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gr6Klkf_7g)]}}}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R0Q9ao-9ko)]}}} || ||<-2> {{{-1 '''BG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3 (2008)}}} || || {{{-1 '''장르'''}}} ||{{{-1 Pure House}}} || || {{{-1 '''BPM'''}}} ||{{{-1 120}}} || || {{{-1 '''작곡'''}}} ||{{{-1 [[3rd Coast]]}}} || || {{{-1 '''작사'''}}} ||{{{-1 [[3rd Coast|JC]]}}} || || {{{-1 '''보컬'''}}} ||{{{-1 [[3rd Coast|So Fly]](보컬) / JC(랩)}}} || || {{{-1 '''BGA'''}}} ||{{{-1 Giggsan}}} || ||<-2> {{{#!folding [ 가사 보기 ] {{{-2 풀버전에만 등장하는 가사는 ''이탤릭체'' 처리.}}} It's another love, somebody who I know Give me another sure to remember (love so true) Don't go looking for, so close into your soul Forever once I can, be my baby, yeah (let's go) Loving you, is so easy, comes natural You and me, is something I'm wishing for Nobody and no one else can bring me everything you do, oh baby ''Here we are, so in love, don't believe it'' ''Now I know, you're the only one baby'' '''Cos nobody and no one else can bring me joy the way you do'' When you're down let me show you the way Just believe in our love (baby I'm all for you) Don't you know, don't you cry anymore My baby, you are not alone Chorus ''x2'' I'm falling in love, and yes it's true Always in my heart, I'm here with you I'm falling in love, it's true So baby, let me in your soul JC: Clap your hands to the beat y'all JC on the mic now, ready to bust So clap your hands to the beat y'all 3rd Coast like that, one time, move it out now ''Basically, can I give a little taste of me'' ''So smooth girl, never wanna make believe'' ''Love so true, once I knew'' ''Let you go, never got so into you'' ''Let your hair down girl, just bless tonight'' ''Left to right, by my side rest tonight'' ''Let me hold you, kiss you, caress you now'' ''Let me love you, be with you, baby now'' Never knew a love, a love, a love like this Wake up in the morning just blow me a kiss Never knew a love, a love, a love like this So Fly, come again, take a breath away So Fly: ''When you're down let me show you the way'' ''Just believe in our love (baby I'm all for you) '' ''Don't you know, don't you cry anymore'' ''My baby, you are not alone'' Chorus ''x2'' ''I'm falling in love and yes it's true (with you)'' ''Always in my heart, I'm here with you (just you and I)'' ''I'm falling in love (all the time), it's true'' ''so baby let me in your soul'' ''(SOS MJC, 3rd Coast yo, unity, come on)''}}} || == 개요 == 3rd Coast가 예전에도 많이 보여줬던, 포근하면서도 따뜻한 느낌의 느린 발라드 풍의 곡. DJMAX 메트로 프로젝트 중, [[DJMAX TECHNIKA]]와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에 수록되었다. 디제이맥스 게임 내에선 River Flow가 [[Luv Flow]]의 후속곡이라고 되어있지만 작곡가도 다르고 이 곡이 진짜 Luv Flow의 후속곡이라고 보인다. 게임 내에서는 짧은 것을 떠나서 곡의 구성을 애매하게 잘라버린 커팅 때문에 비인기곡이지만, 풀버전은 역시 3rd Coast라는 평가. 포근하고 따뜻한 느낌의 곡에 맞추어 BGA도 귀여운 카툰 랜더링으로 제작되었다. 구름을 베이스로 한 캐릭터의 부드러운 동작이 일품. 사실 [[Landscape]]등과 비견될수 있을 정도로 완성도 높은 비주얼 중 하나이지만, 곡이 워낙에 묻혀버리는 바람에 비주얼도 따라서 묻혀 버린 비운의 비주얼 중 하나일듯. 이런 곡도 한번쯤 감상해보자. 여담으로 가사에 [[Luv is True]]가 있다. --[[Luv is True|후속곡]] 암시-- ==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 [youtube(AcwrWvnwjgU)] (4B HD) 클래지콰이 에디션에서도 상당히 낮은 난이도로, 입문용 곡 중 하나이다. == [[DJMAX TECHNIKA 시리즈]] == [youtube(JlbAuP22cRg)] HD 패턴(TP) 테크니카에서의 난이도는 LP 2, PP 3, TP 3. SP 패턴은 존재하지 않는다. PP는 1스테이지에서 등장한다. LP는 무난하지만, PP는 [[Dear my Lady]]와 더불어 3레벨 치고 상당히 어려운 편. 연결형 노트와, 후반의 연타 노트가 초보자들에게는 상당히 성가시고 까다로우며, 게다가 스크롤 속도가 상당히 느리면서, 곡 자체가 정박보다는 엇박 위주이기 때문에 박자를 놓치기 십상이다. 그래서인지, 파퓰러에서 아주 가끔 선택하는 것을 빼고는 거의 무시당하는 비운의 곡이다. 그나마 이 곡을 아는 사람도 드물다... 게다가 테크니컬 모드와 플래티넘 미션 모드에서도 채택되지 않은 관계로, 일부러 파퓰러로 들어가서 플레이해야한다는 불편함 때문에 잘 플레이되지 않는다. [[Motion]]과 [[Voyage]]와 함께, 테크니카 3대 비인기곡.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미션이나 주별 코스에도 잘 채택되지 않는다. TP패턴은 8월 25일 Evolution EP 패치와 함께 업데이트되었다. PP패턴에 어느정도 살을 덧붙인 느낌. PP와 난이도표기는 같은데, PP패턴자체도 3레벨 치고 매우 어려운 편이었던 탓에 괴악한 [[사기 난이도]]가 되어버렸다. ||||||||||||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 Star || D || 50 Max || ? || 8박 스크롤 || || || Normal || D || 100 Max || 3 || 8박 스크롤 || ※[[지뢰곡]] || || {{{#white Hard}}} || C || 150 Max || 5 || 8박 스크롤 || [[Cotton Candy(DJMAX)|Cotton Candy Set]] 셀렉곡, [[Metronom|미션 - Double Tempo]] 수록 || 테크니카 2로 넘어와서 기존 TP패턴은 HD가 되었는데, 홀드노트 구간에서 나오던 분홍 겹노트였던 부분이 (같은 X축에 분홍노트 2개가 연달아 배치)분홍노트 한 개로 바뀌어 난이도가 하락하였다. 