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디지몬 테이머즈]][[분류:디지바이스]] [include(틀:역대 디지몬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디지바이스)]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100px-D-Power_%28Takato%29_t.gif|width=200]] [[디지몬 테이머즈]]의 등장 디지바이스. 이름의 어원은 디지털을 의미하는 Digital과 '''방주'''라는 의미의 ark가 합성어. 한가지 개그가 있다면 이름에서 가운데 줄을 삭제하면 Dark(다크/암흑)가 되버린다. 처음엔 [[디지몬 TCG]]에 사용하던 카드리더기가 변한것으로 나오나 나중엔 앞의 설정이 삭제되면서 디지몬의 [[테이머]]가 되면 '''자동으로''' 생긴다. TCG카드를 슬래시하는 것으로 카드의 능력을 사용가능하며, 디지몬 카드를 슬래시했을 때에는 그 디지몬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거기에 디지몬의 시선을 D-아크를 통해 보는 것도 가능하며 디지몬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동글몬]]의 진화능력과 연계하여 진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완전체의 경우 테이머와 디지몬의 통각이 연결된다.[* 테이머즈 세계관은 진화의 힘의 근원이 [[동글몬]]으로 변해있는 상태인 탓에 작중등장하는 모든 디지몬이 동글몬의 힘없이는 진화가 불가능한 상태다.] 그리고 테이머를 디지몬과 융합시켜 궁극체로 진화할 수 있다. 작중 주인공 [[오유민]]이 [[베르제브몬]]과 싸울때 [[길몬]]을 몰아부쳐 [[메기드라몬]]으로 강제진화 시키면서 자신의 D-아크가 파괴되었는데,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고 [[길몬]]과 화해하고 나서 [[듀크몬]]으로 진화한뒤, 다시 D-아크가 생긴다. 다만 원래색이였던 빨간색이 아니라 황금색이면서 동시에 디지몬 문자로 '''디지몬 테이머즈'''로 적힌 것으로 변경. [[휴프노스]]팀이 아이들을 귀환시켰던 프로그램인 아크의 프로토타입도 D-아크의 모양을 하고있다. 여기에 [[와일드 번치(디지몬 테이머즈)|팀 와일드 번치]]가 개입해 개량한 것이 [[그라니|제로 암즈 그라니]]. [[디지몬 마스터즈]]에서는 캡슐머신으로 나온다. == 부가 기능 == 역대 디지바이스 중 가장 기능이 많다. === [[진화(디지몬 시리즈)|진화]] ===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m1nt6qW0vS1rqpqdho1_500.gif|width=400]] 초진화 플러그인S로 진화하는 일반 진화. 블루 카드로 진화하는 매트릭스 에볼루션. 카드를 통하지 않고 테이머와 디지몬이 합체 진화하는 매트릭스 에볼루션 등이 있다. 일반 진화시 Evolution이라는 단어가, 초진화시에 Matrix Evolution이라는 문장이 나타난다.[* 국내판에서는 각각 디지몬 진화와 디지몬 초진화.] ==== [[진화(디지몬 시리즈)#s-4.9|매트릭스 에볼루션]] ====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nkt4z98Ew51tnk2buo1_r1_400.gif|width=400]] [[파일:external/b9870b3132db708a84cb30864089a5f155fea9fbd15cdb6d092d5eaffdccfc26.jpg]] [[파일:external/stream1.gifsoup.com/digimon-evolution-o.gif|width=500]] '''Matrix Evolutiom/Matrix Digivolution, Biomerge Digivolution''' >'''메트릭스! 에볼루션!!''' (일어판, 한국어 더빙판) >'''Biomerge! Digivolution!!''' (미국어 더빙판) 디 아크의 초진화 기능과 궁극 진화 기능을 칭하는 명칭. 완전체로서의 진화 방식은 테이머에게 소환된 푸른 카드를 슬래시 하는 방식으로 진화를 하며, 궁극체로서의 진화 방식은 디지몬과 테이머의 합체로 작중 진화 묘사를 보면 테이머가 핵이 되어 디지몬과 싱크로해 싸우는 듯 하다. 작중 연출은 디 아크에서 빛이 나오다 어느 순간 사라진 직후 테이머의 몸에서 빛이 나며 디지몬과 겹쳐진다.