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DJMAX RESPECT V)] [include(틀:DJMAX RESPECT)] [include(틀:난이도 표기 문제)] [목차] == 설명 == [[DJMAX RESPECT V]]의 수록곡 및 수록 패턴 중, 난이도 표기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패턴들을 간단한 설명과 함께 모아놓은 문서. PC 플랫폼으로 발매된 [[DJMAX RESPECT V]]는 키보드 플레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DJMAX RESPECT|PS4판]]과는 패턴의 체감 난이도 차이가 반드시 존재하며, V에만 존재하는 '''SC''' 패턴 때문에 난이도 표기 문제를 PS4판과 같이 취급하기에는 곤란한 부분이 있다. 실제로도 PS4에선 어렵다고 느낀 패턴이 PC로 넘어오니 되려 쉬워졌다고 하는 패턴들이 상당수 존재하며, 그 반대 역시 다수 존재한다. 이 때문에 DJMAX RESPECT와 DJMAX RESPECT V의 난이도 표기 문제는 '''별개'''로 보는 것이 좋다. 기존에는 최대 난이도가 15로 제한되어 상당한 난이도 편차가 존재했으나, SC 난이도를 별도 체계로 개편함에 따라 SC 난이도가 분리되면서 해당 문제가 사그러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작진 측에서 여긴 레벨에 관해 물/불렙 논란이 여전히 존재하고, 이에 유저들은 자체적으로 서열표를 만들어 체감 난이도를 세분화해서 구분하고 있다. 유저 비공식 서열표에 대해서는 [[DJMAX RESPECT V/비공식 난이도표|이 문서]]를 참고. 해당 문서에서는 DJMAX RESPECT V에만 존재하는 SC 패턴 또는 키보드로도 어렵다고 느껴지는 패턴만을 작성하며, 기존 패턴에 대한 난이도 표기 문제는 [[DJMAX RESPECT/난이도 표기 문제|PS4판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 제작진 측에선 맥스 콤보가 아닌 초견 클리어 난이도를 기준으로 난이도를 설정한다고 밝힌 바가 있다. 허나 클리어 난이도가 지나치게 낮다보니 유저들은 맥스 콤보 난이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난이도에 비해 불렙이라 평가되는 패턴 중에서는 무난하게 흘러 가다가 짧은 킬링파트 구간이 있는 경우가 많다. 아무튼 제작진이 제시한 난이도의 기준은 엄연히 클리어 난이도이므로, 맥스 콤보나 스코어링 기준으로만 어렵거나 쉬운 패턴은 물/불렙이라고 보기 애매한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본 문서에서 맥스 콤보와 스코어링을 어느 정도 고려한다는 점을 감안해도 비공식 서열표와는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유의. == 작성 기준 == === 개요 === * 개인적인 감상이 아닌 '''여러 유저들도 공감할 수 있는 수준'''인 사례만 표기하도록 한다. 자신이 [[불렙곡]] 혹은 [[물렙곡]]이라고 느낀 패턴을 등록하기 전, 해당 패턴에 대한 커뮤니티나 다른 유저의 반응 혹은 해당 곡의 랭킹 페이지, 서열표 등 최소한의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있는 요소들을 종합하여 업로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수정 시점에서 가장 최신 버전(클리어 패스 시즌 10)의 난이도 표기가 기준이 된다. 만약 업데이트 후 난이도 표기가 조정된 곡이 있을 경우, 해당 난이도 표기 조정이 문제가 없을 경우 이 문서에서 해당 곡의 설명을 제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클리어가 아닌 [[풀콤보|맥스 콤보]] 달성 및 스코어링이 주 요소인 게임인 만큼, 클리어 난이도 외로 맥스 콤보 및 퍼펙트 플레이 난이도도 어느 정도 감안하여 작성한다. * 같은 카테고리 내에서는 {{{#red,#salmon 불렙곡}}}-{{{#blue,#6495ed 물렙곡}}}-{{{#purple,#violet 개인차 곡}}} 순으로 배열하며, 같은 불렙곡, 물렙곡, 개인차 곡 내에서는 1차적으로는 곡의 난이도 기준, 2차적으로는 곡 제목 기준으로 한글-숫자-알파벳 순으로 배열한다. * '''같은 레벨대에서 어렵거나 쉽다고 무조건 불렙 또는 물렙으로 적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벨 9 곡들 중에서는 상위권이나, 일반적인 레벨 10 곡들보다는 약한 경우에는 불렙에 속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최소한 해당 레벨의 평균대보다 1 이상 격차가 있는, 즉 레벨이 한 단계 이상 상승/하락해도 위화감이 없는 패턴들을 작성할 것. * '''키보드를 이용하여, 제작진들이 의도한 대로 플레이를 했을 경우의 체감 난이도만을 고려하도록 한다.''' PS4용 [[듀얼쇼크|DualShock 4]] 혹은 듀얼쇼크4의 형태를 띄고 있는 (예:Razer Raiju 등) 컨트롤러를 이용하거나 [[비트콘]]과 같은 형태의 여러 손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컨트롤러(통칭 '콘')를 사용함으로 인한 체감 난이도의 변화는 이 문서에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 노트 위치를 나타낼 때에는 CHAOS 이펙터(RANDOM, HALF RANDOM, MAX RANDOM)를 걸지 않은 상태(정배치, 미러 배치)를 기준으로 서술 할 것. * 설명 중 영상이 필요하다면, 항목과 데이터 로딩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은 가급적 링크로 걸도록 한다. * 표기 용례는 아래 템플릿을 따라주세요. ====# 표기 템플릿 #==== || [[파일:곡명_1.png|width=60]] ||<|2>설명[br]{{{-2 (체감 난이도 : SC ?(실 난이도) → '''?(체감 난이도)''')}}}|| || [[곡명]][br]{{{-3 카테고리}}} || ##표기 예시 아래로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 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부 이미지 파일 이름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곡명_1.png가 아닌 경우) 그럴 경우 해당 곡 문서에서 파일명을 직접 참조 부탁드립니다.## === 불렙/물렙/개인차 === * {{{#red,#salmon '''불렙'''}}}은 아래 기준을 만족할 시 작성한다. * 해당 패턴의 클리어 난이도 및 스코어링/맥스 콤보 난이도가 해당 레벨대의 패턴보다 '''현저하게''' 높은 경우 * {{{#blue,#6495ed '''물렙'''}}}은 아래 기준을 만족할 시 작성한다. * 해당 패턴의 클리어 난이도 및 스코어링/맥스 콤보 난이도가 해당 레벨대의 패턴보다 '''현저하게''' 낮은 경우 * {{{#purple,#violet '''개인차 패턴'''}}}은 아래 기준을 만족할 시 작성한다. * 해당 패턴의 클리어 난이도 또는 스코어링/맥스 콤보 난이도가 플레이하는 유저의 개인차에 따라 난이도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는 경우[* 불렙/물렙과 함께 해당할 경우 불렙/물렙 표기를 우선] * 또는 해당 패턴의 클리어 난이도나 스코어링/맥스 콤보 중 한 쪽은 해당 레벨대보다 쉬우나, 다른 한 쪽은 어려운 경우 == 4B TU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ba59 25%, #054e65 75%)" {{{#white '''4B TU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da9a9 25%, #ff6262 75%)" {{{#white '''불렙곡'''}}}}}}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KILLER BEE_1.png|width=60]] ||<|2>전반적으로 보아 6레벨이라고 하기엔 어울리지 않는 패턴이 산재해 있으며, 노트 밀도도 높고 후반부에는 2연타까지 섞여 나온다.[br]{{{-2 (체감 난이도 : HD 6 → '''8''')}}} || || [[KILLER BEE]][br]{{{-3 RESPECT}}} || || [[파일:Love.Game.Money_1.png|width=60]] ||<|2>노래 끝나기 직전 무려 260BPM짜리 트릴이 떨어진다. 130BPM짜리 5연타나 다름없는 패턴으로, 통상 난이도는 물론 스코어링 난이도까지 8레벨치고는 너무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HD 8 → '''9▲''')}}} || || [[Love.Game.Money]][br]{{{-3 V EXTENSION 4}}} || || [[파일:Your Own Miracle_1.png|width=60]] ||<|2>후렴구 내내 트릴만 나온다. 그 후에는 2연타만 떨어지는 구간이 나오는 등 적정 레벨로 보기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HD 9 → '''10▲''')}}} || || [[Your Own Miracle]][br]{{{-3 PORTABLE 2}}} || || [[파일:Kensei_1.png|width=60]] ||<|2>레벨대에 맞는 열화가 전혀 되어있지 않은 패턴. 체감 난이도는 11레벨 수준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1''')}}} || || [[Kensei]][br]{{{-3 V EXTENSION}}} || || [[파일:피아노 협주곡 1번_1.png|width=60]] ||<|2>간간히 나오는 트릴 구간과 중후반 폭타는 10레벨 수준에서 지나치게 어렵다. [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1▲''')}}} || || [[피아노 협주곡 1번(DJMAX)|피아노 협주곡 1번]][br]{{{-3 PORTABLE 1}}} || || [[파일:Mind Control_1.png|width=60]] ||<|2>중반부 폭타가 지나치게 어려운 불렙 패턴. 체감 난이도는 12레벨 하위권 수준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2''')}}} || || [[Mind Control]][br]{{{-3 TRILOGY}}} || || [[파일:Syriana Blast Wave Mix_1.png|width=60]] ||<|4>레벨대에 맞는 열화가 전혀 되어있지 않은 패턴. 체감 난이도는 12레벨 중상위권 수준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2''')}}} || || [[Syriana ~Blast Wave Mix~]][br]{{{-3 TRILOGY}}} || || [[파일:Brain Storm_1.png|width=60]] || || [[Brain Storm]][br]{{{-3 PORTABLE 2}}} || || [[파일:ANALYS_1.png|width=60]] ||<|4>레벨대에 맞는 열화가 전혀 되어있지 않은 패턴. 체감 난이도는 12레벨 상위권 수준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 || || [[ANALYS]][br]{{{-3 RESPECT}}} || || [[파일:Ventilator_1.png|width=60]] || || [[Ventilator]][br]{{{-3 TRILOGY}}} || || [[파일:Misty E'ra 'Mui'_1.png|width=60]] ||<|2>후반부 2-1 트릴이 꾸준히 떨어진다. 체감 난이도는 왕년의 12레벨 보스곡이었던 [[We're All Gonna Die]] HD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여겨진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3''')}}} || || [[Misty E'ra 'Mui']][br]{{{-3 V EXTENSION 3}}} || || [[파일:Super Lovely_1.png|width=60]] ||<|2>쉽고 정직한 트릴이 등장하지만 11레벨에 등장하기에는 부적절하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 || || [[Super Lovely]][br]{{{-3 Emotional S.}}} || || [[파일:Supernova_1.png|width=60]] ||<|2>트릴이 많이 나오고 노트 밀도가 높은데다 중반부에는 16비트 트릴 사이에 32비트 숏트릴이 끼는 패턴까지 나오는 등 표기 레벨에 비해 너무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 || || [[SuperNova(DJMAX)|Supernova]][br]{{{-3 TECHNIKA}}} || || [[파일:Lights of Muse_1.png|width=60]] ||<|2>아래의 PUPA HD가 워낙 악명높아서 상대적으로 가려졌지만 이 곡 역시 12레벨 치고는 매우 어려운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3▲''')}}}|| || [[Lights of Muse]][br]{{{-3 MUSE DASH}}} || || [[파일:PUPA_1.png|width=60]] ||<|2>BPM이 높은데다 트릴과 폭타가 자주 떨어져 13레벨은 거뜬하게 들어갈 정도의 불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3▲''')}}} || || [[PUPA/리듬 게임 수록#s-15|PUPA]][br]{{{-3 MUSE DASH}}} || || [[파일:Bright Future_1.png|width=60]] ||<|10>4버튼 13레벨 불렙 라인업. 체감 난이도는 14레벨 중상위권 수준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 [[Bright Future]][br]{{{-3 V EXTENSION 3}}} || || [[파일:Disappearing Act_1.png|width=60]] || || [[Disappearing Act]][br]{{{-3 V EXTENSION 3}}} || || [[파일:Good Night, Bad Luck._1.png|width=60]] || || [[Good Night, Bad Luck.]][br]{{{-3 GROOVE COASTER}}} || || [[파일:Marry me, Nightmare_1.png|width=60]] || || [[Marry me, Nightmare]][br]{{{-3 GROOVE COASTER}}} || || [[파일:Plasma Sphere_1.png|width=60]] || || [[Plasma Sphere]][br]{{{-3 V EXTENSION 3}}} || || [[파일:Daylight_1.png|width=60]] ||<|2>진행 내내 노트가 하루종일 쏟아지며 쉬는 구간이 적고, 그마저도 대부분 짧다. 중간중간 등장하는 따닥이도 난이도를 크게 올리는 요소 중 하나.[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Daylight(DJMAX)|Daylight]][br]{{{-3 RESPECT}}} || || [[파일:Emerge_1.png|width=60]] ||<|2>시종일관 끼어드는 트릴, 패드 패턴에는 어울리지 않는 밀도, 알약이 끼어드는 최후살까지 까다로운 요소들이 너무나도 많다. 명백한 15레벨급 패턴.[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Emerge]][br]{{{-3 V EXTENSION 3}}} || || [[파일:Fundamental_1.png|width=60]] ||<|2>중간중간 따닥이 연타와 짧지만 [[Road Of Death]] SC에서 등장하는 4-34-4-34 트릴이 등장하는 등 다양한 유형의 패턴이 골고루 떨어지기 때문에 처리가 까다로우며, 박자를 꼬아놓은 부분까지 있어 스코어링도 쉽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 [[Fundamental]][br]{{{-3 V EXTENSION 3}}} || || [[파일:Love Mode_1.png|width=60]] ||<|2>곡 후반부에서 3연타가 너무 많이 나온다. BPM이 높지 않음을 감안하더라도 4B SC에서 가장 낮은 레벨인 2레벨에서 나올 패턴은 절대 아니고, 최후반부에는 1234 계단 후 4번 2연타까지 나온다.[br]{{{-2 (체감 난이도 : SC 2 → '''3''')}}}|| || [[Love Mode|Love Mode]][br]{{{-3 CLAZZIQUAI}}} || || [[파일:The Feelings_1.png|width=60]] ||<|2>초반부는 1-23-4에 사이드가 끼는 패턴, 후반부에 나오는 4버튼식 역방향 겹계단이 매우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2 → '''3''')}}}|| || [[The Feelings]][br]{{{-3 RESPECT}}} || || [[파일:The Last Dance_1.png|width=60]] ||<|2>2레벨 치고는 밀도도 은근히 있고 롱잡과 동시치기도 까다로운 편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2 → '''3''')}}}|| || [[The Last Dance]][br]{{{-3 TECHNIKA}}} || || [[파일:내게로 와_1.png|width=60]] ||<|2>레벨대에 비해 노트 밀도도 높고 까다로운 패턴도 많다.[br]{{{-2 (체감 난이도 : SC 3 → '''4▲''')}}} || || [[내게로 와]][br]{{{-3 CLAZZIQUAI}}} || || [[파일:Fallin' in LUV_1.png|width=60]] ||<|2>1212, 3434 트릴이 상당히 까다로우며 특히 랩 끝날 때 나오는 1212트릴+34롱잡이 SC 3에서 나올 수준이 아니다. 레벨 체계 변경 이전 비공식 서열표에서도 같은 층에 있었던 나머지 SC들이 신규 체계 이후 죄다 SC 4레벨 이상으로 책정된 걸 감안하면 SC 3은 실제 난이도 대비 적게 책정된 레벨 표기다.[br]{{{-2 (체감 난이도 : SC 3 → '''4~5''')}}}|| || [[Fallin' in LUV]][br]{{{-3 TECHNIKA 3}}} || || [[파일:Koi no Moonlight_1.png|width=60]] ||<|2>중간중간 끼어드는 즈레와 계단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4레벨 정도인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3 → '''4''')}}}|| || [[恋のMoonlight|Koi no Moonlight]][br]{{{-3 MUSE DASH}}} || || [[파일:can you feel it_1.png|width=60]] ||<|2>중반에 등장하는 폭타가 롱잡도 동반하는데다가 쉬지 않고 길게 나오기 때문에 매우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6''')}}} || || [[can you feel it]][br]{{{-3 MUSE DASH}}} || || [[파일:Look out_1.png|width=60]] ||<|2>전체적인 밀도도 그렇고 중반부 트릴을 생각하면 5레벨에 비해 꽤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6''')}}} || || [[Look out|Look out ~Here comes my love~]][br]{{{-3 EZ2ON}}} || || [[파일:Angelic+Tears_1.png|width=60]] ||<|2>초반부터 롱잡이 등장하고, 1212-3434가 산발적으로 등장하는 폭타, 중반부 오블락 트릴에서 이어지는 계단, 이후 등장하는 연타와 13-24 배치의 트릴, 후반부 밀도가 높아지는 폭타 등 도무지 6으로 보기 힘든 난이도이다. 아무리 비는 구간들이 많다지만 최소 7에서 8이 적절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7~8''')}}} || || [[Angelic layer|Angelic Tears]][br]{{{-3 RESPECT}}} || || [[파일:Every Day ~ Every Night_1.png|width=60]] ||<|2>4버튼에서 결코 흔하지 않은 롱잡 패턴이고 롱노트의 구성도 복잡해서 아래에서부터 올라오는 유저들은 심한 난관이 될 수 있다. 롱노트에 강하다면 체감 난이도가 떨어지지만 6레벨 패턴임을 감안했을 때 빠르게 숙련하기에는 어려운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7~8''')}}}|| || [[Every Day ~ Every Night]][br]{{{-3 V EXTENSION 3}}} || || [[파일:아침형 인간_1.png|width=60]] ||<|2>꾸준히 떨어지는 롱노트+동시치기는 7레벨 보다는 8레벨에 더 가깝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아침형 인간(DJMAX)|아침형 인간]][br]{{{-3 PORTABLE 1}}} || || [[파일:Apparition_1.png|width=60]] ||<|2>우선 초반의 변속부터가 까다로운데, 원래 배속으로 돌아오는 중반부부터가 훨씬 어려워진다. '''겹트릴, 2연속 4연타, 겹노트 3연타''', 그 외 롱잡이나 퍼펙트를 견제하기 위해 끼어 들어간 연타까지 있다. 체감 난이도는 SC 8 수준. 개편 이전 12레벨이라는 터무니 없는 레벨을 할당 받았는데, 12레벨에서 절대 찾아볼 수 없는 패턴이 나오며 체감 레벨은 무려 14까지 오른다는 의견도 꽤 있었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Apparition(테일즈위버)|Apparition]][br]{{{-3 NEXON}}} || || [[파일:BlackCat_1.png|width=60]] ||<|2>12레벨 불렙인 [[Zero to the hunnit]]의 1212-3434 겹트릴을 그대로 들고 왔다. BPM이 훨씬 낮아 처리 자체는 더 쉽긴 한데 7레벨에 나올 패턴이 아니다. 체감 난이도는 8.[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BlackCat]][br]{{{-3 RESPECT}}} || || [[파일:Celestial Tears_1.png|width=60]] ||<|2>일단 밀도부터가 7레벨 수준의 밀도는 아닌데, 후반 폭타는 순간적으로 10레벨에 근접한 수준의 폭타가 떨어지며 중간중간 등장하는 따닥이 연타와 트릴도 까다로운 편이다. 전체적으로 SC 9레벨이라고 해도 위화감이 없는 불렙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7 → '''9''')}}} || || [[Celestial Tears]][br]{{{-3 RESPECT}}} || || [[파일:Fly Away_1.png|width=60]] ||<|2>초반부터 등장하는 난해한 배치의 고속 계단이나 폭타 사이사이에 낀 연타같은 까다로운 부분들 덕에 처리가 꽤나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Fly Away]][br]{{{-3 RESPECT}}} || || [[파일:For Seasons Air Guitar Mix_1.png|width=60]] ||<|2>특출나게 어려운 구간은 없으나 노트 밀도가 높고 꾸준히 어려운 패턴. 각종 괴상한 즈레도 섞이기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높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For Seasons#s-2|For Seasons ~Air Guitar Mix~]][br]{{{-3 TRILOGY}}} || || [[파일:StarFish_1.png|width=60]] ||<|2>7레벨 치고는 밀도도 꽤나 있고 생각보다 높은 수준의 처리력을 요구하는 패턴이 다양하게 등장한다. 사이드 노트를 이용한 유사 청기백기는 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StarFish]][br]{{{-3 PORTABLE 2}}} || || [[파일:Festa Nova_1.png|width=60]] ||<|2>변속이 존재하고 BPM 폭이 매우 크다. 고레벨 패턴이었다면 개인차 영역이라고 넘어갈 수 있겠으나, 8 정도의 중저레벨 패턴에서는 작은 변속도 걸림돌이 될 수 있는데 BPM 폭이 지나치게 크다는 점, 가속 구간 직후 감속에서는 배속 컨트롤 타이밍을 잡을 만한 구간이 없다는 점 때문에 8레벨 중에서는 매우 어려운 패턴이라고 평가받는다. 체감 난이도는 개인차를 배제한다면 9레벨 상~최상위권으로 분류되나 개인차가 밑도 끝도 없는 변속곡 특성상 10레벨 이상으로 여길 여지도 충분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Festa Nova]][br]{{{-3 TECHNIKA TUNE&Q}}} || || [[파일:Syriana Blast Wave Mix_1.png|width=60]] ||<|2>난해한 박자와 까다로운 패턴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9레벨 정도인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Syriana#s-2|Syriana ~Blast Wave Mix~]][br]{{{-3 TRILOGY}}} || || [[파일:La Campanella Nu Rave_1.png|width=60]] ||<|2>중반 피아노 구간에서 스코어링이 완전히 무너진다. 퍼펙트 플레이를 노리는 유저라면 체감 난이도가 끝없이 올라간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La Campanella : Nu Rave]][br]{{{-3 TECHNIKA 2}}} || || [[파일:Light House_1.png|width=60]] ||<|2>소위 오블락, 로오데 트릴이라고 불리는 트릴 때문에 고전하는 유저들이 많다. 9레벨로 책정되었으나 9레벨 러너들 입장에서는 절대로 동레벨대와 견줄 수 없는 난이도를 보여주며, 상위 티어 유저들 또한 실수하기 쉬운 패턴이기에 체감 난이도는 11레벨 수준.[br]{{{-2 (체감 난이도 : SC 9 → '''11''')}}} || || [[Light House(DJMAX)|Light House]][br]{{{-3 PORTABLE 1}}} || || [[파일:Beyond the Future_1.png|width=60]] ||<|2>구 14레벨 시절 후살이 너무 어려워 불렙이라 평가받았고, 비슷한 난이도라 평가받던 [[카트라이더 Mashup ~Cosmograph Remix~]]가 11레벨에 배정받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10레벨에 남아있어 여전히 불렙으로 남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Beyond the Future(DJMAX)|Beyond the Future]][br]{{{-3 TECHNIKA}}} || || [[파일:Chain of Gravity_1.png|width=60]] ||<|2>상위 티어 유저들이 보기에는 무난한 폭타 패턴이겠지만, 실상은 오블락식 동시치기 낀 트릴, 그리고 그 오블락식 트릴을 한번 더 꼬아놓은 배치의 변형 동시치기 트릴로 인해 현지인들을 고전시키는 패턴이다. 11레벨에 BPM이 훨씬 빠른 폭타 패턴인 [[Groove Prayer]]가 존재하나 여기서는 유저들이 어려워하는 배치를 적극 활용한 탓에 오히려 그보다도 어렵다고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Chain of Gravity]][br]{{{-3 PORTABLE 2}}} || || [[파일:Chemical Slave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4연타와 연속된 2연타, 2노트를 동반한 따닥이가 산재해 있다. 10레벨 러너는 이 연타를 제대로 처리하기가 버겁기 때문에 불렙으로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Chemical Slave|Chemical Slave]][br]{{{-3 RESPECT}}} || || [[파일:DataErr0r_1.png|width=60]] ||<|2>난해한 박자에 까다로운 패턴이 꾸준히 떨어지는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DataErr0r/리듬 게임 수록|DataErr0r]][br]{{{-3 MUSE DASH}}} || || [[파일:VORTEX_1.png|width=60]] ||<|2>고속트릴, 연타, 계단 등의 패턴이 종합적으로 섞여 나오는 불렙 패턴으로 체감 난이도는 11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VORTEX(DJMAX)|VORTEX]][br]{{{-3 TECHNIKA TUNE&Q}}} || || [[파일:I'M ALIVE_1.png|width=60]] ||<|2>중간중간 등장하는 트릴+드르륵이 난점이며 후살 역시 까다롭게 나온다. 개인차를 어느 정도 타는 유형이긴 해도 확실히 SC 11에는 맞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I'M ALIVE]][br]{{{-3 RESPECT}}} || || [[파일:Misty E'ra 'Mui'_1.png|width=60]] ||<|2>원핸드 트릴이 길게 떨어지는 구간에서 말리기 십상이다. 특히 다른 버튼에서 안 쓰고 잘 들리지도 않는 키음까지 32비트 계단으로 때려박았기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더 올라간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13''')}}}|| || [[Misty E'ra 'Mui']][br]{{{-3 V EXTENSION 3}}} || || [[파일:Ruti'n Remix_1.png|width=60]] ||<|2>드랍 구간의 난해한 동시치기 패턴도 패턴이지만 후반에 등장하는 32비트 연타 때문에 11레벨 급은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Ruti'n#s-2|Ruti'n (GOTH Wild Electro Remix)]][br]{{{-3 RESPECT}}} || || [[파일:Kensei_1.png|width=60]] ||<|2>이 곡의 상징인 4연타가 많이 나오는데, 4연타를 이어붙여서 8연타, 후반부에는 1-3연타로 12연타까지 살이 붙는다. BPM이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밀리기 쉽고, 다른 구간도 13레벨인 동 작곡가의 악곡인 [[카트라이더 Mashup ~Pure 100% Remix~]]의 중반부에 나오는 계단+α 패턴이 나오는 등 12레벨치고는 너무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 [[Kensei]][br]{{{-3 V EXTENSION}}} || || [[파일:Mind Control_1.png|width=60]] ||<|2>트릴과 계단 사이에 간격이 상당히 짧게 잡혀있는 사이드, 밀도 높고 빠른 계단, 후반부의 축 동시치기까지, BPM도 높은데 종합적으로 어려운 요소들이 많아 Kensei와 함께 12레벨 대표적인 불렙 패턴으로 취급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 [[Mind Control(DJMAX)|Mind Control]][br]{{{-3 TRILOGY}}} || || [[파일:Zero to the hunnit_1.png|width=60]] ||<|2>후반부 1212-3434 겹트릴이 지나치게 어려워 구 14레벨 시절에도 손꼽히는 불렙이었는데, 개편 후 12레벨에서도 조금 어렵지 않냐는 의견이 많다. 정배로는 이견이 없는 13레벨 수준의 불렙이고, 하프 랜덤을 걸고 한 쪽 라인만 배치가 섞인다면 난이도가 크게 떨어지기는 하나 이럴 경우 중반부 폭타에서 노트 리딩이 어려워진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 [[Zero to the hunnit]][br]{{{-3 V EXTENSION 2}}} || || [[파일:Odysseus_1.png|width=60]] ||<|2>사람들마다 견해가 조금씩 달라 개인차는 꽤 존재하나, 전반적으로 손이 불편한 배치의 패턴이 계속 등장하고 중반의 나선 계단과 후반의 연타 구간이라는 확실한 킬링 파트도 존재하기 때문에 14레벨로 올라가도 손색없는 패턴이라는 의견이 확실히 많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4''')}}} || || [[Odysseus(DJMAX)|Odysseus]][br]{{{-3 V EXTENSION 2}}} || || [[파일:Ventilator_1.png|width=60]] ||<|2>불규칙 따닥이가 수시로 들어오고, 32비트 계단 등 각종 지저분한 패턴이 계속 끼어드는데다 밀도가 낮아지는 구간도 거의 없다.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 SC나 [[Garakuta Doll Play]] SC처럼 14레벨 수문장격으로 취급되는 패턴보다 더 어렵고, 15레벨을 줘도 이상하지 않은 불렙으로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5''')}}} || || [[Ventilator]][br]{{{-3 TRILOGY}}} || || [[파일:Zeroize_1.png|width=60]] ||<|2>기본적으로 거의 전 구간을 불규칙한 박자의 연타로 도배해놓았으며 초중반의 13-24 고속트릴이나 사이드를 동반한 롱잡 등 쉽게 처리하기 어려운 패턴들이 다수 등장한다. 하이라이트인 최후반 깁기깁 구간에서는 4번 레인 8연타가 등장하고 그 뒤로도 매우 까다로운 후살 패턴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유저마다 개인차는 꽤 갈리지만 최소한 이 곡을 SC 14레벨으로 보는 유저는 거의 없다. 실제로 [[HAMSIN]] SC 이상으로 어렵다는 유저를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심한 경우 [[PUPA/리듬 게임 수록/DJMAX RESPECT V|PUPA]] SC나 [[Zero-Break]] SC 보다도 어렵다고 하는 유저도 있을 정도다. 개인차를 감안해 보수적으로 잡아도 최소한 [[Daylight(DJMAX)|Daylight]] SC보다는 어렵다는 것이 정론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5''')}}} || || [[Zeroize]][br]{{{-3 EZ2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abeff 25%, #5993ff 75%)" {{{#white '''물렙곡'''}}}}}}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Angelic Sphere_1.png|width=60]] ||<|10>13레벨 물렙 라인업. 체감 난이도는 12레벨 하위권 수준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2''')}}} || || [[Angelic Sphere]][br]{{{-3 Deemo}}} || || [[파일:Get Jinxed_1.png|width=60]] || || [[Get Jinxed]][br]{{{-3 RESPECT}}} || || [[파일:Leave me alone_1.png|width=60]] || || [[Leave me alone]][br]{{{-3 PORTABLE 3}}} || || [[파일:Les Parfums de L'Amour_1.png|width=60]] || || [[Les Parfums de L'Amour]][br]{{{-3 Cytus}}} || || [[파일:The 90's Decision_1.png|width=60]] || || [[The 90's Decision]][br]{{{-3 MUSE DASH}}} || || [[파일:conflict_1.png|width=60]] ||<|8>14레벨 물렙 라인업. 이렇다 할 어려운 구간이 없어 체감 난이도는 평범한 13레벨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conflict/리듬 게임 수록/DJMAX RESPECT & V|conflict]][br]{{{-3 Cytus}}} || || [[파일:Grid System_1.png|width=60]] || || [[Grid System]][br]{{{-3 RESPECT}}} || || [[파일:Lisrim_1.png|width=60]] || || [[Lisrim]][br]{{{-3 V EXTENSION}}} || || [[파일:WONDER $LOT 777_1.png|width=60]] || || [[WONDER $LOT 777]][br]{{{-3 V EXTENSION}}} || || [[파일:전설이 시작된 곳_1.png|width=60]] ||<|2>후살로 계단 섞인 폭타가 나온다. BPM이 높아 까다로워야 하지만 패턴 구성이 부실해 15레벨치고는 쉽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4''')}}} || || [[전설이 시작된 곳 ~VoidRover Remix~]][br]{{{-3 NEXON}}} || || [[파일:Entrance_1.png|width=60]] ||<|4>15레벨 물렙 중에서도 가장 쉬운 곡들로 체감 난이도는 13레벨 하위권 수준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3''')}}} || || [[Entrance]][br]{{{-3 Cytus}}} || || [[파일:Mammal_1.png|width=60]] || || [[Mammal]][br]{{{-3 Cytus}}} || || [[파일:Closer_1.png|width=60]] ||<|2>4B SC의 최저 레벨인 2레벨 패턴이지만 다른 2레벨 패턴과 비교해봐도 훨씬 쉽고, 후술할 1레벨급 물렙들과 비슷한 난이도를 갖고 있어 물렙이라고 여겨지는 채보.[br]{{{-2 (체감 난이도 : SC 2 → '''1''')}}} || || [[Closer(DJMAX)|Closer]][br]{{{-3 CLAZZIQUAI}}} || || [[파일:FALLING IN LOVE_1.png|width=60]] ||<|4>3레벨 물렙 라인업. 