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DANCERUSH STARDOM)] [목차] == 개요 == * ?는 현재 공개 되지 않은 레벨, X는 해당 난이도의 채보 없음. * 6차 로케테스트까지는 아티스트명 표기 칸이 존재하지 않았다.[* 7차부터 제목 밑에 표기되도록 바뀌었다.[[https://twitter.com/kazunanda9/status/936441246851088384|7차 (12월 1일)]] [[https://twitter.com/KawabeOTL/status/939303383952850944|8차 (12월 9일)]]] 코나미 오리지널 곡의 경우 가동 초기에는 オリジナル이라는 아티스트명으로 표시되었지만 이후 업데이트로 BEMANI Sound Team 명의로 바뀌었다. 전체적으로는 셔플 댄스를 의식한건지, BEMANI 오리지널 사운드(일부 이식곡 제외)들도 당대 클럽 EDM이나 하드스타일 씬의 트렌드를 따라가는 곡이 많다. 따라서 수록곡의 주된 경향은 [[일렉트로 하우스]]를 비롯한 각종 메인스트림 [[베이스 뮤직]]계열에 기반하고 있다. 하드코어 일변도로 편중되는 동시기의 [[beatmania IIDX]]나 [[사운드 볼텍스]]와 대비된다.[* 이 때문에 타 기종간 곡 차이가 워낙 커서 [[DanceDanceRevolution]]이나 [[BEMANI 시리즈/이벤트|전 기종 연동 이벤트]]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악곡 교환 이벤트가 열려본적이 없다. 댄러가 비마니 기종중 유일하게 [[폴브]]와 [[플인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도 이것 때문. 또한 [[반메시]] 역시 여기에 (현재까지) 하나도 수록되지 않았다. ~~할래야 할 수는 있겠지만..~~] 일부 수록곡들 중 이식곡들은 타 비마니 시리즈처럼 원곡 그대로 이식되기도 하지만, [[노스텔지어 시리즈]]의 NOSTALGIA Style, [[기타도라 시리즈]]의 GITADOROCK Ver.처럼 댄스러시에서는 기존의 비마니 시리즈의 악곡들을 STARDOM Remix라는 수식어를 추가함과 동시에 댄스러쉬 분위기에 걸맞게 EDM으로 어레인지, 리믹스되어 수록된 악곡도 존재한다. 또한, 비마니 작곡가 공식 앨범에서만 수록된 악곡도 존재한다. 전체 카테고리 목록 맨 상단에는 본 게임의 튜토리얼로 취급되는 플레이 방법 카테고리가 있으며, [* e-amusement pass 유무와 관계없이 첫 플레이 시 플레이 방법 폴더로 고정된다.] 매 크레딧 플레이마다 단 한번만 플레이 방법 카테고리 선택할 수 있으며, 한 번 선택한 후에는 다음 크레딧까지 플레이 방법을 선곡할 수 없다. 플레이 방법 진행을 마치게 되면 결과 화면을 보여주지도 않고, 스테이지 카운트를 소비하지도 않는다. 이야깃거리로 댄스러쉬의 플레이 방법의 총 콤보수는 45로, 이는 [[DDR A]]의 [[Lesson by DJ]]의 총 노트 수(44 + 프리즈애로우 1)와 일치한다. 수록곡들은 대체로 BPM 110 ~ 160의 악곡들이 대거 포진되어 있으며, 간혹 170 ~ 200을 넘나드는 곡들도 약간이나마 존재한다. 난이도는 1부터 10까지 10단계로 나뉘어져 있고, 플레이 방법과 레슨과 같이 일부를 제외한 모든 악곡들은 간단(かんたん) / 보통(ふつう) 이렇게 2개의 난이도로 구성되어 있다. === [[DANCERUSH STARDOM/레슨|레슨]] === ||<-5> 레슨목록 || ||<:> 곡명 ||<:> 아티스트 ||<:> {{{#69cce3 간단}}} || 비고 || 클리어 후에 권장하는 곡 || || DANCERUSH遊び方1[br]댄스러시 하는 방법 1 ||オリジナル ||<:> 1 ||<:> 1회 플레이 이후 플레이 불가[* 스테이지 카운트가 되지 않으며, 결과에 관계없이 스타를 받을 수 없다.]|| || || ダウン&スライドレッスン[br]다운&슬라이드 레슨 ||オリジナル ||<:> 3 || || [[LADY(챤미나)|LADY]] || || ランニングマンレッスン[br]런닝맨 레슨 ||オリジナル ||<:> 2 || || [[PERFECT HUMAN]] || || Tステップレッスン[br]T스텝 레슨 ||オリジナル ||<:> 3 || || [[REALLY REALLY|Really Really]][br]-Japanese Version- || || ランニングマンレッスン応用編[br]런닝맨 레슨 응용편 ||オリジナル ||<:> 5 || || [[What Do You Mean?]] || || Tステップレッスン応用編[br]T스텝 레슨 응용편 ||オリジナル ||<:> 5 || || [[Saturday Night Love]] [br]- Phunk Disco Mix - || || ランニングマン&Tステップレッスン複合編[br]런닝맨&T스텝 복합편 ||オリジナル ||<:> 6 || || [[Small Steps]] || || ランニングマン&Tステップレッスン複合編2[br]런닝맨&T스텝 복합편 2 ||オリジナル ||<:> 6 || || [[Small Steps]] || || ランニングマンレッスン炎の特訓編[br]런닝맨 레슨 불꽃의 특훈편 ||オリジナル ||<:> 8 || || [[NewAige]] || || Tステップレッスン炎の特訓編[br]T스텝 레슨 불꽃의 특훈편 ||オリジナル ||<:> 8 || || [[Robot Loves Smoked-Salmon]] || || スポンジボブレッスン [br]스폰지밥 레슨 ||オリジナル ||<:> 4 || || [[Robot Loves Smoked-Salmon]] || || チャールストンレッスン[br]찰스턴 레슨 ||オリジナル ||<:> 4 || || [[Midnight Amaretto]] || || 스텝 바리에이션1 ||オリジナル ||<:> 6 || || [[The First Step]] || || 스텝 바리에이션2 ||オリジナル ||<:> 6 || || [[JOK3R]] || || 크랩스텝 레슨 ||オリジナル ||<:> 4 || || [[Auto Click]] || || 리버스(역) 런닝맨 레슨 ||オリジナル ||<:> 5 || || [[Wicked]] || || 리버스(역) T스텝 레슨 ||オリジナル ||<:> 5 || || [[Midnight Amaretto]] || || 스텝 바리에이션3 ||オリジナル ||<:> 6 || || [[SHINOBI]] || >'''WELCOME TO DANCERUSH!'''[* 플레이 방법, 레슨 선택 후, 플레이 시작 시 나레이션이 외치는 첫마디.] 사용되는 악곡은 댄스러시 하는 방법 1(플레이 방법)에서만 [[Wicked]]를 사용하고, 나머지 모든 레슨에서는 [[Small Steps]]를 사용한다. 레슨답게 기초적인 자세를 설명해주지만, 가이드 음성은 일본어, 영어만 존재하며 한국어로 플레이 하게 될 경우, 영어 음성이 지원된다. 또한, 발음을 이해 할만한 자막마저 없기 때문에 다소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 판권 곡 === 댄스러시가 해외에서 수입했던 곡. 댄스러시가 해외시장을 노렸다는 것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삭제(예정)곡은 회색 칸이고, 한국판 전용곡은 빨강색, 파랑색 칸이고, 일본판 전용곡은 빨강색 원이 있는 칸이다. ==== POPS 장르 ==== ||<-4> '''{{{#black,#e5e5e5 POPS 장르 리스트}}}''' || ||<:>'''곡명'''||<:>'''아티스트'''|| 간단 || 보통 || || [[BANG BANG BANG]][*R4 2021년 7월 28일까지 플레이 가능] [br]-Japanese Version- || [[BIGBANG]] || 3 || 6 || || [[BOOMBAYAH]] [br]-Japanese Version- || [[BLACKPINK]] || 3 || 6 || || [[REALLY REALLY]][*R1 2021년 3월 15일까지 플레이 가능] [br]-Japanese Version- || [[WINNER]] || 2 || 4 || || [[Break Free]] ft.Zedd[*R1] || [[Ariana Grande]] || 3 || 6 || || [[LADY(챤미나)|LADY]] || [[ちゃんみな]] || 1 || 6 || || [[MEGA SHAKE IT !]][*R1] || [[キュウソネコカミ]] || 4 || 8 || || [[PERFECT HUMAN]][*R1] || RADIO FISH || 3 || 7 || || Revolution[*R1] || BRADIO || 3 || 7 || || SKY's the limit[*R1] || ぼくのりりっくのぼうよみ || 2 || 4 || || Summer Venus[*R1] || KEYTALK || 3 || 6 || || Without you[*R1] || 夜の本気ダンス || 2 || 5 || || [[オンリーワンダー]][*R1] || [[フレデリック]] || 4 || 7 || || 君と野獣[*R1] || バンドハラスメント || 1 || 5 || ||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R1] || [[欅坂46]] || 1 || 4 || || [[制服のマネキン]][*R1] || [[乃木坂46]] || 2 || 3 || || [[シュガーソングとビターステップ]] || [[UNISON SQUARE GARDEN]] || 3 || 7 || || [[ハッピーシンセサイザ]] || EasyPop || 4 || 6 || || [[What Do You Mean?]][*R1] || [[저스틴 비버|Justin Bieber]] || 2 || 4 || || [[女々しくて]] || [[ゴールデンボンバー]] || 3 || 5 || || [[POP TEAM EPIC]][*R4] || [[우에사카 스미레|上坂すみれ]] || 4 || 6 || || [[U.S.A.(DA PUMP)|U.S.A.]] || [[DA PUMP]] || 3 || 7 || || [[trigger]][*R5 2022년 1월 17일 까지 플레이 가능] || [[lol-エルオーエル-]] || 3 || 6 || || [[紅蓮華]] || ([[LiSA(1987)|LiSA]]) || 2 || 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cd313a 50%, #0047a0 50%)" [[BAAM|{{{#fff BAAM}}}]]}}} || [[모모랜드]] || 4 || 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cd313a 50%, #0047a0 50%)" [[HIP|{{{#fff HIP}}}]]}}} || [[마마무]] || 6 || 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cd313a 50%, #0047a0 50%)" [[LIGHT US#s-2.3|{{{#fff Valkyrie}}}]]}}} || [[원어스]] || 5 || 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cd313a 50%, #0047a0 50%)" [[뿜뿜|{{{#fff BBoom BBoom}}}]]}}} || [[모모랜드]] || 4 || 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cd313a 50%, #0047a0 50%)" [[RAISE US#s-2.2|{{{#fff Twilight}}}]]}}} || [[원어스]] || 4 || 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cd313a 50%, #0047a0 50%)" [[CHASE(더보이즈)#s-2.2|{{{#fff The Stealer}}}]]}}} || [[더보이즈]] || 4 || 7 || || [[怪物]] || [[YOASOBI]] || || || || [[うっせぇわ]] || [[Ado(가수)|Ado]]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BC002D 60%, #fff 60%)" [[Make you happy|{{{#FFFFFF Make you happy}}}]]}}} || [[NiziU]] || || || || [[群青]] || ([[YOASOBI]]) || || || || [[EZ DO DANCE]] || (TRF) || || || || [[Pretender]] || ([[Official髭男dism]]) || || || 다른 리듬게임처럼 POPS 계열, 대중적인 악곡도 존재한다. 이것을 통해서 댄스러시가 해외시장에 신경을 썼다는 점을 알 수가 있다. 원산지답게 J-POP이 많지만, 보컬로이드도 있고, 애니곡도 있다. 한국 노래도 3개나 수록되어 있으며[* 가사는 일본어로 나온다.], 한국 뿐만 아닌 해외 노래도 수록됨과 동시에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MV도 동시에 재생된다. 라이센스라는 명목 때문에 모든 악곡들이 스타를 요구하지 않아 해금 없이도 언제든지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또한, 대체로 입문자들을 위한 낮은 레벨의 악곡들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례적인 사례로 2인용 채보가 1인용 채보와 다르게 구성된 곡들도 존재하며, PREMIUM 모드로 촬영이 불가능한 악곡들이 다소 존재한다. 2019년 1월 29일, trigger 추가 이후로 오랫동안 업데이트 되지 않고 있다가 거의 2년 만에 신곡이 추가되었다. 2021년 6월 28일 한국 한정으로 K-POP 신곡 3곡이 추가되었다. 이전에 추가된 BANG BANG BANG, 붐바야, REALLY REALLY와 다르게, 이번 3곡은 모두 한국어 보컬. 한국 한정 K-POP 신곡 3곡이 반응이 좋았는지 [[BEMANI MASTER KOREA 2021]] 개최와 함께 한국 한정 K-POP 3곡이 추가되었다. 다만, 수록 이후 며칠 후에 버그로 인해 선곡이 불가능한 현상이 있었다. 현재는 해결된 상태이다. 2021년 9월 21일, 오랜만에 일본 서버에서 라이센스 곡 3곡이 추가되었다. 단, [[Make you happy]]는 일본에서만 플레이 가능하다. ==== EDM 장르 ==== ||<-4><:>'''{{{#black,#e5e5e5 EDM 장르 리스트}}}'''|| ||<:>'''곡명'''||<:>'''아티스트'''|| 간단 || 보통 || || [[The Light]][*R7 2022년 3월 7일까지 플레이 가능] || [[W&W]] ft. [[키즈나 아이|Kizuna AI]] || 2 || 6 || || [[Rip It Off (Now) Rip It Off]] || [[かめりあ]] || 3 || 8 || 정확히는 EDM으로만 분류되는걸 여기로 옮겼다. 실제로 EDM 폴더를 열면 곡이 엄청나게 많이 나오니 오해하지 말 것. ==== [[Spinnin' Records]] ==== ||<-4><:>[[파일:Spinnin' Records 로고.svg|width=70]][br]'''{{{#black Spinnin' Rcords}}}'''|| ||<:>'''곡명'''||<:>'''아티스트'''|| 간단 || 보통 || || Crackin (Martin Garrix Edit)[*R1] || Bassjackers || 5 || 8 || || Little Drop[*R1] || Dropgun || 4 || 7 || || Drop That Low (When I Dip)[*R3 2021년 6월 21일까지 플레이 가능] || Tujamo || 4 || 8 || || Raveology[*R1] || [[DVBBS]] & [[VINAI]] || 4 || 8 || || Dat Disco Swindle[*R1] || Firebeatz & Schella || 4 || 8 || || Hoohah[*R1] || Fox Stevenson & Curbi || 5 || 7 || || Spacecats[*R1] || Ummet Ozcan || 6 || 9 || || Keep On Rising[*R1] || Fedde Le Grand vs Ian Carey || 4 || 7 || || Graveyard[*R1] || Kura || 4 || 7 || || Raise Your Hands[*R1] || Ummet Ozcan || 4 || 9 || || Let's Go[*R2 2021년 5월 10일까지 플레이 가능] || [[Lucas & Steve]] x Mike Williams x Curbi || 4 || 7 || || LIT[*R2] || VINAI & Olly James || 4 || 8 || || On The Floor Like[* [[https://www.youtube.com/watch?v=0jISGYEDfNs|BGA(뮤직비디오)]]에 UMF 서울투어 실황 장면이 나와있다.][*R3] || Bassjackers & Joe Ghost ft.MOTI || 5 || 9 || || Sweets (Soda Pop)[*R2] || Fox Stevenson || 5 || 7 || || Missing You[*R8 2022년 5월 2일까지 플레이 가능] || Mesto || 4 || 7 || || Higher[*R9 2022년 6월 6일까지 플레이 가능] || Ummet Ozcan x [[Lucas & Steve]] || 2 || 7 || || Drop It[*R10 2022년 6월 27일까지 플레이 가능] || Swanky Tunes || 3 || 7 || || Louder[*R3] || MOTI || 4 || 7 || || 41 Days || Merk & Kremont || 5 || 8 || || One Word || Deadly Zoo || 2 || 7 || 해당 악곡들의 세부 정보는 [[DANCERUSH STARDOM/수록곡/Spinnin' Records]]를 참조. 댄스러쉬와는 별개로 실제로 존재하는 레이블이며, 공통적으로 마크는 원판에 거꾸로 기울어진 S자가 그려져 있다. 레벨 분포가 다양하고, 일부 수록곡들은 MV도 수록되어 있다. 