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E.M.)] ---- ||<-5> [[R.E.M.|[[파일:rem logo.jpg|height=20]]{{{#000 '''의 스튜디오 앨범'''}}}]] || || [[Lifes Rich Pageant|{{{#000,#fff Lifes Rich Pageant}}}]][br]{{{-2 1986}}} || → ||<#A8A9AD> [[Document|{{{#000,#fff Document}}}]][br]{{{-2 1987}}} || → || [[Green(음반)|{{{#000,#fff Green}}}]][br]{{{-2 1988}}} || ||<-5><#A8A9AD> '''{{{#161A1B 수상 내역}}}'''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400)]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462)]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307, 연도=1998, 순위2=623, 연도2=2000)]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앨범)]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470)] ---- }}} || ---- ||<-2><#DFE3E6> '''{{{#000 {{{+1 Documen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알이엠5.jpg|width=100%]]}}} || || '''발매일''' ||[[1987년]] [[8월 31일]] || || '''녹음 기간''' ||[[1987년]] 3월 - 5월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쟁글 팝]] || || '''재생 시간''' ||39:51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스콧 릿, [[R.E.M.]] || || '''스튜디오''' ||사운드 엠포리움 || || '''레이블''' ||I.R.S.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록밴드 [[R.E.M.]]이 [[1987년]] [[8월 31일]]에 발매한 5번째 정규 앨범. == 상세 == R.E.M.을 스타덤에 오르게 해준 [[앨범]]으로 밴드 처음으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싱글컷된 "The One I Love"은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무려 9위를 기록하며 히트를 쳤고 "It's the End of the World as We Know It (And I Feel Fine)" 역시 R.E.M의 대표곡으로 남게 되었다. I.R.S. [[레코드]]에서 발매된 마지막 앨범으로 이후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현 [[워너 뮤직 그룹]].]와 계약, 메이저 데뷔를 하면서 밴드의 인디 시절에 마침표를 찍었다. [[프로듀서]] 스콧 릿과 함께한 첫 번째 앨범으로 이 앨범 이후 , <[[Out of Time(R.E.M.)|Out of Time]]> <[[Automatic for the People]]>, , 까지 계속 함께 하게 된다. 음악적으로는 인디 시대를 끝마치는 음반이니만큼 전반적으로 이전까지의 실험을 융합하고 팝적으로 정돈한 스타일로, 이러한 중도적인 성향으로 인디 시절 팬들에게 큰 호평을 받으면서도 대중들에게도 R.E.M.이라는 이름을 알릴 수 있었다. 또한 밴드는 이 앨범에서부터 새로운 악기들을 활용하기 시작하는데 King of Birds에서는 [[덜시머]]를, Fireplace에서는 [[색소폰]]을 활용했다. 이 실험은 후속작 과 <[[Out of Time(R.E.M.)|Out of Time]]>에서 [[만돌린]]을 적극 활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 트랙 리스트 == === Side 1 – "Page side" === ==== Finest Worksong – 3:48 ==== [Youtube(0-OL_9YB2fA)] ==== Welcome to the Occupation – 2:46 ==== [Youtube(XARqoTAJFuM)] ==== Exhuming McCarthy – 3:19 ==== [Youtube(Az5dzXRRh4E)] ==== Disturbance at the Heron House – 3:32 ==== [Youtube(EqBcKRz1BPc)] ==== Strange – 2:31 ==== [Youtube(DYOomB4Vte4)] [[와이어(밴드)|와이어]]의 명반 [[Pink Flag]]의 수록곡을 커버했다. ==== It's the End of the World as We Know It (And I Feel Fine) – 4:05 ==== [Youtube(-s97_bBGobQ)] [[빌보드 핫 100]]에서 69위를 기록했다. [[세계]] [[종말]]이라는 심각한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신나고 경쾌한 분위기가 특징으로,[* [[보컬]]인 [[마이클 스타이프]]가 빠르게 [[랩(음악)|랩]]을 하는 것도 특징.] [[밥 딜런]]의 곡 [[Subterranean Homesick Blues]]의 스타일을 오마주했다. 전술한 [[포스트 아포칼립스]] 주제에 대한 곡이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병 이후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수가 급격히 늘었다고 한다. === Side 2 – "Leaf side" === ==== The One I Love – 3:17 ==== [Youtube(pBHBuFqy6I8)] [[빌보드 핫 100]]에서 9위를 기록했다. ==== Fireplace – 3:22 ==== [Youtube(Etb2xinNstA)] ==== Lightnin' Hopkins – 3:20 ==== [Youtube(M2D2dYyQKV8)] ==== King of Birds – 4:09 ==== [Youtube(ASokyb7oqdM)] ==== Oddfellows Local 151 – 5:21 ==== [Youtube(RsVH_lYFLyY)] [[분류:R.E.M.]][[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1987년 음반]][[분류:얼터너티브 록]][[분류:쟁글 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