쉬는 구간이 적으나 낮은 BPM으로 난이도를 맞춘 패턴이라는 공통점이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3 → '''2''')}}} || || [[FALLING IN LOVE(DJMAX)|FALLING IN LOVE]][br]{{{-3 V EXTENSION 2}}} || || [[파일:The Little Adventurer_1.png|width=60]] || || [[The Little Adventurer]][br]{{{-3 NEXON}}} || || [[파일:WHY_1.png|width=60]] ||<|6>해당 패턴들은 3레벨로 책정되었지만 4B SC의 모든 패턴 중 가장 쉽다고 평가받는다. 4B SC에 1레벨은 존재하지 않지만, 사실상 체감 난이도는 SC 1 수준.[br]{{{-2 (체감 난이도 : SC 3 → '''1''')}}} || || [[WHY(DJMAX)|WHY]][br]{{{-3 RESPECT}}} || || [[파일:Don't Cry_1.png|width=60]] || || [[Don't Cry(DJMAX)|Don't Cry]][br]{{{-3 V EXTENSION 4}}} || || [[파일:Where Stars Rest_1.png|width=60]] || || [[Where Stars Rest]][br]{{{-3 MAPLESTORY}}} || || [[파일:Wanna Be Your Lover_1.png|width=60]] ||<|2>밀도가 낮은 무난한 3레벨급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3''')}}} || || [[Wanna Be Your Lover]][br]{{{-3 TECHNIKA 3}}} || || [[파일:안아줘_1.png|width=60]] ||<|2>평범한 밀도에 평범한 패턴 위주로 나오는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4▼''')}}} || || [[안아줘]][br]{{{-3 ESTIMATE}}} || || [[파일:A Song of Sixpence_1.png|width=60]] ||<|2>딱히 특별한 패턴 없이 전체적으로 너무나 평범한 4레벨급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4''')}}} || || [[A Song of Sixpence]][br]{{{-3 TECHNIKA TUNE&Q}}} || || [[파일:Do you want it_1.png|width=60]] ||<|2>밀도가 낮고 평범한 패턴밖에 등장하지 않는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4''')}}} || || [[Do you want it]][br]{{{-3 RESPECT}}} || || [[파일:Far East Princess_1.png|width=60]] ||<|2>후살을 제외하면 킬링파트가 전무하고 그 후살 마저도 조금만 집중하면 전혀 어렵지 않게 넘길 수 있다. 5레벨은커녕 4레벨에도 어울리지 않는 터무니 없는 물렙.[br]{{{-2 (체감 난이도 : SC 5 → '''3''')}}} || || [[Far East Princess]][br]{{{-3 RESPECT}}} || || [[파일:Put'Em Up_1.png|width=60]] ||<|2>러닝타임도 짧은데 밀도도 낮고 특별한 패턴 없이 무난한 정박인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3''')}}} || || [[Put'Em Up]][br]{{{-3 TECHNIKA 2}}} || || [[파일:Appeal_1.png|width=60]] ||<|2>전체적인 밀도로 보나 패턴적으로 보나 SC 6레벨 보다는 5레벨에 더 어울린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 [[Appeal]][br]{{{-3 EZ2ON}}} || || [[파일:Leafre (EDM ver.)_1.png|width=60]] ||<|2>6레벨 치고는 너무 무난하게 쉽다. 전형적인 5레벨 수준의 물렙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 [[Leafre#s-2.3|Leafre (EDM ver.)]][br]{{{-3 MAPLESTORY}}} || || [[파일:Never Ending TECHNIKA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밀도도 낮고 까다롭다고 할만한 패턴이 거의 나오지 않는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 [[Never Ending TECHNIKA]][br]{{{-3 TECHNIKA TUNE&Q}}} || || [[파일:Secret_1.png|width=60]] ||<|2>까다로운 패턴을 매우 낮은 BPM으로 순화시켜 난이도를 맞춘 채보. 6레벨치고는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 [[Secret(DJMAX)|Secret]][br]{{{-3 V EXTENSION 3}}} || || [[파일:Space Dream (feat. J.O.Y)_1.png|width=60]] ||<|2>연타가 많이 나오지만 BPM이 매우 낮기 때문에 어렵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 [[Space Dream (feat. J.O.Y)]][br]{{{-3 V EXTENSION 3}}} || || [[파일:Back to Life_1.png|width=60]] ||<|2>후반부 롱잡부터 노트 밀도가 조금 높아지기는 하나 7레벨 수준엔 한참 못 미치는 난이도의 패턴만 나온다. 체감 난이도는 잘 쳐줘야 5레벨 하위권이고 후반부 원핸드 숏트릴이 섞인 롱잡 배치만 파악한다면 4레벨까지도 떨어진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4~5''')}}} || || [[Back to Life]][br]{{{-3 TECHNIKA TUNE&Q}}} || || [[파일:Ruti'n_1.png |width=60]] ||<|2>중간중간 등장하는 따닥이만 조심하면 정박에 무난한 패턴 위주로 나오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쉬운 구성이다. 체감 난이도는 SC 6.[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Ruti'n]][br]{{{-3 BLACK SQUARE}}} || || [[파일:Y CE Style_1.png|width=60]] ||<|2>난이도 개편 전 구 14레벨 최하위권인 패턴이었던 만큼 현재 SC 7레벨은 높다는 의견이 많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Y(DJMAX)#s-2.7.1|Y (CE Style)]][br]{{{-3 CLAZZIQUAI}}} || || [[파일:Here in the Moment Extended Mix_1.png|width=60]] ||<|2>SC 5레벨 하위권인 Here in the Moment의 패턴을 길게 늘어뜨린 버전이다. 아무리 익스텐디드 믹스가 집중력을 유지하기 어렵고, 익스텐디드 믹스로 오면서 노트 배치가 조금 까다롭게 바뀐 부분은 있다지만 난이도가 3단계나 뛰어오른 것은 과한 감이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6~7''')}}} || || [[Here in the Moment#s-2|Here in the Moment ~Extended Mix~]][br]{{{-3 CLAZZIQUAI}}} || || [[파일:Dream it_1.png|width=60]] ||<|2>기존 15레벨 최하위권 패턴이었기 때문에 개편 전 14레벨이 받는 9레벨이 되었으나 여전히 너무나도 쉽다는 평이 많다. 체감 레벨은 7도 과분하며 6레벨 정도로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6''')}}} || || [[Dream it]][br]{{{-3 V EXTENSION}}} || || [[파일:Hypernaid_1.png|width=60]] ||<|2>9레벨 최약체 Dream it보단 어렵지만 이 패턴도 9레벨에 맞는 패턴은 하나도 안 나온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7''')}}} || || [[Hypernaid]][br]{{{-3 V EXTENSION}}} || || [[파일:Silent Clarity_1.png|width=60]] ||<|2>SC 10레벨 이상쯤 되면 자기만의 킬링파트 구간이 하나 이상씩은 있기 마련이지만 이 곡은 그런 것도 없는데 그렇다고 압도적인 물량으로 승부를 보는 것도 아니다. 정박 기반이라 스코어링도 쉬운 편.[br]{{{-2 (체감 난이도 : SC 10 → '''9''')}}} || || [[Silent Clarity]][br]{{{-3 TECHNIKA TUNE&Q}}} || || [[파일:바람에게 부탁해 _Live Mix__1.png|width=60]] ||<|2>SC 난이도 개편 전 15레벨 최하위권 수준의 패턴이었음에도 개편 후 11레벨이 되었다. 사실상 10레벨로 내려가도 크게 이상하지 않은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 || || [[바람에게 부탁해 Live Mix|바람에게 부탁해 ~Live Mix~]][br]{{{-3 PORTABLE 1}}} || || [[파일:WONDER $LOT 777_1.png|width=60]] ||<|2>같은 12레벨 곡들과 비교하면 까다로운 연타가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노트 리딩이 어려운 것도 아니며, 딱히 확실한 퍼펙트 방지 구간이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체감 레벨은 11.[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1''')}}} || || [[WONDER $LOT 777]][br]{{{-3 V EXTENSION}}} || || [[파일:Deadly Bomber_1.png|width=60]] ||<|2>후반에 나오는 계단과 드르륵이 조금 까다롭지만 전체적인 구성은 SC 12레벨 중위권 수준이다. 그 후살만 조심하면 클리어링은 물론이고 맥스 콤보 역시 무난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Deadly Bomber]][br]{{{-3 V EXTENSION 4}}} || || [[파일:Grave Consequence_1.png|width=60]] ||<|2>밀도도 낮고 따닥이 연타를 제외하면 딱히 까다로운 요소도 없어 13레벨 치고는 쉽다. DPC 수상작으로 추가된 패턴인데, 제작자도 처음부터 11렙 정도의 난이도를 상정하고 본 패턴을 제작했다고 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Grave Consequence]][br]{{{-3 BLACK SQUARE}}} || || [[파일:!!New Game Start!!_1.png|width=60]] ||<|2>전반적으로 따닥이를 동반한 폭타가 주로 나오는데, 이것이 SC 14레벨 수준으로 처리하기 어렵진 않다. 후반으로 갈수록 밀도가 높아지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SC 14레벨 값은 못하는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 || || [[!!New Game Start!!]][br]{{{-3 V EXTENSION 4}}} || || [[파일:KICK IT_1.png|width=60]] ||<|2>퍼펙트 난이도가 높긴 하지만 14레벨 라인에 들 정도로 어렵지는 않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 || || [[KICK IT]][br]{{{-3 V EXTENSION 3}}} || || [[파일:Nihilism_1.png|width=60]] ||<|2>14레벨 치고는 임팩트가 너무 없다. 패턴도 중반의 드르륵 한 구간을 제외하면 클리어나 스코어링을 방해하는 요소도 딱히 없어 전체적으로 무난한 편이고 밀도도 그리 높지 않다. 위의 [[KICK IT]]과 체감 난이도가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고있는 물렙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 || || [[Nihilism/타사 리듬 게임 수록#s-1|Nihilism]][br]{{{-3 EZ2ON}}} || || [[파일:The Tune of the Azure Light ~Parang Remix~_1.png|width=60]] ||<|2>14레벨에 걸맞는 킬링 파트도 존재하지 않고 폭타도 그렇게 까다롭지 않다. BPM만 높지 14레벨 수준의 높은 처리력을 딱히 요구하지 않는 물렙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 || || [[The Tune of the Azure Light#s-2.3|The Tune of the Azure Light ~Parang Remix~]][br]{{{-3 MAPLESTOR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a8ff 25%, #cb71ff 75%)" {{{#white '''개인차'''}}}}}}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Super Lovely_1.png|width=60]] ||<|2>중간중간 쉬는 구간이 많이 존재하고 트릴도 길지만 단순한 편이라 트릴에 강한 유저라면 15레벨치고는 쉽게 느껴질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유저의 경우 15레벨 중~상위권 수준으로 어려워하기도 한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4~15''' / 개인차 요소 : '''트릴''')}}} || || [[Super Lovely]][br]{{{-3 Emotional S.}}} || || [[파일:Showtime_1.png|width=60]] ||<|2>퍼펙트를 제외한다면 스윙 리듬을 기반으로 한 즈레나 연타 빼곤 아무것도 없는 물렙이지만 퍼펙트 단계에서는 수시로 변박이 끼고 박자가 바뀌는 기준 자체가 없는 중반부 계단 파트 등 까다로운 부분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PERFECT : '''6▲''' / 개인차 요소 : '''즈레''')}}} || || [[Showtime(DJMAX)|Showtime]][br]{{{-3 PORTABLE 2}}} || || [[파일:Angelic Sphere_1.png|width=60]] ||<|2>초반 고속 계단 구간이 퍼펙트 플레이에 매우 큰 난점이지만 이후 구간은 뭐 없이 허전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8~9''' / PERFECT : '''11▲''' / 개인차 요소 : '''계단''')}}} || || [[Angelic Sphere]][br]{{{-3 Deemo}}} || || [[파일:Magnolia_1.png|width=60]] ||<|4>사이드 트랙을 응용한 패턴이 다수 나오는 패턴들로, 패턴 자체가 어려운 건 아니기 때문에 리딩만 할 수 있으면 9레벨 평균, 그렇지 못하다면 SC 10레벨급의 불렙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Magnolia는 롱노트, MASAI 리믹스는 연타가 강조된 패턴이기 때문에 둘 중 어느 곡이 더 어려운지에 대한 의견도 크게 갈리는 개인차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9 → '''9~10''' / 개인차 요소 : '''롱잡''')}}} || || [[Magnolia]][br]{{{-3 Deemo}}} || || [[파일:MASAI_Electro House Mix_1.png|width=60]] || || [[MASAI ~Electro House Mix~]][br]{{{-3 PORTABLE 3}}} || || [[파일:Secret Dejavu_1.png|width=60]] ||<|2>계단 패턴이 많이 등장하는데, 특히 초반부분의 1-2-3-4-3-2-1 부분에서 정확도를 깎아먹기 쉽다. 참고로 이 계단 패턴은 초반, 중반, 후반 총 3번 등장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PERFECT : '''10▲''' / 개인차 요소 : '''계단''')}}} || || [[Secret Dejavu]][br]{{{-3 RESPECT}}} || || [[파일:Electronics_1.png|width=60]] ||<|2>BPM이 낮으며 배치 자체도 평범한지만 문제는 초반부에 등장하는 매우 긴 16비트 3 4 트릴과 종반부에 등장하는 매우 긴 16비트 축연타, 그리고 중후반부 헷갈리는 사이드 배치. 트릴과 축연타가 매우 길게 이어져 중간에 틀리거나 판정이 꼬이기 매우 쉬워 트릴 / 따닥이 / 연타 처리력이 부족하면 크게 말리게 된다. 중후반부 사이드 배치 또한 집중해서 치지 않을 경우 사이드 노트를 놓치거나 키파트에서 틀릴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PERFECT : ? / 개인차 요소 : '''트릴 및 연타''')}}} || || [[Electronics]][br]{{{-3 CLAZZIQUAI}}} || || [[파일:Groove Prayer_1.png|width=60]] ||<|2>정박에서 떨어지는 매우 정직한 폭타 하나로만 난이도를 끌어올린 패턴. 이런 단순한 패턴 말고는 다른 뭐가 없기 때문에 SC 11레벨 하위권 혹은 10레벨 수준의 물렙으로 보는 시각이 많으나 그 폭타가 매우 길게 이어지는 데다가 은근히 밀도도 있어서 정렙 취급을 하는 사람도 있어 개인차가 꽤 존재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11''' / 개인차 요소 : '''폭타''')}}} || || [[Groove Prayer]][br]{{{-3 GROOVE COASTER}}} || || [[파일:Metagalactic_1.png|width=60]] ||<|2>중반 등장하는 부등호 끝에 연타를 끼워넣은 패턴이 유별나게 까다롭다. 기존에 많이 등장하지 않았던 양상의 패턴이기에 더더욱 그렇고, 통상 난이도 기준이라면 어느정도 뭉갤 수도 있으나 퍼펙트 난이도만큼은 12레벨이라기엔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 곡 내내 등장하는 따닥이도 피곤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2~13''' / PERFECT : '''13▲''' / 개인차 요소 : '''계단 및 연타''')}}} || || [[Metagalactic]][br]{{{-3 EZ2ON}}} || || [[파일:Stolen Memory_1.png |width=60]] ||<|2>곡의 중반까지는 무난하게 나오다가 가속이 된 이후부터 급격하게 어려워진다. 특히 후반에 다그닥 구간이 꽤나 까다로워 스코어링을 크게 방해한다. 다만 이 후살에 유저마다 개인차가 있어 SC 13레벨 수준의 불렙이라는 의견과 SC 12레벨을 벗어날 수준은 아닌 12레벨 상위권 정도의 정렙이라는 의견이 공존하고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2~13''' / 개인차 요소 : '''변속''')}}} || || [[Stolen Memory]][br]{{{-3 V EXTENSION 4}}} || || [[파일:Won't Back Down_1.png|width=60]] ||<|2>패턴 전체가 고속 계단으로 도배되어 있고, 후반에는 2겹 부등호 계단이 등장하기 때문에 스코어링 및 퍼펙트 난이도가 극악으로 치솟는다. 실질적인 패턴의 난이도는 그리 높지 않으나 퍼펙트 난이도만큼은 SC 15의 보스곡들을 능가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PERFECT : '''14~15▲''' / 개인차 요소 : '''계단''')}}} || || [[Won't Back Down]][br]{{{-3 V EXTENSION 2}}} || || [[파일:Gone Astray_1.png|width=60]] ||<|2>후살 원툴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후살 이전까지는 너무나도 잔잔한 패턴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비비기가 잘 통하는 4버튼 특성상 풀콤보 이하 난이도에서는 타 SC 14 곡들보다 확실히 쉽다는 평을 받는다. 다만 퍼펙트 난이도를 보면 물렙은 커녕 SC 14를 넘어서 SC 15를 할당받은 보스곡들과 비교될 정도로 까다롭다고 평가받기에 주의해야 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14''' / PERFECT : '''14~15▲''' / 개인차 요소 : '''계단''')}}} || || [[Gone Astray]][br]{{{-3 PORTABLE 3}}} || || [[파일:Bright Future_1.png|width=60]] ||<|2>오직 연타만으로 난이도를 올린 패턴인지라 개인차가 상당히 갈린다. 연타에 강하다면 풀콤보/퍼펙트 난이도에서 13레벨에 준할 정도로 쉽게 느껴질 수 있지만, 반대로 연타에 약하다면 3연타 계단 때문에 좌절하기 쉽다. 이 때문에 15레벨 급으로 체감하는 유저들도 상당히 많은 편.[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15''' / 개인차 요소 : '''연타''')}}}|| || [[Bright Future]][br]{{{-3 V EXTENSION 3}}} || || [[파일:In my Dream_1.png|width=60]] ||<|2>곡 특유의 개박과 후살 연타 때문에 맥스 콤보 및 퍼펙트 난이도는 쉽지 않아 14레벨에 적절하지만, 그 외의 전반적인 요소는 14레벨 수준에 미치지 못하여 클리어 측면에서 물렙으로 여기는 유저들도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14''' / 개인차 요소 : '''계단, 연타''')}}}|| || [[In my Dream(DJMAX)|In my Dream]][br]{{{-3 BLACK SQUARE}}} || || [[파일:Love.Game.Money_1.png|width=60]] ||<|2>중반까지는 무난하지만, [[Garakuta Doll Play/타사 리듬 게임 수록|Garakuta Doll Play]]를 연상시키는 후살 연타 구간이 걸림돌이다. 리딩 난이도 자체는 매우 낮지만 연타 지속 시간이 매우 길고, 마지막에는 3동시치기 연타까지 내려와 난이도가 급상승. 위의 Bright Future와 더불어 연타 처리력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큰 폭으로 갈리는 패턴이다. [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4~15''' / 개인차 요소 : '''연타''')}}} || || [[Love.Game.Money]][br]{{{-3 V EXTENSION 4}}} || || [[파일:ouroboros_1.png|width=60]] ||<|2>초반의 겹연타 배치가 까다로워 웬만한 겹연타는 처리하더라도 해당 겹연타는 치지 못하는 유저들이 많고, 최후반부의 24비트 트릴은 퍼펙트 플레이를 달성하려는 유저들을 좌절시키기 충분한 요소. 다만 초반부만 넘기면 중반부는 거의 무난한 폭타의 연속이고, 24비트 트릴 또한 100%로 처리하기를 포기한다면 가볍게 뭉개서 넘어갈 수 있기에 단순 클리어링이나 99%까지의 스코어링은 무난한 편.[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4 / PERFECT : '''15''' / 개인차 요소 : '''연타, 트릴''')}}}|| ||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타사 리듬 게임 수록/DJMAX RESPECT & V|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br]{{{-3 GROOVE COASTER}}} || || [[파일:Daylight_1.png|width=60]] ||<|2>개인차 논쟁에서 절대 빠지지 않는 논란의 중심 패턴. 쉴 새 없이 떨어지는 따닥이와 중간중간 떨어지는 복잡한 패턴 때문에 [[HAMSIN]] SC와 동급 혹은 더 어렵다고 느끼거나 심할 경우 [[Nightmare(DJMAX)|Nightmare]] SC 보다도 어려워하는 사람이 있지만 따닥이 연타 패턴에 딱히 약하지 않은 사람 입장에서는 13-14레벨 수준으로 쉽게 느끼기도 한다. 대체적으로는 14레벨과 15레벨 사이 어딘가에 있는 수준이라는 평이며, 현재 15레벨 최약체 곡으로 분류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SC 15레벨급 물량을 가진 [[Bright Future]], [[Ventilator]], [[We're All Gonna Die]], [[Zeroize]] 등의 패턴이 SC 14레벨에 꽤 추가되면서 평균적인 패턴 수준이 조금 더 올라갔기에 Daylight가 확실한 물렙이라는 평가가 훨씬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br]{{{-2 (체감 난이도 : SC 15 → '''14▼~15''' / 개인차 요소 : '''따닥이 연타''')}}}|| || [[Daylight(DJMAX)|Daylight]][br]{{{-3 RESPECT}}} || == 5B TU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fa5c8, #2fa5c8, #2d5a74, #32264c)" {{{#white '''5B TU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da9a9 25%, #ff6262 75%)" {{{#white '''불렙곡'''}}}}}}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OBLIVION_1.png|width=60]] ||<|2>이 레벨대에서 보기 힘든 레이저가 등장하는데다 레이저 머리에 동시치기가 붙고, 사이에 롱노트가 끼는 등 7레벨치고 너무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NM 7 → '''9▲''')}}} || || [[OBLIVION]][br]{{{-3 PORTABLE 1}}} || || [[파일:A.I_1.png|width=60]] ||<|4>레벨대에 맞는 열화가 전혀 되어있지 않은 패턴. 체감 난이도는 11~12쯤으로 여겨진다.[br]{{{-2 (체감 난이도 : NM 8 → '''11▲''')}}} || || [[A.I(DJMAX)|A.I]][br]{{{-3 PORTABLE 1}}} || || [[파일:We're All Gonna Die_1.png|width=60]] || || [[We're All Gonna Die]][br]{{{-3 RESPECT}}} || || [[파일:Space Challenger_1.png|width=60]] ||<|2>3번 레이저는 기본에 2334, 2433, 2333 등 각종 변형 레이저까지 끼어드는 매우 까다로운 패턴.[br]{{{-2 (체감 난이도 : HD 8 → '''10▲''')}}} || || [[Space Challenger]][br]{{{-3 V EXTENSION}}} || || [[파일:Deadly Bomber_1.png|width=60]] ||<|2>이 레벨대에서 보기 힘든 레이저가 등장하고 지저분한 박자를 통해 판정도 많이 갈리게 만드는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9 → '''11''')}}} || || [[Deadly Bomber]][br]{{{-3 V EXTENSION 4}}} || || [[파일:Emblem_1.png|width=60]] ||<|2>오직 후반에 등장하는 레이저 하나로만으로도 체감 난이도가 수직상승하는 미친 패턴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12레벨급으로도 체감할 수 있는 불렙.[br]{{{-2 (체감 난이도 : HD 9 → '''11▲''')}}}|| || [[Emblem]][br]{{{-3 TECHNIKA 3}}} || || [[파일:Fentanest_1.png|width=60]] ||<|2>5버튼 특유의 3번 라인 응용 패턴은 전혀 없지만 폭타가 지나치게 복잡하고 길다. [br]{{{-2 (체감 난이도 : HD 9 → '''11''')}}} || || [[Fentanest]][br]{{{-3 PORTABLE 2}}} || || [[파일:Temple of Time (EDM ver.)_1.png|width=60]] ||<|2>전체적인 동시치기의 난이도가 꽤 상당하다.[br]{{{-2 (체감 난이도 : HD 9 → '''10~11''')}}} || || [[Temple of Time#s-3.5|Temple of Time (EDM ver.)]][br]{{{-3 MAPLESTORY}}} || || [[파일:Dream of You_1.png|width=60]] ||<|12>10레벨 HD 불렙 라인업. 사람에 따라 13레벨 수준으로 체감할 수도 있는 불렙 패턴들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2~13''')}}}|| || [[Dream of You(DJMAX)|Dream of You]][br]{{{-3 PORTABLE 2}}} || || [[파일:Dysthymia_1.png|width=60]] || || [[Dysthymia]][br]{{{-3 MUSE DASH}}} || || [[파일:Enter The Universe_1.png|width=60]] || || [[Enter The Universe]][br]{{{-3 RESPECT}}} || || [[파일:Frontline_1.png|width=60]] || || [[Frontline(소녀전선)|Frontline]][br]{{{-3 GIRLS' FRONTLINE}}} || || [[파일:SON OF SUN Extended Mix_1.png|width=60]] || || [[SON OF SUN (Extended Mix)|SON OF SUN ~Extended Mix~]][br]{{{-3 TECHNIKA}}} || || [[파일:Thor Extended Mix_1.png|width=60]] || || [[Thor#s-2|Thor ~Extended Mix~]][br]{{{-3 TECHNIKA 2}}} || || [[파일:StarFish_1.png|width=60]] ||<|2>등장하는 동시치기와 폭타의 밀도가 10레벨 수준이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1~12''')}}} || || [[StarFish]][br]{{{-3 PORTABLE 2}}} || || [[파일:Thor (Deepin' Absonant Mix)_1.png|width=60]] ||<|2>하이라이트 폭타 구간은 10레벨에 비하면 심하게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1▲''')}}} || || [[Thor (Deepin' Absonant Mix)]][br]{{{-3 TECHNIKA TUNE&Q}}} || || [[파일:Back to the oldschool_1.png|width=60]] ||<|2>11레벨 치고는 전체적으로 밀도도 높고 패턴도 복잡하다. 11레벨 수준의 러너에겐 리딩부터 지옥일 정도의 불렙.[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13''')}}}|| || [[Back to the oldschool]][br]{{{-3 V EXTENSION 4}}} || || [[파일:Lights of Muse_1.png|width=60]] ||<|2>패턴 구성부터 적어도 12레벨 수준이다. 게다가 BPM도 매우 높고, 트릴도 11레벨에 맞는 수준의 열화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아 트릴에 약할 경우 체감 난이도가 13레벨까지 치솟을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13''')}}}|| || [[Lights of Muse]][br]{{{-3 MUSE DASH}}} || || [[파일:Lover CE Style_1.png|width=60]] ||<|2>초반부 레이저만 나오는 구간, 두 번 걸쳐 나오는 양 손 4연타가 매우 까다로운 패턴. 중간중간 폭타도 떨어지기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매우 높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13''')}}} || || [[Lover(DJMAX)#s-6.1|Lover (CE Style)]][br]{{{-3 CLAZZIQUAI}}} || || [[파일:Mind Control_1.png|width=60]] ||<|2>중간 기타 리프 파트에 레이저가 끼어들고, 후반엔 3번을 축으로 하는 동시치기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서 헷갈림을 유발한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13''')}}}|| || [[Mind Control(DJMAX)|Mind Control]][br]{{{-3 TRILOGY}}} || || [[파일:NB Rangers -Returns-_1.png|width=60]] ||<|2>곡 두 번에 걸쳐 다그닥 리듬으로 떨어지는 복합 동시치기는 표기 레벨에 비해 너무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13''')}}}|| || [[NB Rangers -Returns-]][br]{{{-3 PORTABLE 2}}} || || [[파일:The Obliterator_1.png|width=60]] ||<|2>트릴을 동반한 까다로운 폭타가 많이 등장하고, 후반의 동시치기도 11레벨에 비하면 어려운 편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13''')}}}|| || [[The Obliterator]][br]{{{-3 RESPECT}}} || || [[파일:SQUEEZE_1.png|width=60]] ||<|2>5버튼 특유의 3번 라인이 섞이는 폭타가 자주 섞이는 패턴으로 가변에 능숙해도 어렵다 평가받는 불렙.[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 || [[SQUEEZE(DJMAX)|SQUEEZE]][br]{{{-3 PORTABLE 2}}} || || [[파일:FEAR_1.png|width=60]] ||<|8>아래의 [[Higher]] 만큼은 아니지만 13레벨 중상위권은 거뜬히 들어갈만한 MX 불렙 패턴들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2 → '''13''')}}}|| || [[FEAR(DJMAX)|FEAR]][br]{{{-3 PORTABLE 1}}} || || [[파일:Fury_1.png|width=60]] || || [[Fury(DJMAX)|Fury]][br]{{{-3 TECHNIKA}}} || || [[파일:HEXAD_1.png|width=60]] || || [[HEXAD]][br]{{{-3 TECHNIKA}}} || || [[파일:SuperSonic_1.png|width=60]] || || [[SuperSonic(DJMAX)|SuperSonic]][br]{{{-3 TECHNIKA}}} || || [[파일:Higher_1.png|width=60]] ||<|2>패드에서는 중지-약지로 비벼야 하는 계단 처리가 상대적으로 쉬워 개인차 패턴으로 평가받았으나, 일일이 다 쳐야 하는 키보드에서는 명백한 불렙.[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3~14''')}}}|| || [[Higher]][br]{{{-3 PORTABLE 2}}} || || [[파일:Cthugha_1.png|width=60]] ||<|8>위의 [[Higher]] 만큼은 아니지만 13레벨 중상위권은 거뜬히 들어갈만한 HD 불렙 패턴들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3''')}}}|| || [[Cthugha]][br]{{{-3 MUSE DASH}}} || || [[파일:LIMBO_1.png|width=60]] || || [[LIMBO(EZ2ON)|LIMBO]][br]{{{-3 EZ2ON}}} || || [[파일:PUPA_1.png|width=60]] || || [[PUPA/리듬 게임 수록/DJMAX RESPECT V|PUPA]][br]{{{-3 MUSE DASH}}} || || [[파일:SIN _The Last Scene__1.png|width=60]] || || [[SIN ~The Last Scene~]][br]{{{-3 PORTABLE 1}}} || || [[파일:Electronics_1.png|width=60]] ||<|8>언급은 적지만 아래의 [[HAMSIN]] MX와 [[Road Of Death]] HD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14레벨급 불렙들이다. [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Electronics]][br]{{{-3 CLAZZIQUAI}}} || || [[파일:Emerge_1.png|width=60]] || || [[Emerge]][br]{{{-3 V EXTENSION 3}}} || || [[파일:Misty E'ra 'Mui'_1.png|width=60]] || || [[Misty E'ra 'Mui']][br]{{{-3 V EXTENSION 3}}} || || [[파일:NB RANGERS - 운명의 Destiny_1.png|width=60]] || || [[NB RANGERS - 운명의 Destiny]][br]{{{-3 V EXTENSION 3}}} || || [[파일:HAMSIN_1.png|width=60]] ||<|2>곡 전체적으로 5버튼 특유의 가변을 요구하는 3번 라인이 섞인 트릴이 마구 떨어지는 패턴으로, Road Of Death HD가 워낙 임펙트가 강력한 초반 패턴으로 인해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로오데 이상으로 느낄만한 불렙.