또한 일부 악곡들은 스타를 소비하여 해금을 통해 즐길 수 있는 악곡도 존재하는데, 스타 요구량은 20 ~ 60개로 오리지널 악곡들의 요구량에 비하면 가격이 저렴하다. 할인 미션은 대부분 플레이 횟수, 특정 악곡 해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부담없이 빠르게 해금할 수 있다. 현재는 라이선스 계약 만료로 모든 Spinnin' Records 악곡들이 삭제 된 상태다. ==== FARM Records ==== ||<-4><:>[[파일:Farm_Records.jpg|width=70]][br]'''{{{#black FARM Records}}}'''|| ||<:>'''곡명'''||<:>'''아티스트'''|| 간단 || 보통 || || VISIONARY[*R1] || LOTTY || 3 || 7 || || Where's The Party At[*R1] || Mosh 'N' Smash || 4 || 10 || || Field of Dreams[*R2] || Jon Cole || 4 || 7 || || Handz Up[*R2] || FЯEED || 5 || 9 || || BLOW UP[*R4] || R3DS || 4 || 9 || || Fly Away[*R1] || Joi Stone || 4 || 8 || || Playa[*R8] || Slayz || 2 || 6 || || Carnival[*R11 2022년 9월 26일까지 플레이 가능] || Higher5 || 3 || 8 || || Crank It Up[*R11] || Higher5 || 3 || 7 || || EMPIRE || AEONS || 3 || 6 || || HIT IT! || Higher5 || 4 || 7 || 해당 악곡들의 세부 정보는 [[DANCERUSH STARDOM/수록곡/Farm Records]]를 참조. Spinnin' Records와 마찬가지로 판권곡이지만, 별개의 카테고리가 없어 해당 레이블의 악곡을 찾는데 시간이 크게 소비된다.[* 주요 활동지는 일본.] 공통적으로 앨범 자켓 상단에 곡명과 아티스트명이 적혀 있으며, 하단에는 Farm이라는 글자가 적혀진 둥그런 로고가 그려져 있다. Spinnin' Records와 마찬가지로 스타를 소비하여 해금을 통해 즐길 수 있는 악곡도 존재한다. 특이하게도 Handz up은 은폐곡이며, Field of Dreams를 간단 / 보통 어떤 난이도라도 클리어하면 은폐가 풀리게 된다. 역시 Spinnin' Records와 마찬가지로 일부 악곡들의 스타 요구량이 40 ~ 80개 정도로 저렴한 축에 속한다. === BEMANI 레이블 === [[Robot Loves Smoked-Salmon]]을 시작으로 댄스러시 오리지널 수록곡들 중 일부 이미지 자켓을 보면 특정 아이콘이 그려져 있다. 이것은 댄스러시 내에서 존재하는 가상의 음악 레이블이며, 현재까지 확인된 레이블은 DIVING GHOST, FIVE PIECE RECORDS, CLASS, TROP, SUPER THUNDER 이렇게 5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악곡마다의 레이블 선정 기준은 일부 유저들이 그에 관해 다양한 추측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TROP을 제외하면 공식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다. 또한, 레이블이 없는 악곡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BEMANI 오리지널 악곡이 아닌, 일부를 제외한 판권곡 전부 - (POPS, Spinnin' Records, Farm Records,The Light,Rip It Off (Now) Rip It Off 등)[* [[BUTTERFLY(SMiLE.dk)#DANCERUSH|Butterfly]] 역시 판권곡이지만, 작곡가인 kors k에 의해 리믹스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오리지널 곡으로 취급된다. DUB I DUB 역시 판권곡이지만, 업데이트로 등장하였기에 레이블이 붙어있다.] * [[Robot Loves Smoked-Salmon]] 등장 이전, 초기 가동시 수록된 악곡 전부 - (Oppress, Don't Stop !! 등) * 원곡 그대로 이식된 타 비마니 시리즈에 수록된 악곡 - (sigsig, smooooch・∀・등) * 타 비마니 시리즈 출신곡 중 STARDOM Remix를 제외한 리믹스곡 (EGOISM 110, 이치카 2019 투표 이벤트곡중 Afterimage d'automne 랑 BLACK JACKAL를 제외한 곡들)[* 다만 DUB-I-DUB은 스타덤 리믹스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레이블이 붙어있다.] * 대회 선출자를 기념하는 악곡 - (DANCERUSH STARDOM ANTHEM, The First Step, Sunrise (feat. LEO & Viola)) * 타 비마니 시리즈 기종 연동 이벤트로 이식된 악곡 - (50주년 메모리얼 송, 이치카 2019 투표 이벤트[* 댄스러시 엔트리 곡이었던 BLACK JACKAL은 레이블이 붙어 있으며, 댄스러시 오리지널 악곡으로 취급된다.], DRS X DDR SUMMER DANCE CAMP) * 그 외의 경우 - [[Impress]], [[MY NAME IS]][* 다만 이 곡은 모띠 전용 레이블로 추정되는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아래의 목록은 각각의 레이블과 수록곡 모두 등장 시기 순서대로 정렬하여 서술한다. ==== DIVING GHOST ==== ||<-4><:>[[파일:drs_divingghost.png|width=70]][br]'''{{{#white DIVING GHOST}}}'''|| ||<:>'''곡명'''||<:>'''아티스트'''|| 간단 || 보통 || || [[Robot Loves Smoked-Salmon]] || {{{-2 BEMANI Sound Team}}}[br]"The Foie-Gras of The Sea" || 3 || 5 || || [[NewAige]] || {{{-2 BEMANI Sound Team}}}[br]"[[HuΣeR]]" || 5 || 7 || || [[Kill The Beat]] || [[lapix]] || 6 || 8 || || [[Majestic]] || [[Dirty Androids]] || 4 || 8 || || [[Midnight Amaretto]] || [[かめりあ]] || 7 || 9 || || [[GHOST KINGDOM]] || {{{-2 BEMANI Sound Team}}}[br]"[[극단레코드|劇団レコード]]" || 4 || 8 || || [[Shuffle cats]] || {{{-2 BEMANI Sound Team}}}[br]"[[猫叉Master]]" || 4 || 7 || || [[Thank You Merry Christmas|Thank You Merry Christmas [br]-DANCERUSH Mix-]] || [[VENUS]] || 4 || 6 || || [[Love Me]] || Kenichi Chiba || 3 || 7 || || [[Nighthiker]] || nana(Sevencolors)[br] feat.mana || 4 || 7 || || [[Fire Spirit]] || MK || 6 || 9 || || [[Night & Day]] || TANUKI || 3 || 8 || || [[Honey Bounce]] || [[nora2r]] || 5 || 8 || || [[BENJAMIN]] || [[MARON]]([[IOSYS(동인 서클)|IOSYS]]) || 6 || 9 || || [[Roughneck Disco]] || Itchy&Scratchy || 7 || 9 || || [[Broadway Walk]] || Dirty Androids || 6 || 8 || || [[Don't Speak]] || PRIDASK || 6 || 8 || || [[Touch Me]] || [[C-Show]] || 6 || 8 || || [[Cyber Devotion]] || ARM(IOSYS) || 6 || 8 || || [[A Legend Is Born]] || [[RoughSketch]] || 6 || 9 || || [[BONE BORN]] || MARON(IOSYS) || 7 || 9 || || [[neu]][br](STARDOM Remix) || [[wac|少年ラジオ]] arranged by[br]BEMANI Sound Team "[[PON]]" || 6 || 9 || || [[Waiting for you(BEMANI 시리즈)|Waiting for you]] || Soda sphere || 4 || 8 || || [[Sleepwell]]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s-2.13|DJ WILDPARTY]] feat. yosumi || ? || ? || 상대적으로 저레벨 곡 위주의 곡이 포진되어있다. [[音楽]]의 이식으로 레이블 중에서는 마지막으로 10레벨 곡이 추가되었다. ==== FIVE PIECE RECORDS ==== ||<-4><:>{{{#!wiki style="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파일:drs_fivepiece.png|width=70]][br]'''{{{#white FIVE PIECE RECORDS}}}''' }}}|| ||<:>'''곡명'''||<:>'''아티스트'''|| 간단 || 보통 || || [[FLOWER(BEMANI 시리즈)/BEMANI 시리즈 수록#s-14|FLOWER]] [br] (STARDOM Remix) || {{{-2 BEMANI Sound Team}}}[br]"[[DJ TOTTO]]" || 9 || 10 || || [[THE SAFARI]] [br] (STARDOM Remix) || {{{-2 BEMANI Sound Team}}}[br]"[[SYUNN]]" || 7 || 10 || || [[Catch Our Fire!]] [br](STARDOM Remix) || [[kors k]] || 4 || 10 || || [[Love 2 Shuffle]] || {{{-2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 F.]]" feat. Starbitz || 7 || 10 || || [[DUB I DUB]][*R6 2022년 1월 6일까지 플레이 가능] || [[kors k]] feat.Starbitz || 6 || 10 || || [[BEYOND THE EARTH]] [br](STARDOM Remix) || {{{-2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 F.]]" || 7 || 10 || || [[Luminous Pajama]] || {{{-2 BEMANI Sound Team}}}[br]"[[SYUNN]]" || 6 || 9 || || [[Set Me Free]] || {{{-2 [[kors k]] vs BEMANI Sound Team}}} "[[L.E.D.]]" || 7 || 10 || || [[True Blue]] [br](STARDOM Remix) || [[かめりあ]] || 5 || 9 || || [[Undercover(비마니 시리즈)|Undercover]] || [[Hommarju]] || 4 || 9 || || [[ランカーキラーガール]] [br] (STARDOM Remix) || 中島由貴 x いちか || 7 || 10 || || [[new heaven]] || kiraku || 7 || 10 || || [[glacia]] (STARDOM Remix) || lapix || 7 || 10 || || [[MUTSUKI]] || KO3 || 6 || 10 || || [[Midland Mainline]] || Genick || 7 || 10 || || [[Red Hot Chili Samba!]] || [[ARM(IOSYS)|ARM]](IOSYS) || 8 || 10 || || [[Villains]] || [[RoughSketch]] || 6 || 9 || || [[Act Now!]] || [[MK]] || 5 || 10 || || [[Crazy For You]] || DÉ DÉ MOUSE || 6 || 10 || || [[PRANK]] || {{{-2 BEMANI Sound Team}}}[br]"[[SYUNN]]" || 5 || 9 || || [[Don't Rush but Dance Rush]] ||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 F.]]" || 7 || 10 || || [[世界の果てに約束の凱歌を]] [br] (STARDOM Remix) || BEMANI Sound Team[br]"[[wac|JY]][[SYUNN|UNN]]" || 7 || 10 || || [[Vamos A Bailar]] || [[Yooh]] || 5 || 10 || || [[My Time]] || [[RiraN]] || 7 || 9 || || [[Ch4nge M4 Life]] || [[LADY'S ONLY]] || 6 || 9 || || [[I Like To BOUNCE]] ||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 Fujimori Final Season]]" || 6 || 10 || || Let Me See Your Dance || [[kors k]] vs BEMANI Sound Team "[[SYUNN]]" || 7 || 10 || || Synaptic || 2ToneDisco || 5 || 9 || || Official Bootleg || [[Blacklolita]] || 6 || 9 || || Next Stage 2022 || BEMANI Sound Team "[[Sota F.]]" || 6 || 10 || || The GameHacker (Sampled Crazy Shuffle) || BEMANI Sound Team "[[HuΣeR]]" || 5 || 10 || || She Shines Under The Mirror Ball || BEMANI Sound Team "[[Sota F.]]" || 5 || 9 || || Make That Body || [[kors k]] vs [[Yooh]] || 8 || 10 || || Warpstep || DJ Shimamura || 6 || 9 || 보통 난이도 기준 9레벨 이상의 고난이도의 악곡들이 많이 등장하는 레이블. 특히 10레벨의 비중이 다른 레이블에 비해 월등히 높다. 또한, 보스곡 포지션의 곡들이 대부분 이 레이블을 달고 나온다. Midland Mainline 이후 [[Roughneck Disco]]를 제외한 모든 곡들이 EXTRA STAGE 전용 곡들은 무조건 난이도 불문 FIVE PIECE RECORDS로 나오고 있다. ==== CLASS ==== ||<-4><:>[[파일:class.png|width=70]][br]'''{{{#2d2d32 CLASS}}}'''|| ||<:>'''곡명'''||<:>'''아티스트'''|| 간단 || 보통 || || [[Crazy Shuffle]] || [[Yooh]] || 5 || 9 || || [[Deep Vibes]] || Carpainter || 3 || 7 || || [[HighBALL]] || MK || 4 || 7 || || [[Dual Bladez]] || おもしろ三国志 || 5 || 9 || || [[Forgetting Machine]] || [[이노우에 타쿠|TAKU INOUE]] || 4 || 7 || || [[S7AGE]] || [[Zekk]] || 4 || 8 || || [[Party Jumpin']] || KO3 || 5 || 7 || || [[Nightlife]] || Moe Shop || 4 || 8 || || [[Crystarium]] || [[BlackY]] || 5 || 9 || || [[Auto Click]] || KAN TAKAHIKO || 4 || 8 || || [[C'mon baby]] || [[Polyphonix]] || 4 || 8 || || [[Audiovisual]] || Moe Shop || 5 || 7 || || [[Memories(DANCERUSH STARDOM)|Memories]] || CHEAP CREAM || 5 || 7 || || [[RAVELINE ATTACK]] || hara (Hyperjuice) || 4 || 8 || || [[December in Strasbourg]] || nana(Sevencolors) feat.mana || 6 || 8 || || [[Nocturnus]] || KAN TAKAHIKO || 4 || 8 || || [[Like This]] || android52 || 7 || 9 || || [[UCHU]] || Ken Plus Ichiro || 6 || 9 || || [[Bounce To This]] || android52 || 6 || 9 || || [[Shuffle The Cards]] || uno(IOSYS TRAX) || 4 || 7 || || [[HoneyComb]] || Hylen || 4 || 9 || || [[Comin' Back]] || TEMPLIME || 7 || 9 || || オネガイ・ディスコ・ミュージック || [[星野奏子]] Prod by.[[RoughSketch|uno]] || 5 || 9 || || 7 to Smoke || [[lapix]] || 6 || 8 || || Do It! || [[MK(작곡가)|MK]] || 7 ||'''10'''|| || melody H4CKER || Moe Shop || 5 || 9 || || A Vague Idea || BEMANI Sound Team "[[PHQUASE]]" || 6 || 9 || || Without Words || Dominant Space || 5 || 8 || DIVING GHOST와 마찬가지로 저레벨 위주의 곡이 나왔지만, 21년 스파크 페스티벌에서 Do It!