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AC 역대 유비트 우승자)] ||<-4> Giant Chicken Family || ||<-4>
[[파일:external/pbs.twimg.com/C4cYAcpUoAQEaXg.jpg|width=100%]] || || [[ICHIGO*]] || [[CORBY.QS]] || [[CELENDIS]] || [[A.K.R-Y]] || ||<-4> The 6th KAC 유비트 단체 부문 1위 수상 후 기념촬영할 때의 모습. || ||
{{{#00ffff ''' 이름 ''' }}} || 조찬영 || || {{{#00ffff ''' 닉네임 ''' }}} || CELENDIS / CELEND-S || || {{{#00ffff ''' 키 ''' }}} || 180cm || || {{{#00ffff ''' 몸무게 ''' }}} || 104kg || || {{{#00ffff ''' 출생 ''' }}} || [[1993년]] [[12월 19일]] ([age(1993-12-15)]세) || || {{{#00ffff ''' 국적 '''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00ffff ''' 혈액형 ''' }}} || [[B형]] || || {{{#00ffff ''' 소속팀 ''' }}} || LL || || {{{#00ffff ''' 입문 ''' }}} || [[2009년]] || || {{{#00ffff ''' 사용언어 ''' }}} || [[한국어]], [[일본어]] || || {{{#00ffff ''' 오락실 ''' }}} || 성남 스타트랙 || || {{{#00ffff ''' 특기 ''' }}} || [[유비트]], [[DJMAX TECHNIKA Q]], --[[IX]]-- || || {{{#00ffff ''' 링크 ''' }}} || [[https://twitter.com/CELENDIS2|트위터]] [[https://www.youtube.com/channel/UC37FY2G-46HIhoAZhNJ5Shw|유튜브 채널]] || [목차][clearfix] == 설명 == 한국의 [[유비트 시리즈]], [[리플렉 비트 시리즈]]의 [[탑스코어러|탑랭커]]. 1993년생 남성으로, 본명은 조찬영. 2015년에 전역한 군필자로 주로 경기도 성남 스타트랙, 천안에서 리듬게임을 플레이하고 있다. 닉네임의 유래는 [[스타크래프트 2]]의 등장인물인 [[셀렌디스]]. [[https://twitter.com/CELENDIS0/status/789808120490975232|2016년 10월 22일 현재 유비트, 리플렉 비트 엑설 및 스킬 현황]] 유비트를 주력으로 플레이하는 게이머로, 2018년 현재 10년차로 [[유비트]] 초대작부터 플레이해 왔다고 한다. ACT2010 8강에서 색채구성 마커로 [[IN THE NAME OF LOVE]]를 엑설하는 쇼맨십으로 유명해지기 시작하였다. 탑랭커로서 기나긴 시간을 보내왔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썰이나 논란이 존재하지 않아 클린하다라는 평을 받는다. [[유비트 코피어스]] 때부터는 [[Excellent Master]]를 계속 달성해왔다. [[유비트 코피어스]]에 이어 [[유비트 소서]]에서 완전제패[* 해당 작품부터 엑설런트 마스터 칭호가 사라져 전곡 엑설런트는 이쪽의 표현을 사용.]를 달성하였고 2015년 10월 하순, 국방의 의무를 완수한 후, 2015년 11월 23일 20시 13분에 [[유비트 프롭]]에서의 제패를 달성하였다. [[유비트 큐벨]]은 2016년 5월 4일 23시 54분에 달성. 플레이 스타일은 패턴을 파악하고 웬만한 부분은 [[CORBY.QS|피지컬로 찍어누르는 요즘 스타일]]과 달리 특별한 스킬[* 코피어스까지 거의 모든 보면을 커버할 수 있었던 스킬인 교차타법이 유행했던 시기에도 현재와 동일한 방식으로 손배치를 짰다. 결국 교차타법 유저들은 코피어스 이후 [[532nm|교차만으로 해결하기 힘든 패턴]]과 [[유비트 소서|상하배치]]의 유행을 버티지 못해 몰락의 길을 걷고, CELENDIS와 같은 스타일은 살아남았다.] 없이 우직하게 손배치를 짜서 플레이하는 고전적 정파 스타일이다. 측면에서 찍은 엑설영상이나 KAC 참가영상을 봐도 알 수 있듯이 신체의 움직임이 상당히 큰데, 이는 패널을 치는 손의 각도를 확보하여 패턴을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다. 비공식 대회에서의 우승은 여러 번 차지한 경력이 있으나, 유난히 코나미와 유니아나가 주최하는 공식 대회와 인연이 없었다. 그러나, [[The 6th KAC]] 유비트 단체부문에 [[A.K.R-Y]], [[CORBY.QS]], [[ICHIGO*|ICHGO.QS]]와 Giant Chicken Family팀을 결성하여 개인점수 2,974,783점, 총합 11,915,605점을 기록, 최종 3위로 예선을 통과하였다. 결승 라운드 인터뷰에서 대표격으로 인터뷰에 응했다. 준결승에서 Eremaki[* EDA-BEAN('E'ffort), CR*ROKA('Re'bellion), [[3SAGIRI]]('Ma'jesty), KRK.DSN('Ki'ng)가 한 팀인 결승 라운드 진출 팀 중 하나.]와, 최종 결승인 Chicken hearts[* NKPN.DSN, ANYA., [[YAGICCHI]], A-RTY-AS가 한 팀.]와의 게임에서 선방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우승 직후 소감은 "치킨 배틀 이겼다!"