[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HAMSIN]][br]{{{-3 PORTABLE 1}}} || || [[파일:Road Of Death_1.png|width=60]] ||<|2>초반에 등장하는 레이저와 중반의 폭타만 봐도 절대 13레벨이라고는 납득할 수 없는 어려운 난이도를 보여준다. 초견 플레이 시에는 체감 난이도가 특히나 더 상승한다.[br]{{{-2 (체감 난이도 : HD 13 → '''14▲''')}}}|| || [[Road Of Death]][br]{{{-3 PORTABLE 1}}} || || [[파일:Disappearing Act_1.png|width=60]] ||<|2>꾸준히 떨어지는 밀도 높은 동시치기가 14레벨 치고는 어렵다는 평이 많다. [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 [[Disappearing Act]][br]{{{-3 V EXTENSION 3}}} || || [[파일:Hell'o_1.png|width=60]] ||<|2>패턴 전반적으로 3번 레인 가변을 많이 요구하고 후반으로 갈수록 밀도도 점점 높아져서 아래의 [[Vertical Eclipse]] MX보다는 덜하지만 15레벨 수준은 충분히 된다는 의견이 많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 [[Hell'o]][br]{{{-3 V EXTENSION 4}}} || || [[파일:In my Dream_1.png|width=60]] ||<|2>같은 곡의 SC 패턴과 난이도 차이가 거의 없는 15레벨급 불렙 패턴. 박자는 고사하고 처리력부터 높은 수준으로 요구하며 패드로는 처리하기 불합리한 패턴도 존재한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In my Dream(DJMAX)|In my Dream]][br]{{{-3 BLACK SQUARE}}} || || [[파일:Vertical Eclipse_1.png|width=60]] ||<|2>등장하는 폭타가 14레벨 수준이 아니다. 밀도도 높고 폭타에 레이저가 섞인 경우가 많아 안 그래도 까다로운데 후반에는 이러한 폭타가 매우 길게 이어지기 때문에 처리력이 부족한 유저의 경우 폭사하기도 쉽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 [[Vertical Eclipse]][br]{{{-3 V EXTENSION 4}}} || || [[파일:Zeroize_1.png|width=60]] ||<|2>레이저로 시작해 모든 레인에 떨어지는 후반 연타 구간은 절대 14레벨 수준이 아니며, 곡 전체적으로 밀도 자체는 그렇게 높진 않지만 특유의 박자 때문에 스코어링 역시 매우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 [[Zeroize]][br]{{{-3 EZ2ON}}} || || [[파일:너랑 있으면_1.png|width=60]] ||<|2>헷갈리는 롱잡 패턴이 있어 3레벨 치고는 리딩과 처리가 매우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3 → '''4''')}}} || || [[너랑 있으면]][br]{{{-3 RESPECT}}} || || [[파일:Access_1.png|width=60]] ||<|2>패턴 구성도 복잡하고 노트 밀도도 높다. 체감 레벨은 5.[br]{{{-2 (체감 난이도 : SC 4 → '''5''')}}} || || [[Access(DJMAX)|Access]][br]{{{-3 TECHNIKA}}} || || [[파일:Hello Pinky_1.png|width=60]] ||<|2>초반부 1+3+5-554 따닥이나 레이저 응용 패턴 등등 까다로운 패턴이 지속적으로 나온다. 구 15레벨 체계 시절 적정 레벨임에도 하향당했던 저평가의 영향으로 개편 후 레벨도 불렙이 되어버렸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5''')}}} || || [[Hello Pinky]][br]{{{-3 PORTABLE 2}}} || || [[파일:Brave it Out_1.png|width=60]] ||<|2>정박에서 나오는 정직한 패턴이지만 5레벨이라기엔 물량도 꽤 있고 가변도 생각보다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6레벨에 더 적합한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6''')}}} || || [[Brave it Out]][br]{{{-3 PORTABLE 2}}} || || [[파일:Charming World_1.png|width=60]] ||<|2>중반 빌드업 구간에 등장하는 가변을 활용해야 하는 계단 구간이 상당히 어렵다. 저레벨대 패턴에서는 거의 안 나오는 패턴이기에 더더욱 당황할만한 패턴. 다만 해당 구간을 제외하면 뭐 없이 허전하긴 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7''')}}}|| || [[Charming World]][br]{{{-3 V EXTENSION 3}}} || || [[파일:Luv Flow_Funky House Mix_1.png|width=60]] ||<|2>사이드 트랙이 꽤 난해하게 등장하고 손꼬임을 쉽게 유발하는 연타도 등장해 표기 난이도에 비해 어려운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7''')}}} || || [[Luv Flow ~Funky House Mix~]][br]{{{-3 PORTABLE 3}}} || || [[파일:아침형 인간_1.png|width=60]] ||<|2>아침형 인간 답게 뇌정지를 유발하기 좋은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아침형 인간(DJMAX)|아침형 인간]][br]{{{-3 PORTABLE 1}}} || || [[파일:Angelic+Tears_1.png|width=60]] ||<|2>중반부 [[OBLIVION ~Rockin' Night Style~|오블락]] 트릴 직후 24비트 왕복 계단이 7레벨치고는 지나치게 어렵다. 체감 레벨은 8레벨 상위권.[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Angelic layer|Angelic Tears]][br]{{{-3 RESPECT}}} || || [[파일:Move Yourself_1.png|width=60]] ||<|2>밀도 높은 폭타와 레이저는 물론이고 특유의 고속 트릴까지 등장해 7레벨에는 맞지 않는 불렙으로 꼽힌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Move Yourself]][br]{{{-3 V EXTENSION}}} || || [[파일:My Jealousy_1.png|width=60]] ||<|2>후반에 따닥이 연타에 수시로 끼어드는 즈레가 매우 까다롭다. 이 때문에 통상 난이도로는 최소 8레벨 이상급이며, 퍼펙트 기준으로는 체감 난이도가 더더욱 높아질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My Jealousy]][br]{{{-3 TRILOGY}}} || || [[파일:Can We Talk_1.png|width=60]] ||<|2>지력을 많이 요구하는 체력곡. 체감 난이도는 9레벨 정도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Can We Talk]][br]{{{-3 PORTABLE 1}}} || || [[파일:Festa Nova_1.png|width=60]] ||<|2>변속이 존재하고 BPM 폭이 매우 크다. 고레벨 패턴이었다면 개인차 영역이라고 넘어갈 수 있겠으나, 8 정도의 중저레벨 패턴에서는 작은 변속도 걸림돌이 될 수 있는데 변속이 지나치게 크다는 점, 가속 구간 직후 감속에서는 배속 컨트롤 타이밍을 잡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8레벨 중에서는 매우 어려운 패턴이라고 평가받는다. 체감 난이도는 개인차를 배제한다면 9레벨 상~최상위권으로 분류되나 개인차가 밑도 끝도 없는 변속곡 특성상 10레벨 이상으로 여길 여지도 충분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Festa Nova]][br]{{{-3 TECHNIKA TUNE&Q}}} || || [[파일:Fly Away_1.png|width=60]] ||<|2>전반적으로 밀도도 높고 가변을 요구하는 구간 역시 존재한다. 동레벨대의 폭타 패턴들이 [[End of the Moonlight]], [[Lover(DJMAX)#s-2|Lover (BS Style)]]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명백한 불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Fly Away]][br]{{{-3 RESPECT}}} || || [[파일:StarFish_1.png|width=60]] ||<|2>롱잡을 비롯한 까다로운 패턴들이 초반부터 계속 떨어지다가 최후반 구간에서 대미를 장식한다. 체감상 9레벨 이상인 불렙.[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StarFish]][br]{{{-3 PORTABLE 2}}} || || [[파일:Landscape_1.png|width=60]] ||<|2>구 15레벨 체계 시절에도 불렙이라고 평가받았으나 SC 레벨 개편 시점에서 레벨 조정이 덜 된 패턴. 체감 난이도는 10~11정도로 여겨진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Landscape]][br]{{{-3 TECHNIKA}}} || || [[파일:Right Back_1.png|width=60]] ||<|2>레이저와 가변을 강제하는 패턴이 주요 패턴이기 때문에 개인차를 조금 탈 수는 있어도 일단은 9레벨 치고는 확실히 어려운 패턴으로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Right Back]][br]{{{-3 TECHNIKA 3}}} || || [[파일:SuperSonic_1.png|width=60]] ||<|2>후반부 3~4중 불규칙 동시치기가 너무 어렵다. 사이사이 가변을 유도하는 연타나 숏트릴도 난이도를 높이는 요소로, 최소 10레벨에서 11레벨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11''')}}} || || [[SuperSonic(DJMAX)|SuperSonic]][br]{{{-3 TECHNIKA}}} || || [[파일:Syriana Blast Wave Mix_1.png|width=60]] ||<|2>전반적으로 밀도도 높은 편이고 중후반부의 롱노트+동시치기와 사이드 구간이 꽤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Syriana#s-2|Syriana ~Blast Wave Mix~]][br]{{{-3 TRILOGY}}} || || [[파일:It's my war now_1.png|width=60]] ||<|2>두 군데에 맥스 콤보 방지구간을 세게 걸어놓은 패턴. 특히 후반부 234-15 약중트릴이 매우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It's my War Now]][br]{{{-3 NEXON}}} || || [[파일:Celestial Tears_1.png|width=60]] ||<|2>밀도 높은 겹폭타, 연타가 꾸준히 들어오는 패턴. 체감 난이도는 11레벨 평균 정도로 여겨진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Celestial Tears]][br]{{{-3 RESPECT}}} || || [[파일:Showdown_1.png|width=60]] ||<|2>시종일관 등장하는 따닥이를 동반한 괴배치의 폭타와 중반부 사이드 + 엇박 잡노트를 동반한 롱잡이 손을 괴롭게 만든다. 뿐만 아니라 초중반 갑작스런 24비트 기타속주 구간 때문에 판정을 맞추기도 쉽지 않은 편. 따닥이 처리력을 감안해도 전반적인 노트 배치와 밀도가 동레벨대와 비교하면 상당히 난해하다. 레벨 개편 이후 비슷한 난이도로 평가받는 라캄이나 더원 같은 곡들은 11로 책정되었지만 이 곡은 10으로 할당되면서 여전히 불렙으로 남게 되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Showdown(DJMAX)|Showdown]][br]{{{-3 TECHNIKA 3}}} || || [[파일:Techno Racer_1.png|width=60]] ||<|2>중반부 사이드 발광 파트는 1, 5번 노트가 계속 끼고, 후살은 빌드업 단계에서 폭타 사이 4비트 간격으로 1+3+5 동시치기나 [[Road Of Death|1번 축에 계단]]이 붙어 좌우 33 가변 배치로도 처리하기 어려운 패턴이다. 체감 난이도는 패턴 숙지가 안 됐다면 12까지도 오른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Techno Racer]][br]{{{-3 RESPECT}}} || || [[파일:Vertical Floating_1.png|width=60]] ||<|2>처리하기 힘든 원핸드 연타, 레이저, 밀도 높은 폭타, 빠른 계단, 변형 트릴 등 곡 전체적으로 까다로운 구간이 너무나도 많다. 체감 레벨은 최소 11레벨 상위권에서 12레벨 수준까지도 올라갈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2''')}}} || || [[Vertical Floating]][br]{{{-3 V EXTENSION 2}}} || || [[파일:Waiting for you_1.png|width=60]] ||<|2>가변을 유도하는 패턴 구조와 깜빡이 없이 끼어드는 레이저 및 무규칙한 동시치기 패턴까지, 5버튼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라면 체감 난이도가 한없이 올라갈 수 있는 불렙곡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Waiting for you(DJMAX)|Waiting for you]][br]{{{-3 RESPECT}}} || || [[파일:Misty E'ra 'Mui'_1.png|width=60]] ||<|2>2-1 트릴만 쓰는 오블락도 12인데 11레벨이면서 3-1, 4-1 트릴까지 나온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후반부에는 원핸드 나선계단+반대편 3중 동시치기까지 나오는 등 도무지 11레벨이라고 볼 수 없는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3''')}}}|| || [[Misty E'ra 'Mui']][br]{{{-3 V EXTENSION 3}}} || || [[파일:OBLIVION_1.png|width=60]] ||<|2>계단 사이에 동시치기나 연타가 섞이는 초반부가 매우 어렵다. 계단을 치던 도중 3번 라인을 담당하는 배치를 바꿔야 한다는 점, 5B 특유의 난해한 계단 처리법 때문에 난이도가 크게 올라가며, 후반부에는 고밀도 동시치기 폭타와 32비트 계단 직후 12 동시치기와 5번 4연타가 나오는 등 11레벨에서는 지나치게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 [[OBLIVION]][br]{{{-3 PORTABLE 1}}} || || [[파일:Minimal Life_1.png|width=60]] ||<|2>각종 괴악한 연타와 겹트릴이 섞이며, 비슷한 밀도와 패턴이 계속 나와 손이 피로해지기 쉽고 랜덤으로 난이도를 낮추기도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 [[Minimal Life]][br]{{{-3 PORTABLE 1}}} || || [[파일:The One_1.png|width=60]] ||<|2>초반부터 등장하는 연타 및 동시치기 패턴과 후반의 롱노트 패턴까지, 스코어링 및 맥스 콤보 난이도를 높이는 요소들이 너무나도 많다. 기존 14레벨이었고 이후 기존 15레벨 중위 패턴이 배정받았던 11레벨로 배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불렙으로 평가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 [[The One(DJMAX)|The One]][br]{{{-3 TRILOGY}}} || || [[파일:Thor (Deepin' Absonant Mix)_1.png|width=60]] ||<|2>후살 전까지의 패턴이 쉬운 걸 감안해서 11레벨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걸 감안하더라도 겹계단과 연타가 섞여있는 후살의 순간 난이도가 너무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 [[Thor (Deepin' Absonant Mix)]][br]{{{-3 TECHNIKA TUNE&Q}}} || || [[파일:VORTEX_1.png|width=60]] ||<|2>계속 손을 바꿔줘야 처리가 편한 5버튼식 겹계단에 연타가 끼어들며 상당한 처리력을 요구하고, 군데군데 나오는 왕복 고속 계단이 스코어링을 방해한다. 후반 롱잡 또한 절대 만만하지 않은 12레벨급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 [[VORTEX(DJMAX)|VORTEX]][br]{{{-3 TECHNIKA TUNE&Q}}} || || [[파일:Beyond Yourself_1.png|width=60]] ||<|2>표기 레벨에 비해 중반부가 너무 어렵다. 중반부 돌입 직후에는 14레벨인 [[DARK ENVY]]에서 나오는 나선계단+2/1 동시치기가 나오고, 중간에 한번 끊고 난 뒤에는 15레벨인 [[Ikazuchi]]에서나 나오던 3중 동시치기 섞인 폭타까지 섞인다. 랜덤을 걸면 난이도가 떨어지기는 하나 그마저도 121 등 부등호 숏트릴이 이리저리 마구 끼어 리딩이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 [[Beyond Yourself]][br]{{{-3 RESPECT}}} || || [[파일:Emerge_1.png|width=60]] ||<|2>순간적으로 까다로워지는 부분이 꽤 많다. 특히 가변을 요구하는 구간도 많아 5버튼 숙련도 또한 요구되며, 노트 수가 적어 스코어링 역시 쉽지 않다. 최후반의 계단 발광은 이 패턴에서 가장 어려운 구간으로 도저히 12레벨 수준이라고는 볼 수 없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 [[Emerge]][br]{{{-3 V EXTENSION 3}}} || || [[파일:Ruti'n Remix_1.png|width=60]] ||<|2>드랍 구간에서 순간 밀도가 높은 동시치기 패턴들이 우수수 떨어지면서 동시에 가변 응용력까지 요구해 패턴을 읽어내는 것 자체부터가 쉽지 않다. 패턴 구성 자체는 SC 13레벨인 Plasma Sphere의 상위 호환이지만 문제는 이 패턴은 12레벨로 책정되었다는 점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Ruti'n#s-2|Ruti'n (GOTH Wild Electro Remix)]][br]{{{-3 RESPECT}}} || || [[파일:Road Of Death_1.png|width=60]] ||<|2>초반부 13-5 트릴에 수시로 끼는 중지-약지 트릴 낀 복합 계단에 후반부 동시치기까지 작정하고 어려운 패턴만 끼워넣은 수준으로, 쉬는 구간까지 따닥이가 수시로 나와 체력과 처리력의 요구치가 매우 높은 5버튼 준최상위권 패턴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하프 랜덤 옵션을 적용하면 난이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SC 14레벨에 이 곡 이상으로 랜덤에 취약한 패턴들이 존재하기에 13으로 보기에는 매우 어려운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4''')}}} || || [[Road Of Death]][br]{{{-3 PORTABLE 1}}} || || [[파일:Stolen Memory_1.png |width=60]] ||<|2>다른 버튼과는 다르게 5B에서는 초중반 구간부터 쉽지 않다. 가속이 되기 전부터 계속 까다로운 패턴이 골고루 나오며, 다그닥부터 이어지는 후살은 선을 한참 넘었다. 가변을 요구하면서도 변속과 특유의 패턴 때문에 쉽게 가변을 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에 SC 13레벨은 말도 안 되고, 일부 유저들의 경우 SC 15레벨 수준이라고까지 평할 정도의 엄청난 불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4▲''')}}} || || [[Stolen Memory]][br]{{{-3 V EXTENSION 4}}} || || [[파일:Weaponize_1.png|width=60]] ||<|2>연타가 너무 많이 나온다. 특히 중간중간 양손 연타가 강제되는 구간도 있어 13레벨로 보기엔 너무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4''')}}} || || [[Weaponize]][br]{{{-3 V EXTENSION 4}}} || || [[파일:XLASHER_1.png|width=60]] ||<|2>랜덤이 통한다는 걸 감안하더라도 패턴 구성이 너무 복잡하다. 특히 정배로는 노래 시작부터 끝까지 데님 섞인 숏트릴만 떨어지는 명백한 불렙.[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4''')}}} || || [[XLASHER]][br]{{{-3 TECHNIKA 2}}} || || [[파일:Disappearing Act_1.png|width=60]] ||<|2>중반부 패턴화하기 어려운 3, 4중 동시치기+X자 패턴을 섞은 폭타부터 난이도가 확 올라간다. 5B 특유의 가변 요구가 거의 없는 순수 지력패턴이라 지력 수준이 매우 높다면 체감 난이도가 떨어질 수는 있으나 14레벨로 보기엔 너무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5''')}}} || || [[Disappearing Act]][br]{{{-3 V EXTENSION 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abeff 25%, #5993ff 75%)" {{{#white '''물렙곡'''}}}}}}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Lost Temple_1.png|width=60]] ||<|2>너무나도 기초적인 패턴만 나와 전혀 어렵지 않다. 이것보다 더 어려운 6B MX도 10레벨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0''')}}} || || [[Lost Temple(DJMAX)|Lost Temple]][br]{{{-3 V EXTENSION}}} || || [[파일:BLACK GOLD_1.png|width=60]] ||<|10>12레벨 HD 물렙 라인업. 모두 12레벨에 비해 부족하여 11레벨로 내려가도 이상하지 않은 패턴들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1''')}}} || || [[BLACK GOLD]][br]{{{-3 V EXTENSION}}} || || [[파일:Garakuta Doll Play_1.png|width=60]] || || [[Garakuta Doll Play/타사 리듬 게임 수록#s-9|Garakuta Doll Play]][br]{{{-3 CHUNITHM}}} || || [[파일:glory day (Mintorment Remix)_1.png|width=60]] || || [[glory day (Mintorment Remix)]][br]{{{-3 RESPECT}}} || || [[파일:Mammal_1.png|width=60]] || || [[Mammal]][br]{{{-3 Cytus}}} || || [[파일:Memory of Beach_1.png|width=60]] || || [[Memory of Beach]][br]{{{-3 PORTABLE 1}}} || || [[파일:Get Jinxed_1.png|width=60]] ||<|8>12레벨 MX 물렙 라인업. 모두 12레벨에 비해 부족하여 11레벨로 내려가도 이상하지 않은 패턴들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2 → '''11''')}}} || || [[Get Jinxed]][br]{{{-3 RESPECT}}} || || [[파일:POPSTARS_1.png|width=60]] || || [[POP/STARS]][br]{{{-3 RESPECT}}} || || [[파일:Reminiscence_1.png|width=60]] || || [[Reminiscence(테일즈위버)|Reminiscence]][br]{{{-3 NEXON}}} || || [[파일:Ververg_1.png|width=60]] || || [[Ververg]][br]{{{-3 Cytus}}} || || [[파일:Angelic Sphere_1.png|width=60]] ||<|14>13레벨 MX 물렙 라인업. 모두 13레벨에 비해 부족하여 12레벨로 내려가도 이상하지 않은 패턴들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2''')}}} || || [[Angelic Sphere]][br]{{{-3 Deemo}}} || || [[파일:Deborah_1.png|width=60]] || || [[Deborah]][br]{{{-3 TECHNIKA TUNE&Q}}} || || [[파일:EGG_1.png|width=60]] || || [[EGG(DJMAX)|EGG]][br]{{{-3 TECHNIKA 3}}} || || [[파일:Les Parfums de L'Amour_1.png|width=60]] || || [[Les Parfums de L'Amour]][br]{{{-3 Cytus}}} || || [[파일:Miles_1.png|width=60]] || || [[Miles]][br]{{{-3 PORTABLE 2}}} || || [[파일:The Guilty_1.png|width=60]] || || [[The Guilty]][br]{{{-3 TECHNIKA 2}}} || || [[파일:XLASHER_1.png|width=60]] || || [[XLASHER]][br]{{{-3 TECHNIKA 2}}} || || [[파일:AD2222_1.png|width=60]] ||<|2>원래 13레벨이었지만 1.22 패치에서 14레벨로 상향된 패턴. 다만 13레벨에서 불렙으로 꼽혔던 패턴도 아니었는데 상향이 되어서 유저들로 하여금 의문을 품게 만들었다. 도로 13레벨로 내려가야하는 패턴.[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AD2222]][br]{{{-3 TECHNIKA 3}}} || || [[파일:Renovation_1.png|width=60]] ||<|2>정직한 박자에 정직한 패턴. 밀도도 별로 높지 않고 딱히 까다로운 구간도 없어서 14레벨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체감 레벨은 13하위권에서 사람에 따라서 12까지 내려갈 수도 있는 14레벨 최약체.[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Renovation]][br]{{{-3 TECHNIKA TUNE&Q}}} || || [[파일:CODE NAME : ZERO_1.png|width=60]] ||<|2>15레벨치고 너무나 평범한 동시치기만 나온다. 15레벨 최약체.[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3''')}}} || || [[CODE NAME : ZERO]][br]{{{-3 Cytus}}} || || [[파일:NB RANGER - Virgin Force_1.png|width=60]] ||<|2>위에 있는 CODE NAME : ZERO보다는 어렵지만 이 패턴 또한 15레벨 수준의 동시치기는 하나도 안 나온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4''')}}} || || [[NB RANGER - Virgin Force]][br]{{{-3 RESPECT}}} || || [[파일:Don't Cry_1.png|width=60]] ||<|6>3레벨 물렙 리스트. 셋 다 3레벨보다는 한참 쉬운 난이도의 패턴이지만 [[고백, 꽃, 늑대]] SC보단 어렵기 때문에 2레벨에 가깝다.[br]{{{-2 (체감 난이도 : SC 3 → '''2''')}}} || || [[Don't Cry(DJMAX)|Don't Cry]][br]{{{-3 V EXTENSION 4}}} || || [[파일:Lift You Up_1.png|width=60]] || || [[Lift You Up]][br]{{{-3 RESPECT}}} || || [[파일:Shining My Boy_1.png|width=60]] || || [[Shining My Boy]][br]{{{-3 TECHNIKA TUNE&Q}}} || || [[파일:Where Stars Rest_1.png|width=60]] ||<|2>5B SC의 유일한 1레벨인 [[고백, 꽃, 늑대]] SC와 난이도 차가 거의 없는 1레벨급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3 → '''1''')}}} || || [[Where Stars Rest]][br]{{{-3 MAPLESTORY}}} || || [[파일:Closer_1.png|width=60]] ||<|2>가변을 유도하는 연타 패턴이 있기는 한데 BPM이 너무 낮아 난이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러닝타임이 짧은 것도 체감 난이도를 낮추는 요소 중 하나.[br]{{{-2 (체감 난이도 : SC 4 → '''2''')}}} || || [[Closer(DJMAX)|Closer]][br]{{{-3 CLAZZIQUAI}}} || || [[파일:Memory of Beach_1.png|width=60]] ||<|2>극초반부 24비트 역방향 계단이나 1-3, 3-5 등의 동시치기 등 나름 어려워 보이는 패턴이 나오기는 하나 BPM이 낮은 편에 속해 비숙련자가 좌우 가변 없이 쳐도 쉽게 칠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3''')}}} || || [[Memory of Beach]][br]{{{-3 PORTABLE 1}}} || || [[파일:Trip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물량도 적은 편인 데다가 6B SC처럼 롱노트 구간이 딱히 복잡하게 등장하지도 않기 때문에 3레벨 하위권 수준의 물렙 채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3▼''')}}} || || [[Trip]][br]{{{-3 TECHNIKA 2}}} || || [[파일:내게로 와_1.png|width=60]] ||<|2>군데군데 암기가 필요한 구간이 있으나 암기 자체도 어렵지 않고, 다른 구간은 그냥 평범한 4레벨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4''')}}} || || [[내게로 와]][br]{{{-3 CLAZZIQUAI}}} || || [[파일:Constant Moderato_1.png|width=60]] ||<|2>초반부 계단이나 최후반부 3번 롱노트 잡고 양쪽 사이드를 교차로 처리해야 하는 패턴 외에 레벨값을 한다고 볼 수 있는 구간이 드물다. 상술한 패턴도 결국 초견에나 당황해서 틀리지 한번 익히면 쉽게 칠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4''')}}} || || [[Constant Moderato]][br]{{{-3 NEXON}}} || || [[파일:LUV_1.png|width=60]] ||<|4>V 익스텐션 4 물렙 듀오. 두 곡 모두 밀도가 낮고 크게 까다로운 구간이 없어 사람에 따라서는 5레벨 하위권 이하로도 느낄 수 있는 물렙 패턴들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 [[LUV(DJMAX)|LUV]][br]{{{-3 V EXTENSION 4}}} || || [[파일:Like a Fool_1.png|width=60]] || || [[Like a Fool]][br]{{{-3 V EXTENSION 4}}} || || [[파일:Love Mode_1.png|width=60]] ||<|2>후반부에 노트 배치가 살짝 복잡해지기는 하지만 BPM이 낮아 그다지 어렵지 않고, 후반부 연타를 치면서 롱 노트를 잡아야 하는 패턴은 연타를 모두 왼손으로 몰아주면 쉽게 처리할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4''')}}} || || [[Love Mode]][br]{{{-3 CLAZZIQUAI}}} || || [[파일:Secret_1.png|width=60]] ||<|2>노래 끝나기 직전 사이드-3번 롱노트 연계를 제외하면 어려운 패턴이 없다. 사이드 발광도 4비트 간격으로 좌-우-좌 세 번만 나와 암기도 어렵지 않다. 체감 난이도는 5레벨 하위권 이하인 물렙.[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 [[Secret(DJMAX)#s-2|Secret]][br]{{{-3 V EXTENSION 3}}} || || [[파일:Desperado_1.png|width=60]] ||<|2>3번 레인 가변 요소만 조금 조심하면 레벨값을 하는 구간이 별로 없어 쉽다고 느낄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Desperado(DJMAX)|Desperado]][br]{{{-3 BLACK SQUARE}}} || || [[파일:Wanna Be Your Lover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까다로운 구간 없이 너무 쉬운 배치로만 떨어지는 심각한 물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4~5''')}}} || || [[Wanna Be Your Lover]][br]{{{-3 TECHNIKA 3}}} || || [[파일:Boom!_1.png|width=60]] ||<|2>극초반 폭타가 그나마 어려운 구간이고 사전 정보가 아예 없다면 무리하게 가변을 쓰려다 실수하기 쉽지만, 좌우 가변 없이 2/3이나 3/2 중 아무거나 골라서 쭉 쳐도 큰 어려움 없이 처리할수 있다는 점에서 레벨대에 맞는 패턴이라고 보기 어렵다. 게다가 이 정도 폭타는 9레벨에서도 심심찮게 보인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9▼''')}}} || || [[Boom!]][br]{{{-3 RESPECT}}} || || [[파일:Myosotis_1.png|width=60]] ||<|2>계단을 자주 섞었으나 계단을 길게 이은 패턴이 드물기 때문에 처리하기 아주 어렵지 않은데다가 랜덤 노크도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9▼''')}}} || || [[Myosotis]][br]{{{-3 Deemo}}} || || [[파일:Remember Me_1.png|width=60]] ||<|2>노트 밀도가 낮은 건 아닌데 특출나게 어려운 패턴도 없다. 3분 정도 되는 긴 러닝타임 때문에 퍼펙트를 목표로 한다면 조금 귀찮을 수는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9▼''')}}} || || [[Remember Me(DJMAX)|Remember Me]][br]{{{-3 V EXTENSION}}} || || [[파일:Royal Clown_1.png|width=60]] ||<|2>변속이 존재하나 BPM 낙폭이 크지 않아 난이도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하고, 대신 다른 곡에 비해 노트 내려오는 속도가 좀 느린 편이지만 이것도 사전에 배속을 올려 놓으면 해결된다. 패턴 면에서도 동시치기만 주구장창 나오는 등 변속 있는 패턴치고는 스코어링, 맥스 콤보, 퍼펙트 모두 매우 쉽다. 중반부에 나오는 양손 나선계단 한 마디만 주의하면 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9▼''')}}} || || [[Royal Clown]][br]{{{-3 RESPECT}}} || || [[파일:Ray of Illuminati_1.png|width=60]] ||<|2>계단 사이 섞이는 양손 나선계단이나 후반부 약중트릴이 그나마 어렵지만 이 정도 패턴은 9~10레벨에도 흔히 볼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 || || [[Ray of Illuminati]][br]{{{-3 PORTABLE 1}}} || || [[파일:소년 모험가_1.png|width=60]] ||<|2>후반부 빠른 계단이 나오기는 하나 단방향으로 끊어져 나오거나 한 번만 꺾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1''')}}} || || [[소년 모험가#s-2|소년 모험가 ~SiNA Remix~]][br]{{{-3 NEXON}}} || || [[파일:ANiMA_1.png|width=60]] ||<|2>1212나 4545 형식의 트릴이 조금 까다롭긴 하지만 5버튼의 특성인 가변을 요구하는 패턴이 거의 없고 리딩이 난해한 구간도 없으며 순수 깡 피지컬로도 충분히 밀 수 있는 패턴이기 때문에 어려운 가변 패턴이 즐비한 5버튼 내에서는 할만하다고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ANiMA]][br]{{{-3 Deemo}}} || || [[파일:Lisrim_1.png|width=60]] ||<|2>전체적으로는 무난하나 특유의 후살 때문에 출시 초창기에는 유저들에게 확실히 고평가 받았었지만 최근에는 평가가 내려가 물렙 취급을 받고 있다. 문제의 후살은 시간이 지나며 이와 비슷하거나 상위호환격 패턴이 많이 등장했고, 그에 따라 유저들의 수준도 많이 올라갔기 때문에 이정도로는 SC 13레벨에 못미친다는 평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Lisrim]][br]{{{-3 V EXTENSION}}} || || [[파일:Renovation_1.png|width=60]] ||<|2>폭타 사이사이 연타가 많아 손이 좀 꼬일 순 있지만 BPM이 낮아 그다지 어렵지 않다. 