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켄드릭 라마 디스코그래피)] ||<-5>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7px 10px;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000,#000,#996633)"{{{#!wiki style="margin:-6px -10px" [[켄드릭 라마|[[파일:Kendrick Lamar Logo2.png|width=1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35%, #996633 45%, #996633 55%, transparent 55%); width: 90%" }}}''' [br] [[틀:켄드릭 라마 디스코그래피|{{{#996633 Kendrick Lamar Chronology}}}]]}}} || ||<#434a21> '''[[untitled unmastered.|{{{#fff {{{-2 2016년 3월 4일.}}}}}}[br]{{{#fff 컴필. ''untitled unmastered.''}}}]]''' || → ||<#6f3741> '''[[DAMN.|{{{#f50a0b {{{-2 ''[math(\rm {2017})]''년 ''[math(\rm {4})]''월 ''[math(\rm {14})]''일}}}[br]''[math(\rm {4})]''집 {{{#f50a0b ''[math(\rm {DAMN.})]''}}}}}}]]''' || → ||<#000> '''[[Black Panther: The Album|{{{#fff {{{-2 2018년 2월 9일}}}[br]OST {{{#fff ''Black Panther: The Album''}}}}}}]]''' || ||<-5><#6f3741> '''{{{#f50a0b ''[math(\rm {DAMN.})]'' 주요 수상 및 성과}}}'''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000><-5><:> {{{#E5D85C ''' 역대 [[퓰리처상|{{{#E5D85C 퓰리처상}}}]] ''' }}} || ||<-5><:> [[파일:PulitzerPrizes.png|width=150]] || ||<#000><-5><:> [[퓰리처상/음악 부문|{{{#E5D85C '''음악 부문'''}}}]] || ||<:> ''' [[2017년]] ''' ||<:> {{{+1 → }}} ||<:> ''' [[2017년]] ''' ||<:> {{{+1 → }}} ||<:> ''' [[2018년]] ''' || ||<:> Angel's Bone || → ||<:> '''DAMN.''' || → ||<:> Prism || |||| ||<-5> || ---- ||||<#fff,#202020><-5> [[파일:external/www.brooklynvegan.com/grammy.jpg|width=50]] {{{+1 {{{#000,#fff '''그래미 베스트 랩 앨범'''}}}}}} || || 2016 |||| 2017 |||| 2018 || || ''[[Coloring Book]]'' [[Chance The Rapper|{{{-2 {{{#8086a0 Chance The Rapper}}}}}}]] || {{{+1 →}}} || ''[[DAMN.]]'' '''[[Kendrick Lamar|{{{-2 {{{#8086a0 Kendrick Lamar}}}}}}]]''' || {{{+1 →}}} || ''[[Invasion of Privacy]]'' [[Cardi B|{{{-2 {{{#8086a0 Cardi B}}}}}}]] || ---- [include(틀:연도별 메타크리틱 최고 평점 음반)] ---- [include(틀:빌보드 선정 올해의 앨범)] ---- [include(틀: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2000~2019))] ---- ||<-5><#fff,#404040> {{{+1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BLACK.png|width=150]]]][br][[빌보드 200|앨범 차트]] {{{#b2a529 '''역대 1위'''}}}}}} || || ''[[Memories... Do Not Open]]'' {{{-2 [[The Chainsmokers|{{{#8086a0 The Chainsmokers}}}]]}}} || {{{+1 →}}} || ''' ''DAMN.''[br]{{{-2 [[켄드릭 라마|{{{#8086a0 Kendrick Lamar}}}]]}}}'''[br]{{{-2 (3주)}}} || {{{+1 →}}} || ''Everybody'' {{{-2 [[로직(래퍼)|{{{#8086a0 Logic}}}]]}}} || || ''[[Everything Now]]'' {{{-2 [[아케이드 파이어|{{{#8086a0 Arcade Fire}}}]]}}} || {{{+1 →}}} || ''' ''DAMN.''