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Deep Purple in Rock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454)]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422, 연도=1998, 순위2=686,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220)]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영국 100대 명반2, 순위=78)]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71)]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263)] ---- }}} || ||<-2><#378fce> '''{{{#000000 {{{+1 Deep Purple in Roc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eep_Purple_In_Rock.jpg|width=100%]]}}} || || '''발매일''' ||[[1970년]] [[6월 5일]]|| || '''녹음일''' ||[[1969년]] [[10월]] - [[1970년]] [[4월]]|| || '''스튜디오''' ||IBC 스튜디오, 드 레인 레아 스튜디오, [[애비 로드 스튜디오]]|| || '''장르''' ||[[하드 록]], [[헤비 메탈]]|| || '''재생 시간''' ||42:14|| || '''곡 수''' ||7곡|| || '''레이블''' ||[[하베스트 레코드|[[파일:harvest records logo.png|width=100]]]]|| || '''프로듀서''' ||[[딥 퍼플]]|| [목차][clearfix] == 개요 == [[1970년]] 발매된 [[딥 퍼플]]의 네 번째 앨범. 간단히 줄여서 "In Rock"이라고도 불린다. == 상세 == 첫 세 앨범을 발매한 후 보컬과 베이시스트로 [[이안 길런]]과 [[로저 글로버]]가 영입되어 딥 퍼플 최고의 황금기라 불리는 2기 라인업이 완성되고 난 뒤 발매된 첫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첫 번째 앨범은 아닌데, 이 앨범이 발매되기 몇 개월 전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콜라보 앨범인 "Concerto for Group and Orchestra"가 발매되었기 때문이다.], 6집인 "[[Machine Head]]"와 함께 딥 퍼플 최고의 명반으로 손꼽히며 1970년대 [[하드 록]]/[[메탈(음악)|헤비 메탈]] 시대를 빛낸 명반으로 평가받는다. 이 앨범부터 멤버가 교체되고 음악적 주도권이 키보디스트 [[존 로드]]에서 기타리스트 [[리치 블랙모어]]로 넘어가게 되면서 존 로드의 영향으로 [[클래식(음악)|클래식]], [[사이키델릭 록]]의 성향이 강했던 딥 퍼플의 음악이 흔히 딥 퍼플하면 생각나는 강렬한 헤비 록 성향을 띄게 되었다. 또한 [[비틀즈]], [[닐 다이아몬드]] 등의 커버 곡들이 수록되어 있었던 이전 앨범들과 달리 오리지널 곡들로만 트랙 리스트를 채운 첫 번째 앨범이기도 하다. 매우 고출력의 헤비한 사운드와 강렬한 속주들이 특징이며[* 당시 록 음악계에선 이 앨범 정도로 고출력의 사운드를 선보이는 앨범을 찾기 어려웠다.], "[[Speed King]]", "[[Bloodsucker]]" "[[Hard Lovin' Man]]" 등의 명곡들이 포진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앨범은 딥 퍼플 최고의 명곡으로 자주 꼽히며 [[프로그레시브 록]]적인 구성과 음악성이 돋보이는 10분 가량의 대곡 "[[Child In Time]]"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 곡들은 이후 딥 퍼플의 라이브 공연의 주요 레파토리가 되었다. 앨범은 발매되고 평론가들의 큰 호평을 받았으며, 영국 차트에서 4위를 차지했으며 1년 넘게 차트에 오르는 성공을 거뒀다. 특히 리치 블랙모어가 Machine Head와 함께 딥 퍼플의 앨범 중 가장 좋아하는 앨범으로 꼽기도 하였다. 미국 [[러시모어 산]]의 유명한 대통령 조각을 패러디한 앨범 커버도 화제가 되었다. == 트랙 리스트 == [include(틀:Deep Purple in Rock)] === Side A === ==== [[Speed King]] - 4:23 ==== [youtube(W_jfHvcAXRY)] ==== [[Bloodsucker]] - 4:16 ==== [youtube(JC2OKriMNyA)] ==== [[Child In Time]] - 10:20 ==== [youtube(UEjAaLu8Dhs)] === Side B === ==== [[Flight of the Rat]] - 7:51 ==== [youtube(L_k4uMo893M)] ==== [[Into the Fire]] - 3:28 ==== [youtube(L97BScF-5dE)] ==== [[Living Wreck]] - 4:27 ==== [youtube(pizC-Cstgec)] ==== [[Hard Lovin' Man]] - 7:11 ==== [youtube(1BoLgLGRyIc)] === 추가 트랙 === ==== [[Black Night]] ==== [youtube(pLLuifWR4Mg)] 원래는 싱글로만 발매 되었지만 25주년 기념 트랙에서 추가 되었다. == 참여자 == * [[리치 블랙모어]] – 기타 * [[이안 길런]] – 보컬 * [[로저 글로버]] – 베이스 * [[존 로드]] – 오르간 * [[이안 페이스]] – 드럼 [[분류:Deep Purple in R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