당연히 기존의 PP패턴은 NM이고 팝믹싱 기준 난이도표기는 각각 NM 3 , HD 5 이다. 테크니카 3에서는 다른 변동이 없다. 미션 팩에서 HD패턴을 4박 스크롤로 즐겨 볼 수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CE)]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loser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c1903d 0%, #c1903d 1.8%, #f2bb04 1.8%, #f2bb04 3.5%, #ffe520 3.5%, #ffe520 5.2%, #fff075 5.2%, #fff075 8.2%, #fff4b1 8.2%, #fff4b1 10.2%, #fff9db 10.2%, #fff9db 34%, #ffffff 34%, #ffffff 58%, #fffbea 58%, #fffbea 62.5%, #f7ecbf 62.5%, #f7ecbf 66.5%, #f6dd91 66.5%, #f6dd91 68.5%, #edc95b 68.5%, #edc95b 72%, #dcb335 72%, #dcb335 73.7%, #e6bc3a 73%, #e6bc3a 74.7%, #dcaf13 74.7%, #dcaf13 77%, #d59c00 77%, #d59c00 78.5%, #ba8b0a 78.5%, #ba8b0a 83%, #ac7b22 83%, #ac7b22 86%, #906b33 86%, #906b33 87.5%, #a97d1f 87.5%, #a97d1f 88%, #c48f1f 88%, #c48f1f 89.5%, #daa742 89.5%, #daa742 91%, #f3da8c 91%, #f3da8c 92.5%, #daa742 92.5%, #daa742 94%, #d59c00 94%, #d59c00 97.2%, #af9043 97.2%, #af9043 98.7%, #d9c256 98.7%, #d9c256 100%)" '''{{{#737373 CLAZZIQUAI}}}'''}}} || ||<-4>'''{{{+5 Closer}}}'''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197}}} || -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04}}}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2'''}}} [br] {{{-5 42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18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373}}} || -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4'''}}} [br] {{{-5 459}}}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11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291}}} || -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2'''}}} [br] {{{-5 486}}}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1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381}}} || -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4'''}}} [br] {{{-5 486}}}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9db,#ffffff,#f7ecbf)"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애매한 커팅을 그대로 가져왔고, SC 패턴도 존재하지 않아 [[DJMAX RESPECT]] 내 존재하는 [[3rd Coast]]의 악곡 중에서는 [[Jealousy(DJMAX)|Jealousy]]와 함께 존재감이 가장 옅다. 이후 시즌 10 업데이트에서 SC 패턴이 추가되었는데, 6B TUNES에서는 유일하게 SC 2레벨에 배정된 패턴이 되었다. 5B HD를 제외한 모든 패턴에서 사이드 노트가 등장하지 않는다. === 4B TUNES === || {{{#737373 NM}}} || {{{#737373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nxVVeWeoT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3AxLgWr27g)]}}} || || {{{#737373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p6hLVv4nvw)]}}} || || 4B MX는 롱 노트를 잡으면서 연타를 처리해야 하는 중반부가 꽤나 까다롭다. 4B SC는 롱노트 두개를 잡다 하나를 떼고 다른 라인의 롱노트를 잡는 패턴이 그나마 어려울 정도로 쉽다. [[Don't Cry(DJMAX)|Don't Cry]], [[WHY(DJMAX)|WHY]]를 잇는 SC 입문곡. === 5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DSKata3Ce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54hgPwvam4)]}}} || || {{{#737373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K85dZbcOWU)]}}} || || 5B SC는 적당한 BPM의 쉬운 패턴이 많이 나와 물렙이라고 평가받는다. === 6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bZNKufPG9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pg7WUum4Hs)]}}} || || {{{#737373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VdhxhUpmf0)]}}} || || 6B SC는 최저 레벨 SC 패턴임에도 SC식 패턴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은 [[Phantom of Sky]]와는 달리 1+3, 4+6 동시치기를 활용한 패턴이 어느 정도 나온다. 최저레벨인 만큼 자주 나오지는 않지만 4+6 동시치기 직후 5번 노트를 쳐야 하는 패턴도 나오는 등 나름 까다로운 구간도 존재한다. === 8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E9p62Fmy9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t37WNrtles)]}}} || || {{{#737373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24A-tpaomQ)]}}} || || 8B SC는 135-L, 2R-5 등 고레벨 SC에서 기본이 되는 패턴이 자주 나온다. 패턴 자체만 놓고 보면 저레벨 러너에게는 어려운 패턴이지만 BPM이 매우 낮고, 8비트 단위로 뚝뚝 끊기는 만큼 실제로 플레이할 땐 어렵지 않다. 그래서 4레벨에서도 매우 쉬운 패턴이라고 평가받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Closer, version=89, paragraph=2)]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