[br]{{{-2 [[켄드릭 라마|{{{#8086a0 Kendrick Lamar}}}]]}}}'''[br]{{{-2 (1주)}}} || {{{+1 →}}} || ''[[Rainbow(Kesha)|Rainbow]]'' {{{-2 [[케샤|{{{#8086a0 Kesha}}}]]}}} || ---- [include(틀:피치포크/올해의 앨범)] ---- [include(틀:롤링 스톤/올해의 앨범(2000~2019))]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3)] ---- [include(틀:브루클린비건 선정 2010년대 141대 명반, 순위=40)]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5)] ---- [include(틀:인디펜던트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7)]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48)] ---- [include(틀:Discogs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순위=15)] ---- [include(틀:NME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44)] ----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8)] ---- [include(틀:Popkultur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82)] ---- [include(틀:WHIP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 [include(틀:Analog Planet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35)] ---- [include(틀:머큐리 뉴스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36)]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181)] ---- ||<#fff><:>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파일:피치포크 로고.svg|width=70]]]] ||<#fff,#1F2023>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000,#fff '''피치포크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앨범'''}}}]][br]{{{+5 '''57위'''}}} || ----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7, 순위=38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20,순위=175)]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201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27)] ---- [include(틀:tracklist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7)] ---- [include(틀:Good Morning America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30)] ---- [include(틀:스테레오검 선정, 항목=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11)] ---- }}} || |||| '''{{{+1 ''[math(\rm {DAMN.})]''}}}'''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KLDAMN.jpg|width=100%]]}}}|| ||||<#515151> {{{#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COLLECTORS EDITION 앨범 아트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KLDAMNCE.jpg|width=100%]]}}}}}}}}}}}} || || '''아티스트''' ||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 || || '''발매''' || [[2017년]] [[4월 14일]] || || '''장르''' || [[힙합 음악|힙합]] · [[서부 힙합]] · 컨셔스 힙합 ·[br][[트랩(음악)|트랩]] · [[팝 랩]] · 펄리티컬 힙합 · [br] [[컨템퍼러리 R&B]] || || '''길이''' || 54:54 || || '''트랙''' || 14 || || '''프로듀서''' || 9th Wonder · The Alchemist · [br] BADBADNOTGOOD · Bēkon · Cardo · [br] DJ Dahi · Greg Kurstin · [[제임스 블레이크|James Blake]] · [br] [[마이크 윌 메이드 잇|Mike Will Made It]] · Ricci Riera · [br] Sounwave · [[스티브 레이시|Steve Lacy]] · Terrace · Martin · [br] Teddy Walton · Top Dawg || || '''레이블''' || [[TDE]] [br] [[인터스코프 레코드|Aftermath]] [br] [[Interscope]] || [목차] [clearfix] == 개요 == ||<-5>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7px 10px;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996633,#000,#000,#996633)" {{{#!wiki style="margin:-10px" || [[켄드릭 라마|[[파일:Kendrick Lamar Logo2.png|height=60]]]]||'''[[켄드릭 라마|{{{#996633 {{{+1 켄드릭 라마}}}}}}]]'''[br]{{{#996633 {{{-1 '''역대 스튜디오 음반'''}}}}}} ||}}} || ||<#b4b2b3> '''[[To Pimp A Butterfly|{{{#000 {{{-2 2015년 3월 15일}}}[br]3집 {{{#000 ''To Pimp A Butterfly''}}}}}}]]''' || → ||<#6f3741> '''[[DAMN.