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요약 == 영미권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은어. Deep Frying은 본래 [[튀김]] 조리법을 뜻하지만, 인터넷에서는 이리저리 오랜 시간 수없이 퍼날라지면서 심각하게 [[열화]]된 [[짤방]]을 뜻한다. 한국어로 딱 떨어지게 통용되는 단어는 없으나 [[화질구지]], [[디지털 풍화]] 등이 드문드문 쓰이는 편. 오히려 이게 인기가 생기면서 멀쩡한 사진도 [[포토샵]]이나 사진편집어플로 일부러 화질을 망가뜨리고 색상을 과하게 노출시키는 등의 작업을 Deep Frying이라고 하기도 한다. == 특징 == * 낮은 해상도와 뭉개진 화질 : 웹사이트나 메신저 앱에 따라 업로드되는 사진을 임의로 리사이징하고 재압축해 서버 트래픽 절약을 꾀하는데, 짤방이 이리저리 퍼지면서 이런 과정이 여러 번 반복되면 가로세로 수백픽셀에 지나지 않는 이미지 주제에 무수한 깍두기가 보이는 화질구지로 변질되고 만다. * 각종 워터마크와 텍스트 : 원래 없던 것들이 잔뜩 새겨진다. 예를 들면 iFunny나 9GAG 등 이윤이나 [[따봉]]을 목적으로 하는 사이트들을 떠돌면서 원출처 워터마크를 블러처리하고, 다른 구석에 자사의 워터마크를 새기고, 또 누군가 이것 위에 먹칠을 하고 자기의 워터마크를 남기는 과정이 끝없이 반복된다. 이외에도 누군가 짜깁기해 유튜브 영상으로 만든 경우 자주 따라붙는 [[반디캠]] 주소, [[밈]]으로 만드느라 덧씌워진 텍스트 등 무궁무진한 열화가 이루어진다. * 필터 또는 색상 변질 : 캡처 이미지를 누렇게 만드는 블루라이트필터가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중간에 누군가 굳이 GIF로 저장했는지 256색상화되는 경우도 있다. * 아재식 캡쳐 : 스크린에 띄워놓은 짤방을 카메라로 찍어서 올린다. 플래시가 터진 것이 비쳐 이미지가 절반쯤 안보이면 완벽. * 검열 : 성적이거나 고어한 요소를 포함하는 짤방의 경우 퍼나르는 사람의 사정에 따라 일부를 모자이크하거나 스마일리같은 이모티콘으로 민감한 부분을 가려버린다. * 렌즈 플레어 : 주로 눈에서 나는 빛 같은걸로 사용된다. * 이모지 : 다양한 것이 사용되는데 그중엔 이모지로 문장의 형태를 알아보기 힘들게 한 것도 있다. 이외에도 상상의 한계를 아득히 뛰어넘는 특징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너무 심각하게 열화된 이미지들은 오히려 망가져서 흥한 케이스가 되어 [[https://www.reddit.com/r/DeepFriedMemes/?count=100&after=t3_778wf2|오히려 컬트적인 인기를 얻기도 한다.]] 한국의 사례로 치면 [[인싸개그]]가 다른 의미로 흥한 것과 통하는 면이 있다. 다만 [[개꿀잼 몰카]]같은 것은 컨텐츠 자체의 극혐요소에 기인하는 것이고, 이쪽은 컨텐츠의 내용과 무관하게 짤이 떠돌면서 망가진 것 자체에 초점을 둔다. 만약 해외에서의 실황을 보고 싶다면 [[레딧]]의 [[https://www.reddit.com/r/DeepFriedMemes|이 밈 전문 서브레딧을 가보자.]] 이해가 안간다면 정상이다(...). == 기타 == 돌고 돌던 짤방이 뉴비들에 의해 최초출처로 되돌아오는 일이 심심찮다. 예를 들면 [[SLR클럽]]에서 나온 웃긴 출사사진이 '어느 사진사가 이런걸 찍었다네요'같은 제목으로 되돌아온다든가, [[디시인사이드]]에서 만들어진 밈이 온갖 커뮤니티를 떠돌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지까지 이르러[* 페이스북, 트위터, 텀블러,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 서비스는 인터넷 밈의 하수처리장이라고도 조롱받을 정도로 몇 개월 뒤늦게 여기저기서 열화된 밈들이 돌아다니기 시작하는 곳이다. 이게 아니더라도 디시인사이드를 포함한 열거된 사이트들이 이미지 해상도를 제한하거나 포맷에 제한을 걸어버려 역순으로 돌더라도 디지털 풍화는 생길 수밖에 없다.] 해당 유저에 의해 디시인사이드 해당 갤러리로 되돌아온다거나 하는 식. 이런 경우 원출처 사이트 원주민들은 처음 업로드된 이미지가 어떤 것인지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너덜너덜해져서 돌아온 짤방을 보고 놀라 뒤집어졌다는 댓글들이 줄줄이 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류:인터넷 밈/미국]][[분류:인터넷 밈/기타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