이 10레벨로 등장했다. ==== TROP ==== ||<-4><:>[[파일:drs_trop.png|width=70]][br]'''{{{#white TROP}}}'''|| ||<:>'''곡명'''||<:>'''아티스트'''|| 간단 || 보통 || || [[†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 [br](STARDOM Remix) || [[kors k]] || 4 || 8 || || [[Summery]] || KO3 || 3 || 7 || || [[DO YOU WANNA PARTY!!(DJ KEN-BOW MIX)|DO YOU WANNA PARTY!![br](DJ KEN-BOW MIX)]] || HiBiKi || 5 || 7 || || [[Bad Riddim]] || KAN TAKAHIKO || 4 || 7 || || [[As I go]] || Akira Complex & Slyleaf || 5 || 7 || || [[Be My Baby(BEMANI 시리즈)|Be My Baby]] || nagomu tamaki || 4 || 8 || || [[Take Me Higher(BEMANI 시리즈)|take me higher]] || KOTONOHOUSE || 6 || 9 || || [[灼熱Beach Side Bunny]][br](STARDOM Remix) || BEMANI Sound Team [br]"[[SYUNN]]" || 7 || 10 || || [[Twinkle(BEMANI 시리즈)|Twinkle]] || Aiobahn || 5 || 8 || || [[Starlight Kiss]] || [[BlackY]] || 5 || 8 || || [[Stepper]] || PSYQUI || 5 || 8 || || [[Pandora's Box(BEMANI 시리즈)|Pandora's Box]] || MK || 5 || 8 || || [[Dive in Blue]] || [[BlackY]] || 7 || 9 || || [[Penguin Morning]] || [[nora2r]] || 5 || 9 || || [[Polar Night]] || [[Hommarju]] || 5 || 8 || || [[Tropical Love]] || CHEAP CREAM || ? || ? || || [[Sakura Reflection]][br](STARDOM Remix) || かめりあ || ? || ? || || The Second Summer || rira || 5 || 8 || || [[チュッチュ♪マチュピチュ]] || [[ななひら]],Nana Takahashi,猫体質by BEMANI Sound Team "[[극단레코드|劇ダンサーレコード]]" || 3 || 7 || || Ideal Sunset || [[KAN TAKAHIKO]] || 4 || 8 || || Flow || NUU$HI || 7 || 9 || || Crystal Clear || Stessie || 5 || 8 || || Let's Party!! || Relect || 4 || 8 || BEMANI FanSite의 [[https://mobile.twitter.com/BEMANI_FanSite/status/1258638776261173253|공식 설명]]. 경쾌하고 세련된 곡이 많다고 한다. ==== SUPER THUNDER ==== ||<-4><:>[[파일:drs_superthunder.png|width=70]][br]'''{{{#white SUPER THUNDER}}}'''|| ||<:>'''곡명'''||<:>'''아티스트'''|| 간단 || 보통 || || [[Jalebi]] || KAN TAKAHIKO || 5 || 7 || || [[Raw Crawler]] || Masayoshi Iimori || 4 || 9 || || [[Mandrake]] || nagomu tamaki || 4 || 8 || || [[Bad Boy Birdwatch]] || HyperJuice || 5 || 9 || || [[Garuda]] || [[kors k]] || 9 || 10 || || [[Summer's End]] || [[Nhato]] || 5 || 8 || || [[Don't Be Afraid(BEMANI 시리즈)|Don't Be Afraid]] || MK || 5 || 8 || || [[Visnu]] || [[Blacklolita]] || 5 || 7 || || [[Shiva(BEMANI 시리즈)|Shiva]] || Relect || 7 || 10 || || [[Chaos of Drum]] || KO3 || 5 || 8 || || [[Disco Nights]] || Relect || 4 || 9 || || [[Get On The Floor]] || RoughSketch || 4 || 8 || || [[Switch]] || Dubscribe || 4 || 9 || || [[BLACK JACKAL]] || Akira Complex || 5 || 9 || || [[JOK3R]] || Yuta Imai || 4 || 9 || || [[BREDLI]] || BEMANI Sound Team [br] "[[SYUNN]]" || 7 || 9 || || [[Awakening#s-3|Awakening]] || Shouya Namai || 4 || 9 || || [[SHINOBI]] || Relect || 7 || 9 || || [[Heat Up The Dancefloor]] || BEMANI Sound Team [br] "[[Sota F.]]" || 7 || 9 || || [[Shamshir]] || [[Blacklolita]] || 6 || 9 || || [[Meltdown]] || G Blazen || 6 || 9 || || [[about right]] || {{{-2 BEMANI Sound Team}}}[br]"The Foie-Gras of The Sea" || 6 || 8 || || [[DEVILFISHMANのテーマ]] || {{{-2 BEMANI Sound Team}}} [br]"劇団レコード" || 4 || 7 || || [[Synth Presets & Sample Loops]] || {{{-2 BEMANI Sound Team}}}[br]"90s crew cut" || 6 || 9 || === BEMANI 장르 중 레이블이 붙지 않은 곡 === ||<-4><:>'''{{{#black,#e5e5e5 BEMANI 장르 중 레이블이 붙지 않은 곡}}}'''|| ||<:>'''곡명'''||<:>'''아티스트'''|| 간단 || 보통 || || [[BUTTERFLY(SMiLE.dk)#DANCERUSH|Butterfly]] || [[kors k]] feat. Starbitz || 6 || 10 || || [[DAWN OF FALCON]] || [[L.E.D.]]-G || 6 || 9 || || [[Don't Stop!!]] || BEMANI Sound Team [br] "[[Sota F.]]" || 5 || 10 || || [[DOWNER & UPPER]] || BEMANI Sound Team [br] "[[DJ TOTTO]]" || 5 || 9 || || [[Gimme a Big Beat]] || [[kors k]] || 4 || 9 || || [[Oppress]] || BEMANI Sound Team [br] "[[SYUNN]]" || 4 || 8 || || [[Sakura Sunrise]] || [[Ryu☆]] || 3 || 6 || || [[Small Steps]] || [[かめりあ]] || 2 || 8 || || [[Wicked]] || [[Hommarju]] || 5 || 9 || || [[Impress]] || BEMANI Sound Team [br] "[[SYUNN]]" || 7 || 9 || || [[bass 2 bass]] || [[Ryu☆]] || 3 || 8 || || [[Saturday Night Love]][br] -Phunk Disco Mix- || [[Sota F.]] feat. Brenda V. || 5 || 9 || || [[smooooch・∀・]] || [[kors k]] || 6 || 8 || || [[RISING FIRE HAWK]] || [[L.E.D.]]-G || 5 || 9 || || [[Saturday Night Love]] || [[Sota F.]] feat. Brenda V. || 3 || 6 || || [[LUV CAN SAVE U]] || HIDEKI NAGANUMA || 4 || 7 || || [[SigSig]] || [[kors k]] || 5 || 8 || || [[Second Heaven]] [br]-Samba, Samba, SomeBody MIX- || Remixed by [[DJ YOSHITAKA]] || 4 || 9 || || [[Special One]] || [[kors k]] feat.Suzuyo Miyamoto || 4 || 7 || || [[Hastur]] || [[USAO]] || 7 || 10 || || [[Gymnopedie -kors k mix-]] || [[kors k]] || 3 || 7 || || [[50th Memorial Songs -Beginning Story-|50th Memorial Songs [br]-Beginning Story-]] || BEMANI Sound Team || 2 || 7 || || [[50th Memorial Songs -二人の時 ~under the cherry blossoms~-|50th Memorial Songs [br]-二人の時 [br]~ under the cherry blossoms ~ -]] || BEMANI Sound Team || 3 || 9 || || [[50th Memorial Songs -Flagship medley-|50th Memorial Songs[br] -Flagship medley-]] || BEMANI Sound Team || 3 || 7 || || [[50th Memorial Songs -The BEMANI History-|50th Memorial Songs [br]-The BEMANI History-]] || BEMANI Sound Team || 4 || 8 || || [[DANCERUSH STARDOM ANTHEM|DANCERUSH STARDOM [br]ANTHEM]] || [[kors k]] feat.福島蘭世 || 5 || 8 || || [[The First Step]] || [[Yooh]] || 4 || 8 || || [[Flying soda]] || [[猫叉Master]] feat. 林ももこ || 3 || 6 || || [[Electric Dance System Music]] || [[U1-ASAMi|U1 overground]] || 4 || 8 || || [[Drop The Bounce]] || [[Hommarju]] || 6 || 9 || || [[Astrogazer]] || [[DJ TOTTO]] || 5 || 10 || ||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 || [[紅色リトマス]] || 3 || 7 || || [[Wowie Zowie!]] || [[Hommarju]] || 4 || 7 || || [[Afterimage d'automne]] || BEMANI Sound Team[br]"[[猫叉劇団]]" || 5 || 8 || || [[Six String Proof]] [br] (DANCERUSH Style) || BEMANI Sound Team[br]"[[Yvya]] × [[Mutsuhiko Izumi]]" || 4 || 9 || || [[toy boxer]] [br] (DANCERUSH Style) || BEMANI Sound Team[br]"[[S-C-U]] & [[SYUNN]]" || 5 || 7 || || [[Trill auf G]] [br] (DANCERUSH Style) || BEMANI Sound Team[br]"[[dj TAKA]]" || 4 || 8 || || [[voltississimo]] [br] (DANCERUSH Style) || BEMANI Sound Team[br]"[[PHQUASE]]" || 4 || 8 || || [[おーまい!らぶりー!すうぃーてぃ!だーりん!]] [br] (DANCERUSH Style) || BEMANI Sound Team[br]"[[PON]]" feat.[[NU-KO]] || 3 || 8 || || [[最小三倍完全数]] [br] (DANCERUSH Style) || [[DJ TECHNORCH]] [br] with BEMANI Sound Team || 3 || 7 || || [[ミッドナイト☆WAR]] || いちか || 4 || 7 || || [[murmur twins]] || [[토키와 유우|yu_tokiwa]].[[wac|djw]] || 4 || 8 || || [[Poochie]] || [[kors k]] || 6 || 8 || || [[MY NAME IS]] || [[SUDIO MOTTIE]] || 6 || 9 || || [[Din Don Dan]] || [[Ryu☆]] || 4 || 8 || || [[朧(BEMANI 시리즈)|朧]] || [[Ryu☆|HHH]]x[[모리나가 마유미|MM]]x[[Starving Trancer|ST]] || 5 || 7 || || [[アルストロメリア]][br](walk with you remix) || [[TAG]] || 3 || 7 || || [[エコ爺]] || [[Y&Co.]] || 4 || 8 || || [[ATRAX]] || BEMANI Sound Team [br]"[[HuΣeR]]" || 6 || 8 || || [[Butterfly Twist]] || Yooh || 7 || 10 || || [[Our Soul]] || CaZ || 6 || 9 || || [[ラブキラ☆スプラッシュ]] ||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 F.]]" feat.いちか || 5 || 9 || || [[さよならトリップ]] || [[Dormir]] || 5 || 7 || || [[This Beat is.....]] || [[히라타 쇼이치로|Shoiciro Hirata]] || 5 || 8 || || [[ALGORITHM]] || SOUND HOLIC feat.Nana Takahashi || 5 || 9 || || [[EGOISM 440#s.4|EGOISM 110]] || BEMANI Sound Team [br]"[[U1-ASAMi|U1 Ground-Speed]]" || 7 || 10 || || [[Follow Tomorrow]] || [[Ryu☆|HHH]]x[[모리나가 마유미|MM]]x[[Starving Trancer|ST]] || 3 || 6 || || [[Sparkle Smilin']] || BEMANI Sound Team [br] "[[Qrispy Joybox]]" feat.いちか || 5 || 7 || || [[GOLDEN CROSS]] || [[DJ Remo-con]] VS [[dj TAKA]] || 6 || 10 || || [[ERROR CODE]] || [[C-Show]] || 7 || 9 || || [[サヨナラ・ヘヴン]] || [[猫叉Master]] || 6 || 8 || || [[Voyager]] || [[lapix]] || 6 || 9 || || [[RAIN]] || [[dj TAKA]] || 6 || 8 || || [[カゴノトリ]] || [[TOMOSUKE|橙色特別室]] || 4 || 7 || || [[狂水一華]] || BEMANI Sound Team[br]"[[HuΣeR]] Vs. [[SYUNN]]" feat.いちか || 6 || 9 || || [[Jetcoaster Windy]] || BEMANI Sound Team[br]"[[dj TAKA]]" feat.のの || 4 || 8 || || [[X-ray binary]] || BEMANI Sound Team[br]"[[Trance Liquid]]" || 4 || 8 || || [[CONNECT-]] || BEMANI Sound Team[br]"[[Sota Fujimori]]" || 5 || 8 || || [[ここからよろしく大作戦143]] || BEMANI Sound Team[br]"[[あさき]]隊" || 3 || 6 || || [[Too Late Snow]] || movies([[모리나가 마유미|moimoi]]×[[Starving Trancer|Xceon]]×Dai.) || 4 || 6 || || [[HYPERDRIVE]] || Moe Shop || 4 || 8 || || [[ピアノ体操第一]] || ノスタルジア演奏協会♪ || 5 || 9 || || [[Sunrise (feat. LEO & Viola)]] || [[Hommarju]] || ? || ? || || [[CHAPTER II(Ready Go)]] || [[kors k]] feat.福島蘭世 with 呉圭崇 || ? || ? || 2019년 12월 11일에 추가된 [[MY NAME IS]]는 마스코트 모띠의 전용 테마곡으로 상기에 기재된 다섯 레이블 어느 곳에도 속해있지 않아 이 쪽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앨범 자켓 우측 상단을 자세히 보면 모띠 모양의 라벨이 붙어있는데, 이것이 모띠를 위한 신규 레이블인지 아니면 그냥 단순한 라벨인지는 불명. === Otias ENT Produced === SPARK FESTIVAL 2020부터는 [[kors k]]가 프로듀싱을 관여한 곡에 Otias ENT Produced라는 글귀가 추가된다. 작곡가들이 대부분 동인 작곡가([[lapix]], KO3, Relect, MK, Yooh 등)이거나 외부 작곡가(2ToneDisco, [[Zekk]]를 비롯한 타국 작곡가들)라는 것이 특징. 하지만 칠석 디스커버리 라인업(Second Summer, HARD MODE 등)처럼 붙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내부 작곡가나 RoughSketch, 카메리아, Hommarju 등은 따로 프로듀싱할 필요가 없어 마찬가지로 없다. 2021은 최종곡 Let Me See Your Dance를 제외한 모든 곡을 프로듀싱, SPARK FESTIVAL 2022는 Let's Party!!