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L)] ||<-2> [[파일:DL Holdings Logo.png|width=40%]] || || {{{#fff '''정식명칭'''}}} ||디엘주식회사 || || {{{#fff '''영문명칭'''}}} ||DL Holdings Co.,Ltd || || {{{#fff '''설립일'''}}} ||[[1939년]] [[10월 10일]] || || {{{#fff '''업종명'''}}} ||지주회사 || || {{{#fff '''상장유무'''}}} ||상장기업 || || {{{#fff '''기업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fff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1975년]] ~ 현재) || || {{{#fff '''종목코드'''}}} ||000210([[보통주]]), 000215([[우선주]]) || || {{{#fff '''대표이사'''}}} ||전병욱 || || {{{#fff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일로 134 돈의문 디타워 (평동) || || {{{#fff '''시가총액'''}}} ||1조 3,094억 || ||<-2> [[http://www.dlholdings.co.kr/|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DL그룹]]의 [[지주회사]]. == 역사 == 이 회사의 모체는 대림그룹의 사업지주회사였던 대림산업이다. 2021년, 대림그룹이 [[DL그룹]]으로의 명칭 변경과 함께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선언하면서, 대림산업을 인적·물적분할하여 DL과 [[DL이앤씨]], [[DL케미칼]]을 출범시켰다. 먼저 대림산업을 건설사업군과 그 외 사업군으로 [[인적분할]]하여 건설사업군은 DL이앤씨, 그 외 사업군은 DL이 되었고, DL의 석유화학부문을 [[물적분할]]하여 DL케미칼을 설립했다. 이에 따라 DL과 DL이앤씨의 주식은 기존 대림산업 주주들이 기존 지분율에 따라 부여받고, DL케미칼의 주식은 DL이 100% 보유하게 되었다. DL과 DL이앤씨의 분할비율은 44:56이다. 인적분할 당시 DL을 존속법인, DL이앤씨를 신설법인으로 했기 때문에, '''대림산업의 역사는 이 회사가 갖고 가게 되었다'''. 다만, 이 사실과 별개로 대림산업은 건설회사 이미지가 강했기에 일반인들은 [[DL이앤씨]]를 대림산업의 후신으로 볼 것이다. == 사업 == 순수 지주회사이기 때문에 자회사의 배당과 브랜드 사용료, 부동산 임대료를 주 수입원으로 한다. == 지배구조 == 2023년 4월 보통주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림(기업)|㈜대림]] || 42.28%||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림학원 || 0.9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국민연금]] || 12.60%||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자사주 || 0.12%|| == 기타 == * 순수 지주회사로 세워졌지만 아직 [[DL그룹]]을 완전히 지배하는 회사는 아니다. [[DL이앤씨]]를 [[인적분할]] 방식으로 떼어내면서 건설사업군과의 지분관계가 사라져버렸기 때문이다. DL이앤씨와는 [[동군연합|주주 구성만 같은 남남인 상황]]인데, 사실상 현재 DL그룹의 지주회사는 이곳이 아니라 이곳과 DL이앤씨의 공통 최대주주로 올라 있는 [[대림(기업)|대림]]이라고 [[옥상옥|볼 수 있다]]. SK C&C가 있던 시절의 [[SK]]나 오너 일가가 [[GS건설]]을 직접 갖고 있는 [[GS|GS그룹]]과 비슷한 지배구조이다. * 한국어 이름은 '디엘주식회사'인데 영어 이름은 'DL '''Holdings''' Co., Ltd.'이다. 비슷한 사례로는 [[SK주식회사]]가 있는데, 사실상 중간지주회사인 것까지 고려하면 C&C 합병 이전의 SK주식회사와 판박이인 회사이다. [[분류:DL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