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CFOP(Cross-F2L-OLL-PLL) Method. [[루빅스 큐브/해법|3×3×3 큐브 고급 해법]]의 하나. CFOP 해법은 가장 대표적인 LBL(Layer by Layer) 방식의 해법으로, 아래 서술된 4단계를 거쳐서 큐브를 맞추는 해법이다. 해법의 특정한 창안자가 있다기보다 1980년대부터 여러 큐비스트들에 미국인인 제시카 프리드리히(Jessica Fridrich) 교수가 1990년대 초 여러 OLL, PLL 공식들을 발전시키고 정리하면서 유명세를 떨치게 되어 흔히 ''''프리드리히 해법(Fridrich method)''''이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이 용어가 거의 안 쓰이는데 프리트리히가 이 해법에 기여를 한게 적다는게 그 이유다 가장 널리 알려진 고급 해법이기도 하면서, 스피드솔빙에 도전하는 큐비스트들 사이에서는 가장 처음으로 익히게 되는 일종의 기본 해법과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블록빌딩 방식 해법인 [[루 해법]]도 예전보다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오랜기간 널리 쓰여온 해법인 만큼 다양한 공식에 대한 연구나 핑거트릭의 최적화도 높은 수준으로 발전되어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공식을 소개한 대표적인 한국어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https://cafe.naver.com/cubemania|큐브 매니아]]: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큐브 커뮤니티로, CFOP 해법을 포함한 다양한 해법들의 알고리즘과 공식들을 소개하고 있다. [[https://blog.naver.com/vincentcube|네이버 블로그 - vincent & cube]]: 한국의 큐비스트 [[https://www.worldcubeassociation.org/persons/2007GOHO01|최고호]]씨의 블로그로, 많은 큐브 해법들의 공식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 CFOP 해법의 각 단계 == [[파일:attachment/프리드리히 해법/fridrich.jpg|width=400]] 각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크로스(트위스티 퍼즐)|Cross]] : 초, 중급 공식과 똑같은 십자 맞추기 단계이다. 2. [[F2L]](First 2 Layers) : 초, 중급 공식이 1층 코너 조각과 2층 에지 조각을 두 단계에 걸쳐 맞췄다면 고급 공식의 이 F2L을 사용하면 인접한 코너 1조각, 에지 1조각 한 쌍을 한 번에 제자리에 집어넣어 최대 4번의 공식 적용만으로 큐브를 2층까지 맞출 수 있게 된다. 완성상태를 빼면 대칭포함 총 45개의 공식이 있으며 그외에도 기본형 유도 F2L, AF2L 등 여러 변형, 확장 바리에이션이 있다. 3. OLL(Orientation of the Last Layer) : 3층의 모든 조각들을 [[오리엔테이션(큐브)|오리엔테이션]]을 맞춘다. 공식 57개로 구성되어있다.[* 단계를 나누는 2Look방식은 엣지공식3개, 코너공식7개.] 4. [[CFOP 해법/PLL|PLL]](Permutation of the Last Layer) : 3층의 모든 조각들에 대해 [[퍼뮤테이션]]을 맞춘다. 공식 21개로 구성되어있다.[* 단계를 나누는 2Look 방식은 코너공식 2개, 엣지공식 4개.] === [[크로스(트위스티 퍼즐)|Cross]] === 초, 중급 공식의 그 십자 맞추기 단계이며 블럭빌딩 방식을 제외한 거의 모든 해법에 차이없이 등장한다.[* 다른 점이라면 옆면의 중앙까지 맞춰야 하기에 색깔을 미리 봐 두어야 한다.] 어느 수준의 공식에서든 이 단계에서는 딱히 맞추는 공식이 없고 큐브의 회전에 관한 이해만으로 풀어야한다. 오로지 자신의 판단 능력만을 요하는 만큼 숙련에 따라 공식을 사용하는 다른 단계에서 보다 더 큰 재미를 느낄 수도 있다. 