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GB금융그룹)] ||<-2> '''{{{+2 DGB유페이}}}'''[br]'''DGB U-PAY''' || ||<-2> [[파일:DGB유페이.png|width=300]] || || '''법인명''' ||주식회사 디지비유페이 || || '''영문명''' ||DGB U-PAY || || '''설립일''' ||[[2009년]] [[9월 7일]] || || '''업종명''' ||그 외 기타 금융 지원 서비스업 || || '''기업규모''' ||[[대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지배구조''' ||[[DGB금융지주]] : '''100%''' || || '''대표이사''' ||배인규 || || '''본사'''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503 ([[범어동(대구)|범어동]]) || || '''웹사이트''' ||[[http://www.dgbupay.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고객센터''' ||대표전화: '''080-427-2342''' || [목차] [clearfix] == 개요 == [[DGB금융그룹]] 계열사로, [[대구광역시]]에서 쓰는 [[교통카드/선불|선불교통카드]]인 [[원패스]], [[탑패스]], [[대경교통카드]]를 판매 및 정산하고 있다. 본사는 [[수성구청역]] 4번 출구 앞의 [[DGB대구은행]] 만촌지점이 입주한 [[수성구]] [[범어동(대구)#범어2동|범어2동]] 동일빌딩에 있다.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칠성동|칠성동2가]] [[이마트 칠성점]] 옆에 새로 생긴 [[DGB대구은행]] 제2본점으로 이전할 계획이었으나, 흐지부지된 듯하다. 원래는 [[2009년]]에 [[비씨카드]]와 [[삼성카드]]가 [[대구광역시]]의 新 [[교통카드/선불|선불교통카드]] 사업에 참여하면서 컨소시엄 형식으로 만들어진 회사였지만, [[2013년]] 초 [[대경교통카드]]의 관리사인 카드넷과 합병하면서 자연히 [[DGB금융그룹]]의 자회사로 편입됐다. 당시 카드넷과 유페이먼트, [[대구광역시]], 대구 시내버스조합은 [[막장 드라마]]를 거하게 한 편 찍고, 결국 [[2011년]] 1월부터 카드 발급과 [[교통카드/선불|선불교통카드]] 정산 업무를 시작했다. 하지만 이 회사는 한동안 [[캐시비]]와 달리 [[티머니]]에 대해서는 대단히 배타적이어서[* [[한페이]]도 [[캐시비]]와 달리 [[티머니]]에 대해서 배타적이다. [[광주광역시]]에서 캐시비는 되지만 티머니는 오랫동안 사용할 수 없었고 [[전라남도]] [[강진군]], [[구례군]] 교통카드 사업자가 [[티머니(기업)|한국스마트카드]]인데 다른 [[마이비]]에서 [[교통카드]] 업무를 관리하는 전라남도 지역과 달리 한페이가 호환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현재는 이용할 수 있다.) 반대로 [[센스패스]]는 티머니와 달리 캐시비에 대해서 배타적이었다. 사업자가 과거 센스패스였던 지역에서는 티머니는 되지만 캐시비가 안 되고(경남 농어촌버스 한정. 과거에는 안동시, 거제시, 통영시도 안되었다.) 탑티머니가 수도권에서 [[수도권 전철|전철]]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는 먹히는데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와 [[경기도 시내버스]]에서는 되지 않는 것에서 알 수 있다.], 한때 [[대구광역시]] 관내의 [[GS25]]의 [[팝카드]] 발주를 막기도 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http://m.youtube.com/watch?v=c8a3bQy_SOw|이자 수익이 상당하다]]고 한다. 그리고 [[http://daegu.kbs.co.kr/news/index.html?seq=3310322&searchDate=20140924|전국호환인증 카드]] 제작 및 호환에 별 관심이 없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게다가 [[2014년]] 11월에 출시된 전국호환형도 타 지역에서 거액의 시스템 작업 비용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돈 없다고 수수방관한 상태. 