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youtube(wj3Q4h4fQ2o)] || ||<:> {{{#000000 리뷰어 ashens의 개봉기 및 리뷰}}} || 2009년 초, 중국의 가전제조사 거메이(GEMEI)가 [[닌텐도]]와의 전면전을 선포하면서 내놓은 [[에뮬레이터]] [[휴대용 콘솔 게임기|휴대용 게임기]]. == 상세 == [[패미컴]], [[슈퍼패미컴]], [[메가드라이브]], [[게임보이]], [[게임보이 컬러]], [[게임보이 어드밴스]], [[네오지오]], [[CPS1]], [[CPS2]] 등의 에뮬레이터를 기본 탑재했으며 해당 기종의 게임들 대부분이 플레이 가능했고 4GB의 용량, miniSD(microSD가 아니다) 슬롯, USB 대응으로 업그레이드도 가능했다. 나중에는 [[원더스완]]과 [[네오지오 포켓]]의 게임들도 구동이 가능해졌고 어떤 개인 개발자에 의해 OnScripter가 이식되기도 했다.[* 다만 한국어는 지원되지 않았다.] [[DOSBox]]와 [[PC98]]도 어느 정도 구동 가능했다고 알려져 있다. TV-OUT 기능이 있어 TV의 큰 화면을 보며 게임을 즐길 수 있기도 했다. 에뮬레이터 외에도 음악 감상,[* 지원하는 포맷은 [[MP3]]] 동영상 감상, 문서 읽기,[* 지원하는 포맷은 [[TXT]]] FM 라디오, 녹음, 사진 재생, [[어도비 플래시|플래시]] 재생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플래시 재생은 그냥 있기만 한 정도였고, 사진 재생은 만화책을 보는 데에는 약간 불편했으며,[* Pic Show라는 개인 개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편하게 볼 수 있기는 했다.] 동영상 재생은 고화질과 자막을 지원하지 않아 사전에 인코딩이 필요했다. === [[Linux|리눅스]] === 기본 탑재된 커스텀 운영체제가 있는 자리를 리눅스로 덮어씀으로 리눅스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했다. 이렇게 하면 [[재즈 잭래빗]], [[둠]], [[리에로]]같은 과거 도스로 나왔던 게임이나 팬들이 개인적으로 만든 게임을 구동할 수 있었고, 기본 운영체제가 가지고 있던 몇몇 문제점이 해결되기도 했다. 한국에도 이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는 사용자들의 [[http://cafe.naver.com/da320|네이버 카페]]가 존재한다. == 평가 == 구매자들은 대체로 만족을 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펌웨어도 버그가 별로 없었고, 동영상 재생과 TV-OUT은 [[GP2X Wiz]]보다 뛰어났으며, TFT-LCD이면서 AMOLED를 사용한 Wiz보다 화질이 뛰어났고[* 단 A320에 쓰인 액정은 휴대폰 등에 쓰인 240x320 세로 액정인데 320x240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가로로 눕혀놔서 빛 쏠림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눈이 쉬이 피로해졌다.], GBA 에뮬레이터 구동률도 [[리듬천국]]이 조금 버벅인다는 것을 제외하면 완벽에 가까웠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하드웨어의 사양은 다소 딸리는 편이었고, 디자인도 게임보이 미크로의 카피 수준이었으며, 후면의 고무 패킷이 자꾸 빠진다든지 같은 본체 완성도 문제도 있었다. == 기타 == * [[한국]]에서는 [[http://ibs-play.com/|IBS-KOREA]]라는 곳에서 12만 5천원에 정식 판매했었다. A/S도 지원했었는데, 중고 제품도 보증서만 있으면 가능했었다. * 일본에서도 나름대로 잘 팔렸다고 알려져 있으며, 미국 지사도 있었는데 미국 지사장이 이 게임기를 '빈자의 [[iPhone]]' 이라고 정의했다고도 알려져 있다. * 중국제 종합 에뮬레이터 휴대기를 다루는 영어권 커뮤니티인 dingoonity.org는 이 기기 명칭에서 유래한듯하다. * 후속 기종으로 A330이 있었는데, 이쪽은 디자인은 [[PSP]]와 유사했고, 메모리가 64MB로 늘어난 것이 업그레이드의 전부였으며, 멀티미디어는 A320보다 낫지만 에뮬레이터는 A320보다 못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다른 후속 기종으로 A380(해외 수출용은 A320E)이 있었으나 이쪽은 그다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 현 시점에서는 이미 단종된 지 오래다. IBS-KOREA의 공식 사이트는 없어져 있고, 공식 네이버 카페는 주인과 용도가 바뀐 것으로 여겨지며,[* 몇 장의 인테리어 사진만이 올라와 있다.] 사용자 카페는 일단 보존은 되고 있다(...) 또한 A320을 판매하던 쇼핑몰 등지에는 현재 제조사의 정확한 소재지를 알 수 없는 수많은 카피 기기들이 진열되어 있는데, 하술한대로 RS-97[* REVO K101의 클론 시스템. 같은 소스로 기체를 네오지오 미니 짝퉁처럼 만든 RS-07도 존재한다.]이라는 모종의 공통된 기반이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기반의 대화면 게임기가 나름의 비중을 차지하던 시절도 있었지만, 이마저 지금은 옛말이다.] * 2019년 시점에서 이 게임기의 후속 포지션에 해당되는 게임으로는 LDK게임기, Pocket Go, RS-97이 있다. * 물론, [[에어버스]] [[A320|항공기]]와는 관계가 없다. [[분류:휴대용 게임기]][[분류:닌텐도 에뮬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