬가지. [[서독]] [[국경수비대]] [[군의관]]으로 군 복무를 한 덕에, 작중 시점에서 60대 초반의 고령임에도 강건한 육체와 정신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대단한 할아버지. 전역 후에는 [[뒤셀도르프]] 대학교에서 의과대학 교수로 근무했는데, 당시 대학생이던 [[텐마 켄조]]와 [[루디 길렌]]을 제자로서 가르친 적이 있다. 이후 교수로서도 은퇴하고 [[뮌헨]]에 정착하여 작은 정신과 상담소를 개업하여 전직 형사 [[리하르트#s-3.1|리하르트]] 등을 환자로서 치료하는 중이었다. 대부호 한스 게오르그 슈바르트에게 의뢰를 받은 리하르트의 수사 내용을 듣고 루디 길렌에게 연락을 취해 같이 조사한다. 리하르트가 [[투신자살]](사실은 [[요한 리베르트]]에 의해 정신이 붕괴되어 투신한 것으로 사실상의 [[살해]])한 후 현장에서 발견된 술병이 그가 즐겨 마시던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본래 리하르트는 스카치 와인만 마시는데, 현장에서 발견된 건 그가 가장 싫어해 입에도 대지 않는 락케 위스키였다.] 자살이 아님을 직감한다. 그 후 리하르트의 복수와 텐마의 무죄 증명을 위해 슈바르트의 최측근으로 곁에 머물던 요한에 대해 조사하였고, 그 내용을 한스 게오르그 슈바르트에게도 전하여 슈바르트가 요한에 대한 신뢰를 거둘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요한의 심복 [[로베르트]]에게 살해당할 뻔 한다. 처음 로베르트의 사주를 받은 양아치가 지하철에서 밀어버리려 할 땐 그 양아치를 추적했다가 한 패인 불량배에게 2대1로 폭행당하나 그 둘을 제압하고 --국경수비대 출신 얕잡아보지 말라고 하며 --배후를 묻는다. 두 번째는 환자로 위장한 로베르트에게 살해당할 뻔 했으나 차를 끓이는 척 하며 뜨거운 물을 붓고 도망쳤다. 로베르트가 바로 추격해 총을 겨누나 때마침 나타난 텐마 덕분에 목숨을 건진다. 텐마를 만난 후에는 그가 혼자가 아님을 알려주고 함께 하자고 말한다.[* 그러나 텐마는 그가 말려들지 않게 하기 위해 홀로 요한을 저격하려 떠난다.] 이후 나타난 [[니나 포르트너]]를 돌봐주기도 한다. 텐마가 체포된 후 자신에게 상담받으러 온 [[에바 하이네만]]과 뒤셀도르프로 와 텐마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프리츠 바데만과 만난다. 이후로는 뮌헨에 머물며 사건 종료 시점까지 에바와 칼, 로테, 디터 등의 사건 관련 비전투원들을 보살핀다. [[분류:몬스터(만화)/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