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ircular.jpg|width=60%&align=center]]}}} || ||<-6><#3db7cc> '''[[CIRCULAR|{{{#ffffff CIRCULAR}}}]]'''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10 || '''Circular OP.2 (Restored)''' || 5:43 ||<-3> [[이수(가수)|이수]] || == 음원 및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BfjQ4Jst6k,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QD73izF01Q,width=100%,align=center)]}}} || || '''▲ 음원''' || '''▲ 2019년 1월 12일 9집 발매 콘서트 대구 라이브'''[* 무려 약 3시간의 콘서트 동안 쉬지 않고 [[어디에도]], [[넘쳐흘러]]와 같은 곡을 20곡 이상 부르고, 마지막 곡으로 부르고 있는 것이다! 중간중간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음이탈도 나긴 했지만, 앞에 불렀던 곡들을 감안한다면 이해가 될 것이다. 도리어 약간 삑사리가 나는 모습이 더 안쓰러운 감정을 고조시킨다는 평도 있는 편.] || == 가사 == ||
<:> {{{#white '''{{{+3 Circular OP.2 (Restored)}}}'''}}}|| || 아무도 얘기하지 않는 몇 해가 쉽게 지나 버리고 휑하니 텅 빈 가슴 속으로 눈꽃 송이 내려앉는다 아무리 잠들어도 캄캄한 바람 지날 {{{#yellowgreen 뿐}}} 어떤 꿈도 만나지 못해 토막나며 부서진 나의 여러 기대는 공중에 날려 사라져가고 딱딱한 구름 밑에서 벅찬 무게를 견디며 혼자 그렇게 작아져갔다 뱃속에'''{{{#yellowgreen 서}}}'''만 '''{{{#yellowgreen 커}}}'''다란 울음'''{{{#blue,#dodgerblue 이 차}}}{{{#green 오를}}}{{{#yellowgreen 수}}}'''록 '''{{{#red 입}}}{{{#blue,#dodgerblue 을}}} {{{#green 다물}}}{{{#yellowgreen 어 침}}}'''묵'''{{{#yellowgreen 했}}}{{{#green 었}}}'''다 마음엔 '''{{{#yellowgreen 많}}}'''은 '''{{{#yellowgreen 얘}}}'''기로 여러 '''{{{#blue,#dodgerblue 세계}}}{{{#green 를 지}}}{{{#yellowgreen 어}}}'''도 '''{{{#red 엷}}}{{{#blue,#dodgerblue 은}}} {{{#green 미소}}}{{{#yellowgreen 로}}} {{{#blue,#dodgerblue 대}}}{{{#green 신했}}}{{{#yellowgreen 었}}}{{{#green 다}}}''' 누구든 나를 눈치챌까 봐 서둘러서 나를 닫았다 아무리 잠들어도 캄캄한 바람 지날 {{{#yellowgreen 뿐}}} 어떤 꿈도 만나지 못해 토막'''{{{#yellowgreen 나}}}'''며 '''{{{#yellowgreen 부}}}'''서진 나'''{{{#blue,#dodgerblue 의 여}}}{{{#green 러 기}}}{{{#yellowgreen 대}}}'''는 '''{{{#red 공}}}{{{#blue,#dodgerblue 중}}}{{{#green 에 날}}}{{{#yellowgreen 려 사}}}'''라'''{{{#yellowgreen 져}}} {{{#green 가}}}'''고 딱딱한 '''{{{#yellowgreen 구}}}'''름 '''{{{#yellowgreen 밑}}}'''에서 벅찬 '''{{{#blue,#dodgerblue 무게}}}{{{#green 를 견}}}{{{#yellowgreen 디}}}'''며 '''{{{#red 혼}}}{{{#blue,#dodgerblue 자}}} {{{#green 그렇}}}{{{#yellowgreen 게}}} {{{#blue,#dodgerblue 작}}}{{{#green 아져}}} {{{#yellowgreen 갔}}}{{{#green 다}}}''' 저 검고 깊은 바닥에도 눈송이가 내려 닿을까 절망 또한 노래가 되어 누구라도 들을 수 있을{{{#green ㅡ까}}} 마침내 눈은 떠지고 사위는 고요해진다 '''{{{#red 거}}}{{{#blue,#dodgerblue 꾸}}}{{{#green 로 쏟}}}{{{#yellowgreen 아지}}}'''는 '''{{{#yellowgreen 눈}}}{{{#green 송}}}'''이 빈틈을 '''{{{#yellowgreen 메}}}'''워 '''{{{#yellowgreen 넘}}}'''치고 실 같'''{{{#blue,#dodgerblue 은 울}}}{{{#green 음 터}}}{{{#yellowgreen 지}}}'''고 '''{{{#red 살}}}{{{#blue,#dodgerblue 아}}}{{{#green 서 다}}}{{{#yellowgreen 시}}} {{{#blue,#dodgerblue 꿈}}}{{{#green 을 꿔}}} {{{#yellowgreen 본}}}{{{#green 다}}}''' 마침내 '''{{{#yellowgreen 눈}}}'''은 '''{{{#yellowgreen 떠}}}'''지고 사위'''{{{#blue,#dodgerblue 는 고}}}{{{#green 요해}}}{{{#yellowgreen 진}}}'''다 '''{{{#red 거}}}{{{#blue,#dodgerblue 꾸}}}{{{#green 로 쏟}}}{{{#yellowgreen 아지}}}'''는 '''{{{#yellowgreen 눈}}}{{{#green 송}}}'''이 빈틈을 '''{{{#yellowgreen 메}}}'''워 '''{{{#yellowgreen 넘}}}'''치고 실 같'''{{{#blue,#dodgerblue 은 울}}}{{{#green 음 터}}}{{{#yellowgreen 지}}}'''고 '''{{{#red 살}}}{{{#blue,#dodgerblue 아}}}{{{#green 서 다}}}{{{#yellowgreen 시}}} {{{#blue,#dodgerblue 꿈}}}{{{#green 을 꿔}}} {{{#yellowgreen 본}}}{{{#green 다}}}''' || ||2옥타브 솔(G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red 빨간색}}}'''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 곡 분석 == * 조성 : 사장조(G) * 최고음 : '''3옥타브 도(C5)''' 러닝타임이 5분 43초로 매우 길다. 