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CJ ENM 선정 '올해의 10대 대중문화 인물'은 한국판 '타임지 올해의 인물'로 정확히는 대중문화에 한정하여 조사하는 것으로 [[CJ ENM]]에서 선정한 올 한 해 대한민국 대중문화계를 빛낸 인물 10인(팀)을 선정해 '비저너리(Visionary)'로 발표한다. 향후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올해의 비저너리'에 선정된 10인의 업적과 인사이트 등을 통해 조명할 예정이다. 2020년을 시작으로 매년 연말(12월 초)마다 발표한다. == 수상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틀:역대 CJ ENM 선정 '올해의 10대 대중문화 10인')] == 문제점 == * CJ ENM에서 조사하므로 자사와 관계가 있거나 자사에서 제작 등을 관여한 인물이 여럿 있어 형평성에 구설수가 있으나, 대부분 받을만한 사람이 받았다는 평가가 많은 편이다. 예를 들어, CJ ENM에서 제작하는 킹덤:아신전과 지리산의 집필을 맡은 [[김은희(각본가)|김은희]] 작가, 자사 채널인 tvN의 [[사랑의 불시착]]을 집필한 [[박지은(각본가)|박지은]] 작가[* 다만 표절 논란이 있다.], 마찬가지로 tvN의 다수프로그램의 연출을 맡았고 CJ ENM 직원인 [[신원호(PD)|신원호]] PD, CJ에서 제작투자한 [[기생충(영화)|기생충]]의 배우 [[송강호]]와 [[봉준호]] 등이 있다. [[나영석]] PD 대신 [[김태호(PD)|김태호]] PD가 수상한 점이 있는 만큼 형평성에 큰 문제가 있다기 보다는 CJ가 국내 대중문화 산업에 매우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타임지와 같은 비판적이고 독립적인 언론의 역할을 과연 프로그램 제작 사업을 주요 업무로 하는 사기업 CJ가 한다는 것 자체가 공익적인 의도로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존재한다. == 여담 == * 2020년에는 처음인 만큼 특별히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2020년|2020 MAMA]]를 통해 공개되었다. * 제1회에서 자사 PD인 [[나영석]]이 아니라 [[MBC]]의 [[김태호(PD)|김태호]]가 수상한 것도 특이할 만한 부분이다. [[금요일 금요일 밤에]], [[여름방학(예능)|여름방학]] 같이 2020년 런칭한 나영석의 신작 예능들이 영 시원치 않았던 반면 김태호의 [[놀면 뭐하니?]]는 2049 파급력이나 화제성이 다른 모든 예능들을 압도하고도 남는 현 상황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선정 이유가 '비주류의 대중화'인 것으로 보아 [[깡(노래)|깡]]의 재조명 등도 영향을 크게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라시에 불과했지만 CJ가 영입하려한 PD이기도 해 이 분야에 선정하여 러브콜을 보내려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으며, 프로듀스 사태 이후 [[엠넷]]의 총책임자로 부임된 신정수가 MBC 예능 PD 출신인 점도 한 몫 했을 것으로 보인다.] [[분류:CJ E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