(이때 테이머들의 옷이 묘사되지 않고 마치 알몸처럼 나와 [[은세나]]의 경우 후방주의...) === 카드 슬래시 === [[파일:external/25.media.tumblr.com/tumblr_lceoe7b7Ug1qavxbbo1_400.jpg|widht=500]] [[파일:external/デジモンリンクス攻略速報.com/7.jpg|width=500]] '''カ-ドスラッシユ/Digimodify''' >'''"카드 슬래쉬! ○○○!!''' (일어판, 한국어 더빙판) >'''Digimodify! ○○○ activate!!!''' (미국어 더빙판) 테이머즈의 메인 소재. [[디지몬 TCG]][[카드]]를 디아크 측면에 슬래쉬하는 것으로 이하의 효과를 낼 수 있다. [* 남의 것을 사용하면 역시 자기 D-아크가 아니여서 그런지, [[황주연]]이 [[레오몬]]을 백업하기 위해 [[오유민]]의 D-아크를 빌려 카드 슬래시를 했을 때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이건 [[레오몬]]이 당시 [[황주연]]의 파트너 디지몬이 아닐때라서 안 됐을 가능성도 있다.] * 디지몬 카드 해당 카드의 디지몬의 능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아이템 카드 초고속 플러그인 D등 플러그인 시리즈와 [[길몬|파트]][[레나몬|너 디]][[테리어몬|지몬]]들이 완전체가 되기전의 기동력을 살리기 위해 사용했던 하얀날개등의 카드가 있다. * 특수 카드 완전체로 초 진화(일/영판 Matrix Evolution)할 때 사용하는 블루 카드와 [[데 리퍼]] 안에 들어갈때 보호하기 위한 레드 카드 등이 있다.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32af6d28.jpg|width=200]] [[파일:external/hobby.dengeki.com/0560.jpg|width=200]] [* 저 대충 그린(...) 블루 카드의 경우 [[강재호(디지몬 테이머즈)|강재호]]가 그려준 카드이다. 당연히 작동 안될 줄 알았지만, 우정의 힘인지 디지놈의 힘인지, 매트릭스 에볼루션에 성공해 [[메가로그라우몬]]으로 진화해 [[인다라몬]]을 쓰러트리는데 성공한다.] === 기타 기능 === * 도감 기능 [[파일:external/wikimon.net/320px-Digimon_analyzer_dt_goburimon_jp.jpg|width=200]] 어드벤쳐에서는 장한솔의 노트북, 02에서는 그냥 화면 설명[* 이것도 사실 장한솔의 노트북 화면을 그대로 썼다.]이 도감의 역할을 했었다. *디지몬의 시각으로 볼 수 있다. 디지몬과 테이머가 멀리 떨어져있을 때 활용 * 치료 황주연이 떡실신된 레오몬을 몇 번 치료했다. * 디지몬 탐지기 근처에 있는 디지몬을 탐지 * 기타 프로그램 제조. 그외 자세한건 안나왔지만 이재익이 처음 나왔을 때 디지바이스에서 빛의 채찍을 만들어 사이버드라몬을 구속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디지몬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도 있는 모양. == 완구화 == === 액정 완구 === ||[include(틀:navervid, vid=83BA344C8497DFC9F01E64BAEDD96BED6A22, outkey=V123a40eea6ffdf941277a9ccbfcca8b2dcf6d848eb6524617d72a9ccbfcca8b2dcf6)]|| || 일본판 CM || ||[include(틀:navervid, vid=EE4A753BB0D649F4A933338657EE98C82B52, outkey=V1299d4369810b0c496dd7e48f7778b839e761df686f0082573cf7e48f7778b839e76)]|| || 일본판 CM(+디지털 몬스터 카드 게임) || ||[youtube(BTOBrKQEEI4)]|| || 한국 정발판 CM || 2001년 4월 28일에 오유민 컬러링인 1.0, 7월 20일에는 곽소룡 컬러링인 2.0. 9월 30일에는 1.5버전이 발매되었으며 10월 8일에는 오유민의 최종사양인 얼티메이트 버전이 발매되었다. 원작의 카드 슬래시 기능은 능력치 버프 재현뿐만이 아니라 카드의 디지몬을 아군으로 삼는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당연한 얘기겠지만 당시 문구점 등 현재 유희왕 카드처럼 흔히 발매되던 TCG카드는 그냥 종이짝이지 안에 해당 디지몬의 데이터같은 게 기록되어 있는 것도 아니었다. 더구나 디 아크에 디지몬을 기록하는 방법은 해당 디지몬의 카드를 슬래시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디지몬의 카드에 적힌 디지털 문자와 형식번호를 입력한 뒤 일정시간 이내에 아무 카드나 슬래시해서 도감에 등록하는 방식이었고, 한술 더 떠 디 아크는 카드만 인식하는 게 아니라 위 아래 스프링 식의 슬래시 센서 사이에 "뭐가 지나갔구나"하면 바로 인식되는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카드가 아니라 코팅된 A4용지, 알약 포장지(...), 심지어 1~2번 접은 신문지 등 '''위아래로 맞닿은 센서 스프링이 어느정도 떨어져 벌어질 만큼 얇고 단단한 물건'''만 센서에 긁으면 됐기 때문에 [[http://upload2.inven.co.kr/upload/2017/02/03/bbs/i16484960455.png|이 카드도]] [[http://upload2.inven.co.kr/upload/2017/02/03/bbs/i15087470100.gif|가능하다.]][* 당시 디 아크에 있어 TCG카드는 그냥 기록번호 써놓은 쪽지에 불가했으며, 거의 디지몬만 사용해 플레이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아이템 카드나 프로그램 카드는 있으나 마나한 것들이었다. 