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록히드 마틴의 항공기)] [include(틀:냉전/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파일:external/www.fas.org/c-141b-990868a.jpg|width=600]] [[파일:external/www.simviation.com/c141.jpg]] [[파일:external/www.aviationexplorer.com/c-141_cockpit.jpg|width=600]] [목차] == 개요 == Lockheed C-141 Starlifter 미국의 [[록히드 마틴|록히드]]에서 제작한 전략 [[수송기]]. == 개발 배경 == 1960년대초 미 공군은, 운용 중이던 [[피스톤 엔진]] 수송기인 C-124 Globemaster II를 대체할만한, 27톤의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6,500km를 항행할 수 있으면서 저고도 공수부대 투하능력도 갖춘 전략수송기 구매계획을 세웠다. 여기에 [[보잉]]과 록히드, 제네럴 다이내믹스가 입찰하여, 록히드의 모델 300이 낙찰되었다. 록히드의 모델 300은 [[프랫&휘트니]] [[TF33]] [[터보팬]] 엔진[* [[B-52]], [[KC-135]] 등 미 공군의 다른 대형 군용기는 물론 민수 시장에선 [[JT3D]]라는 이름으로 [[보잉 707]], [[DC-8]]과 같은 여객기에도 탑재된 엔진이다.]을 4기 장착한 고익 설계의 수송기로 단거리에서의 32.1톤 수송력, 그리고 일부 장비를 제거하면 41.7톤의 적재력 확보와 [[미니트맨 III]]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운송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154명의 여객을 운송하거나 완전무장한 123명의 공수부대원을 투하할 수도 있었다. 이 기체의 개발 명령은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재가한 사항으로 기록되고 있다. 록히드는 이후 동체를 11.2m 가량 연장한 모델을 L-300 SuperstarLifter로 명명하고 민간판매를 추진했으나 어떤 [[항공사]]도 구매하지 않았다. 결국 이 기체는 [[NASA]]에 기증되었다.[* 록히드는 군용 수송기에서는 히트를 치는데 같은 모델을 민수용으로 내놓으면 어김없이 망한다. 걸작 [[C-130]]조차도 민수용 시장에서는 실패했고, [[P-3 오라이언]] [[대잠초계기]]의 원형인 민수용 L-188 여객기도 마찬가지... 사실 민항기 시장은 태생부터 런치커스터머와의 선주문을 통해 발전한 시장이라 보잉, 더글라스, 컨베어 등이 꽉 잡고 있던 시장이라 군과의 계약 위주로 시작한 록히드가 시작부터 크게 재미를 못본 분야이기도 했고 C-130, C-141같은 경우는 이미 나온 시점에 고익 수송기는 특수한 환경(극지방 등)에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미 민간에선 소음, 엔진 정비, 승객 시야면에서 불리해서 외면당하는 형태였기도 했다.][* 군용기와 민항기는 그 지향점부터 구조까지 모두 다르다는게 근본적인 문제이다. 민항기는 경제성을 최우선으로 따지고, 유지비용 또한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반면 군용기는 험지에서의 신뢰성과 높은 성능, 그리고 각종 장비의 부재에도 무리없이 쓸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한다. 이미 공항에 화물을 옮길 트럭과 각종 리프트들이 차고 넘치는 민항기 공항과 달리, 이라크 사막 한복판의 활주로에는 그런 장비들이 없다. 때문에 바로 짐을 싣고 내릴 수 있는 고익기를 선호하는 것. 하지만 고익기는 랜딩기어가 짧아 충격흡수가 떨어져서 랜딩기어 개수가 늘어나고, 이는 곧 유지비용 증대로 이어진다. 그리고 록히드는 매출의 대다수를 군용기가 차지하고 있다. 보잉의 경우 반대로 민항기가 압도적으로 매출이 높다. 두 회사의 시가총액이 2배 가량 차이남 (2021년 3월 12일 현재, 보잉 1500억불 록히드마틴 950억불) 을 생각해보면 록히드의 민항기 사업은 보잉에 비하면 정말 미세한 수준. 이러니 당연히 제작 노하우가 부족할 수 밖에.] 이 항목에 나온 사진을 보면 느끼겠지만, 그 시대의 주류던 협동체 여객기의 동체 디자인에 [[B-52]]의 날개를 조합한 모양새다. == 운용 == [[파일:external/www.nsf.gov/nose.jpg|width=600]] 1963년에 첫 비행을 하였고, 1965년부터 실전배치되어 월남전을 위시한 각종 작전에 투입되었고, [[남극]] 내에 설치된 미국 시설의 보급임무도 수행하였다. 이후 한차례 글래스콕핏 개조를 받고 더 쓰이다가 2004년부터는 대부분이 주방위공군과 예비사령부 소속으로 이관되어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부상자 이송 등 의료임무에만 쓰였다. 그리고 2006년 5월 5일 C-17에게 자리를 내어주고 마지막 C-141은 완전히 퇴역했다. 유명한 기체로는 1973년 월남전 최초의 미군포로 송환임무에 투입된 하노이 택시(Hanoi Taxi, 기체번호 66-0177)가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anoi_Taxi_over_NMUSAF.jpg|width=600]] == 보급 현황 == 모두 285기가 생산되었으며, 미 공군이 284대, [[NASA]]가 1대를 운용하였다. 그 중 21대가 사고로 소실되었다. 1999년 NASA에서, 2006년에 공군에서 전량 퇴역했다. 해외수출 실적은 없다. 퇴역기체는 이렇게 [[제309항공우주정비및재생전대|노후 전투기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406652.jpg|width=600]] NASA 사용기체를 포함한 14기는 전시보존중이다. == 제원 == ||길이||51.3m|| ||날개폭||48.3m|| ||높이||12.0m|| ||승무원||5~6명|| ||자중||65.5톤|| ||적재량||37.6톤 또는 여객 205명 또는 공수부대원 168명|| ||이륙최대중량||147톤|| ||엔진||프랫&휘트니 [[TF33]]-P-7(추력 20,250파운드) 4기|| ||최대속도||912km/h|| ||항속거리||만재 4,723km, 공중량 9,880km|| ||최대고도||12,500m|| ==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 [[월드 인 컨플릭트]]에서 미군 수송기로 나온다. 기본적인 고익에 T자형 미익 4발 수송기란 공통점에 도색까지 비슷하니 C-5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은 모양. 만일 [[C-5]]가 나온다면 소련쪽에선 [[Il-76]]대신 [[An-124]] [[콘돌]]이 나와야지... 멀티플레이시에 8대의 C-141가 저공비행하면서 병력을 투하하는건 장관. 물론 현실에선 그런짓하면 안된다(...) * [[데프콘(소설)|데프콘]] 한미전쟁편 4권 후반부에 잠깐 나오는데, 미군 총사령관 도착 2시간 전에 122mm 로켓탄 공격(10킬로미터 밖에서 시한장치로 쐈다고)을 받고 한 대가 불타버린 모습이 나온다. == 관련 항목 == * [[C-5]] * [[C-17]] * [[C-130]] * [[C-135]] * [[NASA]] * [[제309항공우주정비및재생전대|노후 전투기 보관소]] * [[록히드 마틴]] * [[미니트맨 III]] * [[베트남 전쟁]] * [[존 F. 케네디]] * [[프랫&휘트니]] == 참고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Lockheed_C-141_Starlifter|(영문 위키백과) Lockheed C-141 Starlifter]] [각주] [[분류:록히드 마틴]][[분류:수송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1965년 출시]][[분류:1968년 단종]]