[* 결승에 진출힌 양 팀의 팀명에 치킨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치킨 배틀이라고 불렸다.] 아이패드 프로로도 유비트를 즐기는데, 에디트 보면을 제작하며 플레이 영상을 유튜브에 업로드하고 있다. 게임에 대한 경력이 길어서인지 제작하는 패턴 대부분이 재밌다는 평을 받고 있다.[[http://jubeat-lab.game.konami.jp/aqq/contents/p/editor_detail.jsp?eid=UjhFL|에디터 링크]] 리플렉 비트는 12렙 전곡 AAA+,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도 엑설런트 작업을 진행 중이다. 그 외에도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를 플레이하고 있는 듯하다. 현재 유비트 LL팀[* 2015년 5월경, 팀장 MATYA*LL에 의해 창단된 이래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소속이다. [[파일:external/pbs.twimg.com/C6nQxLJVwAAa1Hc.jpg]] The 6th KAC 유비트 단체 부문에서 우승한 뒤, 자주 다니는 성남 스타트랙 오락실 입구에 우승을 축하하는 플래카드가 걸렸다(...) 최근 트위치 방송에서 새 별명을 얻었는데 일명 '''또졌남''' 즉 또 지는 남자(...) 어떻게 된 거나면 그가 김뢰임이 진행하는 샤인 오락실 방송에 출연했는데 저격 매칭을 하도 당해서 자꾸 1등을 못 얻는데 생긴 별명이다.[* 그나마 방송 내용이 예능이라 변명의 여지는 있으나, 어느 시청자가 PPAP를 신청 했는데 셔터로 했어도 '''2등'''을 해서 이 별명이 크게 흥했다.] 그리고 본인이 직접 이 별명을 공식적으로 [[https://twitter.com/CELENDIS0/status/885707678823075842|써 먹었다]](...) 또한 김뢰임이 주최하는 유비트 초청전에서 퍼스트튠에 폭사해 오진남(오늘도 지는 남자) 라는 별명을 한번 더 [[확인사살]] 당했다. [[The 7th KAC]] jubeat 단체부문에서 동일한 멤버로 2년 연속 결승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참가한 팀들의 실력이 단체로 상향평준화되어 결승진출팀을 예상 할 수 없을 만큼 전쟁이었던지라 살짝 묻어간 작년과는 달리 올해는 굉장히 선전했다. 결승 진출에 확실히 기여했다는 평. 2018년 2월 10일에 개최된 [[The 7th KAC]] jubeat 단체부문 준결승에서 [[Vermilion]]을 담당하며 2위로 선방했으나, 결승전에서 상대팀이 고른 [[IX]]에서 99.1만점을 내서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후, 자신의 책임이 크다고 판단했는지 트위터를 통해 죄송하다는 트윗을 올렸다.[* 당사자는 죄송하다고 트윗을 올렸지만, 나라를 대표하는 국가대표도 아니고 사비를 털어서 코인박치기 해가며 대회에 진출했으니 공식적으로 사과해야 할 이유는 없다.] 일본에 거주하면서 온게키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2021 킹 오브 퍼포마이 온게키 부분에서 서부 에리어 우승을 차지했다. == 경력 == ||<-5> '''{{{#fff 우승 기록}}}''' || ||<-5> '''{{{#gold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 || ||<-5> '''[[The 6th KAC]][br][[jubeat qubell]] 단체부문 우승''' || || (초대) || → || '''Giant Chicken Family[br]{{{-2 ([[ICHIGO*]], [[CORBY.QS]], [[CELENDIS]], [[A.K.R-Y]])}}}''' || → || ☆ゴリあーにゃ★[br]{{{-2 (A7STA4A., ANYA., S&YSN-Y, CR*ROKA.)}}} || ||<-5> '''{{{#fff 준우승 기록}}}''' || ||<-5> '''{{{#gold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 || ||<-5> '''[[The 7th KAC]][br][[jubeat clan]] 단체부문 준우승''' || || Chicken Hearts[br]{{{-2 (NKPN.DSN, A-RTY-AS, ANYA., YAGICCHI)}}} || → || '''Giant Chicken Family[br]{{{-2 ([[ICHIGO*]], [[CORBY.QS]], [[CELENDIS]], [[A.K.R-Y]])}}}''' || → || Stand Foursome Beat Masta[br]{{{-2 ([[SHION-Y|GAB.DSN.]], UNUSED-S, ME-GA.QS, [[CORBY.QS]])}}} || ||<-5> '''{{{#gold KING of Performai }}}''' || ||<-5> '''[[KoP 2020]][br][[온게키 R.E.D.]] 준우승''' || || (초대) || → || '''CELENDIS''' || → || [[TSUBAKI]] || * [[유비트 니트|jubeat knit]] ACT2010 한국대회 8강 * [[KAC 2012]] [[유비트 코피어스|jubeat copious]] 한국 지역예선 16강 * [[The 5th KAC]] [[jubeat prop]] 부문 예선 25위 [[분류:리듬게이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