중반부 1234 등 좌우분할이 불가능한 다중 동시치기 트릴이 그나마 어려운 구간인데 여기도 손 가는 대로 쳐도 쉽게 넘어갈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Renovation]][br]{{{-3 TECHNIKA TUNE&Q}}} || || [[파일:DARK ENVY_1.png|width=60]] ||<|2>기본적으로는 일단 개인차 패턴으로 분류되지만, 패턴 특성상 전체적으로는 낮은 밀도로 나오다가 순간 발광 구간을 통해 난이도를 조절했기 때문에 퍼펙트 난이도는 몰라도 클리어와 맥스 콤보 난이도만큼은 영락없는 물렙으로 평가받는다. 발광 구간 역시 가변을 적절히 사용하면 꽤 할만해지기도 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 || || [[DARK ENVY]][br]{{{-3 CLAZZIQUAI}}} || || [[파일:Remains Of Doom_1.png|width=60]] ||<|2>다양한 패턴들이 쉬는 구간 없이 꾸준히 빡빡하게 떨어지긴 하지만 BPM이 느린 데다가 플레이어를 당황하게 하는 지뢰 구간도 딱히 없어서 맥스 콤보 이하 난이도에서는 확실히 물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 || || [[Remains Of Doom]][br]{{{-3 RESPECT}}} || || [[파일:Fundamental_1.png|width=60]] ||<|2>전체적으로는 꾸준히 밀도 높은 패턴이 줄줄이 떨어지는 체력곡이지만 구간구간만 떼놓고 보면 5B의 최고렙이라고 할만한 임팩트를 주는 부분은 없다. 같은 팩의 SC 14레벨 패턴인 [[Disappearing Act]]보다도 쉽다는 평을 듣고 있으며, 현재 [[Nightmare(DJMAX)|Nightmare]] SC와 함께 5B SC 15레벨 최약체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5 → '''14''')}}} || || [[Fundamental]][br]{{{-3 V EXTENSION 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a8ff 25%, #cb71ff 75%)" {{{#white '''개인차'''}}}}}}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고백,꽃,늑대_1.png|width=60]] ||<|2>5B SC에서 유일한 레벨 1인 채보. 밀도가 상당히 낮기에 클리어와 풀콤보 난이도는 레벨 1에 적절할 수 있으나, 쉽지 않은 박자와 즈레를 비롯한 정확도를 떨어트리는 구간이 곳곳에 있기에 퍼펙트 난이도는 꽤나 높다.[br]{{{-2 (체감 난이도 : SC 1 / PERFECT : '''2▲''')}}} || || [[고백, 꽃, 늑대]][br]{{{-3 CLAZZIQUAI}}} || || [[파일:Sad Machine_1.png|width=60]] ||<|2>롱잡 위주의 채보이기에 해당 레벨대에서 개인차가 꽤 발생하는 편. 사람에 따라서는 3레벨 중에서 가장 어렵게 느낄 수도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3 / 개인차 요소 : '''롱잡''')}}} || || [[Sad Machine]][br]{{{-3 RESPECT}}} || || [[파일:Ververg_1.png|width=60]] ||<|2>6B의 Misty Er'A 마냥 복잡한 겹롱잡 패턴이 등장한다. 롱노트의 떼는 판정 처리가 미숙하다면 쭉 밀리기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개인차 요소 : '''롱잡''')}}} || || [[Ververg]][br]{{{-3 Cytus}}} || || [[파일:Urban Night_EB_1.png|width=60]] ||<|2>느린 BPM에 패턴 자체도 일반 12레벨 수준으로 매우 부실하지만 이 곡의 가장 큰 특징은 32비트 트릴이 나온다는 것이다. 트릴 처리에 따라 개인차가 크게 갈리는 편.[br]{{{-2 (체감 난이도 : SC 9 / PERFECT : '''11▲''' / 개인차 요소 : '''트릴''')}}} || || [[Urban Night]][br]{{{-3 Emotional S.}}} || || [[파일:SigNalize_1.png|width=60]] ||<|2>ALiCE SC와 더불어 DJMAX 내에서 흔치 않게 오투잼식 롱노트 채보를 선보이는 패턴. 보기엔 단순한 ALiCE의 그것과 달리 이쪽은 SON OF SUN SC마냥 롱노트가 8비트 단위로 이리저리 위치를 바꾸어가면서 나타나기 때문에 신경써서 처리하지 않는다면 판정과 체력이 걸레짝이 될 가능성이 높다. 롱노트 발광을 제외한 다른 패턴도 좌우 가변이 필수적인 연타 패턴이 많아 맥스 콤보 난이도도 쉽지 않은 편.[br]{{{-2 (체감 난이도 : SC 10 / 개인차 요소 : '''롱노트, 5버튼 가변''')}}} || || [[SigNalize]][br]{{{-3 TECHNIKA 3}}} || || [[파일:STALKER_1.png|width=60]] ||<|2>원핸드 동시치기를 자주 섞는 6B보다는 덜하지만 이쪽도 개인차 폭이 넓다. 6B처럼 3번 잡고 1122 등 롱잡과 연타도 어렵지만, 가장 큰 문제는 곡 두 번에 걸쳐 나오는 롱노트 잡던 중 계단-계단 처리 중 롱노트 떼고 계단 끝에 롱노트가 섞이는 패턴. 해당 파트의 처리가 쉬운가 어려운가에 체감 난이도가 크게 엇갈린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개인차 요소 : '''롱잡''')}}} || || [[STALKER]][br]{{{-3 PORTABLE 2}}} || || [[파일:피아노 협주곡 1번_1.png|width=60]] ||<|2>극초반부와 극후반부를 제외한 전 구간의 피아노 파트에 잡노트를 낀 괴상한 배치의 즈레가 끼어 있어 판정이 말리거나 브레이크가 발생하기 쉽다. 더군다나 이 즈레는 간격을 두면서 나오는 것도 아니고 연속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즈레 처리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에게 상당히 난해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PERFECT : '''13▲''' / 개인차 요소 : '''즈레''')}}} || || [[피아노 협주곡 1번]][br]{{{-3 PORTABLE 1}}} || || [[파일:STEP_1.png|width=60]] ||<|2>5버튼의 모든 가변 요소들을 전부 집어넣었다. 패턴이 익숙하지 않은 초견에는 대부분 말아먹기 일쑤지만 점차 숙련될수록 5버튼 숙련도에 따라 난이도가 결정지어지는 패턴이라고 봐도 무방하며, 기본적으로는 12레벨 상위권 패턴으로 평가받지만 숙련도에 따라 11레벨로 봐도 될 여지도, 13레벨로 봐도 될 여지도 생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1~13''' / 개인차 요소 : '''5버튼 가변''')}}} || || [[STEP(DJMAX)|STEP]][br]{{{-3 V EXTENSION 3}}} || || [[파일:Supersonic 2011_1.png|width=60]] ||<|2>최후반 몰빵형 패턴. 노래 끝나기 약 5초 전 135 동시치기에 즈레가 마구잡이로 섞인다. 그 전에 나오는 135+계단도 어려운 패턴 중 하나로, 랜덤을 걸고 분할배치로 99% 정도의 맥스 콤보나 클리어만 목표로 한다면 아주 쉬운 패턴이지만, 퍼펙트를 목표로 할 경우 웬만한 13레벨과도 맞먹는 난이도의 스코어링 지뢰곡.[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1~12 / PERFECT : '''12~13''' / 개인차 요소 : '''즈레''')}}} || || [[Supersonic 2011]][br]{{{-3 TECHNIKA 3}}} || || [[파일:Your Own Miracle_1.png|width=60]] ||<|2>두 번째 후렴구에서 13/35 교대 트릴에 4비트 간격으로 45/12 동시치기가 끼는 트릴, 길게 떨어지는 양손 원핸드 나선계단으로 초창기부터 악명높았던 패턴. 좌우 33 교대 자체는 매우 직관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4비트마다 끼는 45/12 동시치기 리딩이 중요한데, 5B 초보자라면 이 구간에서 처리가 안 돼서 매우 어려워지고, 퍼펙트를 목표로 할 경우 좌우 교대 트릴은 먹자구간 취급이지만 끊어치기가 강제되는 원핸드 나선계단에서 체감 난이도가 크게 올라간다. 반대로 적당히 맥스 콤보만 목표로 할 경우에는 그다지 어려운 구간이 없어 쉽다고 느낄 수도 있는 패턴. 패턴 자체가 개인차를 유발한다기보다는, 97% 클리어/맥스 콤보/퍼펙트 중 플레이어가 어느 지점을 목표로 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개인차 범위가 넓어지는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1~12▲''' / 개인차 요소 : '''5버튼 가변, 원핸드''')}}} || || [[Your Own Miracle]][br]{{{-3 PORTABLE 2}}} || || [[파일:Fermion_1.png|width=60]] ||<|2>후살 이전까지는 전형적인 SC 13레벨의 채보로 보이나 최후반에 등장하는 롱잡 고속 나선계단 한 구간 때문에 맥스 콤보와 퍼펙트 난이도가 웬만한 SC 14레벨 이상 급으로 치솟는다. 다만 후살 구간은 손배치를 짜고 연습을 하면 그래도 할만해지며, 클리어 난이도 면에서는 확실히 SC 13레벨 수준을 벗어나지는 않기에 딱히 불렙 패턴으로 거론되지는 않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PERFECT : '''14▲''' / 개인차 요소 : '''롱잡 나선계단''')}}} || || [[Fermion]][br]{{{-3 BLACK SQUARE}}} || || [[파일:카트라이더 Cosmograph_1.png|width=60]] ||<|2>후술할 Enemy Storm ~Dark Jungle Remix~와 함께 15레벨 급이냐, 아니냐에 대한 논쟁이 끊이질 않는 패턴. 정배치 기준 후살인 원핸드 나선계단+약중트릴이 매우 까다로워 유저들 사이에서는 15레벨 중하위권 정도라는 말이 상당히 많이 나온다. 중반의 연타 또한 까다롭지만 정배 기준으로는 크게 눈에 띄는 편은 아니다. 랜덤을 통해서 후반부의 난이도를 크게 낮출 수 있지만, 그럴 경우 중반부 연타 구간이 무슨 배치가 뜨던 난이도가 확 뛴다. 다만 패턴 구성이 뜯어보면 의외로 단순한 편이기에 손이 아주 빠르고 반복 패턴 처리에 강하다면 이펙터 활용 여부와 상관없이 해당 레벨대에서 무난한 편이라는 유저들도 종종 보인다. [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4~15''' / 개인차 요소 : '''연타 및 계단+트릴''')}}} || || [[카트라이더 Mashup ~Cosmograph Remix~]][br]{{{-3 NEXON}}} || || [[파일:Enemy Storm_Dark Jungle Mix_1.png|width=60]] ||<|2>상술했듯 카트 코스모와 함께 14레벨과 15레벨 경계선에 있는 채보다. 보통 두 패턴이 엮여서 어느 패턴이 더 어려운지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다. 가장 어려운 구간은 초반부 데님 구간으로, 여기서 요구하는 지력 수준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코스모 카트와 마찬가지로 랜덤을 통해서 초반부의 데님 구간의 난이도를 크게 낮출 수 있지만, 반대로 중반부 이후의 롱잡 구간들이 전부 다 어려워진다. 그렇기 때문에 출시 이후부터 계속 보스곡 라인으로 여기면서, 카트와 난이도를 올리는 요소도 다르기 때문에 카트보다 어렵다고 하는 유저들도 상당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4~15''' / 개인차 요소 : '''데님 폭타 및 롱잡''')}}} || || [[Enemy Storm ~Dark Jungle Mix~]][br]{{{-3 PORTABLE 3}}} || || [[파일:Nightmare_1.png|width=60]] ||<|2>초창기 RESPECT V에서 5B 보스곡으로 평가 받았으나, [[Ikazuchi]]를 비롯한 어려운 곡들이 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보스곡 위치에서 내려왔음에도 불구하고 5B 보스곡들과 함께 SC 15에 배치됐다. 특히 연타로 일관된 타 버튼과 달리 중간중간 계단으로 완화된 구간이 있고, 랜덤 배치를 통해 황금배치를 뽑기도 어렵지 않아 랜덤 옵션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Enemy Storm ~Dark Jungle Mix~]], [[카트라이더 Mashup ~Cosmograph Remix~]]보다 쉽다는 의견도 적지 않게 나오는 상황. 롱잡, 연타 같은 개인차 요소에 치중되어 있어서 사람에 따라서는 보스곡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지만, 대체로는 보스곡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을 받으며 개인차에 따라서 14레벨 상위권 곡들보다 쉽다는 평도 나오는 곡.[br]{{{-2 (체감 난이도 : SC 15 → '''14~15''' / 개인차 요소 :연타 및 롱잡)}}} || || [[Nightmare(DJMAX)|Nightmare]][br]{{{-3 PORTABLE 2}}} || == 6B TU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89843, #ff744d, #915a1b)" {{{#white '''6B TU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da9a9 25%, #ff6262 75%)" {{{#white '''불렙곡'''}}}}}}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End of the Moonlight_1.png|width=60]] ||<|2>동시치기부터 5레벨을 등반하는 뉴비가 처리해낼만한 수준이 아니며, HD에 나오는 것과 거의 똑같은 중살도 존재하고, 후반의 롱노트 세례까지 더해진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NM 5 → '''6~7''')}}}|| || [[End of the Moonlight]][br]{{{-3 PORTABLE 1}}} || || [[파일:In my Dream_1.png|width=60]] ||<|2>대표적인 저렙 뉴비 학살 지뢰곡. 표기 레벨은 5레벨이지만 사실상 최소 7레벨 이상은 거뜬히 들어갈만한 어마어마한 불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NM 5 → '''7▲''')}}}|| || [[In my Dream(DJMAX)|In my Dream]][br]{{{-3 BLACK SQUARE}}} || || [[파일:아침형 인간_1.png|width=60]] ||<|2>6레벨에서 많은 뉴비들을 울리는 7레벨급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NM 6 → '''7▲''')}}} || || [[아침형 인간(DJMAX)|아침형 인간]][br]{{{-3 PORTABLE 1}}} || || [[파일:Eternal Fantasy (Miya Vocal Mix)_1.png|width=60]] ||<|2>Miya의 보컬이 없는 그냥 ~유니의 꿈~ 버전의 MX 9 패턴보다 훨씬 많은 노트 수를 처리해야 하고 16비트와 사이드 트랙도 소화해야 한단 점에서 최소한 MX 8 이상으로 상향이 필요하다.[br]{{{-2 (체감 난이도 : MX 7 → '''8▲''')}}}|| || [[Eternal Fantasy ~유니의 꿈~#s-2|Eternal Fatasy (Miya Vocal Mix)]][br]{{{-3 TECHNIKA TUNE & Q}}} || || [[파일:Fentanest_1.png|width=60]] ||<|2>초반의 변속은 이 레벨대를 등반하는 유저 입장에서는 결코 쉽지 않고, 짧지만 후반부에 나오는 폭타는 7레벨 수준이 절대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NM 7 → '''8▲''')}}} || || [[Fentanest]][br]{{{-3 PORTABLE 2}}} || || [[파일:Space of Soul_1.png|width=60]] ||<|2>6B에서 가장 유명한 뉴비 분쇄곡. 대표적인 저렙 함정곡으로 널리 알려져있는 만큼 7레벨에는 어울리지 않는 폭타가 떨어진다. 특히 뉴비들이 어려워하는 다그닥 리듬의 패턴이므로 더더욱 그렇다. 참고로 다그닥 패턴이 라이트하게 들어간 [[Leafre]] 6키 MX의 난이도가 8이다. [br]{{{-2 (체감 난이도 : NM 7 → '''9▲''')}}}|| || [[Space of Soul]][br]{{{-3 Emotional S.}}} || || [[파일:Light House_1.png|width=60]] ||<|2>초중반 구간은 리딩부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게 나오고, 후반부에는 단순하지만 오랫동안 이어지는 긴 폭타의 존재 때문에 8레벨 수준이라고는 보기 힘든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8 → '''9▲''')}}} || || [[Light House(DJMAX)|Light House]][br]{{{-3 PORTABLE 1}}} || || [[파일:Road Of Death_1.png|width=60]] ||<|2>중반까지는 기습적인 트릴을 제외하면 무난하게 나오는 편이지만 후반에는 패턴이 갑자기 미쳐날뛴다. 8레벨에는 전혀 맞지 않는 까다로운 동시치기와 고속 트릴, 짧지만 임팩트있는 폭타까지 우르르 쏟아지는 미친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NM 8 → '''9▲''')}}}|| || [[Road Of Death]][br]{{{-3 PORTABLE 1}}} || || [[파일:아침형 인간_1.png|width=60]] ||<|2>8B 하드 패턴에 비해서는 양반이지만 6B에서도 만만치 않은 불렙이다. 롱잡은 물론 동시치기 자체도 매우 빡빡하다.[br]{{{-2 (체감 난이도 : HD 9 → '''10▲''')}}} || || [[아침형 인간(DJMAX)|아침형 인간]][br]{{{-3 PORTABLE 1}}} || || [[파일:Brain Storm_1.png|width=60]] ||<|2>엇박 구조가 지나치게 난해하여 9레벨을 플레이하는 유저에게 매우 버겁다. 또한 노트가 곡 내에 있는 모든 키음에 대응하지 않아 고레벨 플레이어조차도 신스음이랑 매칭되는 키음 파악이 어려워 14레벨의 HD 패턴을 잘 소화한 플레이어가 오히려 이 패턴에서 정확도를 못 낼 수도 있다.[br]{{{-2 (체감 난이도 : NM 9 → '''11▲''' / PERFECT : '''12▲''')}}}|| || [[Brain Storm|Brain Storm]][br]{{{-3 PORTABLE 2}}} || || [[파일:Break a Spell_1.png|width=60]] ||<|2>롱노트를 동반한 빡빡한 동시치기가 쉬는 구간 없이 하루종일 떨어진다. 최소 10레벨으로는 올라가야 마땅할 불렙 패턴.[br]{{{-2 (체감 난이도 : HD 9 → '''10▲''')}}}|| || [[Break a Spell]][br]{{{-3 GUILTY GEAR}}} || || [[파일:End of the Moonlight_1.png|width=60]] ||<|2>초반부터 16비트 폭타를 그대로 갖다박았고, 중후반에서도 꾸준히 폭타가 계속 등장하기 때문에 9레벨 수준은 절대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HD 9 → '''10''')}}}|| || [[End of the Moonlight]][br]{{{-3 PORTABLE 1}}} || || [[파일:Chain of Gravity_1.png|width=60]] ||<|2>패턴 전반적으로 등장하는 폭타가 생각보다 훨씬 밀도가 높고 손꼬임을 유발한다. 사람에 따라선 체감 난이도가 12레벨 수준까지도 올라가는 엄청난 불렙.[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1▲''')}}}|| || [[Chain of Gravity]][br]{{{-3 PORTABLE 2}}} || || [[파일:Cthugha_1.png|width=60]] ||<|2>Break a Spell HD와 비슷하게 빡빡한 동시치기가 계속 떨어지며 여기서는 중간중간 사이드 트랙까지 등장해 플레이어를 괴롭힌다. 또한 저렙에서는 보기 힘든 2-3번, 및 4-5번 동시치기도 등장해 이것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면 순간적으로 당황해서 틀리기도 좋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1▲''')}}}|| || [[Cthugha]][br]{{{-3 MUSE DASH}}} || || [[파일:Dream it_1.png|width=60]] ||<|4>MX 10레벨 불렙 패턴들. 둘 다 폭타 및 동시치기 수준이 10레벨에 맞지 않는다.[br]{{{-2 (체감 난이도 : MX 10 → '''11''')}}}|| || [[Dream it]][br]{{{-3 V EXTENSION}}} || || [[파일:Watch Your Step_1.png|width=60]] || || [[Watch Your Step]][br]{{{-3 RESPECT}}} || || [[파일:Para-Q_1.png|width=60]] ||<|2>패턴 전반적으로 꾸준히 등장하는 트릴이 꽤 까다롭고, 후반에 [[The Rain Maker]] 패턴을 연상시키는 박자를 꼬아놓은 따닥이까지 존재한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1''')}}} || || [[Para-Q]][br]{{{-3 PORTABLE 1}}} || || [[파일:비상 ~Stay With Me~_1.png|width=60]] ||<|2>중반과 후반에 등장하는 폭타가 꽤 빠르고 난잡하다. 문제는 이것이 쉬지 않고 오랫동안 길게 이어지기 때문에 이정도 처리력과 지력이 되지 않는 현지인은 폭사하기 딱 좋다. 겨우 1레벨 차이밖에 나지 않는 같은 곡의 HD 패턴과는 궤를 달리하는 터무니없는 불렙 채보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 || || [[비상 ~Stay With Me~]][br]{{{-3 RESPECT}}} || || [[파일:Enemy Storm_1.png|width=60]] ||<|2>높은 밀도로 따닥이 연타, 동시치기, 폭타 등의 패턴이 다양하게 등장해 11레벨 현지인 입장에서는 리딩부터가 안 된다. 리딩뿐만 아니라 손꼬임도 유발하고 체력 역시 꽤 갉아먹는 11레벨 함정 패턴.[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 || || [[Enemy Storm]][br]{{{-3 PORTABLE 1}}} || || [[파일:Fentanest_1.png|width=60]] ||<|2>변속도 있고 특유의 폭타 패턴도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11레벨이라기 보단 12레벨에 좀 더 가깝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 || || [[Fentanest]][br]{{{-3 PORTABLE 2}}} || || [[파일:Gloxinia_1.png|width=60]] ||<|2>생각보다 높은 밀도에서 폭타, 사이드 청기백기, 롱잡, 동시치기, 즈레 등의 패턴이 다양하게 골고루 떨어진다. 특히 폭타의 경우 너무 빨라서 결코 11레벨 수준으로는 볼 수 없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 || [[Gloxinia]][br]{{{-3 V EXTENSION 4}}} || || [[파일:Light House_1.png|width=60]] ||<|2>패턴 초반에 난이도가 집중되어 있다. 알약 섞인 교대 트릴과 따닥이가 섞인 괴상한 트릴 덕에 체감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13''')}}} || || [[Light House(DJMAX)|Light House]][br]{{{-3 PORTABLE 1}}} || || [[파일:Misty E'ra 'Mui'_1.png|width=60]] ||<|2>따닥이 연타와 폭타도 까다로운 편인데 메인 패턴인 중반부와 후반부 한 번씩 길게 나오는 트릴은 이 레벨대에서는 나와서는 안 되는 수준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13''')}}} || || [[Misty E'ra 'Mui']][br]{{{-3 V EXTENSION 3}}} || || [[파일:NB RANGERS - 운명의 Destiny_1.png|width=60]] ||<|2>11레벨에 비해서는 확실히 어려운 패턴. 12레벨에 조금 더 적합하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 || || [[NB RANGERS - 운명의 Destiny]][br]{{{-3 V EXTENSION 3}}} || || [[파일:PUPA_1.png|width=60]] ||<|2>6B 최악의 불렙으로 손꼽히는 대표적인 패턴. 11레벨이라고는 도저히 볼 수 없는 빠른 트릴과 폭타 때문에 체감 난이도는 13레벨 상위권까지도 치솟는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3▲''')}}} || || [[PUPA/리듬 게임 수록/DJMAX RESPECT V|PUPA]][br]{{{-3 MUSE DASH}}} || || [[파일:Road Of Death_1.png|width=60]] ||<|2>11레벨에서는 안 그래도 폭타 자체가 들어간 이상 쉬운 곡으로 분류되진 않는데 이 곡은 12레벨 이상은 되어야 볼 수 있는 매우 난해한 폭타 패턴을 가지고 있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13''')}}}|| || [[Road Of Death]][br]{{{-3 PORTABLE 1}}} || || [[파일:Sunny Side_1.png|width=60]] ||<|2>초중반에 꾸준히 떨어지는 동시치기도 생각보다 쉽지 않을 뿐더러 후반부에 등장하는 폭타는 12레벨 이상 수준으로 어렵다. 한 번씩 깨알같이 끼어드는 즈레는 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 || [[Sunny Side]][br]{{{-3 PORTABLE 1}}} || || [[파일:The Four Seasons : Summer 2017_1.png|width=60]] ||<|2>패턴 전반적으로 폭타가 계속 나오며, 중반과 후반에는 한 번씩 긴 트릴도 나오기 때문에 11레벨 치고는 상당히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 || [[The Four Seasons : Summer 2017]][br]{{{-3 V EXTENSION 4}}} || || [[파일:Enter The Universe_1.png|width=60]] ||<|2>빠르면서 손 배치상 까다로운 폭타가 매우 길게 나오는 악랄한 패턴. 13레벨으로 가도 중상위권은 거뜬히 들어갈 정도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3''')}}} || || [[Enter The Universe]][br]{{{-3 RESPECT}}} || || [[파일:Fundamental_1.png|width=60]] ||<|2>밀도 높은 폭타와 트릴이 등장하여 피지컬을 크게 요구한다. 체감 난이도는 13레벨 상위권.[br]{{{-2 (체감 난이도 : MX 12 → '''13''')}}} || || [[Fundamental]][br]{{{-3 V EXTENSION 3}}} || || [[파일:HAMSIN_1.png|width=60]] ||<|2>12레벨 보스곡. 14레벨 상위권인 MX의 열화판이지만 열화가 되다 말아서 12레벨에 전혀 맞지 않는 패턴이 나온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3▲''')}}} || || [[HAMSIN]][br]{{{-3 PORTABLE 1}}} || || [[파일:Zero to the hunnit_1.png|width=60]] ||<|2>두 번째 프리뷰 파트에서 13레벨 최상위권 패턴인 [[OBLIVION ~Rockin' Night Style~]]의 2-1 트릴이 그대로 나온다. 이 곡보다는 훨씬 짧게 떨어지긴 하지만 이미 13레벨에서도 매우 어려운 패턴이 길이 좀 줄인 정도로 12레벨 적정 난이도가 될 리가 없고, 결과적으로 13레벨 상위권 수준의 불렙이 돼버렸다.[br]{{{-2 (체감 난이도 : MX 12 → '''13''')}}} || || [[Zero to the hunnit]][br]{{{-3 V EXTENSION 2}}} || || [[파일:Lights of Muse_1.png|width=60]] ||<|2>높은 BPM에서 폭타, 트릴, 따닥이 연타, 동시치기 등 다양한 패턴이 골고루 떨어지는 종합지력곡. 체력도 많이 갉아먹는 14레벨급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Lights of Muse]][br]{{{-3 MUSE DASH}}} || || [[파일:Nightmare_1.png|width=60]] ||<|2>후반부의 양손 연타에 난이도가 몰려 있다. 평범한 13레벨 러너라면 지력이 부족해 밀리기 일쑤. 정배치 기준으로는 논란 없이 15레벨인 MX보다 무조건 어려운 15레벨 수준의 난이도고, 랜덤을 걸면 양손 연타가 한쪽으로 몰리는 구간이 존재해 체감 난이도가 살짝 내려가나 배치가 아무리 잘 풀려도 적정 난이도는 절대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HD 13 → '''14▲''')}}}|| || [[Nightmare(DJMAX)|Nightmare]][br]{{{-3 PORTABLE 2}}} || || [[파일:OBLIVION _Rockin' Night Style__1.png|width=60]] ||<|2>위에 있는 [[Zero to the hunnit]] 강화판으로 끝까지 버티기 힘들 정도로 약-중약 트릴이 길게 나오는 구간이 있으며, 이 패턴을 제외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어려운 구성을 갖고 있다. {{{-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 [[OBLIVION ~Rockin' Night Style~]][br]{{{-3 PORTABLE 1}}} || || [[파일:Enter The Universe_1.png|width=60]] ||<|2>PUPA 출시 이전 14레벨 보스곡 포지션이었던 곡으로 밀도도 높은데 손가락 배치상 처리하기 까다로운 폭타 위주로 나오기 때문에 평균적인 체감 난이도는 15레벨 중위권 수준이다. {{{-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 [[Enter The Universe]][br]{{{-3 RESPECT}}} || || [[파일:PUPA_1.png|width=60]] ||<|2>패턴 자체는 무난한데 BPM이 너무 높다. 특히 트릴에 약하다면 어지간한 15레벨보다 훨씬 어려워진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 [[PUPA/리듬 게임 수록/DJMAX RESPECT V|PUPA]][br]{{{-3 MUSE DASH}}} || || [[파일:Koi no Moonlight_1.png|width=60]] ||<|2>1+3이나 4+6 등 SC식 동시치기가 상당히 자주 나오는데다 후반에는 2개씩 짤린 16비트 겹계단처럼 나오기도 하고, 롱잡도 간간이 섞여 4레벨이라고 보기엔 의아한 부분이 많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5''')}}} || || [[恋のMoonlight|Koi no Moonlight]][br]{{{-3 MUSE DASH}}} || || [[파일:아침형 인간_1.png|width=60]] ||<|2>특유의 롱잡과 동시치기가 6레벨 치고 어려운 편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7▲''')}}} || || [[아침형 인간(DJMAX)|아침형 인간]][br]{{{-3 PORTABLE 1}}} || || [[파일:can you feel it_1.png|width=60]] ||<|2>6레벨인데도 불구하고 11레벨인 [[Chrysanthemum]]에서 나오는 저BPM 연속 계단, 롱노트+계단이 나오고, 프리뷰 파트 두 번에 걸쳐 32비트 계단+α까지 나온다. SC 6은 말도 안 되는 난이도 책정이며, 체감 난이도는 7도 모자라서 8레벨 상위권 수준이라는 평이 많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8▲''')}}} || || [[can you feel it]][br]{{{-3 MUSE DASH}}} || || [[파일:Love☆Panic_1.png|width=60]] ||<|2>전체적인 밀도도 높은 편이고 중반쯤에 등장하는 손굴리기 구간은 6레벨에 등장하기에는 매우 부적합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7~8''')}}} || || [[Love☆Panic]][br]{{{-3 TECHNIKA TUNE&Q}}} || || [[파일:별빛정원_1.png|width=60]] ||<|2>롱잡, 동시치기, 연타 등 종합적인 능력을 요구하는 패턴이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압살인 것은 빠른 겹계단 구간으로, 3차례나 등장하는 겹계단으로 인해 중수들은 상당히 고전할 수 있는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별빛정원]][br]{{{-3 TECHNIKA TUNE&Q}}} || || [[파일:Attack_1.png|width=60]] ||<|2>후살에서 [[Over The Rainbow(DJMAX)|Over The Rainbow]]로 대표되는 고레벨 SC식 1+6번 사이 계단을 끼워넣은 3버튼 축 동시치기가 그대로 나오고, 그 직후 검지-중지 바꿔 치는 2버튼 트릴이 나오는 등 동 레벨 러너라면 제대로 치기도 힘든 패턴이 계속 나온다. 체감 레벨은 최소 9레벨 이상인 엄청난 불렙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7 → '''9~10▲''')}}} || || [[Attack(DJMAX)|Attack]][br]{{{-3 V EXTENSION}}} || || [[파일:Charming World_1.png|width=60]] ||<|2>후반 32비트 드르륵 패턴이 SC 7레벨 수준과는 전혀 맞지 않게 떨어지기 때문에 퍼펙트 및 맥스 콤보 난이도가 매우 까다롭다. 이 구간만큼은 SC 9레벨 이상급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Charming World]][br]{{{-3 V EXTENSION 3}}} || || [[파일:Frozen Link_1.png|width=60]] ||<|2>6B SC 특유의 폭타가 꽤 길게 떨어지며, 롱잡 계단의 경우 빠르진 않지만 오히려 애매하게 느려서 손꼬임도 쉽게 유발한다. 중반에 정신없는 사이드 연속 공격은 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Frozen Link]][br]{{{-3 MAPLESTORY}}} || || [[파일:StarFish_1.png|width=60]] ||<|2>순수 피지컬 요구량은 그렇게 높지 않으나 121-565와 같은 까다로운 요소를 섞어 배치한 난해한 폭타 때문에 리딩이 상당히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StarFish]][br]{{{-3 PORTABLE 2}}} || || [[파일:Can We Talk_1.png|width=60]] ||<|2>까다로운 배치는 물론이고 길게 등장하는 한 줄 연타, 생소한 배치의 롱잡, 스코어링을 어렵게 만드는 즈레 등 거슬리는 요소가 너무나도 많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9''')}}} || || [[Can We Talk]][br]{{{-3 PORTABLE 1}}} || || [[파일:Another DAY_1.png|width=60]] ||<|8>해당 패턴들은 구 13레벨 시절 불렙들이었고, 같은 라인에 속한 [[Bang!!]]이 8레벨에 배정받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7레벨에 남아있어 여전히 불렙으로 남았다. 8레벨에서도 최상위권으로 평가받는 패턴들. 레헬른의 경우 고속 계단 딱 한 구간만 어려워 개인차를 타는 편이나 그럼에도 7레벨 급은 아니라고 평가받는다. 각 패턴에 대한 내용들은 각 곡별 문서에 서술되어있는 내용을 참조하자.[br]{{{-2 (체감 난이도 : SC 7 → '''8~9''')}}} || || [[Another DAY]][br]{{{-3 PORTABLE 2}}} || || [[파일:Colours of Sorrow_1.png|width=60]] || || [[Colours of Sorrow]][br]{{{-3 BLACK SQUARE}}} || || [[파일:Fallen Angel_1.png|width=60]] || || [[Fallen Angel(DJMAX)|Fallen Angel]][br]{{{-3 PORTABLE 2}}} || || [[파일:Lacheln_1.png|width=60]] || || [[Lacheln, The City of Dreams]][br]{{{-3 NEXON}}} || || [[파일:비상 ~Stay With Me~_1.png|width=60]] ||<|2>빼곡히 배치된 드럼음/신스음 폭타도 어렵지만 문제는 롱잡. 기존 이 레벨대의 롱잡 패턴은 1이나 6번 롱노트를 잡고 검중 잡노트를 처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해당 패턴은 23 혹은 45번 롱노트를 잡은 채로 나머지 손가락을 움직여야 하는 까다로운 롱잡 테크닉을 요구한다. 중반부터는 KUDA에서 등장하는 사이드 잡고 원핸드 또한 존재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10''')}}} || || [[비상 ~Stay With Me~]][br]{{{-3 RESPECT}}} || || [[파일:Beyond the Future_1.png|width=60]] ||<|2>곡의 중반까지는 무난하게 나오다가 하이라이트 구간에서 순간적으로 따닥이를 동반한 빡빡한 패턴이 연속적으로 떨어진다. 