와 Without Words, Make That Body만 프로듀싱했다. == 해금요소 == === 기본적인 해금 시스템 === 스테이지 플레이 후 점수에 따라, LIGHT 모드에서는 스타를 최소 1개 ~ 최대 5개씩 얻을 수 있으며, STANDARD 모드는 추가 보너스로 스타 1개를 더 받을 수 있다. PREMIUM 모드의 경우, 기존 STANDARD 모드 스타 취득량의 6배를 더 받을 수 있어 최소 6개 ~ 최대 30개까지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플레이를 통해 획득된 스타는 선곡 화면 도중에 잠금이 걸려 있는 악곡들을 해금할 수 있게 해주는 화폐로 쓰이게 된다. 이전에 플레이 한 적이 있는 악곡을 다시 플레이해도 결과에 따라 같은 양의 스타가 적립되며, 플레이 도중, 라이프가 전부 소모되어도 FAILED 당시의 점수에 해당하는 취득량에 맞게 스타를 획득할 수 있다. 최대로 소지할 수 있는 스타의 개수는 200개이다. * 은폐곡 : Handz up와 EXTRA STAGE 대상곡, 일부 디스커버 곡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다른 잠금 악곡과 달리 선곡 화면에서 잠금 화면도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처음에는 스타로 구매할 수 없다. 이러한 은폐곡들은 특정 곡을 플레이하거나[* 예를 들면, Handz up의 경우 각각 Field of Dreams를 플레이하면 된다. 2인 동시 플레이를 하게 되면 상대방이 해금한 곡을 클리어해도 조건이 만족되어 은폐가 해제된다.] 특정 조건을 달성하면 은폐가 해제된다. 은폐가 해제된 이후, 다른 잠금 악곡과 마찬가지로 스타를 소비하여 해금하게 되면 어느 스테이지에서든 영구적으로 플레이 할 수 있다. EXTRA STAGE 대상곡의 경우. EXTRA STAGE에 진출해 해당 악곡들을 클리어 하는 조건을 먼저 달성해야만 은폐를 해제되며, 이 역시 마찬가지로 스타를 소비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 해금미션 : 악곡의 잠금 해제에 필요한 스타의 개수는 악곡에 따라 최소 10개 ~ 최대 200개가 소요된다. 일부 악곡들은 게임 중 특정 미션을 수행[* 곡 당 최대 3개까지 배정되어있으며, 미션을 완료한 정도에 따라 스타 기본 소비량에서 10%(1개) / 25%(2개) / 50%(3개)의 할인이 붙게된다.]함으로서 스타 요구치를 낮출 수 있다. * 예를 들면, [[Gimme a Big Beat]]는 60개의 스타를 지불해야 잠금을 해제할 수 있지만, 미션 3개를 전부 달성하게 되면 해금에 필요한 스타가 30개로 줄어든다. * 스타 소지 상한치를 초과하는, 스타 300개의 지불을 요구하는 악곡도 존재한다. 그러나 유저가 모을 수 있는 최대 스타 개수는 200개이기 때문에 할인 미션 3개를 반드시 전부 완료해야만[* 1개 완료 시 270개(10% 할인), 2개 완료 시 225개(25% 할인)]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2020년 8월 8일 기준, [[DANCERUSH STARDOM ANTHEM]]이 스타 300개를 요구하며,[* 한때 FLOWER (STARDOM Remix)도 스타 300개 를 요구했었으나, 업데이트를 통해 EXTRA STAGE에서 퇴출되면서 미션이 삭제되어 스타 100개를 소비하여 해금할 수 있게 되었다.] 모든 할인 미션을 완료하게 되면 스타 150개를 지불하여 구매할 수 있지만, glacia (STARDOM Remix)나 Astrogazer는 할인 미션이 전무함과 동시에 스타 200개를 요구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후자에 언급된 두 악곡들의 가격이 가장 비싸다고 할 수 있다. === 기간 한정 전달 === 일정 기간 내에서 평일(월 ~ 금) 한정 / 주말(금, 토, 일, 공휴일) 한정으로 2인 또는 배틀 플레이에서만 선행 플레이 가능한 곡이 등장한다. 이러한 곡들은 1차 완화에서 평일 / 주말 제한이 사라지며, 2차 완화에서 제약이 완전히 사라져 싱글 플레이에서도 선택할 수 있게 통상 해금된다. 또한, 업데이트를 통해 RANDOM 폴더가 추가되면서 랜덤 선곡을 통해서만 플레이가 가능한 악곡들이 기간 한정으로 등장하기도 하며, 특정 기간에 해당되는 악곡의 할인 미션의 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익곡들은 선행 공개된 지 일주일 뒤, 스타를 소비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정식으로 시스템이 채용되기 전에 추가되었던 [[smooooch・∀・]]와 [[女々しくて]] 두 곡의 경우, 주말 / 평일의 구분 없이 운영이 되었다. || 기간 || [[smooooch・∀・]] || [[女々しくて]] || 조건 || || 2018/04/06~2018/04/08 || ○ || × || 다같이 BATTLE에서 출현 || || 2018/04/27~2018/05/06 || ○ || ○ ||<|3> 2명이서 플레이[br]다같이 BATTLE에서 출현 || || 2018/06/08~2018/06/10 || ○ || ○ || || 2018/06/15~2018/07/12 || ○ || ○ || || 2018/07/13~ || ○ || ○ || 통상 해금 || 이 시스템이 정식으로 채용된 후의 악곡들은 아래와 같다. || 곡명 || 구분 || 선행 플레이 기간 || 1차 완화 || 통상해금 || ||[[Saturday Night Love]] || 주말 || 2018/06/15~2018/07/08 || 2018/07/13~2018/08/12 || 2018/08/13 || ||[[LUV CAN SAVE U]] || 주말 || 2018/07/13~2018/08/05 || 2018/08/17~2018/09/09 || 2018/09/10 || ||[[SigSig]] || 평일 || 2018/07/30~2018/08/24 || 2018/08/27~2018/09/24 || 2018/09/25 || ||[[Special One]] || 주말 || 2018/08/17~2018/09/09 || 2018/09/14~2018/10/08 || 2018/10/09 || ||[[C'mon baby]] || 랜덤선곡 || 2019/04/01~2019/04/07 || - || 2019/04/08 || ||[[Disco Nights]] || 랜덤선곡 || 2019/04/22~2019/04/28 || - || 2019/04/29 || ||Playa || 랜덤선곡 || 2019/05/13~2019/05/19 || - || 2019/05/20 || ||Missing You || 랜덤선곡 || 2019/05/27~2019/06/02 || - || 2019/06/03 || ||Higher || 랜덤선곡 || 2019/06/17~2019/06/23 || - || 2019/06/24 || ||Drop It || 랜덤선곡 || 2019/07/08~2019/07/15 || - || 2019/07/16 || 특정한 날짜에만 플레이 가능한 악곡이나 다같이 BATTLE(2인 플레이 포함) 악곡 전부 상시 해금으로 전환되었으며, 2020년 8월 8일 기준, 위 이벤트는 나오지 않고 있다. === [anchor(EXTRA)]EXTRA STAGE 전용곡 === ||<-3><:>{{{#!wiki style="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ff578, #fff000, #ffd700, #f89b00)" [[파일:DRS_EXTRA.png]][br]'''{{{#black {{{+2 EXTRA STAGE}}}}}}''' }}}|| || 추가 일자 || 곡명 || 아티스트 || ||<|2> 2018/04/27 || [[Impress]][*상시해금 2020.03.11 이후 적용] || BEMANI Sound Team[br]"[[SYUNN]]" || || [[FLOWER(BEMANI 시리즈)/BEMANI 시리즈 수록#s-14|FLOWER]][*상시해금 2020.03.11 이후 적용] (STARDOM Remix) || BEMANI Sound Team[br]"[[DJ TOTTO]]" || || 2018/07/25 || [[RISING FIRE HAWK]][*상시해금2 2020.10.21 이후 적용] || [[L.E.D.|L.E.D.-G]] || || 2018/08/22 || [[Midnight Amaretto]][*상시해금2 2020.10.21 이후 적용] || [[かめりあ]] || || 2018/09/05 || [[THE SAFARI]] (STARDOM Remix)[*상시해금2 2020.10.21 이후 적용] || BEMANI Sound Team[br]"[[SYUNN]]" || || 2019/01/09 || [[DUB I DUB]][* 원곡이 [[DanceDanceRevolution 2ndMIX]]에 커팅 수록된바가 있다. DDR 20주년 기념의 일환으로 수록 추정.][*상시해금2 2020.10.21 이후 적용][* 2022년 1월 6일까지 플레이 가능] || [[kors k]] feat. Starbitz || ||<|3> 2019/01/29 || [[Catch Our Fire!]] (STARDOM Remix)[*상시해금3 2020.03.24 이후 적용] || [[kors k]] || || [[Love 2 Shuffle]][*상시해금3 2020.03.24 이후 적용] ||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F]]" feat.Starbitz || || [[Shiva(BEMANI 시리즈)|Shiva]][*상시해금3 2020.03.24 이후 적용] || Relect || || 2019/04/25 || [[DANCERUSH STARDOM ANTHEM]][*상시해금3 2020.03.24 이후 적용] || [[kors k]] feat.福島蘭世 || || 2019/05/01 || [[Take Me Higher(BEMANI 시리즈)|take me higher]][*상시해금4 2022.10.05 이후 적용] || [[KOTONOHOUSE]] || || 2019/06/26 || [[BEYOND THE EARTH]][br](STARDOM Remix)[*상시해금4 2022.10.05 이후 적용] ||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F]]" || || 2019/07/24 || [[灼熱Beach Side Bunny]][br](STARDOM Remix)[*상시해금4 2022.10.05 이후 적용] || BEMANI Sound Team[br]"[[SYUNN]]" || || 2019/09/26 || [[JOK3R]][*상시해금4 2022.10.05 이후 적용] || [[Yuta Imai]] || || 2019/10/30 || [[Undercover(비마니 시리즈)|Undercover]][*상시해금4 2022.10.05 이후 적용] || [[Hommarju]] || || 2019/12/11 || [[MY NAME IS]] [*상시해금5 2023.04.05 이후 적용] || [[STUDIO MOTTIE]] || || 2020/01/29 || [[Midland Mainline]] [*상시해금5 2023.04.05 이후 적용] || Genick || ||<|2> 2020/02/13 || [[ランカーキラーガール]] (STARDOM Remix) [*상시해금5 2023.04.05 이후 적용] || 中島由貴 x いちか || || [[new heaven]] [*상시해금5 2023.04.05 이후 적용] || kiraku || || 2020/03/11 || [[Roughneck Disco]] [*상시해금5 2023.04.05 이후 적용] || Itchy&Scratchy || || 2020/07/01 || [[Villains]] || [[RoughSketch]] || || 2020/09/15 || [[PRANK]] || BEMANI Sound Team[br]"[[SYUNN]]" || || 2020/12/23 || [[Don't Rush but Dance Rush]] ||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 F.]]" || || 2021/02/15 || [[My Time]] || [[RiraN]] || || 2021/04/07 || [[Ch4nge M4 Life]] || LADY'S ONLY || || 2021/09/29 || [[Synaptic]] || 2ToneDisco || || 2022/01/19 || [[Official Bootleg]] || [[Blacklolita]] || ||<|2> 2022/03/02 || [[世界の果てに約束の凱歌を]] (STARDOM Remix) || BEMANI Sound Team[br]"JYUNN" || || [[Vamos A Bailar]] || [[Yooh]] || || 2022/05/19 || [[She Shines Under The Mirror Ball]] ||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 F.]]" || || 2022/09/14 || [[Warpstep]] || DJ Shimamura || 맨 처음 일반적인 플레이에선 선곡할 수 없으며, EXTRA STAGE에 진출해야만 선곡할 수 있는 악곡들이다. EXTRA STAGE 대상곡들은 EXTRA STAGE만의 특수한 조건이 걸린 상태로 악곡을 클리어하는 조건을 통해서만 비로소 해당 악곡들을 스타를 소비하여 해금할 수 있게 된다. EXTRA STAGE의 특수 조건은 일반적인 라이프 게이지와 다르게 EXTRA LIFE GAUGE로 하트가 10개 주어지게 되는데 DOWN, JUMP 노트를 제외한 모든 노트에서 BAD 판정이 날 시 그 횟수에 걸맞게 하트가 1개씩 차감된다. 또한, 하트는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TAP, SLIDE 노트에서 BAD 판정이 10개 이상이 되면 해당 스테이지가 강제로 중단된다. 간단 / 보통 두 난이도 중 어느 것을 클리어 하더라도 해금 가능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통 난이도로 클리어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면 간단 난이도로 도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대상곡 클리어에 성공하게 되면 그 다음 플레이의 선곡 화면에서 해당 악곡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EXTRA STAGE 대상곡들은 전부 스타 200개를 요구하며, 특이하게도 DANCERUSH STARDOM ANTHEM만 스타 300개를 요구한다. EXTRA STAGE 대상곡들은 할인 미션을 전부 완료하면 스타 100개의 가격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지만, DANCERUSH STARDOM ANTHEM은 할인 미션을 반드시 전부 완료해야만 스타 150개의 가격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악곡의 할인 미션은 The 8th KAC 예선곡이었던 Catch Our Fire (STARDOM Remix), Love 2 Shuffle, Shiva 이 세 악곡들을 EXTRA STAGE에서 난이도에 상관없이 플레이하기만 해도 할인 미션이 만족된다.] 할인 미션은 일부 악곡들을 제외하고 대부분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등장한다. * A는 명시된 특정 악곡을 5 BAD 이하로 클리어한다.[* 특정 회차 KAC 대상곡들은 이전 KAC 대상곡을 5 BAD 이하로 클리어한다.] * B는 EXTRA STAGE를 5번 플레이한다. * C는 임의의 곡을 플레이해서, 스코어를 합계 1400점 이상 누적한다.[* KAC 대상곡들은 2000점 이상 누적한다.] 첫 번째로 개최되었던 SPARK FESTIVAL의 마지막 악곡이었던 [[Garuda]]는 게이지 진행 중에서는 EXTRA STAGE 폴더에서만 선곡할 수 있지만, 게이지를 전부 채우게 되면 EXTRA STAGE 폴더에서 사라지고 다른 악곡들과 마찬가지로 스타를 소비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변환된다. 