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Led Zeppelin]][[분류:1968년 노래]][[분류:사이키델릭 록]][[분류:애시드 록]][[분류:프로토 메탈]][[분류:레드 제플린 노래]] [include(틀:Led Zeppelin)] ||<#0C0C0C> '''Dazed and Confused'''{{{#fff '''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6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레드 제플린 40대 명곡)]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11)] ---- [include(틀: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형성한 500곡)] ---- }}} || ||<#0C0C0C><-2> '''{{{+1 Dazed and Confuse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772GXG5LnE,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69년]] [[1월 1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Led Zeppelin(앨범)|{{{#ED6533 '''Led Zeppelin'''}}}]]}}} || || '''스튜디오''' ||올림픽 || || '''장르''' ||[[사이키델릭 록]], [[블루스 록]], [[하드 록]], [[:분류:프로토 메탈|프로토 메탈]] || || '''러닝 타임''' ||6:27 || || '''작사/작곡''' ||[[지미 페이지]] || || '''연주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로버트 플랜트|{{{#ED6533 '''로버트 플랜트'''}}}]]}}} 리드 보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지미 페이지|{{{#ED6533 '''지미 페이지'''}}}]]}}} 리드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존 폴 존스|{{{#ED6533 '''존 폴 존스'''}}}]]}}} 베이스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존 본햄|{{{#ED6533 '''존 본햄'''}}}]]}}} 드럼 }}}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목차][clearfix] == 개요 == ||<#ED6533>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O2n7QoyieM,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C6SwzXvyzw, height=200)]}}} || || '''음원''' || '''1969년 라이브''' ||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ytJvXbFlKU,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QgYn23Xvck, height=200)]}}} || || '''1970년 라이브''' || '''1973년 라이브''' || [[영국]]의 록밴드 [[레드 제플린]]의 1집 [[Led Zeppelin(앨범)|Led Zeppelin]]에 수록된 곡. == 상세 == [[야드버즈]]가 제이크 홈즈의 곡을 리메이크한 곡인 [[Dazed and Confused]]에서 ~~제이크 홈즈에게 크레딧을 주기 싫어서~~ 가사가 수정되는 등의 작업을 거쳐서 앨범에 수록되었으며, 가장 잘 알려진 Dazed and Confused이다. [[Stairway to Heaven]], [[Whole Lotta Love]], [[Kashmir(노래)|Kashmir]] 등과 함께 레드 제플린을 상징하는 노래라 할 수 있다. 사이키델릭, 블루스의 향이 짙은 1집에서도 가장 사이키델릭한 곡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분위기는 [[아이언 버터플라이]]의 [[In-A-Gadda-Da-Vida]]에서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것이다. 지미 페이지는 이 곡에서 사이키델릭 분위기를 더욱 강렬하게 내기 위해 바이올린 활로 기타 현을 터치해서 고래 울음소리같은 괴이한 음향이 흘러나오도록 했다. 사실 이런 바이올린 활로 일렉기타를 연주하는 기법은 지미 페이지가 최초는 아니고 이 이전에 여러 사이키델릭 록 밴드들이 시도한 것이다.[* Creation이란 영국 [[사이키델릭 록]] 밴드가 최초로 시도했다.] 처음엔 [[존 폴 존스]]의 심플한 베이스 리프와 지미 페이지의 기괴한 기타 하모닉스로 시작하는데, 느릿느릿하게 가다 중반부부터 갑자기 분위기가 고조되어 마치 심장박동이 빨라지는 듯한 긴박한 느낌으로 점점 흘러가다 빵 터지고 다시 처음에 느릿한 곡조가 되더니 느릿한 초반부 → 고조되는 중반부→ 긴박한 절정부의 전개가 아까의 1/5 정도의 짧은 시간에 압축되어 반복되곤 다시 빵 터져서 끝난다. 이런 이중반복의 변주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비슷한 곡이라면 [[킹 크림슨]]의 [[21st Century Schizoid Man]]이나 [[딥 퍼플]]의 [[Child In Time]]이 있고, 이곡과 비슷한 암울하고도 긴박한 분위기의 곡이라면 [[핑크 플로이드]]의 [[Breathe (In the Air)]] - [[On the Run]] - [[Time(핑크 플로이드)|Time]] 연작이 있다. 원곡이 대략 6분 정도 되는 반면, 1970년대 초반 공연들에서는 거의 30분정도로 원곡보다 훨씬 길게 연주되었다. 30분으로 길게 늘려 연주되었던 대표적인 라이브가 1973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 라이브인데, 영상을 직접 보면 사이키델릭 필링 만빵인 지미 페이지의 기타연주와, 노래를 하는 건지 주문을 외우는 건지 신내림을 받는건지 알 수 없는 무당틱한 [[로버트 플랜트]]의 보컬이 엄청나다. 역시 이 곡도 저작권 말썽이 있는데, 제이크 홈즈의 원곡을 야드버즈 시절 지미 페이지가 라는 제목으로 바꿔서 연주했고 다시 가사를 수정해서 1집에 수록했으나 자작곡으로 표시했다. 홈즈 측의 소송은 꽤 늦은 2010년에서야 이루어 졌는데, 2년 뒤에 법정 밖에서 상세한 내용을 알 수 없는 합의를 하였다. 다만 상술했듯이 이후 발매된 이 곡이 수록된 앨범에서 Inspired by Jake Holmes라는 크레딧이 추가되었는데, 제이크 자신의 이름을 크레딧에 추가하라는 합의가 포함된 것은 확실하다. == 가사 == ||<:> ---- '''{{{+2 {{{#ED6533 Dazed and Confused}}}}}}''' ---- Been dazed and confused for so long it's not true 너무 오랫동안 멍하고 혼란스러웠어, 그건 사실이 아니야 Wanted a woman, never bargained for you 여자를 원했지만, 널 위해 협상한 적은 없어 Lots of people talk and few of them know 많은 사람들이 말했지만 그 중에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지 Soul of a woman was created below, yeah 여자의 영혼은 그 아래에서 창조되었어 You hurt and abuse telling all of your lies 너는 모든 거짓말을 하면서 상처받고 학대하지 Run 'round, sweet baby, Lord, how they hypnotize 자기야, 뛰어 다녀. 주여, 그들이 어떻게 최면을 겁니까? Sweet little baby, I don't know where you've been 자기야, 네가 어디 있었는지 몰랐어 Gonna love you, baby, here I come again 널 사랑할거야, 내가 다시 갈게 Every day I work so hard bringing home my hard earned pay 나는 매일 열심히 일해서 힘들게 번 돈을 집으로 가져 왔어 Try to love you, baby, but you push me away 너를 사랑해 보려고 해 보지만 너는 나를 밀어내지 Don't know where you're going, only know just where you've been 네가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겠지만 네가 어디에 있었는지는 알아 Sweet little baby, I want you again 나는 너를 다시 원해 Been dazed and confused for so long it's not true 너무 오랫동안 멍하고 혼란스러웠어, 그건 사실이 아니야 Wanted a woman, never bargained for you 여자를 원했지만, 널 위해 협상한 적은 없어 Take it easy, baby, let them say what they will 진정해 자기야, 그들이 무슨 말을 할지 알게 해 줘 Tongue wag so much when I send you the bill 계산서를 보낼 때 혀가 너무 떨려 ----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 (1집 전용).png|width=130]]]] ---- || == 여담 == [youtube(to70FXJAbRY)] * [[너바나(밴드)|너바나]]가 공연에서 이 곡을 커버하였다. 보컬은 밴드의 베이시스트인 [[크리스 노보셀릭]]이 맡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Led Zeppelin, version=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