이 때문에 숙련자 입장에서는 고득점에 큰 무리가 없으나 SC 8레벨 수준의 현지인 러너라면 리딩부터 난관을 겪기 좋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Beyond the Future(DJMAX)|Beyond the Future]][br]{{{-3 TECHNIKA}}} || || [[파일:Bye Bye Love Nu Jazz Mix_1.png|width=60]] ||<|2>전반적으로는 무난해 보이지만 중간중간 끼어드는 난해한 패턴 때문에 9레벨 정도로 평가받는 불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Bye Bye Love#s-2|Bye Bye Love ~Nu Jazz Mix~]][br]{{{-3 TRILOGY}}} || || [[파일:Fentanest_1.png|width=60]] ||<|2>SC 8의 대표적인 불렙곡. 구 15레벨에서는 변속곡 중 대처가 가장 쉽다는 이유로 물렙 취급을 받던 곡이었지만 SC 8은 너무나도 터무니없는 난이도 책정이지 않느냐는 말이 많다. 롱잡의 비중이 상당히 높아 롱노트와 함께 계단이나 트릴을 처리해야 하는 구간도 난점으로 꼽히며 전반적으로 동시치기가 섞인 트릴 패턴이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10''')}}} || || [[Fentanest]][br]{{{-3 PORTABLE 2}}} || || [[파일:Move Yourself_1.png|width=60]] ||<|2>빠르게 쏟아지는 고속 트릴이 주가 되는데, 곡 내내 우직하게 쏟아지기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가 상당히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상당한 지력 또한 요구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10''')}}} || || [[Move Yourself]][br]{{{-3 V EXTENSION}}} || || [[파일:Angelic+Tears_1.png|width=60]] ||<|2>후술할 OrBiTal과 비슷한 원핸드 연타가 어려운 패턴이지만 이쪽은 실 난이도에 비해 레벨 배정이 지나치게 낮다. 원핸드를 잘 쳐도 9는 절대 아니라는 게 중론.[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Angelic layer|Angelic Tears]][br]{{{-3 RESPECT}}} || || [[파일:Lie Lie_1.png|width=60]] ||<|2>후반까지는 대체로 무난하다가 최후반에 등장하는 알약+겹계단 패턴이 9레벨 수준이라기에는 리딩 능력과 처리력, 지력 모두 크게 요구하는 패턴이기 때문에 꽤나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Lie Lie]][br]{{{-3 EZ2ON}}} || || [[파일:Misty Er'A_1.png|width=60]] ||<|2>후렴구에 롱노트의 떼는 점을 강조한 롱잡이 총 두 번 나온다. 그렇기에 개인차를 타고, 개인차 폭이 넓은 걸 감안하더라도 구 14레벨 상위권 수준이 배정받는 9레벨은 너무 저평가받았다는 의견이 많다. 체감 레벨은 10.[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Misty Er'A]][br]{{{-3 V EXTENSION}}} || || [[파일:NANO RISK_1.png|width=60]] ||<|2>정직한 박자에서 떨어지는 동시치기 패턴이나 생각보다 밀도도 높고 손이 꼬이기 쉬운 배치로 나오기 때문에 판정 내는 것은 쉬울지 몰라도 통상적으로는 10레벨에 가깝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NANO RISK]][br]{{{-3 PORTABLE 2}}} || || [[파일:Kung Brother_1.png|width=60]] ||<|2>패턴 전반적으로 레벨 책정이 잘못된 불렙이다. 노트의 밀도도 높고 양손 동시치기 계단 패턴, 데님 패턴이 혼합되어 SC 9 구간에서는 납득하기 어려운 난도를 보여준다. SC 10~11 수준에 적절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11''')}}} || || [[Kung Brother]][br]{{{-3 RESPECT}}} || || [[파일:Celestial Tears_1.png|width=60]] ||<|2>전체적인 패턴 구성이 10레벨과는 맞지 않게 어렵게 등장한다. 중간중간 등장하는 겹계단도 쉽지 않은데 후반에 등장하는 롱노트 + 동시치기 + 트릴은 매우 악랄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Celestial Tears]][br]{{{-3 RESPECT}}} || || [[파일:Kal_wrnw_1.png|width=60]] ||<|2>전체적인 밀도부터 10레벨 수준은 아니며, 중간중간 등장하는 드르륵은 리딩은 물론이고 스코어링을 크게 방해한다. 겹계단, 연타, 롱잡 폭타 등 등장하는 패턴의 유형도 꽤 다양한 편.[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Kal_wrnw]][br]{{{-3 TECHNIKA TUNE&Q}}} || || [[파일:Misty E'ra 'Mui'_1.png|width=60]] ||<|2>중반부에 등장하는 드르륵 및 중반부와 후반부에 등장하는 롱잡 트릴이 매우 까다롭다. 체감 난이도는 11에서 12.[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Misty E'ra 'Mui']][br]{{{-3 V EXTENSION 3}}} || || [[파일:Never let you go_1.png|width=60]] ||<|2>고속 계단과 동시치기-트릴이 연계된 빌드업 구간과, 곧바로 이어지는 알약을 활용한 트릴 패턴에서 손이 꼬이기가 너무나도 쉽다. 등장할 당시에는 난이도에 대해 별 말이 없었으나 이 패턴을 어려워하는 중레벨대 러너들이 많아 점차 평가가 높아지면서 10레벨이지만 실상은 12레벨급의 불렙으로도 취급받는 경우가 많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Never let you go]][br]{{{-3 V EXTENSION 2}}} || || [[파일:The One_1.png|width=60]] ||<|2>4~6개 동시치기와 연타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 중 연타 끝에 6개 동시치기가 끼는 패턴이 가장 까다로운 부분으로, 그 외에도 연타 비중도 높고 후반부에는 2,4번 롱 노트에 3,5번 잡노트가 끼는 등 배치도 이상하고, 처리하기도 어려운 패턴이 가득하다. 5B처럼 11레벨에 가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The One(DJMAX)|The One]][br]{{{-3 TRILOGY}}} || || [[파일:XLASHER_1.png|width=60]] ||<|2>초중반의 트릴과 겹폭타가 11레벨급으로 어렵다. 또한 짧은 롱노트 세례가 나오는 구간은 그다지 어렵지는 않지만 지금까진 거의 나오지 않은 유형의 패턴이기 때문에 낯설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XLASHER]][br]{{{-3 TECHNIKA 2}}} || || [[파일:Boom!_1.png|width=60]] ||<|2>부등호, 롱잡 계단, 겹계단 등 온갖 까다로운 요소들로 채워져있는 기타 솔로 후살 구간부터 난이도가 급격히 어려워진다. 웬만한 처리력으로는 정확히 넘어가기 쉽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 [[Boom!]][br]{{{-3 RESPECT}}} || || [[파일:Dark Lightning_1.png|width=60]] ||<|2>초반에 양쪽으로 번갈아나오는 저속 + 사이드 + 한손트릴 구간부터가 스코어링이 붕괴되기 좋으며 후살 역시 11레벨 수준을 벗어난 밀도높고 복잡한 폭타가 등장하기 때문에 12레벨급의 불렙 패턴으로 거론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Dark Lightning]][br]{{{-3 RESPECT}}} || || [[파일:Ruti'n Remix_1.png|width=60]] ||<|2>기존 곡들과는 다른 낯설고 새로운 패턴들로 무장했다. 패턴 자체도 리딩부터 난해한 불렙으로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 [[Ruti'n#s-2|Ruti'n (GOTH Wild Electro Remix)]][br]{{{-3 RESPECT}}} || || [[파일:The Four Seasons : Summer 2017_1.png|width=60]] ||<|2>초반과 후반에 한 번씩 나오는 겹폭타가 고레벨에 나오는 유형을 그대로 가져왔다. 속도 자체는 조금 더 느리지만 오히려 애매하게 느려서 스코어링이 무너지기 쉬우며, 해당 구간을 제외하더라도 중간중간에 까다로운 패턴들이 기습적으로 끼어들기 때문에 12레벨 수준의 불렙으로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The Four Seasons : Summer 2017]][br]{{{-3 V EXTENSION 4}}} || || [[파일:Beyond Yourself_1.png|width=60]] ||<|2>랜덤이 통한다는 걸 감안하더라도 중반부 원핸드 나선계단+α는 12레벨에서는 말도 안되는 패턴이다. 해당 파트의 순간 난이도는 거의 14레벨 수준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13레벨 정도인 명백한 불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 [[Beyond Yourself]][br]{{{-3 RESPECT}}} || || [[파일:DataErr0r_1.png|width=60]] ||<|2>고속 계단과 후반부의 롱잡 패턴으로 인해서 구 15레벨 내에서도 상위권으로 평가받는 곡이었다. 클리어 난이도는 그렇다 쳐도 고속 계단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가 상당히 어려워지며, 나머지 부분의 밀도 또한 높은 편이기에 Beyond Yourself과 함께 12레벨 대표적인 불렙.[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 [[DataErr0r/리듬 게임 수록#s-11|DataErr0r]][br]{{{-3 MUSE DASH}}} || || [[파일:SON OF SUN_1.png|width=60]] ||<|2>정박 기반의 동시치기 패턴이라 숙련자들에게는 스코어링과 퍼펙트 난이도가 그렇게 어렵진 않을 수 있으나 중간중간 등장하는 짧은 롱노트를 포함해 롱노트가 전반적으로 많이 등장하고, 무엇보다 후살에는 [[Rage Of Demon]] SC가 생각나는 복잡한 다중 동시치기도 있어 SC 13레벨의 현지인 러너들 입장에서는 리딩부터가 괴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4''')}}} || || [[SON OF SUN]][br]{{{-3 TECHNIKA}}} || || [[파일:Ikazuchi_1.png|width=60]] ||<|4>이전부터 현 15레벨 패턴들과 비교되었으나 14레벨로 측정되어 불렙으로 평가받는 케이스이다. 전자는 초중반 롱노트 + 16비트와 24비트가 복잡하게 섞인 폭타에 곳곳의 동시치기까지 처리해야 하는 고난이도 패턴을, 후자는 아예 처음부터 끝까지 200BPM 16비트를 기반으로 이중 계단과 이중 트릴을 내내 처리해야 하는 패턴을 선보인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5''')}}} || || [[怒槌/타사 리듬 게임 수록/DJMAX RESPECT & V|Ikazuchi]][br]{{{-3 CHUNITHM}}} || || [[파일:L_1.png|width=60]] || || [[L(Ice)|L]][br]{{{-3 Cyt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abeff 25%, #5993ff 75%)" {{{#white '''물렙곡'''}}}}}}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최종무곡_1.png|width=60]] ||<|2>노트 밀도가 7,8레벨 수준 이하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9 → '''8▼''')}}} || || [[최종무곡]][br]{{{-3 NEXON}}} || || [[파일:Eternal Fantasy_1.png|width=60]] ||<|2>Miya의 보컬이 있는 Miya Vocal Mix와 달리 이쪽은 오히려 곡 길이가 짧고 노트 밀도도 낮으며 사이드 트랙 노트도 없다. 후반에 딱 한번의 퍼펙트 방지 엇박 패턴이 있지만 9레벨이라는 난이도를 충족시키지 못한다.[br]{{{-2 (체감 난이도 : MX 9 → '''8▼''')}}} || || [[Eternal Fantasy ~유니의 꿈~]][br]{{{-3 TECHNIKA 2}}} || || [[파일:Lover CE Style_1.png|width=60]] ||<|2>11레벨 치고는 정박에 패턴도 단순해서 클리어, 맥스 콤보, 퍼펙트 등 어떤 면에서도 다 쉽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0''')}}} || || [[Lover(DJMAX)#s-6.1|Lover (CE Style)]][br]{{{-3 CLAZZIQUAI}}} || || [[파일:So Happy_1.png|width=60]] ||<|2>물량도 낮고 단순한 패턴 위주의 물렙곡이다. 클리어는 물론 스코어링 역시 매우 쉬운 편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0''')}}} || || [[So Happy]][br]{{{-3 RESPECT}}} || || [[파일:Hanz Up!.png|width=60]] ||<|2>롱잡 및 따닥이 연타를 제외하면 딱히 어렵다고 느낄만한 구간이 없으며 이 마저도 신경만 잘쓰면 대처하기가 어렵지 않다. 체감 난이도는 11.[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1''')}}} || || [[Hanz up!]][br]{{{-3 PORTABLE 3}}} || || [[파일:Leave me alone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밀도도 허전하고 박자도 정직해서 클리어 난이도는 물론 스코어링 및 퍼펙트 난이도 면에서도 12렙 최약체로 분류된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1▼''')}}} || || [[Leave me alone]][br]{{{-3 PORTABLE 3}}} || ||<-2> 나머지 12레벨 MX 물렙 라인업은 [[https://v-archive.net/grade/6/12|해당 링크]]를 참조. || || [[파일:Boom!_1.png|width=60]] ||<|4>밀도도 낮고 난해한 구간 없이 정직한 패턴이라 전체적으로는 12레벨 하위권 수준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2▼''')}}} || || [[Boom!]][br]{{{-3 RESPECT}}} || || [[파일:Liar_1.png|width=60]] || || [[Liar]][br]{{{-3 RESPECT}}} || || [[파일:염라_1.png|width=60]] ||<|10>위의 두 곡보다는 아니지만 13레벨에 비하면 확실히 쉬운 물렙 패턴들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2''')}}} || || [[염라(달의하루)|염라]][br]{{{-3 RESPECT}}} || || [[파일:EGG Extended Mix_1.png|width=60]] || || [[EGG(DJMAX)#s-3|EGG ~Extended Mix~]][br]{{{-3 TECHNIKA 3}}} || || [[파일:Lisrim_1.png|width=60]] || || [[Lisrim]][br]{{{-3 V EXTENSION}}} || || [[파일:Rising The Sonic_1.png|width=60]] || || [[Rising The Sonic]][br]{{{-3 RESPECT}}} || || [[파일:Shoot out_1.png|width=60]] || || [[Shoot out]][br]{{{-3 Cytus}}} || || [[파일:Dance of the Dead_1.png|width=60]] ||<|2>높은 판정을 내는 것은 몰라도 최소한 처리가 까다로운 구간은 거의 없다. 밀도도 14레벨에 비하면 낮은 편이고 패턴도 정직한 편이어서 체감 난이도는 13레벨 정도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Dance of the Dead]][br]{{{-3 RESPECT}}} || || [[파일:Deadly Bomber_1.png|width=60]] ||<|2>딱히 특기할만한 것이 없는 13레벨 수준의 물렙. 평범한 밀도에 평범하고 단순한 패턴밖에 등장하지 않는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Deadly Bomber]][br]{{{-3 V EXTENSION 4}}} || || [[파일:Feel Ma Beat_1.png|width=60]] ||<|2>중살 구간은 확실히 14레벨에 걸맞게 충분히 까다롭고 위협적이나 나머지 구간들이 모두 밀도가 낮고 정직해서 너무 쉽다. 이 한 구간 때문에 퍼펙트 및 맥스 콤보 난이도는 마냥 쉽지 않지만 통상적인 난이도로는 물렙 확정.[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Feel Ma Beat]][br]{{{-3 TECHNIKA 3}}} || || [[파일:Leave me alone_1.png|width=60]] ||<|2>동시치기가 하루종일 일정한 박자로 정직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어렵다고 느낄 부분이 없다. 13레벨의 동시치기 곡들과 비교해도 밀리는 수준.[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Leave me alone]][br]{{{-3 PORTABLE 3}}} || || [[파일:Out Law Reborn_1.png|width=60]] ||<|2>13레벨인 원곡 [[Out Law]] MX보다도 더 쉬운 14레벨 최약체. 13레벨에 가도 하위권 수준일 정도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Out Law#s-2|Out Law : Reborn]][br]{{{-3 PORTABLE 3}}} || || [[파일:!!New Game Start!!_1.png|width=60]] ||<|2>아래 MX 15레벨 물렙 3인방보다는 낫지만 이것도 14레벨급의 물렙이다. 까다로운 패턴은 별로 없고 마지막에 나오는 단순하지만 길게 이어지는 후살 트릴만 주의하면 판정도 쉽게 뽑히는 유형.[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4''')}}} || || [[!!New Game Start!!]][br]{{{-3 V EXTENSION 4}}} || || [[파일:Entrance_1.png|width=60]] ||<|6>6버튼 15레벨 최약체들. 모두 15레벨 치고는 패턴 구성이 너무 간단하다. 체감 난이도는 잘 쳐줘야 14레벨 중하위권이고 개인차를 잘 받으면 13레벨까지도 내려간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3~14''')}}} || || [[Entrance]][br]{{{-3 Cytus}}} || || [[파일:Garakuta Doll Play_1.png|width=60]] || || [[Garakuta Doll Play/타사 리듬 게임 수록#s-9|Garakuta Doll Play]][br]{{{-3 CHUNITHM}}} || || [[파일:The wheel to the right_1.png|width=60]] || || [[The wheel to the right]][br]{{{-3 CHUNITHM}}} || || [[파일:바람의 기억_1.png|width=60]] ||<|2>물량은 어느정도 있으나 정박 위주의 간단한 패턴 위주로 나온다. 전체적으로 [[Only for you]] SC와 비슷한 난이도로 평가받는 물렙.[br]{{{-2 (체감 난이도 : SC 4 → '''3''')}}} || || [[바람의 기억]][br]{{{-3 TRILOGY}}} || || [[파일:Lift You Up_1.png|width=60]] ||<|2>후반부에 1번 롱노트를 잡으면서 3번 단노트를 처리하는 패턴, 노래 끝나기 직전 나오는 폭타 한 줄이 그나마 어렵지만 5레벨 정도의 난이도에서는 그냥 지나가는 구간이다. 체감 난이도는 4.[br]{{{-2 (체감 난이도 : SC 5 → '''4''')}}} || || [[Lift You Up]][br]{{{-3 RESPECT}}} || || [[파일:Appeal_1.png|width=60]] ||<|2>6B SC 특유의 1-3, 4-6 동시치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SC 초심자들을 조금 괴롭힌다는 점만 빼면 그 외에 까다로운 요소가 거의 없다. 패턴도 박자도 쉽고 정직해서 6레벨 치고는 너무나도 초라할 뿐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4''')}}} || || [[Appeal]][br]{{{-3 EZ2ON}}} || || [[파일:Desperado_1.png|width=60]] ||<|2>패턴이 전체적으로 단순하고 직관적이라 6레벨에 비하면 쉬운 편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 [[Desperado(DJMAX)|Desperado]][br]{{{-3 BLACK SQUARE}}} || || [[파일:Like a Fool_1.png|width=60]] ||<|2>최후반부 나선계단만 어려운 패턴. 스윙 리듬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기 때문에 퍼펙트 플레이라면 체감 난이도가 좀 오를 수 있으나 6레벨에 걸맞는 패턴은 하나도 안 나온다. 체감 난이도는 SC 5.[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 [[Like a Fool]][br]{{{-3 V EXTENSION 4}}} || || [[파일:영원_1.png|width=60]] ||<|2>BPM이 매우 낮아 끊어치기를 요구하지만 대부분의 구성이 간단해 비교적 어렵지 않게 처리할 수 있다. 맨 마지막에는 양손 나선계단이 나오고 이 곡에서 그나마 어려운 부분이지만 이미 6레벨에도 [[Love Mode]] 등 비슷한 패턴을 차용하면서 더 어려운 패턴도 있어 표기 레벨에 맞는 패턴이라고 보기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영원(DJMAX)|영원]][br]{{{-3 CLAZZIQUAI}}} || || [[파일:Back to Life_1.png|width=60]] ||<|2>난이도에 맞는 패턴이 하나도 없다. 다중 동시치기가 많이 나오기는 하는데 그냥 많이 나오기만 하고 어려운 배치로 나오지도 않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5''')}}} || || [[Back to Life]][br]{{{-3 TECHNIKA TUNE&Q}}} || || [[파일:Become Myself_1.png|width=60]] ||<|2>트릴이 꽤 빠르긴 하지만 7레벨로 보기엔 너무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Become Myself]][br]{{{-3 PORTABLE 3}}} || || [[파일:Give Me 5_1.png|width=60]] ||<|2>중간중간 등장하는 따닥이 연타만 조심하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는 무난한 채보. 7레벨로 할당된 것 치고는 터무니없이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5▼''')}}} || || [[Give Me 5]][br]{{{-3 TECHNIKA 3}}} || || [[파일:Look out_1.png|width=60]] ||<|2>중간에 나오는 겹계단 구간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7레벨 수준은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Look out|Look out ~Here comes my love~]][br]{{{-3 EZ2ON}}} || || [[파일:Secret_1.png|width=60]] ||<|2>딱히 특징적인 구간도 없고 13-46 동치에 익숙할 경우 배치 또한 쉽다. SC 7레벨 최약체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7 → '''5''')}}} || || [[Secret(DJMAX)#s-2|Secret]][br]{{{-3 V EXTENSION 3}}} || || [[파일:Wanna Be Your Lover_1.png|width=60]] ||<|2>롱노트가 많이 등장한다는 점만 빼면 딱히 특별할만한 것은 없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체감 난이도는 6레벨에서 롱잡만 잘 처리할 수 있으면 5레벨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5~6''')}}} || || [[Wanna Be Your Lover]][br]{{{-3 TECHNIKA 3}}} || || [[파일:Where Stars Rest_1.png|width=60]] ||<|2>레벨대에 걸맞는 구간이 하나도 없다. 패드 패턴에 가까운 패턴 구성과 맞물려 체감 난이도는 SC 3까지 떨어진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3''')}}} || || [[Where Stars Rest]][br]{{{-3 MAPLESTORY}}} || || [[파일:Cherokee_1.png|width=60]] ||<|2>후반부 진입 직전 롱노트 잡고 트릴을 처리하는 구간 이외에 어려운 구간이 없다. 퍼펙트를 노릴 경우 트릴 처리 중 오른손으로 4번 트릴을 치면서 5번 롱노트를 동시에 잡아야 한다는 점 때문에 매우 까다로워질 수 있으나 트릴을 뭉개도 괜찮은 맥스 콤보, 클리어링에서는 물렙으로 볼 여지가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7''')}}} || || [[Cherokee]][br]{{{-3 PORTABLE 2}}} || || [[파일:Flea_1.png|width=60]] ||<|2>전체적인 밀도도 낮고 초반의 롱잡 트릴을 제외하고는 까다로운 구간이 거의 없다. 중반의 다중 롱잡도 조금만 조심하면 딱히 넘기기 어렵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7''')}}} || || [[Flea(DJMAX)|Flea]][br]{{{-3 CLAZZIQUAI}}} || || [[파일:Magnolia_1.png|width=60]] ||<|2>등장 시점에서는 사이드 처리력이 좋다면 물렙, 아니라면 적정 레벨인 개인차 요소가 존재하는 패턴이라 평가받았으나 지속적 업데이트로 중저레벨에도 사이드 활용이 잦은 패턴이 꽤나 생겨 SC 레벨 개편 시점에서는 물렙이라고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7''')}}} || || [[Magnolia]][br]{{{-3 Deemo}}} || || [[파일:Triple Zoe_1.png|width=60]] ||<|2>같은 곡의 HD 패턴에 비해 그다지 크게 어려워졌다는 느낌을 받지 못하는 패턴. 중간중간 등장하는 따닥이 및 계단의 존재로 스코어링은 마냥 쉽지만은 않으나 클리어 난이도에서는 영락없는 물렙.[br]{{{-2 (체감 난이도 : SC 8 → '''7''')}}} || || [[Triple Zoe]][br]{{{-3 PORTABLE 1}}} || || [[파일:Stay_1.png|width=60]] ||<|2>연타가 간간이 나오지만 BPM이 매우 낮아 처리하기 쉽고, 전체적으로 8레벨에서도 쉬운 패턴들만 나온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8▼''')}}} || || [[Stay(EZ2AC)|Stay]][br]{{{-3 EZ2ON}}} || || [[파일:Hypernaid_1.png|width=60]] ||<|2>후반부 폭타가 꽤 길게 떨어지기는 하는데 길게만 나오고 배치는 너무 쉽게 나온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8~9''')}}} || || [[Hypernaid]][br]{{{-3 V EXTENSION 4}}} || || [[파일:Royal Clown_1.png|width=60]] ||<|2>5B와 마찬가지로 변속이 난이도에 딱히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며, 겹계단 및 그 변형 패턴들만 조심하면 물량도 낮고 클리어에 크게 문제되는 구간이 없는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 || || [[Royal Clown]][br]{{{-3 RESPECT}}} || || [[파일:OrBiTal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밀도는 SC 12레벨 치고 너무나도 한산하나 수시로 등장하는 연타들이 난이도를 결정하는 채보로, 중간중간 등장하는 재봉틀형 연타나 1346 연타 등은 나름대로 위협적이지만, BPM이 빠르지 않아 연타 패턴이 어지간히 약하지 않은 이상 SC 12레벨은 상당한 물렙이라는 평이 많다. 연타 패턴에 약하지 않다면 체감 난이도는 더욱 하락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0~11''')}}} || || [[OrBiTal]][br]{{{-3 RESPECT}}} || || [[파일:Plasma Sphere_1.png|width=60]] ||<|2>12레벨 치고는 너무 쉬운 배치로 떨어진다. 클리어는 물론 스코어링도 쉬워서 11레벨에 더 어울리는 물렙.[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1''')}}}|| || [[Plasma Sphere]][br]{{{-3 V EXTENSION 3}}} || || [[파일:Silent Clarity_1.png|width=60]] ||<|2>그냥 너무 정석적이고 무난하다. 이 곡만의 특출난 패턴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밀도도 높은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박자가 이상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12레벨 치고는 쉬운 편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1''')}}} || || [[Silent Clarity]][br]{{{-3 TECHNIKA TUNE&Q}}} || || [[파일:Deadly Bomber_1.png|width=60]] ||<|2>4B SC와 마찬가지로 후살이 살짝 까다롭지만 그 외의 전체적인 구간이 SC 12레벨에서 중~중상위권 수준으로 쉽다. 또한 중간중간 겹계단으로 플레이어를 괴롭힌다는 점만 빼면 대체로 손배치상 치기 편안한 구성의 패턴 위주로 이루어져있어 판정 뽑기도 수월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Deadly Bomber]][br]{{{-3 V EXTENSION 4}}} || || [[파일:NB RANGERS - 운명의 Destiny_1.png|width=60]] ||<|2>최후반 24비트 트릴이 꽤 길게 떨어짐과 동시에 까다로운 겹계단이 있기 때문에 맥스 콤보는 개인차를 좀 탈 수 있으나 그럼에도 13레벨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패턴 전체적인 클리어 난이도 면에서는 확실히 쉽다. [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NB RANGERS - 운명의 Destiny]][br]{{{-3 V EXTENSION 3}}} || || [[파일:The Lake of Oblivion ~jam-jam Remix~_1.png|width=60]] ||<|2>중간중간 등장하는 즈레와 드르륵 때문에 스코어링은 쉽지 않을 수 있으나 전체적인 밀도와 패턴 구성이 통상적으로 13레벨에 비해서는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The Lake of Oblivion#s-2.2|The Lake of Oblivion ~jam-jam Remix~]][br]{{{-3 MAPLESTORY}}} || || [[파일:ouroboros_1.png|width=60]] ||<|2>나름 6버튼 최고 노트 수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지만 비슷한 평가를 받던 곡보다 특출나게 어려웠던 것도 아니면서 최고 레벨인 15를 할당받은 물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5 → '''14''')}}} || ||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타사 리듬 게임 수록/DJMAX RESPECT & V|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br]{{{-3 GROOVE COAST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a8ff 25%, #cb71ff 75%)" {{{#white '''개인차'''}}}}}}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Midnight Blood_1.png|width=60]] ||<|2>노래 시작하자마자 나오는 박자가 바뀌는 기준 자체가 없는 변박 구간, 후반부 [[Got more raves?]]의 열화판인 32비트씩 엇갈린 나선계단 패턴이 스코어링에 큰 지장을 준다. 패턴 구성 자체도 잘 비벼야 넘어가는 MX식 폭타가 많이 떨어져 13레벨에서도 어렵다 평가받는 패턴인 만큼 퍼펙트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3~14''' / 개인차 요소 : '''엇박 및 계단''')}}} || || [[Midnight Blood]][br]{{{-3 PORTABLE 2}}} || || [[파일:HAMSIN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개박 베이스에 연타, 트릴, 따닥이, 동시치기, 알약 등이 골고루 등장하는 지저분한 채보. 등장하는 패턴이 하나하나 다 개인차 덩어리이며 초반 구간은 손꼬임까지 심하게 유발하기 때문에 못치는 사람은 죽어도 못친다. 덕분에 퍼펙트 및 스코어링 난이도는 MX 14레벨 중에서도 최상급으로 꼽히며, 클리어 및 맥스콤보 난이도 역시 절대 쉽지는 않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서 15레벨 수준으로도 느낄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4~15''' / 개인차 요소 : '''즈레, 연타''')}}} || || [[HAMSIN]][br]{{{-3 PORTABLE 1}}} || || [[파일:Sad Machine_1.png|width=60]] ||<|2>상술한 5B SC와 마찬가지로 롱잡 위주의 채보이기에 개인차가 크게 발생하는 편. 마찬가지로 사람에 따라서는 불렙으로 느껴질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3 → '''3~4''' / 개인차 요소 : '''롱잡''')}}} || || [[Sad Machine]][br]{{{-3 RESPECT}}} || || [[파일:꿈의 기억_1.png|width=60]] ||<|2>기습적으로 나오는 겹계단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중살인 한손 나선 계단 구간은 SC 6레벨에는 어울리지 않는 어려운 구간이기 때문에 쉽지는 않은 패턴. 그래도 그 외의 구간은 모두 전반적으로 평범하기 때문에 클리어 난이도 자체는 정렙이지만, 맥스 콤보와 스코어링작에서는 애를 먹을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6~7''' / 개인차 요소 : '''한손 나선 계단''')}}} || || [[꿈의 기억 (feat. Jisun)]][br]{{{-3 V EXTENSION 2}}} || || [[파일:Trip_1.png|width=60]] ||<|2>[[SigNalize]]의 저레벨 버전. 중반에 등장하는 롱노트 구간이 6레벨 치고는 상당히 어렵지만 그 외의 구간이 대부분 5레벨 수준으로 쉽기 때문에 사람마다 개인차가 크게 갈릴 수 있다. [br]{{{-2 (체감 난이도 : SC 6 → '''5~6▲''' / 개인차 요소 : '''롱노트''')}}} || || [[Trip]][br]{{{-3 TECHNIKA 2}}} || || [[파일:Color_1.png|width=60]] ||<|2>전반적으로 밀도가 낮아서 7레벨에 비해서는 살짝 쉽게 느껴질 수 있지만 후반에 미친 연타가 연속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연타에 약한 유저 입장에서는 마냥 쉽지만은 않을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6~7''' / 개인차 요소 : '''연타''')}}} || || [[Color(DJMAX)|Color]][br]{{{-3 CLAZZIQUAI}}} || || [[파일:Creator_1.png|width=60]] ||<|2>정배로는 곡 시작부터 끝까지 느린 계단으로 플레이어를 괴롭히는 스코어링 지뢰곡이지만 랜덤을 걸면 어떤 배치가 나오던 물렙이 된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개인차 요소 : '''계단''')}}} || || [[Creator]][br]{{{-3 CLAZZIQUAI}}} || || [[파일:Negative Nature_1.png|width=60]] ||<|2>네 구간을 기준으로 BPM과 곡조까지 바꿔버리는 변속곡인데, 기본적으로 BPM이 낮아 정확하게 치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곡이 아예 바뀌어버리기 때문에 리듬감을 잃기 매우 쉽다. 