현재는 해당 기능 없이 바로 스타를 소비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 [anchor(DISCOVER)]디스커버 미션 === ||<-4><:>{{{#!wiki style="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80471c, #532915, #432616, #2e1503)" [[파일:Discover_drs.png|width=100]][br]'''{{{#white {{{+2 디스커버 미션}}}}}}''' }}}|| || 차수 || 추가 일자 || 곡명 || 아티스트 || ||<|3> 1차[br][[할로윈]][*상시해금5 2022.03.23 이후 적용] ||<|3> 2018/10/17 || [[GHOST KINGDOM]] || BEMANI Sound Team[br]"[[劇団レコード]]" || || [[Shuffle cats]] || BEMANI Sound Team[br]"[[猫叉Master]]" || || [[S7AGE]] || [[Zekk]] || ||<|3> 2차[br][[겨울]][*상시해금6 2022.04.20 이후 적용] ||<|3> 2018/12/21 || [[Thank You Merry Christmas|Thank You Merry Christmas[br]-DANCERUSH Mix-]] || [[VENUS]] || || [[Be My Baby(BEMANI 시리즈)|Be My Baby]] || nagomu tamaki || || [[Crystarium]] || [[BlackY]] || ||<|3> 3차[br][[밤(시간)|밤]][*상시해금7 2022.10.19 이후 적용] ||<|3> 2019/07/01 || [[Nighthiker]] || nana(Sevencolors) feat.mana || || [[Get On The Floor]] || [[RoughSketch]] || || [[Luminous Pajama]] || BEMANI Sound Team[br]"[[SYUNN]]" || ||<|3> 4차[br][[和]] ||<|3> 2020/01/22 || [[朧(BEMANI 시리즈)|朧]] || HHHxMMxST || || [[SHINOBI]] || Relect || || [[MUTSUKI]] || KO3 || ||<|3> 5차[br][[조명]] ||<|3> 2020/07/21 || [[Nocturnus]] || KAN TAKAHIKO || || [[Broadway Walk]] || Dirty Androids || || [[Heat Up The Dancefloor]] ||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 F.]]" || ||<|3> 6차[br][[할로윈]] ||<|3> 2020/10/27 || [[Cyber Devotion]] || [[ARM(IOSYS)]] || || [[A Legend Is Born]] || [[RoughSketch]] || || [[BONE BORN]] || MARON(IOSYS) || ||<|3> 7차[br][[봄]] ||<|3> 2021/02/08 || [[Polar Night]] || [[Hommarju]] || || [[HoneyComb]] || Hylen || || [[Waiting for you(BEMANI 시리즈)|Waiting for you]] || Soda Sphere || ||<|4> 8차[br][[칠석]] ||<|2> 2021/06/23 || [[Feelin' Good]] || DJ.DAI || || [[The Second Summer]] || rira || || 2021/06/30 || [[オネガイディスコミュージック]] || [[星野奏子]] Prod. by [[RoughSketch|uno]] || || 2021/07/07 || [[HARD MODE]] || NATSUMI || ||<|2> 9차[br]사운드 트랙[* 댄스러시 OST vol.1 발매 기념] ||<|2> 2021/11/17 || [[Garuda]] (Hommarju Remix) || Hommarju || || [[Forgetting Machine]] (RoughSketch Remix) || RoughSketch || ||<|4> 10차[br]연말연시 ||<|2> 2021/12/22 || [[DANCE ALL NIGHT]] || [[Sota Fujimori]] || || [[Insomniac Nights]] || Relect || || 2021/12/29 || [[Bloody Bounce]] || Alicemetix || || 2022/01/05 || [[Next Stage 2022]] || BEMANI Sound Team[br]"[[후지모리 소타|Sota F.]]" || ||<|5> 11차[br][[DANCE aROUND]] ||<|5> 2022/04/27 || [[Midnight Starlight]] || [[kors k]] feat.Such || || [[You You You]] || D.Watt ft. 紡音れい || || [[Hello World]] || [[MK]] || || [[Starlight Parade]] || [[ARM(IOSYS)|ARM (IOSYS)]] ft. Renko || || [[Prettiful!]] || [[BlackY]] || ||<|3> DANCE aROUND[br]× DANCERUSH STARDOM[br]DANCE태그 제1탄[* 기간한정 이벤트인 댄스 어라운드와 달리 댄스러시 측은 이벤트가 상설 디스커버 미션 형식으로 진행되어 여기에 기재.] ||<|3> 2022/07/13 || [[Sunshine let me find a way]] || コバヤシユウヤ (IOSYS) ft. You-Re: || || [[Easy Peasy]] || BEMANI Sound Team[br]"[[SYUNN]]" || || [[Go Down]] || KO3 || ||<|3> DANCE aROUND[br]× DANCERUSH STARDOM[br]DANCE태그 제2탄 ||<|3> 2023/03/15 || [[Funky Street]] || BEMANI Sound Team "Sota F." || || [[FIRE VOLCANO]] || SOUND HOLIC feat. Nana Takahashi || || [[Acid,Tribal & Dance]] || Relect || 2018년 10월 17일,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된 컨텐츠. 등장 시기가 먼저인 SPARK FESTIVAL, DANCERUSH STARDOM GYM 이벤트 등과 달리 기간 한정이 아니기 때문에 플레이 중 언제든지 도전할 수 있다. 기본적인 구조는 잠금 악곡의 할인 미션과 동일하게 세 가지 미션이 주어지지만 할인을 받지 않고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잠금 악곡들과는 달리 디스커버 악곡들은 세 가지 미션을 전부 완료하기 전까지 잠금을 해제할 수 없다. 해당 악곡들은 선곡 화면에서 검은색 바탕에 하얀 물음표의 이미지로 나타나며, 악곡마다 결정 버튼을 눌러 해당 악곡의 미션을 확인할 수 있다. 악곡마다 주어진 세 가지 미션을 모두 완료하면 스타를 소비하여 해당 악곡을 구매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되며, 이 역시 악곡마다 구매 시의 할인 미션도 존재한다. 할인 미션은 공통적으로 두 가지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미션을 전부 완료하게 되면 최대 25%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해당되는 악곡을 구매한 다음, 임의의 악곡을 플레이 후에는 추가로 등장하는 디스커버 악곡의 은폐가 풀리게 되며, 새로 등장한 악곡 역시 앞서 서술된 방법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디스커버 미션, 할인 미션 모두 정해진 양식 없이 다양한 조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스커버 악곡들의 일반적인 잠금 해제 가격은 스타 100개를 요구하지만, 마지막에 등장하는 악곡들은 스타 200개를 요구한다.(S7AGE 는 100개로 예외.) 디스커버 미션 수록곡들의 특징이라면 특정한 테마, 기념일 등을 주제로 각각 회차마다 그에 걸맞은 악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 해금 이벤트 === 현재 통상해금 또는 해금 가능 상태로 전환된 이벤트는 ○표시. ==== [anchor(STAMP)]스탬프 캠페인 ==== ||<-5><:>{{{#!wiki style="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f9dff, #e782ff, #c65ff9, #c12dff)" [[파일:DRS+Stamp.png|width=100]][br]'''{{{#white {{{+2 스탬프 캠페인}}}}}}''' }}}|| || 차수 || 곡명 || 아티스트 || 기간 || 비고 || ||<|2> 1차 ||<|2> [[Crazy Shuffle]] ||<|2> [[Yooh]] || 2018/06/08 ~ 2018/07/08 ||<|2> 2019/04/03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18/08/31 ~ 2018/09/17 || ||<|2> 2차 ||<|2> [[Kill The Beat]] ||<|2> [[lapix]] || 2018/07/20 ~ 2018/08/09 ||<|2> 2019/04/10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18/11/19 ~ 2018/12/09 || ||<|2> 3차 ||<|2> [[bass 2 bass]] ||<|2> [[Ryu☆]] || 2018/08/10 ~ 2018/08/30 ||<|2> 2019/05/08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19/02/11 ~ 2019/03/03 || ||<|2> 4차 ||<|2> [[Summer's End]] ||<|2> [[Nhato]] || 2018/09/20 ~ 2018/10/14 ||<|2> 2019/05/15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19/03/04 ~ 2019/03/24 || || 5차 || [[Party Jumpin']] || [[KO3]] || 2018/10/22 ~ 2018/11/18 || 2019/05/29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2> 6차 ||<|2> [[Visnu]] ||<|2> Blacklolita || 2018/12/10 ~ 2019/01/06 ||<|2> 2019/10/24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19/06/10 ~ 2019/06/30 || ||<|2> 7차 ||<|2> [[Love Me]] ||<|2> Kenichi Chiba || 2019/01/07 ~ 2019/02/03 ||<|2> 2019/11/13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19/07/16 ~ 2019/08/04 || ||<|2> 8차 ||<|2> [[Audiovisual]] ||<|2> Moe Shop || 2019/04/15 ~ 2019/05/06 ||<|2> 2020/02/26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19/10/28 ~ 2019/11/17 || ||<|2> 9차 ||<|2> [[Stepper]] ||<|2> PSYQUI || 2019/09/30 ~ 2019/10/22 ||<|2> 2021/02/25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20/08/17 ~ 2020/09/13 || ||<|2> 10차 ||<|2> [[December in Strasbourg]] ||<|2> nana(Sevencolors) feat.mana || 2019/12/16 ~ 2020/01/05 ||<|2> 2021/02/25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20/08/17 ~ 2020/09/13 || ||<|2> 11차 ||<|2> [[Pandora's Box(BEMANI 시리즈)|Pandora's Box]] ||<|2> MK || 2020/06/20 ~ 2020/08/10 ||<|2> 2021/04/14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20/11/04 ~ 2020/11/29 || ||<|2> 12차 ||<|2> [[Bounce To This]] ||<|2> android52 || 2020/09/28 ~ 2020/10/25 ||<|2> 2022/01/12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21/03/29 ~ 2021/04/25 || ||<|2> 13차 ||<|2> [[Too Late Snow]] ||<|2> movies(moimoi×Xceon×Dai.) || 2021/01/18 ~ 2021/04/04 ||<|2> 2022/04/13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21/08/16 ~ 2021/09/12 || ||<|2> 14차 ||<|2> [[Sleepwell]] ||<|2> DJ WILDPARTY feat. yosumi || 2021/05/24 ~ 2021/07/11[* 원래는 6월 27일까지였으나 하단의 SPARK FESTIVAL2020 COME BACK!! 연장과 동시에 스템프 켐페인도 같이 연장되었다.] ||<|2> 2022/09/28 통상해금 가능 [br](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22/03/28 ~ 2022/04/17 || ||<|2> 15차 ||<|2> [[Spin & Slide]] ||<|2> KAN TAKAHIKO || 2021/10/18 ~ 2021/11/14 ||<|2> 2023/03/01 통상해금 가능 (별 150개 / 해금미션 없음) || || 2022/08/22 ~ 2022/09/11 || ||<|2> 16차 ||<|2> [[[E\]]] ||<|2> [[후지모리 소타|dj MAX STEROID]] || 2022/01/24 ~ 2022/02/20 ||<|2> || || 2022/12/26 ~ 2023/01/15 || || 17차 || [[Let's DANCE aROUND!!]] || [[kors k]] feat.Jaejun by NuevoStudio || 2022/05/30 ~ 2022/06/19 || || || 18차 || [[Touch My Body(BEMANI 시리즈)|Touch My Body]] || [[anubasu-anubasu]] || 2022/09/20 ~ 2022/10/10 || || || 19차 || [[Virus Funk]] || [[Nhato]] || 2023/01/23 ~ 2023/02/12 || || 20차 || [[Love You(DANCERUSH STARDOM)|Love You]] || BEMANI Sound Team "KE!JU || 2023/04/10 ~ 2023/04/30 || 기간 중에 매일 1, 3, 4회 플레이 시 스탬프를 1개 얻을 수 있으며,[* 2회째에는 스탬프를 얻지 못한다는 것에 유의.] 1개씩 얻을 때마다 별 5개를 얻는데, 4개째에는 별 10개, 9개째에는 상술한 악곡을 획득할 수 있다. 과거 수록곡들을 일정 기간마다 복각해주고 있으며, 일부 곡은 아예 통상해금이 가능하게끔 하고 있다.[* 현재까지 (복각을 포함해서) 스탬프 이벤트를 2번 진행한 악곡들이 순차적으로 통상해금으로 전환이 되고 있다. 단, 예외적으로 Party Jumpin'은 한 번만 진행했다.] 통상해금이 가능한곡들은 하나같이 별 150개라는 가격을 달고 등장한다. 그런 주제에 할인미션이 없어서 해금하기가 부담스러운 편.[* 이는 이벤트 기간에 시간을 투자해서 곡을 획득하려는 플레이어와 그냥 기다렸다가 통상해금으로 곡을 획득하려는 플레이어와의 차이를 두기 위함이라고 보인다. ~~그래도 할인 미션은 한 개라도 주지~~] 기존에 찍은 스탬프는 복각 시에도 그대로 인계되며, 만약 이벤트 기간을 놓쳤다면 통상해금으로 바뀌기를 기다리거나 다시 스탬프 이벤트가 나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 RANDOM CHALLENGE ==== || 차수 || 곡명 || 아티스트 || 기간 || 비고 || || 1차 || [[Sakura Reflection]] (STARDOM Remix) || [[かめりあ]] || 2021/05/19 ~ 2021/07/11 ||2022/03/30 부터 통상해금 가능|| || 2차 || [[gigadelic]] (STARDOM Remix) || BEMANI Sound Team "[[SYUNN|Dustup]]" || 2021/07/20 ~ 2021/10/10 || 2022/09/07 부터 통상해금 가능 || || 3차 || [[ドーパミン]] (STARDOM Remix) || [[ARM(IOSYS)]] || 2021/12/08 ~ 2022/01/10 || 2023/01/11 부터 통상해금 가능 || || 4차 || [[DEADLOCK(BEMANI 시리즈)|DEADLOCK]] (STARDOM Remix) || [[RoughSketch]] || 2022/05/11 ~ 2022/06/12 || || || 5차 || [[黒髪乱れし修羅となりて|黒髪乱れし修羅となりて]] (STARDOM Remix) || [[Endorfin.]] || 2023/01/04 ~ 2023/02/05 || || ==== SPARK FESTIVAL ○ ==== {{{#!wiki style="max-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arkfestival.jpg|width=100%]]}}}|| }}} RISING DAY와 SUNSET DAY 양일에 개최되는 가상의 EDM 페스티벌 공연에 맞추어 춤을 춘다는 컨셉으로 진행되는 해금 이벤트. 2018년 7월 13일부터 8월 31일까지 개최되었다. 한국 정발일이 9월부터라 사실상 한국에서는 환상의 이벤트였으나 추가로 The 8th KAC 댄스러쉬 부문 종료 후 2019년 2월 15일부터 4월 5일까지 복각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한국에서도 진행가능하게 되었다. 현재는 종료. 게임을 플레이 할 때마다 라이브 일정을 일정량 소화한다는 컨셉으로 진행된다. 라이브 일정을 표시해주는 타임 테이블은 게임이 종료되는 때에 등장하며, 한 곡당 총 6눈금으로 이루어진 게이지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 모드별 게이지 진행도는 다음과 같다. ||<-3> 1플레이당 일정 진행도 || || 플레이 모드 || 기본 진행도 || 복각 진행도 || || 라이트 모드 || 1.0 눈금 || 1.5 눈금 || || 스탠다드 모드 || 1.2 눈금 || 1.8 눈금 || || 프리미엄 모드 || 2.0 눈금 || 3.0 눈금 || 복각판에서는 이벤트 진행 속도가 1.5배 빨라지고 매주마다 곡이 나오는 CHANGE OVER가 없어서 빠르게 전곡을 해금할 수 있다. 