이러니 [[원패스]] 카드를 내놓고도 전국호환은 무기한 연기된 사실이 [[TBC]]의 취재 결과 드러났다. 결국 호환은 해를 넘긴 상태. 이후에도 한 지역에 [[교통카드]] 회사가 2개나 있는 이상한 상황이 계속되어서, 카드넷 외에는 아무도 [[권진수|행복하지 못한]] 상황이 되었다. 그런데 [[2012년]]에 갑자기 카드넷이 [[탑패스]]의 사업자인 유페이먼트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20672&yy=2012|#]] 카드넷 시즌 2가 임박한 줄 알았는데 거꾸로 유페이먼트가 카드넷을 인수하게 되었다. 결국 2013년 1월 11일 [[대구광역시]]가 유페이먼트와 카드넷의 합병을 승인하고, 2월 5일 [[주주총회]]에서 유페이먼트와 카드넷이 유페이먼트로 합병되기로 결정되었다. [[대경교통카드]]는 단종되고 앞으로는 [[탑패스]]만 판매한다.[[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609562&news_area=010&news_divide=&news_local=20&effect=4|기사]] 그리고 [[원패스]]의 출시 후에는 기존 [[탑패스]]도 단종됐다. [[2015년]] [[8월 31일]]에 사명을 유페이먼트에서 "DGB유페이"로 변경하였다. 2017년 7월을 목표로 부산 지역 호환을 추진한다고 한다. 하지만 [[대전광역시]]는 [[하나은행]]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17&aid=0000256232|거액의 수수료를 요구하여 호환이 무기한 연기됐다]]. 2019년 3월에는 [[영덕버스]]와 계약하여 교통카드제를 시행했다. 대구 인접 지역의 경북 지자체 외에서는 [[울릉군]]에 이어 2번째다. 2020년에 지방 배달어플리케이션인 [[https://beginstart.tistory.com/327|먹깨비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원패스를 앱에 도입해 언택트 경제를 실행할 계획이다. == 카드넷 시절 == [[대구광역시]]와 [[경산시]]에서 쓰이는 [[대경교통카드]]를 발급해 주던 회사였다. 유페이먼트 및 [[대구광역시]]와 신 [[교통카드/선불|선불교통카드]] 도입에 관련해 온갖 사고를 터뜨리다가, 결국 [[2010년]]에 [[DGB대구은행]]의 자회사로 편입됐다. 아래에서 수수료를 언급하지만, [[경산버스]]에 대구보다 높은 수수료를 요구해 [[경산버스]]가 [[대경교통카드]]를 달지 않고 [[마이비]]의 [[경상북도]] 권역 카드인 신나리카드를 채택하여 마찰을 크게 빚었다. 이 사건은 2004년 8월 1일 [[경산버스]]의 [[공동 배차]] 파기라는 역대급 [[막장 드라마]]를 만들었고, 2005년 11월 7일에 분쟁이 타결되어 2005년 12월 11일부터 [[공동 배차]] 재개와 함께 [[경산버스]]에 [[대경교통카드]]가 이용되기 시작했다. === 비판 === 이 회사가 그 명성을 드높인 것은 바야흐로 [[2009년]]. 당시 [[대구광역시]]에서는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新) [[교통카드]]를 새로 도입하려고 했다. 하지만 대구버스조합과 [[대경교통카드|카드넷]]이 [[대구광역시]]청 몰래 '''20년 간 [[대경교통카드]] 독점 사용'''이라는 이면 계약을 체결한 것이 밝혀져 옴싹달싹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대구광역시]]에서는 어떻게든 신 [[교통카드]]를 도입할 것이라 언급했었고, 실제로 2010년 4월에는 새로운 사업자와 협상 타결 직전까지 가기도 했었으나 가처분소송 제기 등 진짜 막장루트를 탈 뻔했다. 하마터면 대--구--경--산--교통카드만 당분간 계속 독점하게 될 수도 있었다. 그런데 그렇게 사건사고를 터뜨렸던 카드넷이 갑작스럽게 공개 매각 처분되었고, 어느 회사가 인수할 지 주목됐다. 첫 협상 대상자였던 [[티머니(기업)|한국스마트카드]]에서 인수할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으나, 결국 [[DGB대구은행]]에서 카드넷을 인수했다. 그 후 카드넷의 새 주인이 된 [[DGB대구은행]]이 한발 물러섬으로써 [[대구광역시]]의 신 교통카드 도입은 다시 탄력을 얻게 되었다. 결국 기존 [[대경교통카드]]는 그대로 둔 채, 예전부터 협상을 시도하던 [[비씨카드|BC]] - [[삼성카드|삼성]] 컨소시엄인 유페이먼트와 새로 계약을 체결하여 [[탑패스]]라는 전국 호환 [[교통카드]]를 발매하기로 하고 단말기도 [[삼원FA]][* [[부산광역시|부산]]과 [[경상남도|경남]], [[충청북도|충북]], [[전라도]]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단말기. 