여러 자료와 영상을 참고해 연습하도록 한다. === [[F2L]] === [[F2L]] 문서 참고. === OLL === Orientation of the Last Layer의 약자. '''윗면 전체'''를 한 번에 맞추며 대칭 포함 총 57가지의 경우의 수가 있다. [[Cross#s-4|Cross]]를 흰색으로 했을 경우 3층에서 노란색만 찾아보면 되기 때문에 상황판단이 쉽다는 강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LL === Permutation of the Last Layer의 약자. 나머지, 그러니까 '''3층 조각들의 옆면'''을 한 번에 정리한다. 총 21가지의 경우의 수가 있다. 각각의 경우에는 바뀌는 조각의 위치 형태에 따라 알파벳으로 된 이름이 붙어 있으며 형태는 같지만 대칭인 경우 N(a)-perm, N(b)-perm과 같이 괄호속에 소문자를 집어 넣어 나타낸다. 각 경우에 대한 공식은 [[CFOP 해법/PLL]] 문서 참고. 한편 각 PLL의 경우 수가 나타날 확률은 다음과 같다. * 스킵: 확률은 1/72 * A-perm(코너 사이클): A(a), A(b)가 있다. 확률은 1/9[* 즉 각각 나올 확률이 1/18이라는 뜻이다.] * E-perm: 확률은 1/36 * U-perm(엣지 사이클): U(a), U(b)가 있다. 확률은 1/9 * Z-perm: 확률은 1/36 * H-perm: 가끔 X-perm이라고도 부른다. 확률은 1/72[* 스킵이 뜰 확률과 같다.] * J-perm: J(a), J(b)가 있다. 가끔 J(a)펌을 L-perm이라고도 부른다. 확률은 1/9 * R-perm: R(a), R(b)가 있다. 확률은 1/9 * T-perm: 확률은 1/18 * F-perm: 확률은 1/18 * G-perm: G(a), G(b), G(c), G(d)가 있다. 확률은 2/9 --제일 외우기 짜증나나 확률은 가장 높다-- * V-perm: 확률은 1/18 * Y-perm: 확률은 1/18 * N-perm: N(a), N(b)가 있다. 확률은 1/36 == 2Look CFOP 해법 == 2Look CFOP은 OLL과 PLL을 각각 두개의 단계로 쪼개면서 CFOP해법의 특징을 유지한 해법으로 단계를 쪼갠 만큼 중급해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경우의 수가 얼마 없기 때문에 상황 판단이 빠르고 외우기 쉽다. 그러나 원래 한번에 맞추는 공식을 2번에 걸쳐 맞추는 만큼 원래의 CFOP 해법보다 느리다. === 2Look OLL === OLL이 단 한 공식으로 윗면을 맞추는 고급공식의 방식이었다면 2Look OLL은 수준을 낮춰 3층에 십자가를 만들고 OLL Case 49~55의 공식들을 이용해 맞추는 방식이다. 단계를 쪼갠 만큼 중급해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외워야 할 공식은 10개. ==== 엣지 오리엔테이션 ==== 엣지 오리엔테이션, 다시 말해 십자가 맞추기 단계의 경우 3층 [[에지 조각]]의 상태에 따라 점, ㄱ, ㅡ, 십자가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이 외에 다른 모양이 나오면 분해 조립 등의 이유로 엣지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돌아간 것이다. ===== 점 ===== ||ㅤ||ㅤ||ㅤ|| ||ㅤ||<:>ㅤ||ㅤ|| ||ㅤ||ㅤ||ㅤ|| 공식은 F R U R' U' S R U R' U' f' 혹은 F R U R' U' F' f R U R' U' f' ===== 거꾸로 ㄱ ===== ||ㅤ||ㅤ||ㅤ|| ||ㅤ||<:>ㅤ||<:>ㅤ|| ||ㅤ||<:>ㅤ||ㅤ|| 공식은 f R U R' U' f' ===== ㅡ ===== ||ㅤ||ㅤ||ㅤ|| ||<:>ㅤ||<:>ㅤ||<:>ㅤ|| ||ㅤ||ㅤ||ㅤ|| 공식은 F R U R' U' F' ==== 코너 오리엔테이션 ==== 코너 오리엔테이션은 노란면을 다 맞추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총 7가지 경우가 있다. ===== Car/H ===== ||<:> || ||<:> || ||ㅤ||<:>ㅤ||ㅤ|| ||<:>ㅤ||<:>ㅤ||<:>ㅤ|| ||ㅤ||<:>ㅤ||ㅤ|| ||<:> || ||<:> || 공식은 F R U R' U' R U R' U' R U