단 RISING DAY에서 SUNSET DAY로 넘어올 때 진행이 넘어오지는 않으니 유의할 것.[* 근데 보면 알겠지만 진행도가 저렇다 보니 한국 기준으로는 라이트 모드로 플레이하는 것이 가성비적으로는 더 이득인 구성이다.] 각 일정을 진행하는 동안에 'NOW PLAYING' 폴더가 등장하는데, 해당 폴더에서 해당 일정의 신곡을 맛보기로 스타를 소모하지 않고 플레이할 수 있다. 일정이 모두 소화되면 해당 곡이 잠긴 상태로 변화되어 'TRACK LIST' 폴더로 이동하고, 이곳에서 스타를 사용해 언록할 수 있다. 'TRACK LIST' 폴더로 이동한 악곡들은 언록하지 않은 채로 이벤트 기간이 종료되더라도 스타를 소모해서 악곡을 해금할 수 있지만, 일정 진행중이라 'NOW PLAYING' 폴더에 있거나 아예 일정을 진행하지 않은 악곡들은 이벤트 종료 이후 은폐되어 언록할 수 없게 되므로 주의. 모든 아티스트를 [[kors k]]가 섭외 및 프로듀스한 것이 특징으로, 이들의 대부분 역시 어느 정도 친분이나 관계가 있는[* 일례로 KAN TAKAHIKO의 경우, S2TB 레이블에서 취입한 음반에 곡을 제공해 준 선례도 있다.] kors k와 마찬가지로 한편으로는 [[동인 음악|일본 동인 EDM]]씬의 일익에서 활동하고 있다. ||<-3> [[파일:sparkfestival_logo.png|width=30%]][br]'''{{{#ffffff {{{+2 RISING DAY}}}}}}''' || || {{{#ffffff 일자}}} || {{{#ffffff 곡명}}} || {{{#ffffff 아티스트명}}} || ||<|2> 2018/07/13 || [[†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br](STARDOM Remix) || [[kors k]] || || [[Summery]] || KO3 || ||<|2> 2018/07/20 || [[Deep Vibes]] || Carpainter || || [[HighBALL]] || MK || ||<|2> 2018/07/27 || [[Majestic]] || [[Dirty Androids]] || || [[Dual Bladez]] || おもしろ三国志 || ||<-3> [[파일:sparkfestival_logo.png|width=30%]][br]'''{{{#ffffff {{{+2 SUNSET DAY}}}}}}''' || || {{{#ffffff 일자}}} || {{{#ffffff 곡명}}} || {{{#ffffff 아티스트명}}} || ||<|2> 2018/08/03 || [[DO YOU WANNA PARTY!!(DJ KEN-BOW MIX)|DO YOU WANNA PARTY!![br](DJ KEN-BOW MIX)]] || HiBiKi || || [[Jalebi]] || KAN TAKAHIKO || ||<|2> 2018/08/10 || [[Mandrake]] || nagomu tamaki || || [[Raw Crawler]] || Masayoshi Iimori || ||<|2> 2018/08/17 || [[Bad Boy Birdwatch]] || HyperJuice || || [[Garuda]][* 이 곡을 제외한 모든 SPARK FESTIVAL 수록곡을 해금했을 경우, 전용 연출과 함께 등장한다] || [[kors k]] || 참고로 [[Garuda]]를 제외한 모든 해금곡의 할인미션은 '다음 해금곡을 클리어', '다음 해금곡을 해금'의 2개이다.[* 예를 들면 [[Deep Vibes]]의 미션은 각각 HighBALL 클리어, HighBALL 해금.][* 다만 예외인 곡이 2곡이 있는데, [[Dual Bladez]]와 [[Garuda]]이다. 전자는 해금 미션이 없고, 후자는 3개([[BUTTERFLY(SMiLE.dk)#DANCERUSH|Butterfly]], FLOWER (STARDOM Remix), [[Gimme a Big Beat]]를 95점 이상으로 클리어)가 있다.] 그러므로 [[Garuda]]의 미션을 전부 성공하고 곡을 해금해서 클리어한 뒤에 모든 곡을 등장한 순서의 역으로 해금하면 가장 스타가 적게 든다. 복각까지 진행했으니 스파크 곡 관련 소식은 한참 동안 잠잠할 것으로 보였으나, 그로부터 약 석 달 후에 '''통상해금'''으로 풀린다는 소식이 들어왔다.등장한 순서대로 나눠서 진행하는데, 제 1탄은 스파크 페스티벌의 RISING DAY의 4곡이 7월 18일에 통상해금이 가능해진다.[* 해당 이벤트의 곡이 총 12곡인데 한 번에 4곡씩 하는 걸 보면 3탄까지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7월 31일 자로, RISING 2곡, SUNSET 2곡이 통상해금이 가능해졌다. 그러고나서, 9월2일 자로 나머지 4곡을 풀면서, 전곡이 상시해금으로 풀렸다. 다만 상시해금되는 스타가격은 '''2배로 껑충 뛰어올랐다.'''[* Summery로 예시를 들자면, 원래 할인미션까지 하면 스타 30개 였지만, 상시해금으로 바뀐후에는 할인미션다해야 스타 60개로 바뀌었다.] 단, [[Garuda]]만 원래 가격 그대로 유지한다. 7월 28일 진행된 BEMANI 생방송에서 '스파크 페스티벌 2019'라는 이름으로 이벤트가 리부트되어 진행된다. DGYM 종료 이후 9개월만의 이벤트. ==== [anchor(DGYM)]DANCERUSH STARDOM GYM ○ ==== {{{#!wiki style="max-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ncerushgym.jpg|width=100%]]}}}|| }}} >毎 日 を 新 し く >매일을 새롭게! 9월 20일부터 11월 4일까지 개최하는 이벤트. 그리고 처음으로 한국에서 플레이 가능한 댄스러시 해금 이벤트다. 체육관에서 춤을 트레이닝한다는 컨셉이다. 별명은 디짐. 기본적인 진행방식은 SPARK FESTIVAL과 동일하다. 총 5개의 프로그램을 차례대로 진행하며, 게임을 플레이할 때마다 해당 프로그램의 시계가 진행된다. 각 프로그램 진행 중 'NOW PLAYING' 폴더가 등장하며, 해당 폴더에서 해당 프로그램 신곡을 맛보기로 스타를 소모하지 않고 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그램 시계가 전부 차면 해당 곡이 잠긴 상태로 되며, 'TRACK LIST' 폴더에서 스타를 사용해 해금하여 플레이할 수 있다. ||<-3> 1플레이당 일정 진행도 || || 플레이 모드 || 기본 진행도 || 복각 진행도 || || 라이트 모드 || 10분 || 15분 || || 스탠다드 모드 || 12분 || 18분 || || 프리미엄 모드 || 20분 || 30분 || 프로그램 시계는 총 60분 즉 1시간을 채우면 TRACK LIST에서 별을 지불하고 통상해금할 수 있다. 1회 플레이당 라이트 모드 10분, 스탠다드 모드 12분, 프리미엄 모드 20분의 시간이 흐른 것[* 즉 한 모드만 계속 플레이 한다면 라이트는 6회, 스탠다드는 5회, 프리미엄은 3회의 플레이가 필요하다]으로 판정된다. 스파크 페스티벌의 6칸짜리 시간표를 시계 1바퀴로 스킨만 바꿔놓은 것이다. 디짐이 끝난이후 거의 1년동안 소식이 없다가, 이후 2차 이벤트로 다시 디짐이 부활하게 되었다. 단, 이벤트기간은 10월17일 부터 11월4일 까지라서 전보다 개최기간이 약 3주 정도로 짧지만, 대신 스파크 복각 때와 동일한 50% 보정이 붙는다. 즉, 프리미엄 10판을 하면 이 이벤트를 빨리끝낼수있다. 상시해금으로 풀기전에 이곡들은 할인미션은 '''없다.''' 대신, 곡 하나당 가격이 별 30개로 엄청 싸게 책정되었다. 프리미엄 1판이면 바로 살수있는 가격. 복각후 약 4개월 뒤, 2020.02.19 자로, DGYM 1 이벤트 곡들이 --이제서야-- 전부 상시해금으로 풀리게 되었다. 순서대로 해금할 필요는 없고, 할인미션이 순서대로 되어있다. bad riddim 을 제외한 나머지 곡들의 가격은 80별 이다. 다 할인미션 하면 40별로 구입 가능. 할인미션도 전부 이전곡 클리어/해금/95점 이상 클리어 로 통합되어있어서 해금도 쉽다. ||<-5> '''{{{#ffffff {{{+2 DANCERUSH STARDOM GYM}}}}}}''' || || 일자 || 순서 || 프로그램 제목 || 곡명 || 아티스트 || || 2018/09/20 || STEP 1 || 런닝맨 트레이닝!![br](ランニングマントレーニング!!) || [[Bad Riddim]] || KAN TAKAHIKO || || 2018/09/27 || STEP 2 || 극 런닝맨 트레이닝!![br](極 ランニングマントレーニング!!) || [[Second Heaven]][br]-Samba, Samba, SomeBody MIX- || Remixed by [[DJ YOSHITAKA]] || || 2018/10/04 || STEP 3 || T스텝 트레이닝!![br] (Tステップトレーニング!!) || [[Forgetting Machine]] || [[이노우에 타쿠| TAKU INOUE]] || || 2018/10/11 || STEP 4 || 극 T스텝 트레이닝!![br](極 Tステップトレーニング!!) || [[Hastur]] || [[USAO]] || || 2018/10/18 || STEP 5 || 프리스타일[br](フリースタイル) || [[Don't Be Afraid(BEMANI 시리즈)|Don't Be Afraid]] || MK || ==== SPARK FESTIVAL 2019 ○ ==== {{{#!wiki style="max-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arkfestival2019.jpg|width=100%]]}}}|| }}} 이전 이벤트와 동일하게 RISING DAY부터 시작되어 양일에 개최되는 가상의 EDM 페스티벌 공연에 맞추어 춤을 춘다는 컨셉으로 진행되는 해금 이벤트. 2019년 8월 7일부터 시작되어 9월 23일까지 진행되...었지만, 10월6일까지 연장이 되었다.[* 이벤트 마지막날 라이징 데이만 진행되는 버그로 인해서 마지막 날 해금을 하려는 사람들이 피눈물을 흘렸다. 결국 9월25일부터 10월6일까지 연장을 진행했다. 그리고 버그가 났던 진행도는 다시 복구를 해줬다.] 이후 [[The 9th KAC]] 결승 이후 2020년 2월 3일부터 3월 1일까지 복각 개최된다. 그러다 2020년 7월 29일 에 전곡이 전부 풀린다. 기본적인 진행방식은 이전 스파크 페스티벌과 동일하다. 자세한건 [[DANCERUSH STARDOM/수록곡#s-2.5.2|윗 항목 참조]] 다만, 전 이벤트와 달리 데이당 4곡이다.[* 이로 인해 혹시 9곡 아니냐 혹은 나이트 데이가 마지막에 있는거 아니냐는 말이 있었다. 덩달아 라이징 부분에서도 TANUKI 밑에 휑하니 1칸 크기로 비어있어서, 히든곡을 암시하는것처럼 묘사가 되었다. 그러나 며칠후,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라이징 히든곡은 없고 이벤트는 SUNSET DAY가 끝이라고 못을 박았다.] 라이징 4곡 + 선셋 4곡 + 히든 1곡 까지 포함하여 총 9곡이라, 전 스파크 페스티벌에 비하면 적은숫자. 하지만 전 스파크와 달리 [[Set Me Free|ONE MORE EXTRA STAGE]] 라는 1회성 이벤트가 존재한다. 플레이 모드 별 진행은 다음과 같다. ||<-3> 1플레이당 일정 진행도 || || 플레이 모드 || 기본 진행도 || 복각 진행도 || || 라이트 모드 || 1.0 눈금 || 1.5 눈금 || || 스탠다드 모드 || 1.2 눈금 || 1.8 눈금 || || 프리미엄 모드 || 2.0 눈금 || 3.0 눈금 || ||<-3> [[파일:SPARK2019rising.jpg|width=30%]] || || {{{#ffffff 일자}}} || {{{#ffffff 곡명}}} || {{{#ffffff 아티스트명}}} || ||<|2> 2019/08/07 || [[Memories(DANCERUSH STARDOM)|Memories]] || CHEAP CREAM || || [[Flying soda]] || [[猫叉Master]] feat. 林ももこ || ||<|2> 2019/08/14 || [[Fire Spirit]] || [[MK]] || || [[Night & Day]] || TANUKI || ||<-3> [[파일:SPARK2019sunset.jpg|width=30%]] || || {{{#ffffff 일자}}} || {{{#ffffff 곡명}}} || {{{#ffffff 아티스트명}}} || ||<|2> 2019/08/21 || [[Wowie Zowie!]] || [[Hommarju]] || || [[Twinkle(BEMANI 시리즈)|Twinkle]] || Aiobahn || ||<|3> 2019/08/28 || [[RAVELINE ATTACK]] || hara(Hyperjuice) || || [[Switch]] || DUBSCRIBE || || [[Set Me Free]] || [[kors k]] vs [[L.E.D.]] || ==== DRS X [[Dance Dance Revolution A20|DDR]] SUMMER DANCE CAMP ○ ==== {{{#!wiki style="max-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RS x DDR.jpg|width=100%]]}}}|| }}} 댄스러시 와 [[댄스댄스 레볼루션]] 콜라보로 진행하는 악곡교환 이벤트. 진행기간은 2019/08/08 오전 10시 부터 ~ 2019/09/30 오후 6시 까지 진행한다. 스탬프는 7장 까지 찍을수 있으며 초회 플레이/3개/7개 마다 신곡을 얻을수 있다. 기존의 스탬프 캠페인과 비슷하지만, 한쪽 기종을 플레이 시, 자신의 기종에는 1개, 상대 기종에는 스탬프 2개가 찍힌다.[* 댄스러시를 하면 댄스러시 쪽에 스탬프 하나, DDR쪽에는 스탬프 2개가 찍힌다. 그 반대로,DDR을 실행하면 DDR1개, 댄스러시 쪽에 2개가 박힌다.] 즉 양쪽 기종을 하루에 1회씩 플레이 하면 3일만에 스탬프를 다 찍을수 있는것. Light 든 Standard 든 일단 하기만 하면 스탬프가 찍힌다. 주의사항으로 해금 곡을 얻은 다음, 해당 기종을 최소 1회는 플레이해야 한다. 플레이하지 않을 경우 미 해금 취급이 되어 곡을 얻지 못한다. 해금할 수 있는 곡은 아래와 같다 ||<-3> {{{#ffffff '''DRS X DDR'''}}} || || {{{#ffffff '''해금 방법''' }}} || {{{#ffffff '''곡명''' }}} || {{{#ffffff '''아티스트명''' }}} || || 댄스러시 1회 플레이 || [[Electric Dance System Music]] || [[U1-ASAMi|U1 overground]] || || 댄스러시 스탬프 3장 || [[Drop The Bounce]] || [[Hommarju]] || || 댄스러시 스탬프 7장 || [[Astrogazer]] || [[DJ TOTTO]] || 반면, DDR에서 얻을 수 있는 댄스러시 곡은 [[Small Steps]](DDR 1회 플레이)와 [[DOWNER & UPPER]](DDR 스탬프 3장) 와 [[Crazy Shuffle]](DDR 스탬프 7장) 이다. 2020년 1월 16일 부터 통상적으로 해금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되었다. 스타로 해금하는 방식으로, EDSM을 해금하면 Drop The Bounce의 은폐가 해제되며, Drop The Bounce 해금시 Astrogazer가 등장한다. 그러나 당장 EDSM부터 스타 100개를 요구하고 심지어 최종곡인 Astrogazer는 별 200개로 가장 비싼데, 할인미션은 전혀 없어서 해금하기 꽤 빡세다. ====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 ==== [include(틀: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비마니 시리즈의 전기종 연동 이벤트. 자세한건 문단참조. 노스텔지어를 제외한 이식곡들은 STARDOM Remix와 같은 DANCERUSH Style로 재편곡 되었다.[* 재편곡된 곡들은 원곡에 비해 BPM이 거의 내려갔으며,편곡된 곡의 길이가 짧은축에 속한다. 다만, Afterimage d'automne 는 안내려갔는데 아무래도 3박자 계열이라 댄스러쉬의 취지에 맞게 짜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모양.] 해당 기종이 개인 투표수 400이 넘을 시 [[ミッドナイト☆WAR]]가 해금 LIGHT 모드는 10장, STANDARD 모드는 12장, PREMIUM 모드는 20장이다. 프리미엄 모드가 2코인으로 설정되어있으면, 프리미엄으로 빠르게 작할 수 있지만, 3코인으로 설정된 곳에는 LIGHT모드로 하는 것이 빨리 끝난다. 이벤트에 참가하지 않았더라도 최다득표수를 기록한 [[Trill auf G]] (DANCERUSH Style)는 추후 업데이트로 먼저 풀리다가, 2020.06.25 자로 모든 곡이 통상해금되었다. ==== [anchor(DGYM2)]DANCERUSH STARDOM GYM 2 ○ ==== {{{#!wiki style="max-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GYM2.jpg|width=100%]]}}}|| }}} 2019년 11월 7일에 개최한 DGYM 2번째 시즌 해금 이벤트. 개최기간은 2019년 11월 7일 부터 2019.12.23 까지 개최. 해금방식은 기존 DGYM과 동일하고, 모드에 따라 눈금이 채워지는것도 똑같다. 이후 2020.06.08 ~ 2020.08.02 까지 재복각을 실시한다. 그러다 2020.11.11 자로 모든곡이 상시해금 되었다. 