패턴 구성 또한 나선계단, 잦은 즈레노트 등 스코어링에 불친절한 패턴만 가득하다는 것 또한 난점.[br]{{{-2 (체감 난이도 : SC 8 → '''9~10''' / 개인차 요소 : '''변속, 계단, 즈레''')}}} || || [[Negative Nature]][br]{{{-3 PORTABLE 2}}} || || [[파일:Dream of You_1.png|width=60]] ||<|2>곡 시작부터 끝까지 엇박의 향연으로, 높은 정확도를 내기가 매우 까다로운데다 패턴 구성까지 만만하지 않다. 99% 이상 판정작을 노리는 경우 지뢰곡으로 남기 쉽다. 반대로 처리가 어려운 구간은 별로 없어서 순수 클리어 난이도만 보면 9레벨에 비해 쉬운 편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8~9''' / PERFECT : '''10▲''' / 개인차 요소 : '''즈레 및 엇박''')}}} || || [[Dream of You(DJMAX)|Dream of You]][br]{{{-3 PORTABLE 2}}} || || [[파일:SigNalize_1.png|width=60]] ||<|2>상술한 5버튼과 마찬가지로 DJMAX 시리즈에는 전례가 없었던 롱노트 패턴이 등장하지만 이 구간 외에는 모두 무난하게 쉬운 패턴만 등장하기 때문에 개인차를 심하게 탄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8~10''' / 개인차 요소 : '''롱노트''')}}} || || [[SigNalize]][br]{{{-3 TECHNIKA 3}}} || || [[파일:Smoky Quartz_1.png|width=60]] ||<|2>곡 시작부터 끝까지 즈레와 엇박의 향연으로, 높은 정확도를 내기가 매우 까다로운데다 뜬금없이 튀어나오는 겹계단/원핸드 트릴 등 콤보 짤리기도 쉽다. 2021/07/28일 기준 퍼펙트 달성자가 30명밖에 되지 않는, 재개편 이전 14레벨에서 퍼펙트 달성자가 가장 적은 곡일 정도.[br]{{{-2 (체감 난이도 : SC 9 / PERFECT : '''10~11''' / 개인차 요소 : '''즈레 및 엇박''')}}} || || [[Smoky Quartz]][br]{{{-3 PORTABLE 2}}} || || [[파일:STALKER_1.png|width=60]] ||<|2>이 곡에서만 접할 수 있는 특이한 따닥이 롱잡의 존재 때문에 개인차가 꽤나 갈린다. 중반 폭타 역시 일반적인 형태는 아니라서 패턴의 유니크함이 가중된다. 덕분에 본 패턴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라면 리딩도 어렵고 손도 심하게 꼬이기 일쑤라 초견에는 매우 당황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박자도 난해해 90% 유발도 잦기 때문에 스코어링 역시 쉽지 않다. [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0~11''' / 개인차 요소 : '''롱잡''')}}} || || [[STALKER]][br]{{{-3 PORTABLE 2}}} || || [[파일:The Rain Maker_1.png|width=60]] ||<|2>곡 특유의 박자에 롱노트의 시작점과 끝점, 연타를 섞은 패턴이 중반부부터 나온다. 그 중 롱노트가 정배 기준 약지/중지에만 몰려 나오는 구간이 가장 어렵고, 생소한 패턴+엇박 때문에 스코어링이 매우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PERFECT : '''11~12''' / 개인차 요소 : '''롱노트 및 엇박''')}}} || || [[The Rain Maker]][br]{{{-3 PORTABLE 3}}} || || [[파일:Angelic Sphere_1.png|width=60]] ||<|2>4버튼과 마찬가지로 초반의 고속 계단이 큰 난점이다. 이를 지나고 나면 기하급수적으로 쉬워지는 4B와는 달리 뒤도 어느정도 난이도가 있으나, SC 11이라는 꽤나 후한 난이도를 배정받아 11치고는 매우 쉽다. 다만 퍼펙트 플레이를 노린다면 여전히 난감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11''' / PERFECT : '''11~12''' / 개인차 요소 : '''계단''')}}} || || [[Angelic Sphere]][br]{{{-3 Deemo}}} || || [[파일:Sparrow_1.png|width=60]] ||<|2>아래 Urban Night와 비슷하게 패턴 전반적으로는 쉽게 떨어지나 후반에 등장하는 오른손 한손 트릴이 난이도를 급격하게 올린다. 이 때문에 개인차도 상당한 편.[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11''' / 개인차 요소 : '''트릴''')}}} || || [[Sparrow(EZ2AC)|Sparrow]][br]{{{-3 EZ2ON}}} || || [[파일:Urban Night_EB_1.png|width=60]] ||<|2>이 역시 상술한 5버튼과 마찬가지로 고속 트릴이 스코어링에서 너무나도 난점이다. 양손으로 트릴을 처리할 수 있는 5버튼과는 다르게 한손 고속 트릴이 존재하기 때문에 말도 안되는 퍼펙트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다만 그 구간 외에는 밀도가 낮고 까다로운 패턴이 거의 없기 때문에 클리어 난이도는 11레벨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 / PERFECT : '''13~14''' / 개인차 요소 : '''트릴''')}}} || || [[Urban Night]][br]{{{-3 Emotional S.}}} || || [[파일:피아노 협주곡 1번_1.png|width=60]] ||<|2>상술한 5버튼과 마찬가지로 초반의 즈레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가 상당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PERFECT : '''13▲''' / 개인차 요소 : '''즈레''')}}} || || [[피아노 협주곡 1번]][br]{{{-3 PORTABLE 1}}} || || [[파일:Festa Nova_1.png|width=60]] ||<|2>단순히 패턴 난이도 자체만 놓고 보면 10 상~11 하 수준의 난이도이고 변속이 없었다면 물렙이었겠지만, 변속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너무나도 올라가 변속에 약한 유저들은 오히려 12레벨 상위권 수준으로도 여겨질 수 있다. 역으로 배속 컨트롤에 강하고 엇박에 강하다면 12레벨 중에서는 하위권.[br]{{{-2 (체감 난이도 : SC 12 / 개인차 요소 : '''변속, 즈레''')}}} || || [[Festa Nova]][br]{{{-3 TECHNIKA TUNE&Q}}} || || [[파일:Black Swan_1.png|width=60]] ||<|2>가속 / 감속 증감폭이 매우 크다는 것이 난점으로 작용한다. 가속 / 감속 구간 중 난이도가 어느 한 쪽에 몰려있는 게 아니라 난이도가 고루 분배됐고, 쉬는 타이밍을 주지 않아 배속 조절 테크닉을 활용하기도 어려운 것도 문제. 게다가 고정 배속 패치로 배속 변경 단위가 0.25에서 0.1로 바뀌었고, '''퍼즈를 걸면 피버가 꺼지는 패치'''가 이루어져 사실상 배속 조절 테크닉이 막히게 되면서 굉장히 까다로운 곡이 되었다. 하프 랜덤을 걸면 단순 패턴의 난이도 자체는 하락하는 편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개인차 요소 : '''변속''')}}} || || [[Black Swan(DJMAX)|Black Swan]][br]{{{-3 TECHNIKA 3}}} || || [[파일:Showdown(EZ2ON)_1.png|width=60]] ||<|2>[[SigNalize]]의 상위호환. 중반에 등장하는 롱노트 구간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사람마다 확연하게 갈린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14''' / 개인차 요소 : '''롱노트''')}}} || || [[Showdown(EZ2AC)|Showdown]][br]{{{-3 EZ2ON}}} || || [[파일:Disappearing Act_1.png|width=60]] ||<|2>중반부 왼손, 오른손 교차로 12, 23 / 45, 56을 번갈아 치는 8비트 축연타, 그리고 고밀도 동시치기와 데님 노트를 동반한다. 이 하이라이트에서 스코어링은 고사하고 집중하지 않으면 그대로 폭사까지 이를 만큼 굉장히 어렵다. SC 15레벨만큼 어렵다고 평하는 사람도 있으나 동시치기에 강한 경우 난이도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일반적인 동시치기 패턴보다는 앞서 서술했듯 12, 23 / 45, 56을 번갈아 치는 축 동시치기가 주된 난이도 요소이기 때문에 동시치기를 잘 해내는 유저들 사이에서도 개인차가 갈린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4~15''' / 개인차 요소 : '''축 동시치기, 데님''')}}} || || [[Disappearing Act]][br]{{{-3 V EXTENSION 3}}} || || [[파일:Garakuta Doll Play_1.png|width=60]] ||<|2>후반부의 '''데님 연타와 축연타'''에 모든 것을 건 패턴으로, 긴 설명이 필요 없이 해당 패턴을 칠 수 있느냐, 없느냐로 개인차 폭이 넓게 나뉜다. 해당 패턴을 잘 처리하는 유저들에게는 SC 14에서 상당히 쉬운 패턴으로 느낄 수 있지만, 반대로 이런 패턴에 약점을 가지고 있는 유저들에게는 SC 15레벨 급의 불렙.[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4▼~15''' / 개인차 요소 : '''연타''')}}} || || [[Garakuta Doll Play/타사 리듬 게임 수록#s-9|Garakuta Doll Play]][br]{{{-3 CHUNITHM}}} || || [[파일:!!New Game Start!!_1.png|width=60]] ||<|2>높은 BPM과 두 차례 떨어지는 긴 트릴, 정직한 패턴이라는 특징 때문에 동시치기 처리력에 따라 14레벨 하위권에서 13레벨을 오가는 패턴이다. 동시칙 처리력이 충분하다면 6B SC 14레벨 특유의 킬링파트가 없고, 특별히 판정이 갈릴 곳도 없는 13레벨 수준으로 체감할 수도 있는 반면, 동시치기 처리력이 부족하거나 트릴에 약하다면 후반 동시치기나 트릴에 순식간에 갈려나갈 수도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14''' / 개인차 요소 : '''트릴, 동시치기''')}}} || || [[!!New Game Start!!]][br]{{{-3 V EXTENSION 4}}} || || [[파일:KICK IT_1.png|width=60]] ||<|2>중반부 '''폴리'''[* 양 손으로 한 손으로는 4비트 단위의 정박, 다른 한손으로는 12, 24비트의 엇박을 처리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폴리리듬]] 참조.] 노트가 존재한다. 디제이맥스 역사상 16, 24비트 혼합의 고속 폴리노트가 출현한 적은 없으므로 스코어링, 퍼펙트작 시 굉장히 고전을 치러야 한다. 별개로 패턴 전반적으로는 밀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SC 14레벨 치고 클리어 및 풀콤보 난이도는 상당히 쉬운 편이라 통상 난이도로는 물렙으로 보기도 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14''' / PERFECT : '''15''' / 개인차 요소 : '''폴리''')}}} || || [[KICK IT]][br]{{{-3 V EXTENSION 3}}} || || [[파일:Super Lovely_1.png|width=60]] ||<|2>170이라는 높은 BPM을 기반으로 트릴로 시작해서 트릴로 끝나는 곡. 1313, 4646 (1212, 5656)에 한번씩 2,5 / 3,6번 째의 노트가 섞여서 리듬감을 잃기 딱 좋게 만드는 구성을 띄고 있다. 특히 트릴을 다 이어도 초반, 극후반의 이빨 빠진 원핸드 데님 섞인 겹트릴에서 밀리는 사례도 있어 각각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구간도 극명하게 갈리는 개인차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14▲''' / 개인차 요소 : '''트릴, 데님''')}}} || || [[Super Lovely]][br]{{{-3 Emotional S.}}} || || [[파일:Odysseus_1.png|width=60]] ||<|2>출시 초기부터 보스곡 아래 티어의 준보스곡 수준의 채보로 평가받았지만 SC 난이도 재개편 때 최고 레벨인 15를 할당받았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꾸준히 물렙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모두가 공통적으로 이견없이 물렙으로 꼽는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 SC와는 다르게 이 곡만의 아이덴티티인 연타와 후살 겹폭타의 존재 때문에 클리어 난이도만큼은 확실히 마냥 쉽지만은 않다는 평을 듣는다. 이 때문에 SC 15레벨에서는 쉬운 편이긴 하나 물렙까진 아니며 15레벨 수문장 역할 정도는 할 수 있다는 의견도 꽤나 존재하기에 개인차를 어느 정도 탄다고 볼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5 → '''14~15''' / 개인차 요소 : '''연타 및 겹폭타''')}}} || || [[Odysseus(DJMAX)|Odysseus]][br]{{{-3 V EXTENSION 2}}} || == 8B TU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54a2, #3f4297, #54339a, #291b47)" {{{#white '''8B TU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da9a9 25%, #ff6262 75%)" {{{#white '''불렙곡'''}}}}}}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Higher_1.png|width=60]] ||<|2>8B에서 대표적인 뉴비 분쇄기 패턴. 트리거와 일반노트 동시치기로 뇌정지를 계속 유발한다.[br]{{{-2 (체감 난이도 : NM 4 → '''6''')}}}|| || [[Higher]][br]{{{-3 PORTABLE 2}}} || || [[파일:Syriana_1.png|width=60]] ||<|2>일단 밀도부터가 노멀 5레벨의 밀도는 아니며, 위의 Higher NM과 마찬가지로 트리거 + 일반노트 동시치기가 매우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NM 5 → '''7▲''')}}} || || [[Syriana]][br]{{{-3 PORTABLE 2}}} || || [[파일:Road Of Death_1.png|width=60]] ||<|2>손 꼬이는 오른손 트리거 복합과 빠른 연타 패턴 때문에 도저히 7레벨로 볼 수는 없는 난이도이다.[br]{{{-2 (체감 난이도 : NM 7 → '''9''')}}}|| || [[Road Of Death]][br]{{{-3 PORTABLE 1}}} || || [[파일:아침형 인간_1.png|width=60]] ||<|2>같은 곡의 HD가 워낙 악명높고 유명해서 묻힌 덕에 언급은 적지만 노멀 난이도 역시 9레벨 이상급의 불렙 채보이다.[br]{{{-2 (체감 난이도 : NM 8 → '''9~10''')}}}|| || [[아침형 인간(DJMAX)|아침형 인간]][br]{{{-3 PORTABLE 1}}} || || [[파일:Disappearing Act_1.png|width=60]] ||<|2>다른 구간은 무난하나 드랍 구간에서 트리거 1자연타 구간이 나오고, 최후반부에 356LR, 124LR 동시치기가 연속적으로 나온다. 저레벨 패턴에 전혀 맞지 않는 패턴으로 인해 체감 난이도는 10까지도 올라갈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NM 8 → '''9▲''')}}}|| || [[Disappearing Act]][br]{{{-3 V EXTENSION 3}}} || || [[파일:Envy Mask_1.png|width=60]] ||<|2>후술할 MX 패턴에서 살은 덜어냈지만 트리거 연타가 시종일관 등장하는 것은 매한가지이고, 단노트 따닥이까지 등장하기 때문에 절대 8레벨 수준으로 느껴지지는 않는 불렙 패턴이다. [[복수혈전(DJMAX)|복수혈전]] NM보다 살짝 쉬운 정도로 10~11 수준이 적절하다.[br]{{{-2 (체감 난이도 : HD 8 → '''10▲''')}}}|| || [[Envy Mask]][br]{{{-3 EZ2ON}}} || || [[파일:Higher_1.png|width=60]] ||<|2>전체적인 밀도는 낮지만 롱노트와 트리거를 활용해 리딩을 어지럽히는 구간이 등장해 8레벨 치고는 쉽지 않다. 그나마 후반 드르륵 구간은 평범하게 나오기 때문에 엄청난 불렙까진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HD 8 → '''9''')}}}|| || [[Higher]][br]{{{-3 PORTABLE 2}}} || || [[파일:One the Love_1.png|width=60]] ||<|2>쉬지 않고 떨어지는 꾸준한 트리거 동시치기 하나만으로도 당황스럽게 만드는 엄청난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8 → '''10''')}}}|| || [[One the Love]][br]{{{-3 PORTABLE 1}}} || || [[파일:Zero-Break_1.png|width=60]] ||<|2>밀도 자체는 높진 않지만 트리거와 단노트를 악랄하게 배치해 뇌정지를 유발시킨다.[br]{{{-2 (체감 난이도 : NM 8 → '''9''')}}}|| || [[Zero-Break]][br]{{{-3 V EXTENSION 3}}} || || [[파일:설레임_1.png|width=60]] ||<|8>패드로도 치기 어려운 불렙 패턴들로, 체감 난이도는 최소 11레벨 중상위권까지 올라간다.[br]{{{-2 (체감 난이도 : HD 9 → '''11''')}}}|| || [[설레임(DJMAX)|설레임]][br]{{{-3 PORTABLE 2}}} || || [[파일:Good Bye_1.png|width=60]] || || [[Good Bye(DJMAX)|Good Bye]][br]{{{-3 PORTABLE 2}}} || || [[파일:Stay with me_1.png|width=60]] || || [[Stay with me(DJMAX)|Stay with me]][br]{{{-3 PORTABLE 2}}} || || [[파일:Syriana_1.png|width=60]] || || [[Syriana]][br]{{{-3 PORTABLE 2}}} || || [[파일:느낌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트리거 동시치기가 쉼없이 등장하고 중간중간 트리거 롱잡도 등장한다. 더구나 후반에는 짧지만 아침형 인간 HD와 유사한 까다로운 동시치기 후살이 있어서 10레벨 수준은 확실히 벗어난 채보.[br]{{{-2 (체감 난이도 : MX 10 → '''11~12''')}}} || || [[느낌(EZ2AC)|느낌]][br]{{{-3 EZ2ON}}} || || [[파일:REVENGE_1.png|width=60]] ||<|2>트리거 연타 활용이 지나치게 많다. 거기에 동시치기까지 섞여 체감 난이도가 매우 높다.[br]{{{-2 (체감 난이도 : NM 10 → '''12''')}}}|| || [[복수혈전(DJMAX)|복수혈전]][br]{{{-3 PORTABLE 1}}} || || [[파일:아침형 인간_1.png|width=60]] ||<|2>10레벨 불렙 3대장 중 첫 번째 패턴. 기존 PS4판에서도 워낙 악명높았던 패턴이었는데, PC로 오면서 그 난이도가 더더욱 상승했다. 후반부 트리거를 연달아 처리하면서 잡노트가 끼는 패턴이 뇌정지를 유발하기 일쑤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2▲''')}}}|| || [[아침형 인간(DJMAX)|아침형 인간]][br]{{{-3 PORTABLE 1}}} || || [[파일:Back to the oldschool_1.png|width=60]] ||<|2>중반과 후반에 등장하는 트리거 동시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그 외에의 구간에서도 전반적으로 꾸준히 트리거가 등장해 곡 전체적인 밀도는 낮지만 10레벨과는 어울리지 않는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1~12''')}}}|| || [[Back to the oldschool]][br]{{{-3 V EXTENSION 4}}} || || [[파일:Brandnew Days_1.png|width=60]] ||<|2>트리거 동시치기에 상하트릴, 트리거+트릴, 폭타 중 트리거+일반노트 동시치기 등 BPM은 낮지만 어려운 패턴이 꾸준히 끼어든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1~12''')}}}|| || [[Brandnew Days]][br]{{{-3 PORTABLE 2}}} || || [[파일:Fallen Angel_1.png|width=60]] ||<|2>10레벨 불렙 3대장 중 두 번째. 아침형 인간이 워낙 악명높지만 아침형 인간보다도 오히려 한 수 위에 있다고 평가받을 정도의 패턴으로, 트릴 구간에서부터 복잡한 배치로 트리거가 끼기 시작하고 롱노트 또한 간섭하면서 처리를 어렵게 한다. 후반부 또한 트리거에 이어서 바로 잡노트를 처리하는 구성이 지속되기 때문에 8버튼 입문 유저 입장에서는 정말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한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3''')}}}|| || [[Fallen Angel(DJMAX)|Fallen Angel]][br]{{{-3 PORTABLE 2}}} || || [[파일:Fermion_1.png|width=60]] ||<|2>10레벨 불렙 3대장만큼은 아니지만 그 바로 아랫급 불렙 정도라고 할 수 있는 패턴. 트리거를 동반한 폭타와 트릴, 동시치기가 절대 10레벨 수준은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1~12''')}}} || || [[Fermion]][br]{{{-3 BLACK SQUARE}}} || || [[파일:The Feelings_1.png|width=60]] ||<|2>10레벨 불렙 3대장 중 세 번째. 아침형 인간이 동시치기로, Fallen Angel이 트리거 복합으로 난이도를 높였다면 해당 패턴은 롱노트에 트리거를 섞음으로써 처리에 난해함을 유발한다. 뭉개기가 통하는 패턴이기 때문에 단순 클리어만 놓고 본다면 아침형 인간이나 Fallen Angel보다 할만하다는 평가를 받지만, 스코어링 면에서는 헛치기 쉬운 패턴이 저 둘보다 더 많이 나와 되려 더 어려워지는 까다로운 패턴.[br]{{{-2 (체감 난이도 : HD 10 → '''12''')}}}|| || [[The Feelings]][br]{{{-3 RESPECT}}} || || [[파일:Fate_1.png|width=60]] ||<|6>10레벨 MX 불렙 라인업. 특정 구간이 매우 까다롭다는 공통점이 있다.[br]{{{-2 (체감 난이도 : MX 10 → '''11''')}}}|| || [[Fate(DJMAX)|Fate]][br]{{{-3 CLAZZIQUAI}}} || || [[파일:Play the Future_1.png|width=60]] || || [[Play the Future]][br]{{{-3 TECHNIKA}}} || || [[파일:The Night Stage_1.png|width=60]] || || [[The Night Stage]][br]{{{-3 CLAZZIQUAI}}} || || [[파일:비상 ~Stay With Me~_1.png|width=60]] ||<|2>각종 괴상한 트리거 복합이 노래 시작부터 끝까지 쏟아지는 패턴으로 등장 직후부터 악명높은 불렙이었는데 V로 넘어와서는 체감 난이도가 더 높아졌다. 아래의 [[피아노 협주곡 1번]] HD와 함께 12도 모자라 13레벨도 넉넉히 받을 수 있는 11레벨 보스곡.[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3''')}}}|| || [[비상 ~Stay With Me~]][br]{{{-3 RESPECT}}} || || [[파일:설레임 Part.2_1.png|width=60]] ||<|2>트리거 동시치기도 자주 끼어드는데 박자도 스윙 리듬이라 여러모로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MX 11 → '''12''')}}} || || [[설레임 Part.2]][br]{{{-3 TECHNIKA 3}}} || || [[파일:피아노 협주곡 1번_1.png|width=60]] ||<|2>피아노 협주곡 답게 박자부터 난해한데다 트리거를 동반한 동시치기, 트릴, 폭타가 존재해 13레벨 수준의 불렙 패턴으로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3''')}}} || || [[피아노 협주곡 1번]][br]{{{-3 PORTABLE 1}}} || || [[파일:Beyond Yourself_1.png|width=60]] ||<|2>하이라이트 구간은 명백히 11레벨 수준을 한참 벗어났으며, 그 외의 잔잔한 구간도 트리거가 지속적으로 나와 쉽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13''')}}} || || [[Beyond Yourself]][br]{{{-3 RESPECT}}} || || [[파일:Disappearing Act_1.png|width=60]] ||<|2>11레벨이라기엔 말도 안 되는 복잡한 트리거 동시치기가 연속으로 등장한다. 트리거 동시치기에 익숙하지 않은 현지인은 억지로 뭉개서 클리어 하는 것이 아니면 그대로 폭사해버리는 13레벨 수준의 불렙 채보. [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3''')}}} || || [[Disappearing Act]][br]{{{-3 V EXTENSION 3}}} || || [[파일:End of the Moonlight_1.png|width=60]] ||<|2>동시치기와 폭타 사이에 꾸준히 끼어드는 트리거 노트 때문에 난이도가 어마어마하게 상승한다. 11레벨 수준의 리딩 능력으로는 처리해내기 쉽지 않은 채보.[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 || [[End of the Moonlight]][br]{{{-3 PORTABLE 1}}} || || [[파일:Hell'o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트리거가 많이 등장하고, 후반에는 까다로운 트리거 롱잡까지 존재하는 12레벨 이상의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 || || [[Hell'o]][br]{{{-3 V EXTENSION 4}}} || || [[파일:Misty E'ra 'Mui'_1.png|width=60]] ||<|2>키 파트 구간이 많아 6B 실력도 꽤 요구하면서도 중후반에 까다로운 트리거 트릴도 등장해 전체적으로 12레벨 수준의 처리력을 요구한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 || || [[Misty E'ra 'Mui']][br]{{{-3 V EXTENSION 3}}} || || [[파일:Waiting for you_1.png|width=60]] ||<|2>동시치기에 트리거가 시종일관 끼어들고, 롱잡과 즈레, 드르륵까지 보유한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2▲''')}}} || || [[Waiting for you]][br]{{{-3 RESPECT}}} || || [[파일:Astro Fight_1.png|width=60]] ||<|2>트리거가 계속 까다롭게 끼어들기 때문에 처리해내기 쉽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3''')}}}|| || [[Astro Fight]][br]{{{-3 PORTABLE 1}}} || || [[파일:Catch Your Dreams!_1.png|width=60]] ||<|2>매우 까다로운 트리거 복합이 꾸준히 떨어지는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2 → '''13''')}}} || || [[Catch Your Dreams!]][br]{{{-3 MAPLESTORY}}} || || [[파일:Extreme Z4_1.png|width=60]] ||<|4>해당 패턴 모두 트리거가 시도때도없이 섞이는 고난이도 패턴으로 패드 기준으로도 어렵다 평가받는데 키보드 기준으로는 난이도가 더 올라간다. 특히 트리거 2연타까지 끼기 때문에 엄지 피지컬이 약하다면 더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3''')}}}|| || [[Extreme Z4]][br]{{{-3 PORTABLE 1}}} || || [[파일:Minus 3_1.png|width=60]] || || [[Minus 3]][br]{{{-3 PORTABLE 2}}} || || [[파일:Set Me Free_1.png|width=60]] ||<|2>고레벨에서나 볼 수 있는 뇌지컬 롱노트 패턴이 출현한다. 8B에 익숙하지 않다면 사람에 따라 13레벨 상위권 이상도 충분히 들어가는 불렙.[br]{{{-2 (체감 난이도 : MX 12 → '''13▲''')}}}|| || [[Set Me Free(DJMAX)|Set Me Free]][br]{{{-3 V EXTENSION 3}}} || || [[파일:The Last Dance_1.png|width=60]] ||<|2>전체적인 밀도는 높지 않지만 쉴 새 없이 트리거가 일반 노트와 함께 시종일관 떨어져 끝까지 노트 리딩을 크게 요구하는 13레벨 수준의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2 → '''13''')}}} || || [[The Last Dance]][br]{{{-3 TECHNIKA}}} || || [[파일:Zero-Break_1.png|width=60]] ||<|2>MX에서 열화가 덜 되어 꽤나 까다롭다. 전체적으로 높은 밀도의 패턴들이 꾸준히 떨어지는 데다가, 후반부에 트리거를 동반한 다그닥 구간은 도저히 12레벨로 볼 수 없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3''')}}}|| || [[Zero-Break]][br]{{{-3 V EXTENSION 3}}} || || [[파일:태권부리_1.png|width=60]] ||<|2>이미 과거에 12레벨이었다가 13으로 한 차례 상향된 패턴이지만 여전히 SC와 비슷하거나 더 어려울 수도 있는 14레벨급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 [[태권부리]][br]{{{-3 PORTABLE 2}}} || || [[파일:Back to the oldschool_1.png|width=60]] ||<|2>시종일관 끼어드는 트리거가 리딩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손꼬임도 심하게 유발한다. 체감 난이도는 14레벨 중상위권.[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Back to the oldschool]][br]{{{-3 V EXTENSION 4}}} || || [[파일:Brain Storm_1.png|width=60]] ||<|2>안그래도 개박으로 유명한 곡인데 사이사이 끼면서 헷갈림과 뇌절을 유발한다.[br]{{{-2 (체감 난이도 : HD 13 → '''14▲''')}}}|| || [[Brain Storm]][br]{{{-3 PORTABLE 2}}} || || [[파일:Cypher Gate_1.png|width=60]] ||<|2>6B MX에 트리거를 끼얹은 듯한 패턴. 트리거 노트가 계속 끼어들어 리딩을 난잡하게 만드는 불렙 패턴이다. 게다가 중간중간 함정 구간도 존재해 퍼펙트 난이도만큼은 같은 곡의 SC 패턴보다도 어렵다는 평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 [[Cypher Gate]][br]{{{-3 BLACK SQUARE}}} || || [[파일:Envy Mask_1.png|width=60]] ||<|2>연타 패턴이 상당히 까다롭다. BPM은 낮지만 연타 패턴이 말그대로 곡 내내 등장하기 때문에 손이 상당히 피로해지는 패턴으로, SC 패턴보다도 어렵다는 말이 심심치 않게 나오는 불렙 패턴.[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Envy Mask]][br]{{{-3 EZ2ON}}} || || [[파일:HEXAD_1.png|width=60]] ||<|2>연타 패턴이 매우 까다롭고, 중반부에 트리거와 일반 노트를 번갈아서 치는 패턴이 존재해 체감 난이도가 15레벨 중하위권 수준까지도 올라간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HEXAD]][br]{{{-3 TECHNIKA}}} || || [[파일:Higher_1.png|width=60]] ||<|2>박자부터 엇박인데다가 트리거 동시치기가 전반적으로 까다롭게 나온다. 거기다 하이라이트 드르륵 구간까지 생각하면 14레벨로 올라가야 마땅할 패턴.[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Higher]][br]{{{-3 PORTABLE 2}}} || || [[파일:KILLER BEE_1.png|width=60]] ||<|2>꾸준히 등장하는 트리거 연타에 일반노트가 다양하게 끼얹어지는 패턴. 일부 구간은 같은 곡의 SC 보다 어렵게 구성되어있다. 위의 [[태권부리]] MX, [[Higher]] MX와 마찬가지로 이미 과거에 12레벨이었다가 13레벨로 상향된 패턴이나, 여전히 13레벨에서도 최상위권 불렙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br]{{{-2 (체감 난이도 : HD 13 → '''14▲''')}}}|| || [[KILLER BEE]][br]{{{-3 RESPECT}}} || || [[파일:Metagalactic_1.png|width=60]] ||<|2>트리거와 단노트를 적절히 배치한 까다로운 패턴이 전반적으로 깔려있고, 중반에서는 트리거 연타도 등장해 13레벨 치고는 심하게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 [[Metagalactic]][br]{{{-3 EZ2ON}}} || || [[파일:Misty E'ra 'Mui'_1.png|width=60]] ||<|2>트리거 + 5번 단노트 트릴이 존재해 14레벨급 불렙 패턴으로 평가받고 있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 [[Misty E'ra 'Mui']][br]{{{-3 V EXTENSION 3}}} || || [[파일:NB Rangers -Returns-_1.png|width=60]] ||<|2>시종일관 끼어드는 트리거 견제나 규칙성 없는 연타가 수시로 나와 손이 피로해지는 구성으로, 위의 [[태권부리]] MX, [[Higher]] MX와 마찬가지로 이미 과거에 12레벨이었다가 13레벨로 상향된 패턴이나, 여전히 13레벨에서도 최상위권 불렙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br]{{{-2 (체감 난이도 : HD 13 → '''14▲''')}}}|| || [[NB Rangers -Returns-]][br]{{{-3 PORTABLE 2}}} || || [[파일:Sand Storm_1.png|width=60]] ||<|2>중반 양 트리거와 2/5번 단노트만 등장하는 4버튼 폭타 구간이 승부처다. 13레벨 러너들의 트리거 리딩 능력으로는 어림도 없는 패턴이기 때문에 웬만한 유저들은 맥을 못 추기 일쑤고, 고레벨 SC를 플레이하는 유저들조차 해석이 쉽지 않은 함정 패턴으로 이 한 구간만으로 체감 난이도는 15급까지도 치솟을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15''')}}}|| || [[Sand Storm]][br]{{{-3 EZ2ON}}} || || [[파일:Zero to the hunnit_1.png|width=60]] ||<|2>하이라이트 구간은 리딩은 쉬울지 몰라도 손이 꼬이기 쉬운 배치로 나오기 때문에 13레벨 치고는 불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4''')}}} || || [[Zero to the hunnit]][br]{{{-3 V EXTENSION 2}}} || || [[파일:CODE NAME : ZERO_1.png|width=60]] ||<|2>현 14레벨 보스곡 중 하나로 꼽히는 곡. 후반부에 트리거 복합 8비트 동시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 구간만 보면 사람에 따라서는 SC 13 수준으로 느낄만한 패턴. 후술할 Never let you go에 비해서 BPM도 빠르고 패턴도 더 복잡하기에 스코어링 측면에서는 Never let you go보다 더 어렵다는 평을 받는다. 클리어만 놓고 보면 꾸준하게 어려운 Never let you go가 더 늦게 뚫리는 경우도 있어 일장일단이 있다고 볼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CODE NAME : ZERO]][br]{{{-3 Cytus}}} || || [[파일:Never let you go_1.png|width=60]] ||<|2>8비트 동시치기 사이에 4비트로 트리거가 끼는 패턴이 중반, 후반 두 번에 걸쳐 나오는데 노트 리딩도 어렵고, 처리는 더 어렵다. 