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영상주소)]}}} || ||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5 (2023)}}} || || {{{-1 '''장르'''}}} ||{{{-1 -}}} || || {{{-1 '''BPM'''}}} ||{{{-1 337}}} || || {{{-1 '''작곡'''}}} ||{{{-1 [[Sobrem]]}}} || || {{{-1 '''BGA'''}}} ||{{{-1 -}}} || == 개요 == [[Sobrem]]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으로, 단독 곡으로는 Sobrem이 처음 참여하는 곡이다. 특이하게도 [[프리 재즈]] 장르를 차용하였는데,[* Sobrem의 곡에서 BMS에 내놓은 [[https://youtu.be/lmo4zMLvemM|Shannon's Theorem]] 이라는 프리 재즈 장르를 작곡한게 있긴 하다. 이때까지 리듬게임에서 프리 재즈 장르를 차용한 경우는 [[GITADORA 시리즈]]의 [[Jungle]], [[Skyscraper#s-3]]를 들 수 있는데, 두곡 다 해당 곡이 수록된 작품(V6, [[GITADORA Tri-Boost|Tri-Boost]])의 보스곡 포지션을 맡고 있다.] [[BEXTER]]에 따르면 'DJMAX 시리즈에 정통 재즈 장르의 곡을 넣고 싶다'는 바람이 있었지만 재즈 장르를 작곡할 수 있는 작곡가가 많지 않아 생각만 하던 도중 마침 Sobrem이 등장, 재즈 장르의 곡을 요청하였고 Sobrem도 이에 흔쾌히 응하면서 완성된 곡이라고 한다. 프리 재즈가 조성이나 박자, 형식 같은 것에 전혀 구애받지 않는다는 특성과 '''337'''이라는 괴악한 BPM[* 현존 DJMAX 시리즈에서 BPM이 가장 높은 곡이다. 본래는 BPM이 너무 높을 경우 이를 1/2로 표기하였으나 해당 곡은 337이라는 BPM을 그대로 인게임에 표기함이 확인되었다.]을 가지고 있어 유저들이 프리뷰를 보자마자 난이도에 대한 우려부터 하기도 했다. --소브렘 제발 피아노 정박으로 치라고!!-- 로키 스튜디오가 직접 '유저 분들이 상당히 괴로워할 것이다'라고 언급하였고, 패턴 팀 팀장인 [[XeoN]] 역시 '패턴 팀 큰일났다, 유저 분들 '''굉장히''' 큰일났다'고 언급한 만큼, 난이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곡이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5)]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a100 0%, #ffa100 10%, #012e7f 10%, #014e96 100%)" '''{{{#fff V EXTENSION 5}}}'''}}} || ||<-4>'''{{{+5 Carrot Carrot}}}'''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 [br] {{{-5 노트 수}}}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 [br] {{{-5 노트 수}}}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 [br] {{{-5 노트 수}}}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 [br] {{{-5 노트 수}}} || || 5B || - || -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 [br] {{{-5 노트 수}}}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 [br] {{{-5 노트 수}}} || || 6B || - || - || -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 [br] {{{-5 노트 수}}} || || 8B || - || - || -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 [br] {{{-5 노트 수}}}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12e7f 0%, #014e96 15.5%, #ffa100 15.5%, #ffa100 100%)"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M영상링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D영상링크)]}}}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X영상링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C영상링크)]}}}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M영상링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D영상링크)]}}}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X영상링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C영상링크)]}}}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M영상링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D영상링크)]}}}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X영상링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C영상링크)]}}}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M영상링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D영상링크)]}}}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X영상링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C영상링크)]}}} || == 여담 == * 곡 제목의 의미는 [[^^]]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의 정식 명칭인 캐럿(Caret)을 발음이 유사한 Carrot으로 표기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