|{{{#f50a0b {{{-2 ''[math(\rm {2017})]''년 ''[math(\rm {4})]''월 ''[math(\rm {14})]''일}}}[br]''[math(\rm {4})]''집 {{{#f50a0b ''[math(\rm {DAMN.})]''}}}}}}]]''' || → ||<#4e2813> '''[[Mr. Morale & The Big Steppers|{{{#c8b895 {{{-2 2022년 5월 13일}}}[br]5집 {{{#c8b895 ''Mr. Morale & The Big Steppers''}}}}}}]]''' || [[2017년]] [[4월 14일]]에 발매된 [[켄드릭 라마]]의 네 번째 정규 음반이자 2018년 [[퓰리처 상]] [[퓰리처상/음악 부문|음악 부문]] [[https://www.theatlantic.com/entertainment/archive/2018/04/regina-carter-kendrick-lamar-pulitzer/558509/|수상작]][* 퓰리처 상에 음악 부문이 생긴 것은 1948년이었지만, 클래식이나 재즈 뮤지션을 제외한 나머지 뮤지션 중에서는 첫 퓰리처 상 수상이다.]. 발매전부터 The Heart part.4 등으로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앨범발매를 앞두고 본인의 SNS로 IV라는 의미심장한 멘션을 남겨 한동안 발매예정인 켄드릭의 신보 IV(...), NATION.[* 심지어 NATION.의 경우에는 DAMN. 발매 이후 나올 켄드릭의 후속 앨범 혹은 연작 앨범이 될 것이라던 루머가 있었다. 물론 [[Mr. Morale & The Big Steppers|그런거 없다.]] ] 등의 의미불명의 타이틀이 쏟아지기도 했다. 발매일은 2017년 4월 14일로, 출시일이 며칠 남지 않은 상태에서 앨범 제목이 으로 확정되었다. 이후 무사히 발매. 총 14곡으로 이뤄져 있으며, 특이한 점은 'DAMN.'이라는 앨범의 제목에 걸맞게 (또 K-Dot이라는 본인의 랩 네임답게) 트랙들의 제목이 모두 '대문자+마침표(.)' 형식으로 이뤄져있다. 또한 그 동안 트랩 같은 일렉트로니카적 요소를 사용하지 않던 전작들과는 다르게 이런 요소들을 상당히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물론 켄드릭답게 평범하게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의 요소들에 상당한 변칙이 가해져 있다. 또한 피처링에 참여한 가수로는 [[리아나]], 그룹 [[U2]], Zacari 총 3명으로 이전보다 굉장히 적은 수가 참여했다. 랩 피쳐링이 없다는 점 또한 주목할 점이다. 물론, Rihanna와 U2라는 거물급 가수들이니 실망스럽지 않을 것이다. 또한 Zacari라는 신인 가수가 10번 트랙 'LOVE.'에 피처링 했다는 점도 주목할만 하다. Zacari는 목소리가 매우 좋다는 평이 우세. 메타크리틱 점수는 현재 95점으로 전작과 1점 차이가 나는 점수이다. 2017년 5월 24일 기준 판매량은 약 70만장 이상. 2017년 7월 24일 기준으로 더블 플래티넘(200만)을 돌파했다. == 트랙리스트 == ||||<-3> '''{{{#f50a0b 트랙리스트}}}''' || || '''#''' || '''제목''' ||'''길이''' || || 1 || BLOOD. || 1:58 || || 2 || [[DNA.]] || 3:05 || || 3 || YAH. || 2:40 || || 4 || ELEMENT. || 3:28 || || 5 || FEEL. || 3:34 || || 6 || LOYALTY.[br]{{{-2 (FEAT. [[리아나|RIHANNA.]])}}} || 3:47 || || 7 || PRIDE. || 4:35 || || 8 || [[HUMBLE.]] || 2:57 || || 9 || LUST. || 5:07 || || 10 || LOVE.[br]{{{-2 (FEAT. ZACARI.)}}} || 3:33 || || 11 || XXX.[br]{{{-2 (FEAT. [[U2|U2.]])}}} || 4:14 || || 12 || FEAR. || 7:40 || || 13 || GOD. || 4:08 || || 14 || DUCKWORTH. || 4:08 || === BLOOD. === [include(틀:RIAA 골드)] [include(틀:영상 정렬,url=jvDZEoEdjzo)] [[폭스뉴스]]가 [[To Pimp A Butterfly|전작]]의 수록곡 Alright의 가사 중 일부를 예로 들며 흑인 래퍼들이 노래를 통해 공권력 혐오를 부추긴다고 [[https://youtu.be/U3_hi8eWdbY|악의적으로 보도한 내용]]을 샘플링했다. === [[DNA.]] === ||<#6f3741> '''{{{#f50a0b ''[math(\rm {DNA.