단, [[김해시]] 버스 일부 회사에서는 티머니 단말기로 바꾸고 있다.]제로 바꿔 [[2011년]] 1월에 신 [[교통카드]] 시스템이 개통됐다.[* [[티머니]]와 [[로카모빌리티]]와는 달리 DGB유페이는 버스 단말기 제작을 하지 않는다.] 탑패스 도입과 함께 대구, 경산, 고령, 성주, 칠곡, 청도 지역 교통카드 정산 업무도 모조리 유페이먼트 쪽으로 넘어가서 현재 카드넷은 영천 지역의 [[대경교통카드]] 이용 버스에 대한 정산 업무만 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3년 6월 1일부터 [[영천시 시내버스]]에서 [[탑패스]]가 되는 것으로 보아서는 카드넷 대신 유페이먼트가 정산 업무를 하는 듯. 경쟁 체제를 통한 [[교통카드]] 수수료 인하라는 명분을 내세워 [[대구광역시]]에서는 카드넷과 유페이먼트라는 [[교통카드]] 사업자 복수 체제를 도입한 것인데, 문제는 [[탑패스]]가 나와도 [[ActiveX]] 및 어린이/학생용 카드의 수도권같은 별도의 [[교통카드]] 할인등록 방식 때문에 [[탑패스]]로 바꾸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고, 이거 때문에 안그래도 규모에서 밀린 유페이먼트는 오히려 적자가 쌓이면서 영업정지 일보 직전까지 간 적이 있었다는 것.[[http://www.tbc.co.kr/tbc_news/n14_newsview.html?p_no=141016022|#]] 실제로 카드넷은 [[교통카드]] 수수료가 내려가긴 했다. 하지만 이 여파 때문인지 [[2011년]] 8월에는 [[대구광역시]] 내 가판대 상인들에게 카드넷이 지급하는 충전 수수료를 카드넷이 내리자, 이에 부당하다는 항의가 빗발치기도 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206365|#]] [[DGB대구은행]]은 이런 병맛 넘치는 상황을 보고만 있을 수는 없었는지, [[2012년]]이 되자 카드넷과 유페이먼트를 합병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20672&yy=2012|#]] 결국 [[대구광역시]]가 추진한 복수 사업자 체제는 말짱 [[도루묵]]이 됐다. 하지만 유페이먼트가 카드넷([[DGB대구은행]]+버스조합)을 인수하는 게 아니라 '''카드넷이 유페이먼트를 인수한다'''고 알려지자, [[대구광역시]]는 합병 허가를 내어 주려 하지 않고 있다. 일단 카드넷의 악명이 심한 데다가 전국 최고의 수수료를 자랑하는 카드넷이 안그래도 전국에서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에 속하는 [[탑패스]]도 수수료를 [[대경교통카드]]처럼 왕창 올릴까 두려운 것이다. 안 그래도 대구 버스조합과 사이가 나쁜 [[경산버스]]에서 이 수수료 때문에 2002년에 '''[[마이비]]를 채택하는 초강수'''를 저질렀고, 2년 후에는 공배 파기라는 파행을 저질렀기 때문이다. 일례로 수수료 못 먹는 타사 카드를 못 쓰게 타 지역과의 호환 협정조차 전혀 하지 않으면서 유페이먼트의 호환 협정까지 방해(광주 [[한페이]] 및 경남 [[센스패스]]와의 호환,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 호환 등)하는 카드넷의 훼방은 상상을 초월했다고 한다.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20410.010060736540001|#]] 2013년 말 [[신한카드]], [[NH농협은행/카드|NH농협카드]], [[2014년]] 4월 [[롯데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삼성카드]] 등의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가 그나마 호환을 개시했다.[* 과거 [[KB국민카드]], [[비씨카드]]와 달리 [[경산시 시내버스|경산]], [[영천시 시내버스|영천]], [[고령군 농어촌버스|고령]], [[성주군 농어촌버스|성주]], [[청도군 농어촌버스|청도]], [[칠곡군 농어촌버스|칠곡]], [[무릉교통|울릉도]]와 동시에 호환을 개시했다.] 2014년 10월 17일에는 [[한페이]]시스와 호환 협약을 체결했다.