그나마 사용되는 아이템들은 걸음 수를 단축시켜 주거나 공격 위력을 더 올려주는 것 정도였다. 프로그램은 아예 없다고 봐도 좋을 지경. 물론 동일한 디지몬이라도 게임기의 버전에 따라 도감에 있는 번호가 있고 없는 번호가 있었기 때문에 디지몬 하나를 등록하려면 같은 디지몬의(다른 일러스트) 카드를 꽤 여러 장 모아야 했다.] 2017년에는 테이머즈 15주년 기념으로 D-아크 VER 15th가 발매되었다. ==== 모험 에리어 ==== || '''에리어''' || '''클리어 포인트''' || '''등장 적''' || '''보스''' || '''출현 조건''' || ||<-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ver1.0 / ver1.5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에리어 1 || 8000 || 톱니몬[br]베타몬[br]아구몬 || 가드로몬 || || || 시크릿 A || 4000 || 케라몬[br]피코데블몬[br]가드로몬 || 데빌몬 ||에리어 1의 획득 포인트가 9000 이상 || || 에리어 2 || 9000 || 아구몬[br]브이몬(1.0)[br]로프몬(1.5)[br]그레이몬(VA)) || 엑스브이몬(1.0)[br]웬드로몬(1.5) || || || 에리어 3 || 10000 || 시드라몬[br]크리사리몬[br]가니몬 || 도그몬|| || || 시크릿 B || 4000 || 알로몬[br]데빌몬[br]그레이몬(VA) || 오로치몬(1.0)[br]팬더몬(1.5) ||에리어 3의 획득 포인트가 12000 이상 || || 에리어 4 || 11000 || 가드로몬[br]도그몬[br]그레이몬(VA) || 메탈그레이몬(VA) || || || 에리어 5 || 12000 || 오로치몬(1.0)[br]팬더몬(1.5)[br]티로몬[br]그레이몬(VA) || 메탈그레이몬(VA) || || || 시크릿 C || 4000 || 매그너몬[br]메탈그레이몬(VA)[br]마린데빌몬 || 파일드라몬(1.0)[br]안티라몬(VI) ||에리어 5의 획득 포인트가 15000 이상 || || 에리어 6 || 13000 || 데빌몬[br]알로몬[br]티로몬[br]묘티스몬 || 베놈묘티스몬 || || || 시크릿 S || 4000 || 메가드라몬[br]인페르몬[br]키메라몬 || 밀레니엄몬 ||원더스완과의 연결을 3회 반복한 상태에서 에리어6 클리어 || || 에리어 7 || 14000 || 워그레이몬[br]메탈시드라몬[br]베놈묘티스몬 || 파워드라몬(1.0)[br]케루비몬(VI) || || || 파이널 에리어 || 15000 || 메탈시드라몬(1.0)[br]파워드라몬(1.0)[br]케루비몬(VI)(1.5)[br]베놈묘티스몬 || 디아블로몬 ||에리어 7의 획득 포인트가 15000 이상 || ||}}}}}}}}} || ||<-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ver 2.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에리어 1 || || || || || ||}}}}}}}}} || ||<-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얼티메이트 버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에리어 1 || || || || || ||}}}}}}}}} || === SCSA === [youtube(zzRYfApgDuI)] 2022년 테이머즈 20주년 기념으로 SCSA[* Super Complete Selection Animation의 약자.]라는 브랜드로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으로 출시. 물론 육성기능은 당연히 없으며 판매가격은 14,300엔이다. 예전에 발매되었던 육성 기기와 비교하면 사이즈가 커졌고, 액정의 경우 고해상도 컬러 액정이며 극중 캐릭터의 대사나 주제가를 비롯한 음성이 삽입되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카드마다 NFC태그가 내장되어 있어 본체에 슬래시함으로써 모든 카드를 개별인식하도록 설계되었다고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디지바이스, version=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