공개된 트레이닝은 다음과 같다. ||<-5> '''{{{#ffffff {{{+2 DANCERUSH STARDOM GYM2}}}}}}''' || || 일자 || 순서 || 프로그램 제목 || 곡명 || 아티스트 || || 2019/11/07 || STEP 1 || 스폰지밥 트레이닝 !![br](スポンジボブト レーニング!!) || [[Poochie]] || [[kors k]] || || 2019/11/13 || STEP 2 || 찰스턴 트레이닝 !![br](チャールストン レーニング!!) || [[Honey Bounce]] || [[nora2r]] || || 2019/11/20 || STEP 3 || 극 스폰지밥&찰스턴 트레이닝 !![br](極 スポンジボブト&チャールストン レーニング!!) || [[BREDLI]] || BEMANI Sound Team [br]"[[SYUNN]]" || || 2019/11/27 || STEP 4 || 복합 런닝맨 트레이닝 !![br](複合 ランニングマント レーニング!!) || [[BENJAMIN]] || MARON([[IOSYS(동인 서클)|IOSYS]]) || || 2019/12/04 || STEP 5 || 프리 스타일 PART 2 !![br](フリースタイル PART 2!!) || [[Awakening#s-3|Awakening]] || Shouya Namai || 저번 DGYM 이 T스텝 런닝맨이 주로 이루는 거였다면, DGYM2 는 스폰지밥과 찰스턴을 다룬다. 사실 1달전에도 스폰지밥 찰스턴 (+ 스텝 바리에이션) 레슨이 추가되어, 이쪽으로도 밀려는 모양. 다만, 저번과 달리 '극 트레이닝' 은 STEP 3에서 통합되어 있다. 대신 '복합 런닝맨' 이 들어갔다. 비주얼 면에서 기존 DGYM에 비해 소소한 변화가 있다. 뒷배경은 기존 DGYM 과 비슷하긴 한데, 사람들의 배치가 좀 달라졌고, 특히 댄스가이드로 나온 Hboy와 EXS도 보인다. ==== [[이치카의 BEMANI 초 가위바위보 대회 2020]]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3px;" {{{#!wiki style="display:inline; border:1px solid #a9cf3b;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15px; background:white; margin:0px auto;" [[이치카의 BEMANI 초 가위바위보 대회 2020|{{{#00bfff 이치카의 {{{#green BEMANI}}} {{{#green 초 가위바위보 대회}}} 2020}}}]]}}}}}}|| || 출신기종 || 곡 명 || 아티스트 명 || || [[유비트 페스토]] || [[ATRAX]] || BEMANI Sound Team "HuΣeR" || ||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 [[Butterfly Twist]] || Yooh || || [[Dance Dance Revolution A20]] || [[Our Soul]] || CaZ || || 전 기종 수록 || [[ラブキラ☆スプラッシュ]] || BEMANI Sound Team "Sota F." feat. いちか || 작년과 비슷하게 전기종 연동 이벤트이기 때문에, 댄스러시도 당연히 참전한다. 다만, 처음 공지가 올라왔을때 댄스러시 혼자만 누락되어 있어서 논란이 생겼지만, 다음날에 바로 추가했다. 해금법은 해당문서 참조. 이치카의 전용곡 이것 역시 별도로 해금해줘야 한다. 댄스러시는 beatmania IIDX에게 [[Take Me Higher(BEMANI 시리즈)|take me higher]]를, 사운드볼텍스에는 [[The First Step]]을 이식시켜준다. 2021년 9월 7일 스타해금으로 전환되었다. ==== 불꽃 댄스 합숙 ~2020 SPRING~ ○ ==== [[파일:drs_2020spring.jpg|align=center]] [[https://p.eagate.573.jp/game/dan/1st/news/entrance.html#20200529-00|공지]] 2020년 6월 1일부터 7월 26일까지 진행되는 해금 이벤트.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제목은 2020 Spring이지만 실제 개최 시기는 여름이 되었다.]] 이번 이벤트는 DGYM이나 SPARK FESTIVAL 와는 달리, 단순히 플레이 하면 되는게 아니라, 특정 미션을 해야한다. GOOD 또는 GREAT 판정 이하 받기 같은 미션은 꽤 빡빡하다고 느껴질 수도. 심지어, 특정곡 해금이 안되있으면 진행도 못한다. 스텝 타입별로 특화된 코스가 준비되어 있으며, 코스를 완주해야만 다른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각 코스에는 목표가 붙어 있어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기존 곡의 신규 채보가 해금된다. 이 신규 채보는 각 스텝에 특화된 형태로 되어 있을 것으로 예고되었고 기존의 채보와 난이도가 다른 경우도 몇 있다. 목표 사항은 숫자키 0번을 누르면 나타난다. 최소 해금비용은 약 2만원 정도[* 정밀히 계산해보면, 각 코스 3번째 미션은 2개다 한번만에 클리어가 가능하다. 최종마무리 전 까지 최소비용을 계산하면 10500원. 최종마무리는 스탠다드로 한다고 가정하에, 2000점 달성때문에 최소 7000원은 넣어야 한다. 즉, 최소비용은 17500원 이다.] 실력에 따라 이것보다 더 많이 들어갈 수도 있다. 깨알팁으로 빨리 밀려고 한다면, 스탠다드 하지말고 라이트로 하는 것을 추천. 목표는 달성되면 바로 체크가 되는데 합숙코스를 넘길 때(1->2 로 넘어갈때)는 바로 안 넘어가고 플레이가 끝난 후에(리절트 화면) 넘어가기 때문. 최종해금곡에 도달했다면 스탠다드로 하자. EXTRA STAGE로 넘어가도 카운트가 된다. 어려운 미션이 있다면(예를 들어 GREAT 판정 30개 이하 받기), 간단 난이도로 하는 것도 방법. 간단, 보통 둘 다 불문하고 클리어만 하면 카운트가 되기때문. 치명적인 버그가 하나 있는데, 플레이 결과창에서 스타트 버튼을 누르고 재빨리[* 0.5초 정도] 0번을 누를시, '''기계가 멈춘다.'''[* 플레이한 곡의 점수는 기록되지만 미션 진행도가 날아간다.] 이 경우에는 관리자 분한테 말해서 재부팅을 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조건 달성표에 오타가 나있는데, [[Mandrake]][[KONMAI|'''h''']] 이런 식으로 곡 제목 뒤에 h가 붙는 오타가 나있다. 얘뿐만 아니라 거의 대부분 곡에 뒤에 h가 다 붙여져있는데, 단순한 오타라기 보다는 텍스트 오류로 보인다. 2021년 2월 3일부터 4월 4일[* 원래는 3월 14일까지였는데 긴급사태의 영향으로 3월 21일에서 재차 연기되었다.]까지 재개최되었다. 2021년 6월 15일에 공지가 올라왔다. 6월 16일 10시부터 상시 해금가능. 할인 미션은 없다. ||<-3> '''{{{#ffffff {{{+2 불꽃 댄스 합숙 ~2020 SPRING~}}}}}}''' || || 순서 || 미션 || 해금요소 || ||<-3> '''{{{#ffffff 런닝맨 합숙 코스}}}''' || ||<|2> 1 || 런닝맨 레슨 응용편을 클리어 ||<|2> [[Forgetting Machine]][br]{{{-2 RUNNING MAN EDITION}}} || || [[What Do You Mean?]]을 클리어 || ||<|2> 2 || 런닝맨 레슨 불꽃 특훈편을 클리어 ||<|2> {{{+2 {{{#gold ★}}}}}}×5 || || [[Gimme a Big Beat]]을 클리어 || ||<|2> 3 || 임의의 곡을 BAD 15 이하로 클리어 ||<|2> {{{+2 {{{#gold ★}}}}}}×10 || || [[Bad Riddim]]을 85점 이상으로 클리어 || ||<|2> 4 || [[Second Heaven]] -Samba,Samba,SomeBody MIX-를 BAD 15 이하로 클리어 ||<|2> [[Midnight Amaretto]][br]{{{-2 RUNNING MAN EDITION}}} || || [[Forgetting Machine]] RUNNING MAN EDITION을 85점 이상으로 클리어 || ||<-3> '''{{{#ffffff T스텝 합숙 코스}}}''' || ||<|2> 1 || T스텝 레슨 응용편을 클리어 ||<|2> [[Bad Riddim]][br]{{{-2 T STEP EDITION}}} || || [[Saturday Night Love]] -Phunk Disco Mix-를 클리어 || ||<|2> 2 || T스텝 레슨 불꽃 특훈편을 클리어 ||<|2> {{{+2 {{{#gold ★}}}}}}×5 || || [[Gymnopedie -kors k mix-]]를 클리어 || ||<|2> 3 || 임의의 곡을 GOOD 20 이하로 클리어 ||<|2> {{{+2 {{{#gold ★}}}}}}×10 || || [[Forgetting Machine]]을 80점 이상으로 클리어 || ||<|2> 4 || [[Hastur]]를 GOOD 20 이하로 클리어 ||<|2> [[DOWNER & UPPER]][br]{{{-2 T STEP EDITION}}} || || [[Bad Riddim]] T STEP EDITION을 85점 이상으로 클리어 || ||<-3> '''{{{#ffffff 스펀지밥 합숙 코스}}}''' || ||<|2> 1 || 스펀지밥 레슨을 클리어 ||<|2> [[†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br](STARDOM Remix)[br]{{{-2 SPONGEBOB EDITION}}} || || [[Robot Loves Smoked-Salmon]]을 클리어 || ||<|2> 2 || POPS 장르의 아무 곡을 클리어 ||<|2> {{{+2 {{{#gold ★}}}}}}×5 || || [[As I go]]를 클리어 || ||<|2> 3 || 임의의 곡을 GREAT 30 이하로 클리어 ||<|2> {{{+2 {{{#gold ★}}}}}}×10 || || [[Mandrake]]를 80점 이상으로 클리어 || ||<|2> 4 || [[Kill The Beat]]를 GREAT 30 이하로 클리어 ||<|2> [[Second Heaven]][br]-Samba,Samba,SomeBody MIX-[br]{{{-2 SPONGEBOB EDITION}}} || || [[†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 (STARDOM Remix)[br]SPONGEBOB EDITION을 85점 이상으로 클리어 || ||<-3> '''{{{#ffffff 최종 마무리}}}''' || ||<|2> 1 || 임의의 곡을 GOOD 20 이하 및 GREAT 20 이하로 3회 클리어 ||<|2> [[Red Hot Chili Samba!]] || || 스코어 합계 2000점 달성 || ==== DRS X [[DanceDanceRevolution A20 PLUS|DDR]] SUMMER DANCE CAMP 2020 ○ ==== {{{#!wiki style="max-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rs ddr 2020.jpg|width=100%]]}}}|| }}} 댄스러시 와 [[댄스댄스 레볼루션]] 콜라보로 진행하는 2번째 이벤트. 형식은 1년전에 개최한 방식과 똑같으니, [[DANCERUSH STARDOM/수록곡#s-2.5.5|윗 항목 참조]]. 진행기간은 2020/07/07 오전 10시 부터 ~ 2020/09/07 오후 5시 까지 진행한다. 이후 2021.01.27 자로 모든곡이 상시해금이 된다. 해금할 수 있는 곡은 아래와 같다 ||<-3> {{{#ffffff '''DRS X DDR 2020'''}}} || || {{{#ffffff '''해금 방법''' }}} || {{{#ffffff '''곡명''' }}} || {{{#ffffff '''아티스트명''' }}} || || 댄스러시 1회 플레이 || [[This Beat is.....]] || [[히라타 쇼이치로|Shoiciro Hirata]] || || 댄스러시 스탬프 3장 || [[ALGORITHM]] || [[SOUND HOLIC]] feat.Nana Takahashi || || 댄스러시 스탬프 7장 || [[EGOISM 440#s.4|EGOISM 110]] || BEMANI Sound Team [br]"[[U1-ASAMi|U1 Ground-Speed]]" || 반면, DDR에서 얻을수 있는 댄스러시 곡은 [[DANCERUSH STARDOM ANTHEM]](DDR 1회 플레이) 와 [[Take Me Higher(BEMANI 시리즈)|take me higher]](DDR 스탬프 3장) 와 [[Midnight Amaretto]](DDR 스탬프 7장) 이다. ====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 ○ ==== 해금법이나 이벤트에 상세한 정보는 해당항목 참조. 이식되는 곡은 다음과 같다. ||<-3>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white 매주! {{{#lightpink 이치카의 {{{#!html 초}}}}}} {{{#87cefa BEMANI}}} 러시}}} {{{#pink 2020}}}]] || || {{{#ffffff '''출신 기종''' }}} || {{{#ffffff '''곡명''' }}} || {{{#ffffff '''아티스트명''' }}} || || 전 기종 수록 || [[Sparkle Smilin']] || BEMANI Sound Team "[[Qrispy Joybox]]"[br] feat. いちか || || [[beatmania IIDX 27 HEROIC VERSE]] || [[GOLDEN CROSS]] || [[DJ Remo-con]] VS [[dj TAKA]] || ||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 [[ERROR CODE]] || [[C-Show]] || || [[팝픈뮤직 peace]] || [[サヨナラ・ヘヴン]] || [[猫叉Master]] || || [[노스텔지어 Op.3]] || [[Voyager]] || [[lapix]] || ||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 || [[RAIN]] || [[dj TAKA]] || || [[GITADORA NEX+AGE]] || [[カゴノトリ]] || [[TOMOSUKE|橙色特別室]] || 반면, 댄스러시에서 다른기종으로 수록되는 곡은 다음과 같다. ||<-3>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white 매주! {{{#lightpink 이치카의 {{{#!html 초}}}}}} {{{#87cefa BEMANI}}} 러시}}} {{{#pink 2020}}}]] || || {{{#ffffff '''이식되는 기종''' }}} || {{{#ffffff '''곡명''' }}} || {{{#ffffff '''아티스트명''' }}} || || [[유비트 페스토]] || [[Crazy Shuffle]] || Yooh || || [[beatmania IIDX 27 HEROIC VERSE]] || [[Forgetting Machine]] || TAKU INOUE || || [[GITADORA NEX+AGE]] || [[Shuffle cats]] || BEMANI Sound Team "猫叉Master" || || [[노스텔지어 Op.3]] || [[GHOST KINGDOM]] || BEMANI Sound Team "劇団レコード" || || [[팝픈뮤직 peace]] || [[Love 2 Shuffle]] || BEMANI Sound Team "Sota.F" || 2021년 9월 29일, 10월 6일, 10월 13일 순차적으로 스타 해금곡으로 전환되었다. ==== SPARK FESTIVAL 2020 ○ ==== {{{#!wiki style="max-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arkfestival2020.jpg|width=100%]]}}}|| }}} 이전 이벤트와 동일하게 RISING DAY부터 시작되어 양일에 개최되는 가상의 EDM 페스티벌 공연에 맞추어 춤을 춘다는 컨셉으로 진행되는 해금 이벤트. 2020년 8월 6일부터 시작되어 9월 22일까지 진행된다. 해금방법은 [[DANCERUSH STARDOM/수록곡#s-2.5.2|윗 항목과 똑같다.]] 라이징 4곡 + 선셋 4곡 + 히든 1곡 으로 총 9곡이다. [[Crazy For You|ONE MORE EXTRA STAGE]]라는 1회성 이벤트도 있다. ||<-4> 1플레이당 일정 진행도 || || 플레이 모드 || 기본 진행도 || 데이 마지막 || ONE MORE EXTRA STAGE 이후[* ONE MORE EXTRA STAGE 클리어 실패 시] || || 라이트 모드 || 1.0 눈금 || 0.75 눈금 || 0.6 눈금 || || 스탠다드 모드 || 1.2 눈금 || 0.9 눈금 || 0.72 눈금 || || 프리미엄 모드 || 2.0 눈금 || 1.5 눈금 || 1.2 눈금 || 구간별로 진행도가 달라지는데, 해금 후 남은 눈금은 진행도의 퍼센테이지만큼 차감되어 받는다. 기본->데이 마지막에서는 75%, 데이 마지막->원모어 엑스트라 이후는 60%로 차감된다. 