[[http://www.idaegu.com/?c=5&sort=d_regis&orderby=desc&uid=303545|#]] [[2014년]] [[12월 23일]]에 시행. [[대구광역시]]가 여기에 대응해 고작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합병 허가를 내주지 않는 것''' 밖에 없었다. 그러니 [[롯데그룹]]이 [[마이비]]와 [[하나로카드]]를 인수한 뒤 비표준이었던 이들을 단종시킨 것과 달리[* 롯데그룹이 인수한 [[로카모빌리티]]의 티모아보다 사용 인구가 더 많은 마이비를 [[캐시비]]로 리뉴얼하지 않고 티모아를 캐시비로 리뉴얼한 후 마이비, 하나로카드를 단종한 것은 마이비가 비표준이었기 때문이다는 편견이 퍼져 있었지만, 실상은 마이비보다 로카모빌리티가 연 매출이 더 많았다. 아무리 버림받은 이비카드라도, [[부울경]]에 비해 [[수도권]] 거주 인구가 워낙 깡패라서(...)] 카드넷은 [[MIFARE]] Classic표준+높은 수수료인 [[대경교통카드]]를 고수할 것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는 것이다. 그것조차 모자라, 카드번호가 16자리숫자 표준형이지만 [[티머니]], [[캐시비]]에 밀려 이용률이 저조한 [[U-PASS|유패스]]와 카드넷에 강제 합병당할 유페이먼트의 [[탑패스]]가 먼저 단종되고 카드번호가 10자리로 비표준인 [[대경교통카드]]는 영원히 단종되지 않을 것이라는 소문도 들리고 있었다. 특히 유패스는 예전에는 [[인천광역시]], [[경기도]] 등에서도 판매했지만 지금은 [[서울특별시]]에서만 그것도 [[편의점]]에서는 판매하지 않고 소수 가두판매대에서만 판매하다가 [[티머니(기업)|티머니]]에 인수되어 2014년 9월 1일에 완전히 단종됐다. 루머라고만 볼 수는 없는 게, 당장 [[DGB대구은행]]에서 제휴 신분증 겸용으로 나오는 Ubi [[체크카드]]에는 선불 교통카드가 탑재되는데 이게 '''여태껏 [[대경교통카드]]''' 탑재다. [[센스패스]]와 탑티머니가 2014년 [[전국호환교통카드]] 시행 시기에 티머니에 흡수 단종되고 구형 [[한꿈이카드]]는 '''2018년 6월 1일부터 사용 자체가 불가능'''한 것과도 대조적이다. '''[[2014년]] [[11월 17일]]에 출시된 [[DGB대구은행]] [[비씨 글로벌]][[체크카드]]인 [[대구백화점|대백]]플러스 [[체크카드]]에도 [[대경교통카드]] 선택사양이 있다.''' 물론 원하지 않으면 안 달린 자재를 달라고 말하면 된다. 한때 [[대구광역시|대구]] 소재 [[GS25]]에서 [[팝카드]]의 판매를 DGB유페이가 막고 있다는 카더라가 있었다. DGB유페이의 입김으로 인해 한때 [[대구광역시|대구]] 소재 [[GS25]]에서 [[티머니]]의 충전이 전면 통제되었으며, [[대구광역시]]에서는 [[티머니]]를 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만 충전할 수 있었다. [[대구광역시]] 관내에서 구할 수 있는 [[티머니]]는 [[홈플러스]]에서 판매하는 상품권 겸용 [[교통카드]]인 짱플러스밖에 없었다. 같은 이유 때문인지 원카드 올패스 인증 신형 [[캐시비]]도 몇몇 세븐일레븐에서 도로 회수해 가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하지만 소리없이 변화의 바람이 불다가 2015년 4월 이후 크게 변하기 시작했다. 대구 시내 소재의 몇몇 [[GS25]]에서 [[팝카드]]를 판매하고 충전하는 점포가 늘어나고 있으며, '''[[동대구역]] 구내 [[스토리웨이]]에서는 [[레일플러스]]를 팔기 시작하면서 대놓고 올 패스 그레이 신형 [[티머니]]와 [[L.포인트]] 무장착 신형 [[캐시비]]를 [[레일플러스]] 옆에다가 진열해서 판매한 적이 있다.''' 2015년 4월에는 [[대구광역시|대구]] 소재 [[GS25]]에서의 [[티머니]] 봉인이 풀려서 [[GS25]]에서 판매 및 충전, 사용이 가능해졌다. 일부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 [[CU]], [[미니스톱/한국|미니스톱]]에서도 미미하지만 슬슬 충전 봉인이 풀리는 중이고, 일반 [[티머니]]의 판매도 시작했다. T-마일리지를 당겨오는 충전도 풀렸다. 거기에 티머니 인터넷 쇼핑몰인 T-존에서 카드를 구입해도 된다. 지지부진한 협상 끝에 [[원패스]]의 수도권 호환을 이끌어 내어, 2016년 1월 30일부터 시행한다. 