특히 후반부는 알약 동시치기를 포함해 총 5개짜리 동시치기가 4비트마다 끼어든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Never let you go]][br]{{{-3 V EXTENSION 2}}} || || [[파일:Right Back_1.png|width=60]] ||<|2>밀도는 낮지만 패턴 자체가 리딩도 어렵고 정확하게 치기 매우 어려워 같은 곡의 SC 패턴보다도 어렵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의 불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Right Back]][br]{{{-3 TECHNIKA 3}}} || || [[파일:Xeus_1.png|width=60]] ||<|2>곡 전반적으로 하루종일 트리거가 쉴새없이 쏟아지며 그 마저도 대체로 처리하기 까다로운 배치로 등장한다. 15레벨로 올라가도 최소 15레벨 중위권 이상에 사람에 따라서는 15레벨 상위권까지도 갈 정도로 불렙이다. 8버튼 14레벨에서 가장 악명높은 불렙으로 꼽히는 곡 중 하나.[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Xeus]][br]{{{-3 TECHNIKA 3}}} || || [[파일:ANALYS_1.png|width=60]] ||<|10>위 14레벨 불렙 4인방이 워낙 임팩트가 크고 유명해서 그렇지 이 곡들도 15레벨 하위권 정도는 압살하는 불렙 패턴들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5''')}}} || || [[ANALYS]][br]{{{-3 RESPECT}}} || || [[파일:Bright Future_1.png|width=60]] || || [[Bright Future]][br]{{{-3 V EXTENSION 3}}} || || [[파일:HAMSIN_1.png|width=60]] || || [[HAMSIN]][br]{{{-3 PORTABLE 1}}} || || [[파일:Supernova_1.png|width=60]] || || [[SuperNova(DJMAX)|Supernova]][br]{{{-3 TECHNIKA 3}}} || || [[파일:Zero-Break_1.png|width=60]] || || [[Zero-Break]][br]{{{-3 V EXTENSION 3}}} || || [[파일:Koi no Moonlight_1.png|width=60]] ||<|2>저레벨 SC패턴에 맞지 않게 사이드 노트가 자주 나오는 편이다. 특히 중반부에 3번에 걸쳐서 등장하는 트리거 3연타 + 사이드 구간은 SC 3으로 보기에는 상당히 까다로운 편. 추가로 종종 등장하는 32비트 노트와 24비트 계단 때문에 퍼펙트 난이도도 까다로운 편.[br]{{{-2 (체감 난이도 : SC 3 → '''4''')}}}|| || [[恋のMoonlight|Koi no Moonlight]][br]{{{-3 MUSE DASH}}} || || [[파일:Fancy Night_1.png|width=60]] ||<|2>키 파트도 쉽지 않은데 폭타 사이에 트리거가 끼어들기 때문에 5레벨에 비하면 까다로울 수 있는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6''')}}} || || [[Fancy Night]][br]{{{-3 V EXTENSION}}} || || [[파일:FTR_1.png|width=60]] ||<|2>초창기 패턴답게 트리거는 많이 등장하지 않지만 대신 그만큼 키 파트가 까다로워 6레벨 정도로 평가받는 불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6''')}}} || || [[FTR]][br]{{{-3 PORTABLE 1}}} || || [[파일:Lost Serenity_1.png|width=60]] ||<|2>저레벨 SC패턴에 맞지 않게, 트리거 롱놋을 포함한 각종 롱노트 테크닉들이 다수 등장한다. 특히 트리거 롱노트와 다수의 롱노트를 동시에 누르는 패턴이나, 혹은 롱노트 2개를 양쪽으로 잡은 상태에서 잡노트를 처리하는 등 상위 SC 난이도에서 나올만한 패턴이 다수 등장한다. 그렇다고 6키 파트가 쉽냐 하면 그것도 아니라 잊을 만 하면 등장하는 6키 겹계단도 5레벨이라고 보기엔 난해하다. 개인차가 어느정도 갈릴 패턴이지만, 체감 난이도는 6레벨급 이상에 해당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6''')}}} || || [[Lost Serenity]][br]{{{-3 V EXTENSION}}} || || [[파일:Mellow D Fantasy_1.png|width=60]] ||<|2>프리뷰 파트에서 저레벨 SC패턴에 맞지 않는 트리거 축 동시치기가 나온다. 거기다 축 동시치기 파트에서 초반부는 R5R 등 16비트 연타로 꼬아놓은 패턴까지 섞이기 때문에 더 어려워졌다. 프리뷰 돌입 직전에는 사이드 연계까지 나오는 등 개인차를 감안하더라도 5레벨치고는 패턴이 너무 복잡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7''')}}} || || [[Mellow D Fantasy]][br]{{{-3 PORTABLE 3}}} || || [[파일:U.A.D_1.png|width=60]] ||<|2>기본적으로 키파트가 매우 어렵게 등장하고, 중간중간 등장하는 트리거 동시치기 역시 까다로워 SC 5레벨에 비하면 심하게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7''')}}} || || [[U.A.D]][br]{{{-3 RESPECT}}} || || [[파일:Underwater Castle_1.png|width=60]] ||<|2>사이드를 활용해 리딩 능력을 꽤 요구하며, 밀도도 은근히 있는 편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6''')}}}|| || [[Underwater Castle]][br]{{{-3 RESPECT}}} || || [[파일:Stay with me_1.png|width=60]] ||<|2>난이도가 높아지는 구간이 상당히 짧아 6으로 책정된 것으로 보이나 전반적으로 뇌절을 유발하는 동시치기, 치기 불편한 배치의 일반 노트나 짧은 트리거 연타 등 까다로운 요소들 때문에 불렙으로 취급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7''')}}} || || [[Stay with me(DJMAX)|Stay with me]][br]{{{-3 PORTABLE 2}}} || || [[파일:can you feel it_1.png|width=60]] ||<|2>최후반에 32비트 '''겹계단 드르륵'''이 등장한다. 트리거 활용도는 초반을 빼고 그리 높지는 않으나 키 파트만 떼고 봐도 7은 절대 아니라는 의견이 대다수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10''')}}} || || [[can you feel it]][br]{{{-3 MUSE DASH}}} || || [[파일:Do you want it_1.png|width=60]] ||<|2>곡 전반적으로 트리거와 일반 노트를 까다롭게 배합한 패턴 형태로 8레벨 수준의 불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Do you want it]][br]{{{-3 RESPECT}}} || || [[파일:End of Mythology_1.png|width=60]] ||<|2>곡 전반적으로 트리거 동시치기가 계속 등장해 리딩 능력을 많이 요구하는데다 중간중간 계단도 등장하기 때문에 SC 7레벨에 비하면 꽤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8''')}}} || || [[End of Mythology]][br]{{{-3 RESPECT}}} || || [[파일:아침형 인간_1.png|width=60]] ||<|2>트리거-롱노트 홀드 패턴과 후반 동시치기 파트가 8레벨로 보기엔 심각하게 어렵다. 특히 저렙부터 올라오는 유저라면 당황스럽기 짝이 없는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8 → '''10~11''')}}} || || [[아침형 인간(DJMAX)|아침형 인간]][br]{{{-3 PORTABLE 1}}} || || [[파일:Arcade Love_1.png|width=60]] ||<|2>배치 자체는 복잡하지 않으나 트리거가 섞인 동시치기가 빠른 BPM으로 계속 떨어지고, 트리거 섞인 계단 패턴 또한 스코어링을 방해하기 때문에 8레벨보단 9레벨에 더 가깝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Arcade Love (feat. KNVWN)]][br]{{{-3 V EXTENSION 2}}} || || [[파일:IF_1.png|width=60]] ||<|2>트리거를 지속적으로 깔면서 중간중간 키 파트가 끼어드는 패턴을 곡 전체에 깔아뒀다. 8B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패턴이지만 동시에 저레벨 유저가 매우 어려워하는 패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중레벨 정도 되는 8에서는 어렵다고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If (시간탐험대)|If]][br]{{{-3 PORTABLE 3}}} || || [[파일:Lie Lie_1.png|width=60]] ||<|2>밀도 자체는 무난하지만 패턴 전반적으로 수준 높은 리딩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9레벨 수준의 불렙으로 평가받고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Lie Lie]][br]{{{-3 EZ2ON}}} || || [[파일:Someday_1.png|width=60]] ||<|2>트리거 복합도 복합이지만 트리거 롱노트를 홀딩한 채 단노트 계단을 처리해야 하는 패턴이 생각보다 더더욱 까다롭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Someday(DJMAX)|Someday]][br]{{{-3 TRILOGY}}} || || [[파일:The MAX_1.png|width=60]] ||<|2>청기백기 및 트리거를 활용한 롱잡 구간이 리딩부터 난해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9''')}}} || || [[The MAX]][br]{{{-3 TECHNIKA TUNE&Q}}} || || [[파일:REVENGE_1.png|width=60]] ||<|2>후반부 점점 늘어나는 양손 트리거 연타가 특징인 패턴으로, 구 15레벨 시절 물렙 취급받는 패턴이 아니었음에도 9레벨로 조정돼 불렙이 되어버렸다. 10레벨 곡들은 커녕 11레벨 곡들과 비교해도 전혀 꿀리지 않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11''')}}} || || [[복수혈전(DJMAX)|복수혈전]][br]{{{-3 PORTABLE 1}}} || || [[파일:Can We Talk_1.png|width=60]] ||<|2>트리거 활용을 적극적으로 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체력곡 양상을 띄는 데다가, 후살 구간이 낯설면서 까다롭기 때문에 절대 9레벨은 아니라는 평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Can We Talk]][br]{{{-3 PORTABLE 1}}} || || [[파일:MASAI_1.png|width=60]] ||<|2>패턴 자체는 정직하지만 트리거를 동반한 빡빡한 동시치기가 꾸준히 떨어져 9레벨에 비하면 어려운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MASAI]][br]{{{-3 PORTABLE 1}}} || || [[파일:StarFish_1.png|width=60]] ||<|2>트리거 롱 노트를 잡다가 왼쪽 13-트리거 떼는 동시에 46을 처리해야 하는 중반 구간이 상당한 난관이다. 해당 패턴만 놓고 봐도 치기 매우 불편한데다 다른 구간도 계단에 원핸드 트리거 숏트릴이 끼고 5번 잡고 떼면서 46 등 지저분하기 짝이 없다. 체감 난이도는 10.[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StarFish]][br]{{{-3 PORTABLE 2}}} || || [[파일:Sunset Rider_1.png|width=60]] ||<|2>전반적으로 트리거 롱노트 베이스에 +α로 난해한 키파트가 끼얹어진 패턴이 계속 나와 어지럽게 만든다. 거기다 개박이기까지 한 불렙곡.[br]{{{-2 (체감 난이도 : SC 9 → '''10''')}}} || || [[Sunset Rider]][br]{{{-3 PORTABLE 2}}} || || [[파일:Celestial Tears_1.png|width=60]] ||<|2>패턴 전반적으로 트리거가 상당히 복잡한 모양으로 등장하며, 최후반 구간은 명백히 SC 10레벨 수준을 한참 벗어났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Celestial Tears]][br]{{{-3 RESPECT}}} || || [[파일:HAMSIN_1.png|width=60]] ||<|2>SC 난이도 개편 이전 15레벨 하위권에 속하는 패턴이었지만 개편 후 SC 10레벨로 들어가기엔 어렵다는 평이 많다. 하이라이트 구간에 나오는 트릴 사이에 불규칙 트리거가 끼어드는 패턴만 보더라도 10레벨 수준은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HAMSIN]][br]{{{-3 PORTABLE 1}}} || || [[파일:Kung Brother_1.png|width=60]] ||<|2>데님, 겹계단이 많이 등장하는 데다가 트리거까지 시종일관 끼어들기 때문에 불편한 배치가 많다. 덕분에 현재 11레벨 수준의 불렙으로 평가받고 있다. [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Kung Brother]][br]{{{-3 RESPECT}}} || || [[파일:La Campanella Nu Rave_1.png|width=60]] ||<|2>중반부까지는 그래도 크게 어렵지 않은데, 중반부 변박 계단이 나오는 구간부터 트리거 축연타+엇박 계단이라는 매우 까다로운 패턴이 두 번이나 나온다. 감속 구간에서의 12비트 43,32,21 동시치기 계단은 덤. 이러한 난이도로 인해 풀콤보 난이도 기준 RESPECT V 난이도 변동 이전 8B SC 14까지 고려했을 때, [[Showdown(DJMAX)|Showdown]]과 함께 가장 어렵다는 평을 받았다. 퍼팩트 난이도를 고려한다면 이 Showdown을 넘어서 SC 내에서 가장 어려운 건 기본이며, 14레벨 전체에서도 [[Smoky Quartz]] HD와 함께 가장 어렵다는 평을 받았다. 비슷한 풀콤보 난이도를 지녔다고 평가받는 [[Showdown(DJMAX)|Showdown]]이 재개편 때 12로 책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곡은 '''11도 아닌 10으로 책정되었다.''' 체감 난이도는 절대로 10으로 볼 수 없는 수준이며, 변속 때문에 개인차가 갈리긴 하지만 풀콤보 이하 난이도는 일반적으로 '''11~12'''로 평가받으며, 퍼펙트 난이도는 '''13'''으로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12''')}}} || || [[La Campanella : Nu Rave]][br]{{{-3 TECHNIKA 2}}} || || [[파일:Mr.Lonely_1.png|width=60]] ||<|2>중반 기타 리프 구간의 트릴/계단이 모든 것을 결정짓는다. 트리거 때문에 어려운 패턴은 아니나 건반 파트만 떼놓고 봐도 10레벨은 절대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Mr.Lonely]][br]{{{-3 RESPECT}}} || || [[파일:NB Girls_1.png|width=60]] ||<|2>복잡한 트리거 복합과 동시치기, 난해한 롱잡과 끼어드는 즈레 등 그 어느 곳에서도 만만한 부분이 없다. 자주 등장하는 트리거-13 동치 역시 뇌절을 유발한다. 아무리 트리거에 익숙한 유저라 해도 기본적인 밀도 때문에 어렵기는 매한가지이며, 체감 난이도는 보통 11, 개인차에 따라 12까지 높아질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12''')}}} || || [[NB Girls]][br]{{{-3 TRILOGY}}} || || [[파일:Old Gold_1.png|width=60]] ||<|2>위의 [[La Campanella : Nu Rave]]와 함께 구 14레벨에서 SC중 최상위 불렙으로 꼽혔던 패턴으로 조정 후 SC 10레벨에 들어갔지만 이는 확실히 어렵다는 평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 || || [[Old Gold]][br]{{{-3 Cytus}}} || || [[파일:Weaponize_1.png|width=60]] ||<|2>트리거를 동반한 폭타가 매우 까다롭고 그 외에도 중간중간 까다로운 패턴들이 산발적으로 등장해 SC 10레벨에 비하면 심하게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1~12''')}}} || || [[Weaponize]][br]{{{-3 V EXTENSION 4}}} || || [[파일:ENERGY SYNERGY MATRIX_1.png|width=60]] ||<|2>MX 패턴을 강화한 버전으로 전반적으로 11로 보기엔 어려운 패턴들이 산재되어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 [[ENERGY SYNERGY MATRIX]][br]{{{-3 MUSE DASH}}} || || [[파일:Missing You ~SOPHI Remix~_1.png|width=60]] ||<|2>후반에 트리거와 함께 꼬아놓은 계단이 마지막까지 계속 이어지는데, 11레벨 수준의 처리력을 명백히 벗어났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 [[Missing You(메이플스토리)#s-2.2|Missing You ~SOPHI Remix~]][br]{{{-3 MAPLESTORY}}} || || [[파일:Misty E'ra 'Mui'_1.png|width=60]] ||<|2>초반의 동시치기 연타와 후반의 46 트릴까지, 맥스 콤보 및 스코어링 모두 까다로운 불렙곡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2''')}}} || || [[Misty E'ra 'Mui']][br]{{{-3 V EXTENSION 3}}} || || [[파일:HEXAD_1.png|width=60]] ||<|2>하이라이트 구간 전까지는 MX와 크게 다를 것이 없으나 하이라이트는 그 악명높은 MX보다도 더 복잡한 수준의 롱잡이 등장한다. 웬만한 리딩 능력으로는 이 구간을 정확히 처리해내기 쉽지 않아 많은 유저들에게 곡소리를 유발한다. 또한 후반 구간도 사이드를 활용한 청기백기 및 그것의 변형 패턴이 한참동안 이어지기 때문에 개인차는 발생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높은 수준의 리딩 능력을 요구해 까다롭다고 평가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HEXAD]][br]{{{-3 TECHNIKA}}} || || [[파일:Set Me Free_1.png|width=60]] ||<|2>MX에 이어 더 강화된 청백홍기 뇌절과 오투잼식 롱노트 패턴 때문에 개인차를 타는 패턴 유형임에도 불구하고 12레벨 적정으로 보는 사람들이 거의 없을 정도의 특이한 불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Set Me Free(DJMAX)|Set Me Free]][br]{{{-3 V EXTENSION 3}}} || || [[파일:Thor Extended Mix_1.png|width=60]] ||<|2>12레벨 적정이라고 평가받는 기존 Thor의 SC를 길게 늘어뜨린 패턴이지만 당연하게도 기존 12레벨 패턴을 길게 늘어뜨렸으니 체력이 훨씬 더 많이 요구되어 체감 난이도는 오히려 13 수준으로 올라간다. 8버튼 SC 중 최다 노트 수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의 체력곡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Thor#s-2|Thor ~Extended Mix~]][br]{{{-3 TECHNIKA 2}}} || || [[파일:Vertical Floating_1.png|width=60]] ||<|2>5B SC와 마찬가지로 패턴 전체에 까다로운 요소들이 너무나도 많다. 띠-동 하는 신스음과 함께 등장하는 롱 노트 패턴이 뇌절을 유발하고, 생소하게 배치된 물량 많은 일반 노트까지, 그나마 후살이 어렵지 않은게 다행이지만 그럼에도 동레벨대 내에서는 꽤나 어렵다고 평가받는 곡으로, 체감 난이도는 13 중위권 수준.[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3''')}}} || || [[Vertical Floating]][br]{{{-3 V EXTENSION 2}}} || || [[파일:D2_1.png|width=60]] ||<|2>곡 특성상 12, 16비트 연타는 기본이고, 동시치기의 구성도 복잡한데 밀도까지 높다. 13레벨 중에서 가장 어렵다고 봐도 무방하다. 체감 난이도는 무조건 14레벨 수준. [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4''')}}} || || [[D2(DJMAX)|D2]][br]{{{-3 TECHNIKA 2}}} || || [[파일:Never let you go_1.png|width=60]] ||<|2>MX 패턴을 더 강화시킨 복잡한 동시치기 패턴과 트리거 사이 일반 노트를 끼워넣는 테크닉 패턴, 롱노트 청기백기까지. D2 수준의 불렙은 아니지만 이 역시 14레벨 수준의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4''')}}} || || [[Never let you go]][br]{{{-3 V EXTENSION 2}}} || || [[파일:Rage Of Demon_1.png|width=60]] ||<|2>초반부 일반 노트 동시치기 패턴과 후반 L+R 트리거를 동반한 동시치기 발광이 매섭다. 이외에도 트리거-2/5-트리거 형식의 변형 트릴도 존재하기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 또한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4''')}}} || || [[Rage Of Demon]][br]{{{-3 TECHNIKA 2}}} || || [[파일:DIE IN_1.png|width=60]] ||<|2>[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IE IN, 문단=4.5)][br][br]같은 SC 15레벨의 다른 패턴들과 비교해도 견주기 어려울 만큼 독보적인 난도를 가졌다. 약 230BPM의 12비트로 트리거를 누르는 동시에 [[Nightmare(DJMAX)|Nightmare]]를 상징하는 4노트 연타 패턴[* 단순히 Nightmare와 비교해도 최소 1.5배 이상 빠르다.], 123, 456노트 및 트리거 복합의 12비트 빅장 패턴 등 혹독한 구간으로 인해 클리어, 스코어링, 퍼펙트 작 모든 분야를 안가리고 대부분 유저들이 어렵다고 평가했으며, 심지어 SC 16이 아니냐는 말까지 나왔을 정도다. 그리고 이 패턴으로 인해 난이도 인플레이션 논란까지 불이 지펴져서 패턴 디자이너가 작곡가 개인 방송까지 출현하여 난이도 인플레이션은 다인을 끝으로 더이상 일어나지 않을 것을 약속할 정도로 파급력이 컸다.[br]{{{-2 (체감 난이도 : SC 15 → '''SC 15▲''')}}} || || [[DIE IN]][br]{{{-3 V EXTENSION 4}}}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abeff 25%, #5993ff 75%)" {{{#white '''물렙곡'''}}}}}}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YUBIKIRI-GENMAN_1.png|width=60]] ||<|2>트리거 비중이 매우 낮은 유사 6B 패턴. 밀도 자체도 10레벨에 비해 매우 한산한다. [br]{{{-2 (체감 난이도 : MX 10 → '''8▼''')}}} || || [[YUBIKIRI-GENMAN]][br]{{{-3 Deemo}}} || || [[파일:Airwave_1.png|width=60]] ||<|2>트리거 비중이 극단적으로 낮은 사실상 6B 패턴. 8B 입문시 최소 비슷한 난이도의 6B 패턴이 선행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입문자도 손쉽게 플레이가 가능하다. [br]{{{-2 (체감 난이도 : HD 11 → '''10▼''')}}} || || [[Airwave(DJMAX)|Airwave]][br]{{{-3 TECHNIKA 2}}} || || [[파일:Techno Racer_1.png|width=60]] ||<|2>트리거 비중이 높지 않을 뿐더러 트리거가 복잡하게 나오지도 않는다. 물량만 놓고보면 9레벨 수준으로 떨어지는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1 → '''9''')}}} || || [[Techno Racer]][br]{{{-3 RESPECT}}} || || [[파일:소년 모험가_1.png|width=60]] ||<|12>8B 12레벨 HD 물렙 라인업. 웬만한 11레벨 패턴들보다 더 쉽게 느껴질 수도 있을 정도로 12레벨에 비하면 한참 쉬운 곡들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2 → '''11''')}}}|| || [[소년 모험가|소년 모험가 ~SiNA Remix~]][br]{{{-3 NEXON}}} || || [[파일:BlackCat_1.png|width=60]] || || [[BlackCat]][br]{{{-3 RESPECT}}} || || [[파일:It's my war now_1.png|width=60]] || || [[It's my War Now]][br]{{{-3 NEXON}}} || || [[파일:Leave me alone_1.png|width=60]] || || [[Leave me alone]][br]{{{-3 PORTABLE 3}}} || || [[파일:Super Lovely_1.png|width=60]] || || [[Super Lovely]][br]{{{-3 Emotional S.}}} || || [[파일:Tayberrs_1.png|width=60]] || || [[Tayberrs - Collapsed Paradise]][br]{{{-3 NEXON}}} || || [[파일:Bang!!_1.png|width=60]] ||<|2>트리거 응용 패턴은 아예 없는데다 키 파트도 전혀 어렵지 않다. 체감 난이도는 10레벨 중하위권쯤으로 여겨진다.[br]{{{-2 (체감 난이도 : MX 12 → '''10''')}}} || || [[Bang!!]][br]{{{-3 MUSE DASH}}} || || [[파일:Enemy Storm_Dark Jungle Mix_1.png|width=60]] ||<|2>다소 높은 BPM을 기반으로 한 단순한 짤폭타가 전부인 패턴. 노트 파트, 트리거 복합 그 어느 쪽도 13레벨급에 걸맞는 난이도를 보여주는 부분이 없다.[br]{{{-2 (체감 난이도 : HD 13 → '''11~12''')}}} || || [[Enemy Storm ~Dark Jungle Mix~]][br]{{{-3 PORTABLE 3}}} || || [[파일:염라_1.png|width=60]] ||<|4>커팅 버전과 오리지널 버전 모두 13레벨에는 전혀 걸맞지 않는 물렙으로 평가받고 있다.[br]{{{-2 (체감 난이도 : MX 13 → '''12▼''')}}} || || [[염라(달의하루)|염라]][br]{{{-3 RESPECT}}} || || [[파일:염라 ~Original Ver~_1.png|width=60]] || || [[염라(달의하루)#s-8.1.2|염라 ~Original Ver.~]][br]{{{-3 V EXTENSION 4}}} || ||<-2> 나머지 13레벨 HD, MX 물렙 라인업은 [[https://v-archive.net/grade/8/13|해당 링크]]를 참조. || || [[파일:전설이 시작된 곳_1.png|width=60]] ||<|2>초창기 SC패턴과 유사한 유사 6B 패턴인데 6B 파트도 쉽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전설이 시작된 곳 ~VoidRover Remix~]][br]{{{-3 NEXON}}} || || [[파일:카트라이더 Pure 100%_1.png|width=60]] ||<|2>곡 전체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트리거 롱잡과 연타만 조심하면 크게 문제될만한 구간이 없는 물렙.[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카트라이더 Mashup#s-3|카트라이더 Mashup ~Pure 100% Remix~]][br]{{{-3 NEXON}}} || || [[파일:FIGHT NIGHT_1.png|width=60]] ||<|2>전통적인 물렙으로 꼽히던 같은 곡의 SC와 마찬가지로 이 패턴 또한 물렙이다. SC를 MX 난이도로 환산한다면 14레벨 하위권 정도이며, MX는 그보다 더 쉽기 때문에 13레벨로 내려가야 마땅하다. [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FIGHT NIGHT (feat. Calyae)]][br]{{{-3 V EXTENSION}}} || || [[파일:glory day (Mintorment Remix)_1.png|width=60]] ||<|2>트리거가 딱히 위협적으로 등장하지 않아 키파트 실력만 충분하다면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물렙곡이다.[br]{{{-2 (체감 난이도 : HD 14 → '''13''')}}} || || [[glory day (Mintorment Remix)]][br]{{{-3 RESPECT}}} || || [[파일:Leave me alone_1.png|width=60]] ||<|4>포터블 3 물렙 듀오. 두 패턴 모두 14레벨 치고는 쉬워 13레벨에 더 어울린다.[br]{{{-2 (체감 난이도 : MX 14 → '''13''')}}} || || [[Leave me alone]][br]{{{-3 PORTABLE 3}}} || || [[파일:Out Law Reborn_1.png|width=60]] || || [[Out Law : Reborn]][br]{{{-3 PORTABLE 3}}} || || [[파일:Les Parfums de L'Amour_1.png|width=60]] ||<|2>중간중간 끼어드는 즈레와 복합 트리거가 위협적이나 전체적으로는 밀도가 낮아 14레벨 치고는 쉬운 구성이다. 체감상 13레벨 중위권 수준의 패턴.[br]{{{-2 (체감 난이도 : HD 14 → '''13''')}}} || || [[Les Parfums de L'Amour]][br]{{{-3 Cytus}}} || || [[파일:카트라이더 Cosmograph_1.png|width=60]] ||<|2>중반부 숏트릴+트리거나 후반부 트리거+폭타가 그나마 실수하기 쉬운 구간이지만 최고 레벨인 15임을 감안하면 그다지 위협적이지 않다. 최후반부 트리거+키 트릴도 BPM이 높아 빠를 뿐이지 배치 자체는 단순해 그다지 어렵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4''')}}} || || [[카트라이더 Mashup ~Cosmograph Remix~]][br]{{{-3 NEXON}}} || || [[파일:L_1.png|width=60]] ||<|2>트리거 비중이 매우 낮을 뿐더러 전반적으로 등장하는 키파트 폭타도 6B MX보다도 쉬운 수준이기 때문에 15레벨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물렙 채보이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4''')}}} || || [[L(Ice)|L]][br]{{{-3 Cytus}}} || || [[파일:Nightmare_1.png|width=60]] ||<|2>곡의 명성에 걸맞지 않게 현재 15레벨 최약체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중간중간 끼어드는 트리거만 유의하면 크게 까다로운 구간이 없으며 후반의 트리거 연타는 개인차는 갈릴 수 있지만 꽤 할만하다고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4''')}}} || || [[Nightmare(DJMAX)|Nightmare]][br]{{{-3 PORTABLE 2}}} || || [[파일:SIN_1.png|width=60]] ||<|2>초창기 패턴 답게 트리거가 리딩도 어려울 정도로 까다롭게 나오지 않고 정직한 편으로 나오기 때문에 15레벨에 비해 쉽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4''')}}} || || [[SIN(DJMAX)|SIN]][br]{{{-3 PORTABLE 1}}} || || [[파일:Super Lovely_1.png|width=60]] ||<|2>트리거 트릴이 상당히 자주 나오지만 트리거 복합은 거의 없다. 트리거 트릴을 극단적으로 강조한 채보가 거의 없던 초창기에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고 평가받았으나 저레벨에서도 트리거 트릴이 심심하면 나오게 되어 현 시점에서는 15레벨 최약체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4''')}}} || || [[Super Lovely]][br]{{{-3 Emotional S.}}} || || [[파일:Hello Pinky_1.png|width=60]] ||<|4>두 곡 모두 SC 3레벨 치고는 패턴의 구성이 쉬운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3 → '''2''')}}} || || [[Hello Pinky]][br]{{{-3 PORTABLE 2}}} || || [[파일:YUBIKIRI-GENMAN_1.png|width=60]] || || [[YUBIKIRI-GENMAN]][br]{{{-3 Deemo}}} || || [[파일:Closer_1.png|width=60]] ||<|2>135-L 등 초보자가 쉽게 처리하기 힘든 패턴이 꾸준히 떨어지지만 다그닥 리듬으로 8비트마다 끊기기 때문에 초보자도 쉽게 칠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3''')}}} || || [[Closer(DJMAX)|Closer]][br]{{{-3 CLAZZIQUAI}}} || || [[파일:Do it_1.png|width=60]] ||<|2>트리거가 자주 등장한다는 점만 빼면 뭐가 없다. 정박에 밀도도 낮고 크게 까다로운 구간이 없어 3레벨 수준의 물렙으로 평가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3''')}}} || || [[Do it]][br]{{{-3 V EXTENSION}}} || || [[파일:First Kiss_1.png|width=60]] ||<|2>기본적인 트리거 처리만 가능하다면 어려움을 느낄 구간이 전혀 없는 물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2''')}}} || || [[First Kiss(DJMAX)|First Kiss]][br]{{{-3 CLAZZIQUAI}}} || || [[파일:In My Heart_1.png|width=60]] ||<|2>구 15레벨 체계에서는 12레벨 하위권 수준이라고 평가받았던 패턴이었기 때문에 추가 하향이 필요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3''')}}} || || [[In My Heart]][br]{{{-3 CLAZZIQUAI}}} || || [[파일:Lacheln_1.png|width=60]] ||<|2>고속 계단이 난점인 6B와는 달리 패턴이 전혀 까다로운 요소 없이 너무나도 단순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2''')}}} || || [[Lacheln, The City of Dreams]][br]{{{-3 NEXON}}} || || [[파일:Shining My Boy_1.png|width=60]] ||<|2>초반부 4비트마다 트리거가 끼어드는 동시치기 패턴이 그나마 어려운 구간이지만 그 외에는 어려운 구간이 전혀 없다. 트리거 롱노트가 많이 나오기는 하는데 단순히 많이 나올 뿐이고, 복잡한 연계도 거의 없고 패턴의 박자 자체도 8비트로 일관되는 등 표기 레벨에 맞는 패턴이라고 보기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4 → '''3▼''')}}} || || [[Shining My Boy]][br]{{{-3 TECHNIKA TUNE&Q}}} || || [[파일:Constant Moderato_1.png|width=60]] ||<|2>초반부 트리거 잡고 계단이나 최후반부 사이드-트리거 청기백기 패턴 외에 레벨값을 한다고 볼 수 있는 구간이 드물다. 사이드-트리거 연계도 텀을 길게 주고 나오는데다 [[Fallin' in LUV]], [[Do it]] 등 4레벨에도 이 곡보다 트리거 연계가 더 어렵게 나오는 패턴이 있어 표기 레벨에 맞는 패턴이라고 보기 어렵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3''')}}} || || [[Constant Moderato]][br]{{{-3 NEXON}}} || || [[파일:Every Day ~ Every Night_1.png|width=60]] ||<|2>트리거 롱잡과 트리거 동시치기가 주요 패턴인데, 그닥 까다롭지 않고 그저 무난하게만 등장하는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4▼''')}}}|| || [[Every Day ~ Every Night]][br]{{{-3 V EXTENSION 3}}} || || [[파일:Luv Yourself_1.png|width=60]] ||<|2>극초반부 폭타, 후반부 트리거 숏트릴, 사이드 연계가 그나마 어려운 구간이지만 5레벨 적정 수준엔 한참 못 미치는 물렙.