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 550''' [목차] == 소개 == [[프랑스]] [[국방부]] 산하의 각종 무장 연구와 생산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1933년]]에 생클루(Saint-Cloud)에 설립된 군비연구조달청(Direction des Études et Fabrications d'Armement : DEFA)은 처음에는 [[소총]] 같은 개인화기나 소화기탄을 연구 개발했으나 점차 [[야포]]와 [[전차]] 같은 육상 무기체계 전반의 개발 작업을 추진해나갔다. 이 기관은 이처럼 초기에는 [[육군]] 무기체계에 관련된 사업을 진행해나갔지만 곧 [[공군]]의 항공 무장 쪽으로도 연구를 시작했고, 그중에서 가장 먼저 손을 댄 것이 [[전투기]]나 [[공격기]] 같은 군용기에 탑재된 항공 [[기관포]]였다. 그 첫 번째 형식이 1940년대 말에 시제품이 제작된 '''DEFA 551'''이었다. 이것은 [[미국]]의 [[20mm]] 기관포인 [[폰티악]] [[M39]]나 [[영국]]의 [[ADEN]] [[30mm]] 기관포와 마찬가지로 [[제2차 세계 대전|2차 대전]] 말에 [[독일]]에서 개발되었지만 실전에서는 쓰이지 못했던 [[마우저]] MG 213의 구조에서 힌트를 얻어 만들어진 [[리볼버 기관포]]였다. 이 모델은 개량을 거쳐 [[1954년]]부터는 '''DEFA 552'''로 생산되기 시작했고, [[1968년]]에는 후속 개량형인 '''DEFA 553'''으로 발전을 거듭하여 [[1971년]]부터 '''DEFA 554'''로 생산되어 프랑스제 전투기와 공격기의 주력 고정무장으로 오랫동안 이용되었다. 프랑스에서 자체 개발된 군용기가 국제 무기시장에서 호평 받으며 판매에 호조를 보인 덕분에 DEFA 기관포는 자연히 40개국 이상에서 전투기의 기총으로 널리 쓰였다. 프랑스 국내에서 생산된 포만 해도 13,500문 이상에 달한다. == 사용 탄종의 통합 == DEFA 포는 그 무렵 만들어진 리볼버 기관포와 비교하면 특별히 뛰어난 면이 있다거나 큰 차이는 없었다. 오히려 무게는 영국의 ADEN 보다 더 무거웠고 연사속도는 미국의 M39에 비교하면 약간 뒤졌다. 하지만 동급의 항공 기관포들이 매우 다양한 탄종을 만들어 임무에 따라 골라가면서 장탄하고 출격했던 것과는 달리 DEFA는 오직 2가지 탄종으로 통합시켰다.[* 물론 장전 훈련을 위한 더미탄 같은 특수 탄종은 제외하고 실전용 탄종에 관해 그렇다는 이야기다. ] * 고폭소이 예광탄(Obus Mine Explosif Incendiaire / O.M.E.I) * 고폭소이 철갑탄(Obus Semi-Perforant Explosif Incendiaire / O.S.P.E.I) == 각 형식 == * DEFA 552 (550-F2A/F2B) : 1954년에 실용화되어 [[다쏘]] [[미라주 III]], [[미라주 G]] 등에 장비되었다. * DEFA 553 (550-F3) : 다쏘 [[미라주 F1]]에 장비된 개량형. * DEFA 554 (550-F4) : 다쏘 [[미라주 2000]]에 장비된 시리즈의 최후기 형식. DEFA 554는 기존 형식이 약실에 2발을 장전했으나 3발을 동시에 장전하는 급탄기구가 포함되어 그 연사속도가 더 빨라졌다. 또한 공대지 사격모드도 추가되어 이 경우는 분당 1,200발로 연사속도가 제한되고 사격 시간도 0.5초에서 1초의 점사 모드가 있다. == 제원 == 전체 길이 : 2,073 mm 포신 길이 : 1,660 mm 중량 : 85 kg 사용탄종 : 30x113mmB DEFA 작동방식 : 가스압 반동 연사속도 : 분당 1,800발 포구초속 : 810 m/sec. [[분류:기관포]][[분류:항공 병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