이 정도의 러닝타임을 가진 곡은 [[흩어지지 않게]](5분 38초), [[어디에도]](5분 31초), [[행복하지 말아요]](5분 58초)[* 이것은 라이브 기록이 단 한 번도 없다는 3절 버전이다! 유튜브 조회수가 높은 5집의 2007 버전은 러닝타임이 5분 17초이다.], [[잠시만 안녕]](6분 48초), [[사랑은 아프려고 하는 거죠]](5분 59초) 정도가 있다. 엠씨더맥스 곡답게 최고음도 3옥타브 도(C5)로 매우 높고, 체력적으로도 매우 부담되는 곡이다. 하이라이트 부분이 [[잠시만 안녕]]과 마찬가지로 곡 전체에서 총 4번 반복[* 1, 2절에서 각각 한 번, 3절에서 두 번 반복]되고 고음을 길게 끌어야 하는 부분이 여럿 존재한다. 그러나 최고음인 3옥타브 도를 길게 끄는 부분이 없고 후렴구가 끝날 때마다 여유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넘쳐흘러]], [[사계(하루살이)|사계]], [[너의 목소리가 들려(M.C The Max)|너목들]]에 비하면 쉬운 편이다.[[행복하지 말아요]]나 [[이 밤이 지나기 전에]]에 준하는 난이도이다. 곡 자체의 난이도도 상위권이지만, 전반적으로 반주가 적은 편인 노래라 음색과 호흡량 조절이 고음 못지않게 중요하다. 실제로 불러보면 1절에서 음량과 음색을 조절하는 게 어려울 것이다. == 라이브 기록 == ||<:><-4>
<#3db7cc> {{{#ffffff '''곡 발매일 : 2019/01/02'''}}} || ||<:> {{{#ffffff '''날짜'''}}} || {{{#ffffff '''지역'''}}} || {{{#ffffff '''행사명'''}}} || {{{#ffffff '''비고'''}}} || || 190105 || 부산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첫 라이브] || || 190112 || 대구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눈물 라이브..] [[https://youtu.be/ZQD73izF01Q?t=276|#]] || || 190119 || 광주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126 || 전주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209 || 울산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216 || 성남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223 || 수원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302 || 창원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309 || 고양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316 || 제주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221210 || 광주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21224 || 부산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21230 || 서울 1차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눈물을 뚝뚝 흘린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P6xUAcArS6Q&t=1s|#]]|| || 221231 || 서울 2차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30114 || 대구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30128 || 대전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30204 || 인천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여담 == * 9집 [[CIRCULAR]] 수록곡 중 이수가 작곡, 작사, 편곡한 두 개의 곡 중 하나이다. 앨범명을 제목에 그대로 차용했으며, 같은 제목의 [[Circular OP.1 (Crevasse)]]에서 이어진다. * 원래 [[Circular OP.1 (Crevasse)]]와 함께 하나의 곡이었다고 한다.[* [[Circular OP.1 (Crevasse)]]는 사 단조인데, 마지막 부분이 사 장조로 전조되어 끝나며 Op.2와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 OP는 작품번호를 나타내는 Opus의 줄임말이며, 주로 클래식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예: [[프레데리크 쇼팽/에튀드|Chopin Etude]] [[이별의 곡|Op.10 No.3]]] 일반 대중가요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제목을 지어서 참신하다는 평가도 많다. * [[이수(가수)|이수]] 특유의 감성적인 가사가 눈에 띈다. 특히 [[클라이맥스]]의 가사 중 '토막나며 부서진 나의 여러 기대는 공중에 날려 사라져 가고' 부분이 [[이수 성매매 사건|과거 스스로의 잘못된 행동]]으로 인해 빚어진 고통을 표현한 것 같아 눈물이 났다는 팬들의 평이 있다. 이로 진성 [[엠씨 더 맥스]] 팬들은 이 곡을 9집 [[CIRCULAR]]의 진짜 타이틀곡으로 생각한다. * 가수 본인의 힘든 시기를 소재로 쓴 곡이라는 점에서 [[박효신]]의 [[야생화(노래)|야생화]]와 비슷하다. * [[잠시만 안녕]]과 유사하다는 평이 있다. 조성이 G major로 같고, 후렴구도 4번이나 이어진다는 점에서 매쉬업도 가능하다. == 관련 문서 == * [[M.C The Max]] * [[이수(가수)]] * [[고음/노래 목록]] * [[CIRCULAR]] [[분류:한국 노래]][[분류:록 발라드]][[분류:2019년 노래]][[분류:M.C The Max/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