R' U' F' ===== Blinker/Bruno/Pi ===== || || || ||<:> || ||<:> ||ㅤ||<:>ㅤ||ㅤ|| || ||<:>ㅤ||<:>ㅤ||<:>ㅤ|| ||<:> ||ㅤ||<:>ㅤ||ㅤ|| || || || ||<:> || 공식은 f R U R' U' f' F R U R'U' F' ===== Sune ===== || ||<:> || || || || ||ㅤ||<:>ㅤ||<:>ㅤ|| || ||<:>ㅤ||<:>ㅤ||<:>ㅤ|| ||<:> ||ㅤ||<:>ㅤ||ㅤ|| || || || ||<:> || 공식은 L U L' U L U2 L' ===== Anti-Sune ===== || || ||<:> || || ||<:>ㅤ||<:>ㅤ||ㅤ|| || ||<:>ㅤ||<:>ㅤ||<:>ㅤ|| || ||ㅤ||<:>ㅤ||ㅤ||<:>|| <:>|| ||<:> || || || || 공식은 R' U' R U' R' U2 R ===== Chameleon(T) ===== ||<:> || || || ||ㅤ||<:>ㅤ||<:>ㅤ|| ||<:>ㅤ||<:>ㅤ||<:>ㅤ|| ||ㅤ||<:>ㅤ||<:>ㅤ|| ||<:> || || || 공식은 r U R' U' r' F R F' ===== Superman(U) ===== ||<:>ㅤ||<:>ㅤ||<:>ㅤ|| ||<:>ㅤ||<:>ㅤ||<:>ㅤ|| ||ㅤ||<:>ㅤ||ㅤ|| ||<:> || ||<:> || 공식은 R2 D R' U2 R D' R' U2 R' --복잡하다-- ===== Bowtie(L) ===== ||<:> ||ㅤ||<:>ㅤ||<:>ㅤ|| || ||<:>ㅤ||<:>ㅤ||<:>ㅤ|| || ||<:>ㅤ||<:>ㅤ||ㅤ|| || || || ||<:> || 공식은 F'r U R' U' r' F R === 2Look PLL === 2Look PLL은 3층 코너를 모두 맞추는 코너 퍼뮤테이션을 먼저 하고, 큐브를 완성하는 엣지 퍼뮤테이션을 한다. 외워야 할 공식은 총 6개. ==== 코너 퍼뮤테이션 ==== 코너 퍼뮤테이션은 3층 코너를 모두 맞추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헤드라이트'''(한 면에 있는 두 코너 색상이 같을 때) 의 개수에 따라 공식이 달라진다. 헤드라이트는 무조건 없거나, 1개거나, 4개이고, 다른 경우가 나온다면 조립이 잘못된 것이다. 퍼뮤니테이션을 완료하면 헤드라이트를 각 면의 센터 색상에 맞춰 3층을 돌려야 한다 * 헤드라이트가 1개 있을 경우 이 경우 그 헤드라이트를 왼쪽에 두고 Jb 펌을 쓴다. 공식은 R U R' F' R U R' U' R' F R2 U' R' T Perm도 쓴다. 공식: R U R' U' R' F R2 U' R' U' R U R' F' * 헤드라이트가 없을 경우 이 경우 아무 곳에서 Y 펌을 쓴다. 공식은 F R U' R' U' R U R' F' R U R' U' R' F R F' ==== 엣지 퍼뮤테이션 ==== 엣지 퍼뮤테이션은 엣지를 모두 맞춤으로써 큐브 전체를 완성시킨다. 총 4가지 상황들이 있다. * 마주보는 두 엣지가 각각 서로 바뀌어야 하는 경우 이럴 땐 H 펌을 쓴다. 공식은 M2 U M2 U2 M2 U M2 * 엣지들이 이웃하게 둘씩 바뀌어야 하는 경우 이럴 땐 바뀌어야 하는 두 엣지를 6시, 9시 방향에 두고 Z 펌을 쓴다. 공식은 M2 U' M2 U' M U2 M2 U2 M U2 * 한 면은 맞춰져 있는데 나머지 세 엣지가 시계방향으로 돌아가야 하는 경우 이때 맞춰진 한 면을 뒤쪽으로 향하게 하고 Ua 펌을 쓴다. 공식은 M2 U' M' U2 M U' M2 * 한 면은 맞춰져 있는데 나머지 세 엣지가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가야 하는 경우 이때 맞춰진 한 면을 뒤쪽으로 향하게 하고 Ub 펌을 쓴다. 공식은 M2 U M' U2 M U M2 == 관련 문서 == * [[루빅스 큐브]] * [[루빅스 큐브/해법]] * [[오리엔테이션(큐브)]] * [[큐브 기호]] * [[퍼뮤테이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리드리히 해법, version=32)] [[분류:트위스티 퍼즐/해법]] [include(틀:포크됨2, title=CFOP 해법, d=2023-01-23 02:0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