})]''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3)]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201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105)] ---- }}} || [include(틀:영상 정렬,url=GfpxPWSH_qg)] [include(틀:영상 정렬,url=NLZRYQMLDW4)] === YAH. === [include(틀:RIAA 골드)] [include(틀:영상 정렬,url=y-GWhui7obA)] === ELEMENT.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include(틀:영상 정렬,url=ZUBGbTV-hvs)] [include(틀:영상 정렬,url=glaG64Ao7sM)] 뮤비를 잘 보면 [[4원소설]]에 나오는 물, 불, 공기, 흙이 나온다. === FEEL. === [include(틀:RIAA 골드)] [include(틀:영상 정렬,url=LfjmxgjNP2g)] === LOYALTY.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2)] [include(틀:영상 정렬,url=J9JFXTENxvo)] [include(틀:영상 정렬,url=Dlh-dzB2U4Y)] [[Bruno Mars]]의 [[24K Magic(싱글)|24K Magic]]을 역재생해 [[샘플링]]했다. 두번째 벌스에서 켄드릭이 켄드릭을 죽이는 장면에서 켄드릭 뒤에 남자가 서있는데 그 남자가 바로 [[로버트 드 니로]]이다. === PRIDE. === [include(틀:RIAA 골드)] [include(틀:영상 정렬,url=BBT2q7hsQRA)] === [[HUMBLE.]] === ||<#6f3741> '''{{{#f50a0b ''[math(\rm {HUMBLE.})]''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404040><-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Shape of You]]'' [[Ed Sheeran|{{{-2 {{{#8086a0 Ed Sheeran}}}}}}]] || {{{+1 →}}} || ''' HUMBLE. ''' '''[[Kendrick Lamar|{{{-2 {{{#8086a0 Kendrick Lamar}}}}}}]]'''[br]{{{-2 (1주)}}} || {{{+1 →}}} || ''[[That's What I Like]]'' [[Bruno Mars|{{{-2 {{{#8086a0 Bruno Mars}}}}}}]]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7)] ---- }}} || [include(틀:영상 정렬,url=cFEB3V5ueH0)] [include(틀:영상 정렬,url=tvTRZJ-4EyI)] 앨범 발매에 앞서 'HUMBLE.'을 뮤직비디오와 함께 공개했다.[* HUMBLE 뮤직비디오에서 재미있는 게 있는데, 온통 흑인들만 나오는 뮤비에 딱 두 장면에서만 '''백인'''이 나온다. 첫번째는 켄드릭 라마가 파마 기계에 앉아있는 장면. 켄드릭 라마 오른쪽 옆에 있는 두 여성이 백인이다.(다만 블랙 라이트 때문에 색이 옅은 흑인으로 헷갈릴 수 있다.) 두 번째는 컨테이너에 앉아있는 흑인들 사이에 금발의 백인 남성이 끝에 앉아서 같이 그루브 타고 있는 모습이 나온다.] 그리고 이 곡은 래퍼 [[빅 션]]을 디스한듯한 가사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켄드릭 라마의 해명으로 아님이 밝혀졌다.] 이후 이곡은 2017년 빌보드 핫 100 4월 22일 주 차트에 첫 주 2위로 데뷔했다. 그리고 5월 6일, 12주간 1위를 한 [[에드 시런]]의 [[Shape of You]]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 LUST. === [include(틀:RIAA 골드)] [include(틀:영상 정렬,url=cA93cs-YReE)] === LOVE.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4)] [include(틀:영상 정렬,url=XjitVg7z4vs)] [include(틀:영상 정렬,url=ox7RsX1Ee34)] [[트래비스 스캇]]이 카메오로 출연한다. === XXX. === [include(틀:RIAA 골드)] [include(틀:영상 정렬,url=jHKnssHObhM)] === FEAR. === [include(틀:RIAA 골드)] [include(틀:영상 정렬,url=nIb2-q3TqUU)] === GOD. === [include(틀:RIAA 골드)] [include(틀:영상 정렬,url=ZdBU440FFOg)] === DUCKWORTH. === [include(틀:RIAA 골드)] [include(틀:영상 정렬,url=VDhPjmPuD9k)] [[켄드릭 라마]]의 아버지 케니 덕워스(더키)와 [[TDE|그의 레이블]] 사장 앤서니 "탑 독" 티피스(앤서니) 사이의 실화를 다루고 있다. ===# 크레딧 #=== ||<-6><#6f3741> '''{{{#f50a0b 트랙리스트}}}''' || || '''#''' || '''제목''' || '''보컬 참여''' || '''프로듀서''' || '''샘플링''' || '''길이''' || || 1 || BLOOD. || {{{-3 Bēkon}}} || {{{-3 Bēkon[br]Top Dawg}}} || {{{-3 [[밥 딜런|Bob Dylan]] - One More Cup of Coffee}}} || 1:58 || || 2 || DNA. || || {{{-3 [[Mike Will