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ore(사운드트랙))] ||<-2><#ab722d> '''{{{#000000 {{{+1 Cirrus Mino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fPVM5dFlp8, width=100%, height=200)]}}} || || '''발매일''' ||[[1969년]] [[6월 13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b722d; font-size: .9em" [[More(사운드트랙)|'''{{{#000 More}}}''']]}}} || || '''장르''' ||[[사이키델릭 록]] || || '''작사/작곡''' ||[[로저 워터스]] || || '''프로듀서''' ||노먼 스미스 || || '''러닝 타임''' ||5:18 || || '''레이블''' ||EMI 콜럼비아, 타워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핑크 플로이드]]의 3집 [[More(사운드트랙)|More]]의 1번째 트랙. 곡의 이름은 [[권운]]의 한 유형에서 유래되었고 [[데이비드 길모어]]가 이 곡의 보컬을 소화하였다. 곡의 구조가 상당히 특이한 편인데, 나이팅게일의 새소리로 곡을 인도하고, 드럼 연주가 없는 상태로 [[릭 라이트]]의 단순하고 장중한 [[오르간]] 연주가 주도하는 목가적 환각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런 곡의 구성은 후에 [[Ummagumma]]의 [[Grantchester Meadows]]에서 재현된다. 반음계로 하강하는 베이스 라인을 중심으로 E단조 코드의 변칙 진행이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 곡은 후에 편집반 «Relics»에 수록되며, [[BBC]] 제 3라디오의 다큐멘터리 «Laying Down Tracks»에서도 들을 수 있다. == 가사 == ||<#ab722d> ---- '''{{{+2 Cirrus Minor}}}''' ---- In a churchyard by a river 강변의 묘지에서 Lazing in the haze of midday 한낮의 안개 속에서 게으름 부리며 Laughing in the grasses and the graves 풀과 묘비 사이에서 웃으며 Yellow bird, you are not lone 노란 새야, 너는 외롭지 않아 In singing and in flying on 지저귀고 날아다니면서 In laughing and in leaving 웃고 떠나면서 Willow weeping in the water 물속에서 흐느끼는 버드나무 Waving to the river daughters 강의 딸들에게 손을 흔들면서 Swaying in the ripples and the reeds 물결과 갈대 사이에서 흔들거리면서 On a trip to Cirrus Minor 새털구름으로의 여행에서 Saw a crater in the sun 태양에 있는 구덩이를 보았어 A thousand miles of moonlight later 천 마일의 달빛만큼 떨어진 곳으로부터 ---- [[파일:pink-floyd-logo.png|width=150]] || [[분류:1969년 노래]][[분류:핑크 플로이드 노래]][[분류:로저 워터스 노래]][[분류:사이키델릭 록]][[분류:More(사운드트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