수록되는 곡은 다음과 같다. ||<-3> [[파일:sparkfes2020rising1.png|width=30%]] || || {{{#000000 일자}}} || {{{#000000 곡명}}} || {{{#000000 아티스트명}}} || ||<|2> 2020/08/06 || [[Like This]] || android52 || || [[Dive in Blue]] || [[BlackY]] || ||<|2> 2020/08/12 || [[Shamshir]] || [[Blacklolita]] || || [[Act Now!]] || [[MK]] || ||<-3> [[파일:sparkfes2020sunset1.png|width=30%]] || || {{{#ffffff 일자}}} || {{{#ffffff 곡명}}} || {{{#ffffff 아티스트명}}} || ||<|2> 2020/08/19 || [[Don't Speak]] || PRIDASK || || [[Touch Me]] || [[C-Show]] || ||<|3> 2020/08/26 || [[Meltdown]] || G Blazen || || [[UCHU]] || Ken Plus Ichiro || || [[Crazy For You]] || DÉ DÉ MOUSE || 작년에 열린 스파크 2019와 다른점은, 데이당 마지막곡은 눈금이 느리게 채워진다. 심지어 얘네들은 가격도 비싸다.[* Act Now! 는 100개, Crazy For You는 160개.] 대신 다른 곡들은 별 20개로 저렴하다. 또한 등장하는 곡들의 앨범 자켓의 우 하단에 Otias ENT Produced라고 새겨져있는데, 일각에서는 [[kors k]]의 본명, 사이토 코스케(Saito Kosuke)의 사이토를 거꾸로 뒤집은 것 아니냐는 추측이 존재했고 트위터를 통해 [[https://twitter.com/S2TB_korsk/status/1301497977941291011?s=19|간접적으로 시인했다.]] 다만 작년과 달리 kors k의 곡은 하나도 수록되지 않고 마무리되었다. 단순 1회성 명의인 줄 알았으나 BEMANI PRO LEAGUE ZERO에 사운드 프로듀스에 Otias ENT 명의를 사용했다. 아마 코나미 관련 일들을 외주로서 일을 할 때는 이 명의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 4월 21일부터 ~~5월 30일~~ ~~6월 27일[* 연장 공지 [[https://twitter.com/DANCERUSH573/status/1395545894758412288|#]]]~~ 7월 11일 23시 59분까지 한번 더 연장되어 복각되었다. 복각하면서 AFTER PARTY가 새로 추가되었다. AFTER PARTY는 Crazy For You까지 해금 후 출현한다. 2021년 9월 1일부터 RISING DAY, SUNSET DAY 곡들이 스타로 해금 가능하다. ==== 불꽃 댄스 합숙 ~2020 AUTUMN~ ○ ==== [[파일:EkFyd16UcAAHl-q.jpg]] 댄스 합숙 2020 SPRING에 이어 2번째로 나온 합숙 이벤트. 기간은 2020.10.14부터 2020.11.15까지. 진행방식은 [[DANCERUSH STARDOM/수록곡#s-2.5.9|윗 항목과 똑같다.]] 2021년 6월 9일 10시부터 2021년 7월 19일 23시 59분까지 복각되었다. [[https://p.eagate.573.jp/game/dan/1st/news/entrance.html#20210607-00]] 합숙 코스는 다음과 같다. ||<-3> '''{{{#ffffff {{{+2 불꽃 댄스 합숙 ~2020 AUTUMN~}}}}}}''' || || 순서 || 미션 || 해금요소 || ||<-3> '''{{{#ffffff 찰스턴 합숙 코스}}}''' || ||<|2> 1 || 찰스턴 레슨을 클리어 ||<|2> [[NewAige]][br]{{{-2 CHARLESTON EDITION}}} || || [[Break Free]] ft.Zedd 클리어 || ||<|2> 2 || 찰스턴 레슨을 클리어 ||<|2> {{{+2 {{{#gold ★}}}}}}×5 || || [[Memories(DANCERUSH STARDOM)|Memories]] 클리어 || ||<|2> 3 || POPS 장르의 악곡을 클리어 ||<|2> {{{+2 {{{#gold ★}}}}}}×10 || || 임의의 악곡을 BAD 15회 이하로 클리어 || ||<|2> 4 || [[Majestic]]을 80점 이상으로 클리어 ||<|2> [[GHOST KINGDOM]][br]{{{-2 CHARLESTON EDITION}}} || || [[NewAige]] CHALSTON MAN EDITION을 85점 이상으로 클리어 || ||<-3> '''{{{#ffffff 크랩 스텝 합숙 코스}}}''' || ||<|2> 1 || 크랩스텝 레슨 클리어 ||<|2> [[Majestic]][br]{{{-2 CRAB STEP EDITION}}} || || [[Rip It Off (Now) Rip It Off]] 클리어 || ||<|2> 2 || [[Auto Click]] 클리어 ||<|2> {{{+2 {{{#gold ★}}}}}}×5 || || [[ミッドナイト☆WAR]] 클리어 || ||<|2> 3 || 임의의 곡을 GOOD 20 이하로 클리어 ||<|2> {{{+2 {{{#gold ★}}}}}}×10 || || [[NewAige]] 80점 이상으로 클리어 || ||<|2> 4 || [[RAVELINE ATTACK]]를 GOOD 20 이하로 클리어 ||<|2> [[Robot Loves Smoked-Salmon]][br]{{{-2 CRAB STEP EDITION}}} || || [[Majestic]] CRAB STEP EDITION을 85점 이상으로 클리어 || ||<-3> '''{{{#ffffff 네오 런닝맨 합숙 코스}}}''' || ||<|2> 1 || 스텝 바리에이션 2 레슨 클리어 ||<|2> [[Don't Stop!!]][br]{{{-2 RUNNING MAN EDITION}}} || || [[Small Steps]]을 클리어 || ||<|2> 2 || 리버스 런닝맨 레슨 클리어 ||<|2> {{{+2 {{{#gold ★}}}}}}×5 || || [[Wicked]] 클리어 || ||<|2> 3 || 임의의 곡을 GREAT 30 이하로 클리어 ||<|2> {{{+2 {{{#gold ★}}}}}}×10 || || [[smooooch・∀・]]를 80점 이상으로 클리어 || ||<|2> 4 || [[Fire Spirit]]를 GREAT 30 이하로 클리어 ||<|2> [[Party Jumpin']][br]{{{-2 RUNNING MAN EDITION}}} || || [[Don't Stop!!]] [br]RUNNING MAN EDITION을 85점 이상으로 클리어 || ||<-3> '''{{{#ffffff 최종 마무리}}}''' || ||<|2> 1 || 임의의 곡을 GOOD 20 이하 및 GREAT 20 이하로 5회 클리어 ||<|2> [[about right]] || || 스코어 합계 2000점 달성 || 2022년 6월 29일이 되어서야 ~~드디어~~ 스타해금으로 풀렸다. ==== BEMANI MusiQ FES ○ ==== 퀴즈 아카데미와 연동되는 이벤트. 댄스러시 부문에서 나온 곡은 일단 [[X-ray binary]]다. 이후 [[CONNECT-]] 가 공개. ==== [anchor(DGYM3)]DANCERUSH STARDOM GYM 3 ○ ==== {{{#!wiki style="max-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GYM3.jpg|width=100%]]}}}|| }}} DGYM 3번째 시즌 해금 이벤트. 개최 기간은 2020.11.18부터 2021.01.11까지 개최. 진행 방식은 DGYM 1~2 때와 똑같다. 공개된 트레이닝은 다음과 같다. ||<-5> '''{{{#ffffff {{{+2 DANCERUSH STARDOM GYM3}}}}}}''' || || 일자 || 순서 || 프로그램 제목 || 곡명 || 아티스트 || || 2020/11/18 || STEP 1 || 크랩스텝 트레이닝 || [[DEVILFISHMANのテーマ]] || BEMANI Sound Team[br]"[[劇団レコード]]" || || 2020/11/25 || STEP 2 || 리버스 런닝맨 트레이닝 || [[Synth Presets & Sample Loops]] || BEMANI Sound Team[br]"90s crew cut" || || 2020/12/02 || STEP 3 || 리버스 T스텝 트레이닝 || [[Shuffle The Cards]] || [[RoughSketch|uno]]([[IOSYS(동인 서클)|IOSYS]] TRAX) || || 2020/12/09 || STEP 4 || 크랭크 트위스트 || [[Penguin Morning]] || [[nora2r]] || || 2020/12/16 || STEP 5 || 프리 스타일 PART 3 || [[neu]][br](STARDOM Remix) || [[wac|少年ラジオ]] arranged by [br]BEMANI Sound Team "[[PON]]" || 이번 DGYM 3에선 크랩스텝/리버스 런닝맨, T스텝을 다룬다. DGYM2와 비슷하게 극 트레이닝은 없다. 여담으로 배경에 모띠가 들어가있다. 복각기간 없이 2021년 10월 25일부터 스타로 해금 가능하다. ==== SPARK FESTIVAL 2020 AFTER PARTY ○ ==== 스파크 페스티벌 2020의 복각과 함께 추가된 해금요소로 ~~뒷풀이~~애프터 파티가 컨셉이다. 2022년 2월 2일부터 스타로 해금할 수 있게 되었다. ||<-3> || || {{{#000000 일자}}} || {{{#000000 곡명}}} || {{{#000000 아티스트명}}} || ||<|2> 2021/04/21 || [[Sunrise (feat. LEO & Viola)]] || [[Hommarju]] || || [[Tropical Love]] || CHEAP CREAM || ||<|3> 2021/04/27 || [[CHAPTER II(Ready Go)]] || [[kors k]] feat.福島蘭世 with [[쿠레 요시타카|呉圭崇]] || || [[Comin' Back]] || [[TEMPLIME]] || || [[I Like To BOUNCE]] || BEMANI Sound Team "[[Sota Fujimori]] Final Season" || ==== [[BEMANI 2021 한여름의 가합전 5번승부]] ○ ==== 이벤트와는 별개로 2022년 7월 6일 [[MOVE! (We Keep It Movin')]]과 [[DUAL STRIKER]]가 추가되었다. 2022년 7월 20일부터 스타로 해금 가능하다. ==== SPARK FESTIVAL 2021 ○ ==== {{{#!wiki style="max-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ARK FESTIVAL 2021.jpg|width=100%]]}}}|| }}} ||<-3> [[파일:sparkfes2020rising1.png|width=30%]] || || {{{#000000 일자}}} || {{{#000000 곡명}}} || {{{#000000 아티스트명}}} || ||<|2> 2021/07/29 || [[7 to Smoke]] || [[lapix]] || || [[NEW SOLUTION]] || KARUT || ||<|2> 2021/08/04 || [[8347]] || [[Zekk]] || || [[Do It!]] || [[MK]] || ||<-3> [[파일:sparkfes2020sunset1.png|width=30%]] || || {{{#ffffff 일자}}} || {{{#ffffff 곡명}}} || {{{#ffffff 아티스트명}}} || ||<|2> 2021/08/10 || [[Orange Lullaby]] || [[Yooh]] || || [[Ideal Sunset]] || KAN TAKAHIKO || ||<|3> 2021/08/18 || [[Flow(DANCERUSH)|Flow]] || NUU$HI || || [[Anxiety]] || YUKIYANAGI || || [[Let Me See Your Dance]] || [[kors k]] vs BEMANI Sound Team "[[SYUNN]]" || ==== [anchor(DGYM4)]DANCERUSH STARDOM GYM 4 ○ ==== [[파일:DGYM4.jpg]] 기간: 2021/11/02 ~ 2021/12/26 2022/06/08 ~ 2022/07/03 재개최 이번에도 플레이 방법은 이전 GYM 시리즈와 완전히 똑같으니 위를 볼 것 ||<-5> '''{{{#ffffff {{{+2 DANCERUSH STARDOM GYM4}}}}}}''' || || 일자 || 순서 || 프로그램 제목 || 곡명 || 아티스트 || || 2021/11/02 || STEP 1 || 런닝맨 트레이닝 || [[Metric]] || [[Hommarju]] || || 2021/11/10 || STEP 2 || 극 런닝맨 트레이닝 || [[Crystal Clear]] || Stessie || || 2021/11/17 || STEP 3 || T스텝 트레이닝 || [[WELCOME TO MY GAME]] || GUCHON || || 2021/11/24 || STEP 4 || 극 T스텝 트레이닝 || [[melody H4CKER]] || Moe Shop || || 2021/12/01 || STEP 5 || 프리스타일 PART 4 || [[Brand New Step]] || [[kradness]] || ==== SPARK FESTIVAL 2021 AFTER PARTY ○ ==== ||<-3> || || {{{#000000 일자}}} || {{{#000000 곡명}}} || {{{#000000 아티스트명}}} || ||<|2> 2022/02/09 || [[Trash]] || Candy House || || [[↑↑↓↓←→←→BA]] || meiyo || ||<|3> 2022/02/16 || [[GRADIUS REMIX(↑↑↓↓←→←→BA Ver.)]] || TOKYO MACHINE || || [[You Take My Soul]] || BEMANI Sound Team "[[SYUNN]]" || || [[The GameHacker (Sampled Crazy Shuffle)]] || BEMANI Sound Team "[[HuΣeR]]" || ==== 불꽃 댄스 합숙 ~2022 SPRING~ ==== [[파일:DANCERUSH2022SPRING.jpg]] ==== SPARK FESTIVAL 2022 ==== {{{#!wiki style="max-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ARK FESTIVAL 2022.jpg|width=100%]]}}}|| }}} ||<-3> [[파일:sparkfes2020rising1.png|width=30%]] || || {{{#000000 일자}}} || {{{#000000 곡명}}} || {{{#000000 아티스트명}}} || ||<|2> 2022/07/28 || [[Golden Palms]] || [[Dirty Androids]] || || [[Let's Party!!]] || [[Relect]] || ||<|2> 2022/08/03 || [[Ignited Night]] || [[HHH]] || || [[Neon Rider]] || [[RoughSketch]] || ||<-3> [[파일:sparkfes2020sunset1.png|width=30%]] || || {{{#ffffff 일자}}} || {{{#ffffff 곡명}}} || {{{#ffffff 아티스트명}}} || ||<|2> 2022/08/10 || [[Catastrophic Dance]] || [[TOMOSUKE|the wandering bard]] feat. [[시카타 아키코|志方あきこ]] || || [[Without Words]] || Dominant Space || ||<|3> 2022/08/17 || [[Oboro Cybernetics]] || Tanchiky || || [[Sweet Bordeaux Nightmare]] || [[かめりあ]] || || [[Make That Body]] || [[kors k]] vs [[Yooh]] || ==== 불꽃 댄스 합숙 ~2022 AUTUMN~ ==== [[파일:DANCERUSH2022AUTUMN.jpg]] ==== [[이치카의 뒤범벅 Mix UP!]] ==== [[파일:이치카의뒤범벅MixDANCERUSH.jpg]] [include(틀:이치카의 뒤범벅 Mix UP!)] ==== [anchor(DGYM5)]DANCERUSH STARDOM GYM 5 ==== [[파일:DGYM5.jpg]] 기간: 2022/11/22 ~ 2023/01/09 플레이 방법은 이전 GYM 시리즈와 똑같다. ||<-5> '''{{{#ffffff {{{+2 DANCERUSH STARDOM GYM5}}}}}}''' || || 일자 || 순서 || 프로그램 제목 || 곡명 || 아티스트 || || 2022/11/21 || STEP 1 || 스폰지밥 트레이닝 || [[HANDS UP IN THE AIR]] || U1 || || 2022/11/29 || STEP 2 || 찰스턴 트레이닝 || [[Tropical White]] || 星宮とと+TEMPLIME || || 2022/12/06 || STEP 3 || 극 스폰지밥&찰스턴 트레이닝 || [[Rock The Club]] || Expander || || 2022/12/13 || STEP 4 || 런닝맨 트레이닝 || [[Jumbo Drill]] || Nizikawa || || 2022/12/20 || STEP 5 || 프리스타일 PART 5 || [[音楽#s-2.6|音楽 (STARDOM Remix)]] || [[cosMo@暴走P]] || ==== SPARK FESTIVAL 2022 AFTER PARTY ==== ||<-3> || || {{{#000000 일자}}} || {{{#000000 곡명}}} || {{{#000000 아티스트명}}} || ||<|2> 2023/02/16 || [[Draw the Savage]] || Ryunosuke Kudo || || Linkage || meiyo || ||<|3> 2023/02/22 || [[Come aROUND]] || nora2r meets TRIΔNGLE || || [[Tropical Juice]] || NATSUMI || || [[Lose Control]] || [[Hommarju]] || [[분류:DANCERUSH STARDOM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