국토교통부의 권고에 따라 2017년 3월부터 학생증 [[체크카드]]의 [[교통카드/선불|선불교통카드]]를 [[원패스]]로 바꾸기로 했으나, 아직도 교체하지 않고 있다. 2017년에 나온 [[원패스]]의 [[통합권종]]형을 잘 홍보하지 않아서, 대구 소재 [[GS25]] 및 [[이마트24]]에서도 외면당하고 있다.[* 그나마 발품을 팔면 [[이마트24]]에서 구할 수 있긴 한데, 2가지 도안 중 세로형만 판매한다. 그렇게 선전해 놓고 '''가로형 도안은 정작 [[이마트24]]에서 아예 발주가 안 된다고 한다.'''] 2018년 7월 말부터 드디어 가로형이 [[GS25]]에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 유페이먼트와의 합병 === 결국 [[2013년]] [[1월 11일]] [[대구광역시]]에서 합병 승인이 나고, [[2월 5일]] 주주총회에서 카드넷 법인이 해산하면 유페이먼트가 업무를 인수받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http://www.kardnet.com/boardMainNoticeLen.do?action=normalView&module=PUB00000000&no_seq=96|합병공고]] 카드넷이 사라지면서 [[대경교통카드]]는 판매분이 단종되고, [[DGB대구은행]] [[비씨카드|비씨]] [[체크카드]]에 남는 형태로 존속 중이다. 물론 학생증 체크카드처럼 [[원패스]]로 바뀔 여지는 있으나, 아직 변경되지 않았다. == 기타 == [[코레일네트웍스]]의 [[레일플러스]]를 [[대구광역시]]에서 이용하면 자세한 내용은 나오지 않고 사용 내역에 그냥 "유페이먼트"로만 기록되며, [[티머니]]를 대구에서 이용했을 때 T-[[마일리지]][* [[2014년]] 11월에 [[티머니(기업)|티머니]]가 T-[[마일리지]] 적립 봉인을 풀어 버렸다.] 적립 내역을 보면 "지역교통_대구"(UP)라고 기록된다.(UP는 DGB유페이의 약자)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관련해서 앞문 단말기의 하차 처리를 막아 놓았는데, 같은 노선버스에서 하차 처리를 안 하고 같은 노선 탑승시 하차로 처리되는 버그 때문이다. 하지만 고칠 생각은 안 하고 앞문 단말기의 하차 처리를 막아 버렸다. 그래서 외지인들이 대단히 헷갈려한다.[* 광주버스나 울산버스 등등 앞문 하차를 일절 막아놓은 곳도 있긴 하다만….] 물론 혼잡을 대비해 조작으로 해제해 놓을 수는 있다. 하지만 정작 뒷문 단말기의 승차 처리는 막아놓지 않았다(…).[* 아니러니하게도 이들은 삼원 단말기를 쓰고 있다. 부산 및 일부 지역은 별도의 조작 없이 승차단말기에서 하차 처리 가능. 물론 로카모빌리티 단말기를 쓰는 진주시 시내버스는 경기버스에서 사용하는 단말기와는 달리 승차단말기 하차 기능을 넣지 않았다.] [[DGB대구은행]] 지점에서 [[교통카드]] 잔액을 이전할 때 [[대경교통카드]]에서 [[탑패스]]나 [[원패스]]로 잔액 이전은 안 되며, 같은 종류의 카드 간에 잔액 이전이 가능하다. 잔액이전 수수료는 없다. 따라서 카드가 손상되었는데 카드의 종류가 서로 달라서 잔액 이전이 안 되면, 얄짤없이 환불 수수료 200원이다.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를 이용하면 노선과 정류장을 제대로 알려준다.[* 다만 100% 그렇지는 않다. [[카카오뱅크]]가 이런 경우인데,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 이용내역 조회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경우 [[카카오뱅크]] 앱에서 승하차 정류장만 표시하고 승하차한 노선이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원패스]]를 이용하면 정류장 명칭만 알려주고 노선은 알려주지 않는다. 호환 중인 타 지역 교통카드를 이용했을 때 환승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2~3일 있다가 DGB유페이 콜센터에 전화하여 환불을 요청하면 된다. 찍고 나서 2~3일 있다가 사용 내역이 DGB유페이로 올라오기 때문이다. 과지불 및 환승오류 신고를 하면 버스회사에 조회하는 과정을 거치는 관계로, 신고접수 후 6~7일 있다가 환불해 준다. 통장에 찍히는 환불 내역은 쿨하게 "환승"으로 나온다. 물론 단말기 통신 오류로 호환 교통카드 이용시 하차가 아예 안 찍힌 건 당연히 단말기에 기록이 없기 때문에, 이 경우는 백날 연락해 봤자 환불받을 수 없다. [[분류:DGB금융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