Made It]]}}} || {{{-3 [[릭 제임스|Rick James]] - Mary Jane}}} || 3:05 || || 3 || YAH. || {{{-3 Kid Capri}}} || {{{-3 Sounwave[br]DJ Dahi[br]Top Dawg[br]Bēkon}}} ||<|2> || 2:40 || || 4 || ELEMENT. || {{{-3 Kid Capri}}} || {{{-3 Sounwave[br][[제임스 블레이크|Blake]][br]Ricci Riera[br]Tae Beast[br]Bēkon}}} || 3:28 || || 5 || FEEL. || {{{-3 Chelsea Blythe}}} || {{{-3 Sounwave}}} || {{{-3 Fleurie - Don't Let Me Down[br]O.C. Smith - Stormy }}} || 3:34 || || 6 || LOYALTY. || {{{-3 [[리아나|Rihanna]], DJ Dahi}}} || {{{-3 DJ Dahi[br]Sounwave[br]Terrace Martin[br]Top Dawg[br]Kuk Harrell}}} || {{{-3 [[브루노 마스|Bruno Mars]] - 24K Magic}}}[* 인트로 부분의 역재생을 샘플링함.] || 3:47 || || 7 || PRIDE. || {{{-3 Anna Wise[br][[Steve Lacy]][br]Bēkon}}} || {{{-3 [[Steve Lacy]][* 프로듀서인 [[Steve Lacy]]가 아이폰만으로 프로듀싱했다고 한다.][br]Top Dawg[br]Bēkon}}} || {{{-3 Anna Wise - Wasn't There (demo) (Prod. [[Steve Lacy]])}}} || 4:35 || || 8 || HUMBLE. || || {{{-3 [[Mike Will Made It]][br]Pluss}}} || || 2:57 || || 9 || LUST. || {{{-3 RAT BOY[br]KAYTRANADA}}} || {{{-3 DJ Dahi[br]Sounwave[br]BADBADNOTGOOD}}} || {{{-3 RAT BOY - Knock Knock Knock}}} || 5:07 || || 10 || LOVE. || {{{-3 Zacari[br]Kid Capri}}} || {{{-3 Teddy Walton[br]Sounwave[br]Greg Kurstin[br]Top Dawg}}} || || 3:33 || || 11 || XXX. || {{{-3 U2[br]Kid Capri[br]Bēkon}}} || {{{-3 [[Mike Will Made It]][br]DJ Dahi[br]Sounwave[br]Top Dawg[br]Bēkon}}} || {{{-3 Bēkon - America[br]U2 - American Soul[br][[제임스 브라운|James Brown]] - Get Up Offa That Thing}}} || 4:14 || || 12 || FEAR. || {{{-3 Carl Duckworth[br]Ammo[br]Tha Warchild[br]Bēkon }}} || {{{-3 The Alchemist[br]Bēkon}}} || {{{-3 The 24-Carat Black - Poverty's Paradise}}} || 7:40 || || 13 || GOD. || || {{{-3 Ricci Riera[br]Sounwave[br]DJ Dahi[br]Bēkon[br]Cardo[br]Top Dawg[br]Yung Exclusive[br]Mike Hector[br]Teddy Walton}}} || || 4:08 || || 14 || DUCKWORTH. || {{{-3 Kid Capri[br]Bēkon}}} || {{{-3 9th Wonder[br]Bēkon}}} || {{{-3 Ted Taylor - Be Ever Wonderful[br]September - Ostavi Trag[br][[Hiatus Kaiyote]] - Atari}}} || 4:08 || == 성적 및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damn,artist=kendrick-lamar,critic=95,user=8.4)] 평단에서는 거의 만장일치로 호평을 내렸다. 켄드릭 라마의 전작들과 비슷하게 트랙간의 유기성과 뛰어난 샘플링이 극찬을 받았으며, 평론적으로 '''[[멈블 랩]]의 [[플로우#s-3]]와 명가사의 결합''', '''시대에 따르며 본인의 음악색을 지킨 명작'''이라는 평을 받는다. 다만 리스너들 사이에서는 은근 평이 갈리는 앨범인데, 물론 잘 만든 앨범이라는 것은 거의 모든 리스너가 공감하기는 하지만 켄드릭의 앨범 중에서는 제일 뒤떨어지는 앨범이며 평단에서 과도한 하이프를 주었다는 의견 또한 많다. == 기타 == *신기하게도 마지막 트랙부터 역순으로 앨범을 재생시키는 방식으로 들을 수 있다.[* 과거순으로 재생된다고.] 이는 켄드릭이 제작시점부터 의도했다고 한다. 심지어 2017년 12월 8일에는 이 앨범의 트랙리스트를 아예 역순으로 배치시킨 'DAMN. COLLECTORS EDITION'을 따로 발매했다. *큰 차이는 없지만 CD 버젼과 음원 버젼을 비교해보면 곡마다 편곡과 구성이 다르다. *켄드릭에게 있어 가장 의미있는 앨범이라고 한다. [[분류:2017년 음반]][[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분류:켄드릭 라마/음반]][[분류:서부 힙합]][[분류:컨셔스 힙합]][[분류:팝 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