[br]{{{-2 (체감 난이도 : SC 5 → '''3▼''')}}} || || [[Luv Yourself]][br]{{{-3 TECHNIKA TUNE&Q}}} || || [[파일:Put'Em Up_1.png|width=60]] ||<|2>지력 보다는 리딩 능력을 더 요구하는 패턴의 형태지만 이것이 5레벨 수준으로 까다롭지는 않다. 짧은 러닝타임은 덤.[br]{{{-2 (체감 난이도 : SC 5 → '''4''')}}} || || [[Put'Em Up]][br]{{{-3 TECHNIKA 2}}} || || [[파일:tape/stop/night_1.png|width=60]] ||<|2>노래 끝나기 직전까지는 트리거와 일반 노트가 같이 나오는 패턴이 아예 없고, 딱 한 군데 트리거 잡고 45 등 그나마 트리거를 활용한 패턴이 짤막하게 나오나 이마저도 5레벨치곤 너무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3~4''')}}} || || [[tape/stop/night]][br]{{{-3 MUSE DASH}}} || || [[파일:Trip_1.png|width=60]] ||<|2>트리거를 동반한 롱노트 구간 및 청기백기가 등장해 마냥 쉽지는 않지만 5레벨 치고는 물량이 너무나도 적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3~4''')}}} || || [[Trip]][br]{{{-3 TECHNIKA 2}}} || || [[파일:Where Stars Rest_1.png|width=60]] ||<|2>어려운 구간이 하나도 없다. 같은 게임 출신인 레헬른과 비슷한 난이도의 패턴으로 체감 난이도는 SC 2까지 떨어진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2''')}}} || || [[Where Stars Rest]][br]{{{-3 MAPLESTORY}}} || || [[파일:WHY_1.png|width=60]] ||<|2>2분을 넘는 곡임에도 불구하고 노트수가 600개도 되지 않을 정도로 전체적인 노트 밀도가 매우 낮으며 별다른 트리거 복합 노트도 등장하지 않는다. 후반의 4중 롱노트 구간이 이 패턴이 키보드용 SC 패턴이라는 걸 최소한으로 어필하는 정도가 전부. 표기 레벨은 5지만 유일한 SC 1레벨인 [[고백, 꽃, 늑대]]보다 쉽다는 의견도 있을 정도로 역대급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5 → '''1''')}}} || || [[WHY(DJMAX)|WHY]][br]{{{-3 RESPECT}}} || || [[파일:별빛정원_1.png|width=60]] ||<|2>중반에 나오는 트리거 동시치기는 레벨에 걸맞게 쉽지 않으나, 그 외의 구간이 모두 쉽기 때문에 5레벨 수준의 물렙곡으로 취급받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6 → '''5''')}}} || || [[별빛정원]][br]{{{-3 TECHNIKA TUNE&Q}}} || || [[파일:Bang!!_1.png|width=60]] ||<|2>초반에 등장하는 즈레만 조금 조심하면 MX와 마찬가지로 어려운 구간이 거의 없다. 6레벨에 비하면 매우 쉬운 물렙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6 → '''3~4''')}}} || || [[Bang!!]][br]{{{-3 MUSE DASH}}} || || [[파일:Eternal Fantasy (Miya Vocal Mix)_1.png|width=60]] ||<|2>트리거는 롱노트 위주이고 일반 노트 역시 쉽게 떨어지기 때문에 단순하고 쉬운 패턴이다. 체감상 3레벨 수준까지도 내려갈 수 있는 터무니없는 물렙.[br]{{{-2 (체감 난이도 : SC 6 → '''3~4''')}}}|| || [[Eternal Fantasy ~유니의 꿈~#s-2|Eternal Fatasy (Miya Vocal Mix)]][br]{{{-3 TECHNIKA TUNE & Q}}} || || [[파일:Like a Fool_1.png|width=60]] ||<|2>트리거 롱노트는 조금 조심할 필요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95라는 매우 낮은 BPM에서 나오는 밀도 낮은 패턴이 주기 때문에 6레벨에 비하면 매우 쉽다. 체감 난이도는 SC 4.[br]{{{-2 (체감 난이도 : SC 6 → '''4''')}}} || || [[Like a Fool]][br]{{{-3 V EXTENSION 4}}} || || [[파일:Love Mode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MX 패턴을 약간 강화시킨 형태지만 사이드 노트가 나오는 부분을 제외하면 밀도도 낮고 복잡한 구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체감 난이도는 SC 4레벨에서 잘 쳐줘야 5.[br]{{{-2 (체감 난이도 : SC 6 → '''4~5''')}}}|| || [[Love Mode|Love Mode]][br]{{{-3 CLAZZIQUAI}}} || || [[파일:느낌_1.png|width=60]] ||<|2>트리거 롱잡에만 유의하면 크게 까다로운 구간 없이 무난한 패턴만 나오는 물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5''')}}} || || [[느낌(EZ2AC)|느낌]][br]{{{-3 EZ2ON}}} || || [[파일:Appeal_1.png|width=60]] ||<|2>전체적으로 트리거 롱잡과 동시치기만 많이 나올 뿐 트리거를 이용하여 패턴을 복잡하게 꼬아놓은 구간은 없다. 7레벨에 비하면 많이 부족한 물렙.[br]{{{-2 (체감 난이도 : SC 7 → '''5~6''')}}} || || [[Appeal]][br]{{{-3 EZ2ON}}} || || [[파일:Back to Life_1.png|width=60]] ||<|2>트리거가 단순 동시치기 및 롱노트로밖에 등장하지 않는 무난한 물렙 채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Back to Life]][br]{{{-3 TECHNIKA TUNE&Q}}} || || [[파일:Coastal Tempo_1.png|width=60]] ||<|2>중반부 스크래치 파트에 맞춰 사이드가 마구 끼어드는 패턴이 있긴 한데 이런 패턴이 6레벨 밑으로 아예 없는 것도 아니고, 그 패턴을 빼고 보면 더더욱 레벨대에 비해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Coastal Tempo]][br]{{{-3 CLAZZIQUAI}}} || || [[파일:Frozen Link_1.png|width=60]] ||<|2>트리거의 배치가 어렵지 않아 6B 처리력만 있으면 매우 쉽개 처리할 수 있는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5''')}}} || || [[Frozen Link]][br]{{{-3 MAPLESTORY}}} || || [[파일:Groovin Up_1.png |width=60]] ||<|2>한 손에 몰려 나오는 트리거 사이드 복합이 등장하지만 7레벨 수준으로 어렵지는 않다. 체감 레벨은 SC 6.[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Groovin Up]][br]{{{-3 RESPECT}}} || || [[파일:Leafre (EDM ver.)_1.png|width=60]] ||<|2>지뢰 구간도 딱히 없고 밀도도 낮은 5레벨 이하 수준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5▼''')}}} || || [[Leafre#s-2.3|Leafre (EDM ver.)]][br]{{{-3 MAPLESTORY}}} || || [[파일:Lift You Up_1.png|width=60]] ||<|2>중후반 롱노트 구간을 제외하면 까다로운 구간이 아예 없다. 롱노트 구간 역시 초견에만 조금 당황스러울 뿐 처리 자체는 쉽다. 7레벨이라기에는 너무나도 터무니없는 물렙.[br]{{{-2 (체감 난이도 : SC 7 → '''3''')}}} || || [[Lift You Up]][br]{{{-3 RESPECT}}} || || [[파일:Love☆Panic_1.png|width=60]] ||<|2>같은 곡의 6B SC와는 다르게 하이라이트 구간이 그닥 까다롭지 않다. 물론 트리거와 단노트를 번갈아가면서 배치한 패턴이라 손꼬임이 유발될 수는 있으나 7레벨 수준까지 갈 정도는 아니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Love☆Panic]][br]{{{-3 TECHNIKA TUNE&Q}}} || || [[파일:Lover CE Style_1.png|width=60]] ||<|2>곡 길이도 짧은 편인데 정석적인 패턴만 나온다. 난이도 개편 전 구 14레벨에서 최하위권 패턴이었기 때문에 지금은 SC 7레벨 보다는 6레벨에 조금 더 가깝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6''')}}} || || [[Lover(DJMAX)#s-6.1|Lover (CE Style)]][br]{{{-3 CLAZZIQUAI}}} || || [[파일:Never Ending TECHNIKA_1.png|width=60]] ||<|2>8버튼을 아예 처음 잡는 초보자라면 간혹 나오는 LR+26 등 트리거 복합 동시치기나 중반 드랍 구간에 나오는 사이드-트리거 혼합 패턴에서 실수할 수 있지만 이 정도 패턴은 이미 [[Fallin' in LUV]] 등 4레벨에도 나오는데다 BPM도 매우 낮아 처리하기 쉽기 때문에 레벨대에 맞는 패턴이 하나도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체감 레벨은 5.[br]{{{-2 (체감 난이도 : SC 7 → '''5''')}}} || || [[Never Ending TECHNIKA]][br]{{{-3 TECHNIKA TUNE&Q}}} || || [[파일:Syriana_1.png|width=60]] ||<|2>트리거 활용도도 그다지 높지 않은데 노트 밀도도 낮다. 8버튼 특유의 헷갈리는 패턴은 아예 없다고 봐도 된다. 초반부 폭타 사이에 트리거가 정박으로 끼는 패턴이 그나마 어렵지만 트리거와 동시에 끼는 일반 노트가 전혀 없어 그냥 6버튼 치듯 치면 되기 때문에 해당 패턴만으로 7레벨을 받기엔 너무나도 과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5''')}}} || || [[Syriana]][br]{{{-3 PORTABLE 2}}} || || [[파일:The Feelings_1.png|width=60]] ||<|2>초중반부 두 번에 걸쳐 나오는 롱노트 발광이 좀 까다로운데 해당 패턴 자체는 5레벨에 있는 [[Underwater Castle]]의 초반부와 비교했을 때 확연히 어렵다고 보기 어렵고, 후반부는 HD의 까다로운 트리거 패턴은 온데간데 없고 12비트 겹계단 몇 번 나오고 끝이다. 7레벨 물렙이면서, HD보다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5''')}}}|| || [[The Feelings]][br]{{{-3 RESPECT}}} || || [[파일:Wanna Be Your Lover_1.png|width=60]] ||<|2>트리거를 동반한 롱노트 구간은 초견에는 당황하기 쉬우나 그다지 복잡하지는 않아서 대처가 어렵지 않고, 그 외에 다른 구간은 모두 밀도도 낮고 무난한 구간의 연속이기 때문에 7레벨 치고는 매우 쉬운 편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7 → '''5▼''')}}} || || [[Wanna Be Your Lover]][br]{{{-3 TECHNIKA 3}}} || || [[파일:Give Me 5_1.png|width=60]] ||<|2>트리거를 동반한 롱노트 구간은 초견에는 당황하기 쉬우나 그다지 복잡하지는 않아서 대처가 어렵지 않고, 트리거 연타가 간혹 나오지만 BPM이 낮아서 8레벨 치고는 매우 쉬운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8 → '''6▼''')}}} || || [[Give Me 5]][br]{{{-3 TECHNIKA 3}}} || || [[파일:Ruti'n_1.png |width=60]] ||<|2>트리거의 사용 빈도는 많지만 그다지 공격적으로 배치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SC 7~8레벨 정도의 러너라면 별로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7''')}}} || || [[Ruti'n]][br]{{{-3 BLACK SQUARE}}} || || [[파일:Space Dream (feat. J.O.Y)_1.png|width=60]] ||<|2>끊어치기가 요구되어 어느정도 피지컬이 필요하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턴 자체가 너무나도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7''')}}} || || [[Space Dream (feat. J.O.Y)]][br]{{{-3 V EXTENSION 3}}} || || [[파일:SQUEEZE_1.png|width=60]] ||<|2>1절 후렴구 진입 전 32비트 꺾인 계단을 빼면 어려운 구간이 하나도 없다. 비공식 서열표 등 맥스 콤보 난이도도 고려하는 곳에서는 레벨값은 하는 8레벨 하위권 정도로 보나 맥스 콤보 난이도를 배제한 99%까지의 스코어링 및 클리어 난이도는 물렙.[br]{{{-2 (체감 난이도 : SC 8 → '''7''')}}} || || [[SQUEEZE(DJMAX)|SQUEEZE]][br]{{{-3 PORTABLE 2}}} || || [[파일:Temple of Time (EDM ver.)_1.png|width=60]] ||<|2>트리거가 8레벨 치고는 그닥 복잡하게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패턴의 밀도도 높지 않아 6레벨 수준의 물렙 패턴으로 취급받고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6''')}}} || || [[Temple of Time#s-3.5|Temple of Time (EDM ver.)]][br]{{{-3 MAPLESTORY}}} || || [[파일:The Clear Blue Sky_1.png|width=60]] ||<|2>초반부 LR56이나 L12, 후렴구 돌입 전 왼손 8비트 L2트릴-오른손 데님은 나름 손꼬이는 패턴이긴 하지만 8레벨 수준에서는 어려운 패턴이 아니고, 레벨 체계 변경 이전 비공식 서열표에서도 같은 층에 있었던 나머지 SC들이 신규 체계 이후 죄다 SC 7레벨로 책정된 걸 감안하면 SC 8은 실제 난이도 대비 높게 책정된 레벨 표기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7''')}}} || || [[The Clear Blue Sky]][br]{{{-3 CLAZZIQUAI}}} || || [[파일:꿈의 기억_1.png|width=60]] ||<|2>중반 퍼펙트 플레이를 방해하는 끊긴 계단 때문에 스코어링이 어려울 뿐, 전반적으로 밀도도 꽤나 허전하고 트리거 활용도 또한 후반부의 양손 연계 패턴 정도만 주의해주면 전혀 9레벨답지 않은 패턴을 가지고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7~8''')}}} || || [[꿈의 기억 (feat. Jisun)]][br]{{{-3 V EXTENSION 2}}} || || [[파일:FIGHT NIGHT_1.png|width=60]] ||<|2>구 15레벨 시절 최약체 패턴으로 손꼽혔고, 이를 반영해 9레벨로 하향 조정됐으나 여전히 쉽다는 의견이 많다. 체감 레벨은 8.[br]{{{-2 (체감 난이도 : SC 9 → '''8''')}}} || || [[FIGHT NIGHT (feat. Calyae)]][br]{{{-3 V EXTENSION}}} || || [[파일:Secret_1.png|width=60]] ||<|2>초반 계단형 노트와 함께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있는 트리거 복합이 까다로운 부분이지만 9레벨 평균 이상으로 어려워질만한 배치까지는 아니며, 초반만 넘기면 후반은 막판의 청기백기 패턴 정도만 주의하면 난이도에 비해 무척 쉬운 패턴만 이어진다. [br]{{{-2 (체감 난이도 : SC 9 → '''6''')}}} || || [[Secret(DJMAX)#s-2|Secret]][br]{{{-3 V EXTENSION 3}}} || || [[파일:Shoreline_1.png|width=60]] ||<|2>9레벨 치고는 밀도도 허전하고 트리거 활용도 최근 추가되는 패턴에 비하면 낮은 편. 후반부 노트 배치가 죄다 즈레로 되어 있어 퍼펙트에서 조금 귀찮을 수는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8''')}}} || || [[Shoreline]][br]{{{-3 TECHNIKA}}} || || [[파일:Waiting for you_1.png|width=60]] ||<|2>패턴 전반적으로 트리거가 까다롭게 끼어들지 않는다. 다른 트리거 동시치기 패턴들을 많이 접해 익숙하다면 수월하게 칠 수 있는 물렙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8▼''')}}} || || [[Waiting for you]][br]{{{-3 RESPECT}}} || || [[파일:Binary World_1.png|width=60]] ||<|2>구 15레벨 시절 최하위권 패턴이었으나 하향 조정이 덜 돼서 10레벨로 조정됐고 여전히 쉽다는 평이 많다. 체감 레벨은 9.[br]{{{-2 (체감 난이도 : SC 10 → '''9''')}}} || || [[Binary World]][br]{{{-3 RESPECT}}} || || [[파일:Silent Clarity_1.png|width=60]] ||<|2>곳곳에 등장하는 R-L-34-R-L 형식의 변형 트릴이 초견에는 당황스러울 수 있으나 아주 어려운 배치도 아니고, 다른 구간은 전혀 10레벨에 맞는 패턴이 나오지 않는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9▼''')}}} || || [[Silent Clarity]][br]{{{-3 TECHNIKA TUNE&Q}}} || || [[파일:Stay_1.png|width=60]] ||<|2>초반과 후반에 각각 한 번씩 등장하는 드르륵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너무 정직하게 나온다. 트리거로 뇌지컬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고 밀도높은 패턴으로 피지컬을 요구하는 것도 딱히 아닌 애매한 패턴으로 SC 9레벨 정도에 더 적합한 물렙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10 → '''9''')}}} || || [[Stay(EZ2AC)|Stay]][br]{{{-3 EZ2ON}}} || || [[파일:최종무곡_1.png|width=60]] ||<|2>트리거 롱 노트를 활용한 롱잡이 많이 나오지만 패턴 구성이 너무 간단하다. 같은 DLC에 있고 비슷한 패턴을 쓴 11레벨 [[광명의 루 : 루 라바다]] SC와 비교하면 더더욱 초라해진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 || || [[최종무곡]][br]{{{-3 NEXON}}} || || [[파일:Attack_1.png|width=60]] ||<|2>후살이 좀 복잡하긴 한데 11레벨치고는 어려운 패턴이라고 보기 어렵고, 초창기 SC답게 트리거가 거의 안 나오는데다 난이도에 영향을 끼치지도 않는다는 점에서 체감 난이도가 더 내려간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 || || [[Attack(DJMAX)|Attack]][br]{{{-3 V EXTENSION}}} || || [[파일:Aurora Borealis_1.png|width=60]] ||<|2>패턴 자체가 단순하다. 트리거 배치도 얼리 액세스 시절의 8버튼을 생각나게 할 만큼 무난하고, 건반 파트도 딱히 어렵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 || || [[Aurora Borealis]][br]{{{-3 RESPECT}}} || || [[파일:Hypernaid_1.png|width=60]] ||<|2>딱히 꼬아놓은 패턴 없이 전체적으로 무난하고 정직하기 때문에 물렙곡으로 평가받고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8''')}}}|| || [[Hypernaid]][br]{{{-3 V EXTENSION 4}}} || || [[파일:Obelisque_1.png|width=60]] ||<|2>한 손 데님 패턴 등 손꼬이는 패턴이 많긴 한데 BPM이 너무 낮아 그다지 어렵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 || || [[Obelisque]][br]{{{-3 ESTIMATE}}} || || [[파일:MUSEDASH!!!!_1.png|width=60]] ||<|2>32비트 활용이 많은 등 까다로운 구간이 없는 건 아닌데 11레벨 정도에서는 어렵지 않게 넘어갈 수 있어 표기 레벨에 비해 쉽다.[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 || || [[MUSEDASH!!!!]][br]{{{-3 MUSE DASH}}} || || [[파일:Sparrow_1.png|width=60]] ||<|2>중간중간 리딩이 쉽지 않은 구간이 끼어있는 데다가 후반에 나오는 단순 트리거 트릴이 등장하는 것을 감안해도 정박 베이스에 밀도도 낮아 11레벨 치고는 상당히 쉽다. 클리어는 물론이고 맥스 콤보와 퍼펙트 난이도도 쉬운 물렙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11 → '''10▼''')}}} || || [[Sparrow(EZ2AC)|Sparrow]][br]{{{-3 EZ2ON}}} || || [[파일:Chrysanthemum_1.png|width=60]] ||<|2>후반부 트리거를 잡으면서 겹계단을 연속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패턴이 그나마 어렵긴 한데 BPM이 낮다는 걸 감안하면 그다지 어렵지 않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1''')}}} || || [[Chrysanthemum]][br]{{{-3 V EXTENSION 2}}} || || [[파일:NB RANGERS - 운명의 Destiny_1.png|width=60]] ||<|2>후반 데님 파트 정도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패턴 자체가 그냥 무난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1''')}}} || || [[NB RANGERS - 운명의 Destiny]][br]{{{-3 V EXTENSION 3}}} || || [[파일:WONDER $LOT 777_1.png|width=60]] ||<|2>노트 밀도가 낮다. 어렵다고 할 만한 패턴이 적고 트리거 응용도 또한 높다고 보기 힘들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1''')}}} || || [[WONDER $LOT 777]][br]{{{-3 V EXTENSION}}} || || [[파일:Colours of Sorrow_1.png|width=60]] ||<|2>높은 밀도를 통해 지력을 요구하기 보다는 8B 특유의 리딩 능력과 이를 바탕으로 한 정확한 처리력으로 승부를 보는 패턴이나 13레벨급의 복잡한 구간은 없다. 오히려 12레벨 상위권으로 평가받는 일부 패턴들이 훨씬 복잡하고 어려운 구간을 가진 경우가 많으며, 앞서 얘기했듯이 지력 요구도도 낮아 13레벨의 자격을 전혀 갖추지 못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Colours of Sorrow]][br]{{{-3 BLACK SQUARE}}} || || [[파일:Comet Coaster_1.png|width=60]] ||<|2>밀도도 낮고 트리거 활용 역시 8버튼 고레벨 SC 패턴 치고 단순하다. 이견이 없는 13레벨 최약체.[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Comet Coaster]][br]{{{-3 MUSE DASH}}} || || [[파일:Techno Racer_1.png|width=60]] ||<|2>사이드/트리거 헷갈림 유도나 트리거 연타 함정 구간 등, 초견에 당황스러울만한 요소들이 있을 뿐 해당 구간들만 숙련한다면 딱히 어렵다고 할만한 구간 자체가 없다. Comet Coaster와 함께 13레벨 물렙으로 꼽힌다. [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2''')}}} || || [[Techno Racer]][br]{{{-3 RESPECT}}} || || [[파일:Winners_1.png|width=60]] ||<|2>14레벨인 것 치고는 딱히 킬링 파트 구간이 있는 것도 아니고 순수 피지컬적으로도 딱히 압도적이지 않다. 전체적으로 너무 정직하고 무난한 패턴. [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 || || [[Winners(DJMAX)|Winners]][br]{{{-3 V EXTENSION 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a8ff 25%, #cb71ff 75%)" {{{#white '''개인차'''}}}}}} || || 곡 정보 || 설명 || || [[파일:Smoky Quartz_1.png|width=60]] ||<|2>시종일관 엇박에서 나오는 트리거 복합 패턴은 물론이고 후살의 트릴 구간까지 더해져서 일찍이 14레벨 보스곡으로 자리매김했다. 후살 구간만 조심하면 클리어와 맥스 콤보 난이도는 레벨을 크게 벗어날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워낙 복잡하고 어려운 패턴이 많이 등장한 최근에는 평가가 살짝 하락했지만 여전히 퍼펙트 난이도만큼은 패드 패턴 중에서는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무엇을 목표로 하느냐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달라질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HD 14 / PERFECT : '''15▲''' / 개인차 요소 : '''엇박''')}}} || || [[Smoky Quartz]][br]{{{-3 PORTABLE 2}}} || || [[파일:Daydream_1.png|width=60]] ||<|2>패턴 자체가 정직하고 단순한 편이라 14레벨 정도의 물렙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최신 패턴 답게 트리거 활용은 적극적으로 했기 때문에 트리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 등 다른 15레벨과 비슷하게 느끼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개인차를 탄다.[br]{{{-2 (체감 난이도 : MX 15 → '''14~15''')}}} || || [[Daydream(DJMAX)|Daydream]][br]{{{-3 V EXTENSION 2}}} || || [[파일:PDM_1.png|width=60]] ||<|2>곡 후반부의 기타 구간 이후로 24비트, 32비트 구간이 곳곳에 나오고 박자 또한 매우 불규칙적이기에 퍼펙트 난이도가 풀콤보 난이도에 비해서 상당히 올라가는 편.[br]{{{-2 (체감 난이도 : SC 3 / PERFECT : '''4▲''')}}} || || [[PDM]][br]{{{-3 BLACK SQUARE}}} || || [[파일:Showtime_1.png|width=60]] ||<|2>99.5% 이하 스코어링 및 풀콤보에서는 간혹 끼는 R5트릴만 조심하면 되는 쉬운 패턴이지만 퍼펙트 단계에서는 노래 시작부터 끝까지 즈레가 안 끼는 데가 없는 지뢰곡이다. 특히 중반부 변박 계단 파트는 대놓고 퍼펙트 짤리라고 짠 수준.[br]{{{-2 (체감 난이도 : SC 7 / PERFECT : '''8▲''' / 개인차 요소 : '''즈레''')}}} || || [[Showtime(DJMAX)|Showtime]][br]{{{-3 PORTABLE 2}}} || || [[파일:너에게로 갈래_1.png|width=60]] ||<|2>개인차가 크게 갈리는 트리거와 일반 노트의 반복 트릴이, 112 BPM이라는 애매하게 느린 속도로 초중반 이후부터 계속 반복되기 때문에, 8레벨 치고 쉽다는 의견부터 웬만한 11레벨 이상 패턴보다 정확도가 나오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는 등 극단적인 개인차가 갈리는 패턴이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7~10''' / 개인차 요소 : '''트릴, 리딩''')}}} || || [[너에게로 갈래]][br]{{{-3 V EXTENSION 4}}} || || [[파일:Your Own Miracle_1.png|width=60]] ||<|2>SC 개편 전에 물렙이었던 점을 감안해 개편을 하면서 하향 조정을 받았는데, [[FIGHT NIGHT (feat. Calyae)]] 등 개편 전 15레벨 체계에서 이 곡보다 쉬운 곡들 전부 9로 조정되었음에도 혼자 8레벨을 받았기 때문에 개편 초기에는 불렙이라는 평가를 들었으나, 최근에는 퍼펙트가 조금 까다로울 뿐 클리어 난이도로는 8레벨에 적합하며, 유저 서열표 상으로도 8레벨 상위권에서 9레벨 하위권 정도의 애매한 평가를 받고있어 마냥 불렙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려워졌다.[br]{{{-2 (체감 난이도 : SC 8 → '''8~9''' / PERFECT : '''10▲''' / 개인차 요소 : '''트릴 및 겹폭타''')}}} || || [[Your Own Miracle]][br]{{{-3 PORTABLE 2}}} || || [[파일:Move Yourself_1.png|width=60]] ||<|2>최후반부에 뇌절을 유발하는 트리거-사이드-123 롱노트 청백홍기 구간이 난점이다. 서열표 기준으로는 불렙으로 평가받지만 뇌를 굴리고 판수를 쌓아 암기할수록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기는 하다.[br]{{{-2 (체감 난이도 : SC 9 → '''9~10''' / 개인차 요소 : '''사이드 트랙''')}}} || || [[Move Yourself]][br]{{{-3 V EXTENSION}}} || || [[파일:KILLER BEE_1.png|width=60]] ||<|2>최후반부 축 동시치기처럼 일정 박자마다 양 트리거를 잡으면서 키 파트를 처리해야 하는 패턴이 난점이다. 서열표 기준으로는 불렙으로 평가받으나 패턴 리딩 자체는 어렵지 않고, 초창기 SC 패턴답게 키 파트 처리력이 더 중요한 패턴이기 때문에 6B 실력이 어느정도 있다면 적정 레벨로 볼 여지도 있다. [br]{{{-2 (체감 난이도 : SC 10 → '''10~11''' / 개인차 요소 : '''연타, 계단''')}}}|| || [[KILLER BEE]][br]{{{-3 RESPECT}}} || || [[파일:Feel Ma Beat_1.png|width=60]] ||<|2>흔히 굴리기라고 불리는 R456 등이 후반부 기타솔로 구간에서 계속 떨어진다. 8레벨에 있는 [[Creator(DJMAX)|Creator]]를 빼면 이 곡보다 레벨이 낮은 패턴에서는 아예 안 쓰는 패턴이다 보니 생소함을 겪을 수 있고, 굴리기 자체도 지저분하기 짝이 없는 패턴이라 스코어링 난이도도 높다. 해당 패턴을 빼고 본다면 그다지 어렵지 않아 개인차 폭도 꽤 넓은 편.[br]{{{-2 (체감 난이도 : SC 12 / 개인차 요소 : '''계단''')}}} || || [[Feel Ma Beat]][br]{{{-3 TECHNIKA 3}}} || || [[파일:Angelic+Tears_1.png|width=60]] ||<|2>트리거를 꼬아놓은 부분이 거의 없고, 대부분의 난이도가 중반 겹노트 2연타와 후반 겹트릴 폭타에 집중되어 있다. 건반 파트에 숙련된 유저라면 물렙으로 느껴질 수 있고, 건반 파트에 비숙련된 유저라면 맥스 콤보도 힘들 수 있다. 일장일단이 존재하는 패턴. [br]{{{-2 (체감 난이도 : SC 12 / 개인차 요소 : '''연타''')}}} || || [[Angelic layer|Angelic Tears]][br]{{{-3 RESPECT}}} || || [[파일:Metagalactic_1.png|width=60]] ||<|2>연타 위주의 곡이다보니 개인차가 크게 갈리는 편. 연타에 강하다면 무난한 SC 12레벨로 느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체감 난이도가 SC 13레벨 상위권까지도 올라갈 수 있다.[br]{{{-2 (체감 난이도 : SC 12 → '''12~13▲''' / 개인차 요소 : '''연타''')}}} || || [[Metagalactic]][br]{{{-3 EZ2ON}}} || || [[파일:Out Law Reborn_1.png|width=60]] ||<|2>롱잡을 필두로 마치 랜덤을 건 듯한 특이한 배치로 노트를 꼬아놓았다. 이때문에 패턴 자체에서 요구하는 피지컬량은 높지 않으나 패턴 리딩 능력이 관건이 된다. 일반적으로는 12레벨 상위권 수준으로 평가받지만 만약 패턴 파악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체감 난이도가 SC 13레벨까지 올라갈 수 있는 패턴.[br]{{{-2 (체감 난이도 : SC 12 / 개인차 요소 : '''롱잡 및 리딩''')}}} || || [[Out Law : Reborn]][br]{{{-3 PORTABLE 3}}} || || [[파일:Sand Storm_1.png|width=60]] ||<|2>전체적으로는 13레벨을 벗어나지 않는 잔잔하고 평범한 패턴 위주로 나오지만 MX에서 강화된 트리거와 2/5번 단노트가 섞인 중살 구간에서 스코어링이 아예 망가진다. 이 구간 한정으로는 최소 SC 14레벨에서 사람에 따라 15레벨 수준이라고 느끼는 유저도 있을 정도로 괴랄한 난이도를 보여준다.[br]{{{-2 (체감 난이도 : SC 13 → '''13~15▼''' / 개인차 요소 : '''트리거 발광''')}}}|| || [[Sand Storm]][br]{{{-3 EZ2ON}}} || || [[파일:KICK IT_1.png|width=60]] ||<|2>중반부에 24비트 나선 겹계단이 등장해 퍼펙트 난이도로는 정배치 한정으로 15레벨 상위권 수준을 자랑한다. 그 외 다른 모든 구간은 표기 난이도인 SC 14레벨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데 유독 이 한 구간이 미쳐날뛴다. 덕분에 풀콤보 난이도도 SC 14레벨 최상위권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퍼펙트 난이도는 15레벨급 불렙 패턴이라는 의견이 많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PERFECT : '''15▲''' / 개인차 요소 : '''나선 겹계단''')}}} || || [[KICK IT]][br]{{{-3 V EXTENSION 3}}} || || [[파일:NB RANGER - Virgin Force_1.png|width=60]] ||<|2>8B 특유의 리딩을 크게 요구하는 청기백기가 주요 패턴이며, 압도적인 후살까지 존재해 유저마다 개인차가 엄청나게 갈려서 난이도 논쟁이 활발한 편이다. 다만 초견에나 당황스럽지 물량 자체는 많지 않기 때문에 익숙해지면 꽤나 할만해지며, 무엇보다 비슷한 리딩 패턴인 [[SON OF SUN]] SC와 같은 난이도상에 배치될 정도의 수준은 아니기 때문에 물렙으로 보는 경향이 더 크다.[br]{{{-2 (체감 난이도 : SC 14 → '''13▼~14''' / 개인차 요소 : '''동시치기 및 리딩''')}}} || || [[NB RANGER - Virgin Force]][br]{{{-3 RESPECT}}} || || [[파일:Nevermind_1.png|width=60]] ||<|2>[[SON OF SUN]] SC와 비슷한 유형의 패턴. 전체적으로 같은 곡의 MX 패턴에서 살을 붙인 모양으로, SON OF SUN에 비해 피지컬 요구도는 더 높으나 청기백기 위주의 리딩만 어느정도 해낼 수 있다면 SC 15레벨 치고는 스코어링과 퍼펙트 난이도가 그다지 어렵지 않다. 실제로 8B SC 15레벨 중에서는 퍼펙트 플레이 유저가 가장 빠르게, 많이 나왔다. 아무튼 SON OF SUN보다도 쉽다는 유저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을 정도로 현재 Fundamental과 함께 SC 15레벨 최약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최약체긴 해도 개인차의 범위가 넓어 물렙까지는 아니라는 평가도 많은 편.[br]{{{-2 (체감 난이도 : SC 15 → '''14~15''' / 개인차 요소 : '''롱잡''')}}} || || [[Nevermind(DJMAX)|Nevermind]][br]{{{-3 RESPECT}}} || || [[파일:Nightmare_1.png|width=60]] ||<|2>초창기 패턴들이 으레 그렇듯 트리거 노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았는데, 이 곡은 특히나 더 심하다. 트리거로 인해 체감 난이도가 상승한 구간은 거의 없으며, 심지어 하이라이트인 연타 파트는 '''트리거가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 트리거와 별개로 난이도 자체도 연타가 주요 패턴이기 때문에 개인차도 심하게 갈리며, 랜덤을 걸면 체감 난이도가 급격히 낮아지기도 한다.[br]{{{-2 (체감 난이도 : SC 15 → '''14~15▲''' / 개인차 요소 : '''연타 및 겹계단''')}}} || || [[Nightmare(DJMAX)|Nightmare]][br]{{{-3 PORTABLE 2}}} || [[분류:리듬 게임]][[분류:DJMAX RESPECT V]][[분류:나무위키 리듬 게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